KR102139466B1 -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66B1
KR102139466B1 KR1020170113806A KR20170113806A KR102139466B1 KR 102139466 B1 KR102139466 B1 KR 102139466B1 KR 1020170113806 A KR1020170113806 A KR 1020170113806A KR 20170113806 A KR20170113806 A KR 20170113806A KR 102139466 B1 KR102139466 B1 KR 10213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service flow
dedicated
control method
radio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2117A (en
Inventor
나민수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66B1/en
Publication of KR2018004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도,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QoS control method for a base station apparatus and a radio section that can realize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radio section in more detailed units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a conventional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QoS control method for base station equipment and radio section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본 발명은, 통신서비스의 패킷 전송 시 QoS 레벨을 달리하여 전송하는 QoS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도,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oS control technology that transmits different QoS levels during packet transmission of a communication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differential QoS in more detailed units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control in a radio section and a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사용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의 미디어 유형에 따라 QoS(Quality of Service) 레벨을 달리하고, 통신서비스의 패킷 전송 시 미디어 유형에 맞는 QoS 레벨을 보장하여 전송하는 QoS 제어를 제공하고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QoS (Quality of Service) leve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dia typ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used by the terminal (user), and QoS control is provided to guarantee the QoS level suitable for the media type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Doing.

이와 관련하여, LTE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QoS 제어 방식은, EPS Bearer(이하, 베어러) 단위의 QoS 제어 방식이다.In this regard, the QoS control scheme provided by the LTE network is a QoS control scheme in EPS Bearer (hereinafter, bearer) units.

LTE 네트워크에서는, 단말(사용자)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EPS Bearer 즉 베어러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베어러는 단말 및 기지국 사이를 연결하는 무선구간, 기지국 및 S-GW 및 P-GW 사이를 연결하는 유선구간을 거쳐, 단말에서 P-GW까지 생성되는 터널이라고 할 수 있다.In the LTE network, a terminal (user) generates an EPS Bearer for data transmission, that is, a bearer, to use a communication service. The bearer is a radio section connecting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S-GW and P-GW. It can be said to be a tunnel created from the terminal to the P-GW through a wired section connecting.

사용자(단말)의 데이터는 이 터널 즉 베어러를 통해 IP기반 패킷 형태로 전송되며, 패킷 전송에 따른 트래픽 흐름을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라고 한다.Data of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IP-based packet through this tunnel, that is, a bearer, and a traffic flow according to packet transmission is called a service flow.

즉, 기존에는 단말(사용자)에게 제공하던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비교적 한정적이었으므로, 몇 개 종류의 통신서비스를 묶어 "베어러" 라는 논리적 단위로 QoS를 보장(적용)하는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type of communication service previously provided to a terminal (user) was relatively limited, a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is used to guarantee (apply) QoS in a logical unit called “bearer” by bundling several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

따라서,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베어러 별로 QoS 레벨(QoS 파라미터)을 정의하여 베어러 단위로 QoS를 보장하기 때문에, 하나의 베어러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플로우라면 모두 동일한 QoS(베어러의 QoS 레벨)로 보장 및 전송된다.Therefore, in the existing QoS control method for each bearer, since QoS is guaranteed for each bearer by defining QoS levels (QoS parameters) for each bearer, all service flows transmitted through one bearer have the same QoS (the QoS level of the bearer). It is guaranteed and sent to.

결국,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QoS 제어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베어러에 속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해서 차등적인 QoS를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In the end,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has an advantage of lowering the complexity of QoS control,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differential QoS cannot be applied to service flows belonging to one bearer.

이러한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이 갖는 한계는, 통신서비스의 종류가 비교적 한정적이었던 상황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통신서비스들이 빠르게 개발/등장하고 있는 현재 또는 앞으로의 상황(예: 5G)에서는 반드시 개선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The limitation of the QoS control method for each bearer may not be a big problem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are relatively limited, but current or future situations in whic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are rapidly developing/appearing (eg, 5G) ) Is a problem that must be improv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도,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for realiz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in a more detailed unit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도,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object to be re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wireless section in more detailed units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Is do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패킷 송신 시 상기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패킷을 코어망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pped to the QoS parameter, based on the QoS (Quality of Service)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for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acket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end to the QoS level converted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end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by applying the identified QoS parameters for the radio section.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 내 QoS 파라미터의 개수가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Preferably, the core network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in the mapping table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QoS 파라미터가 동일한 하나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와 맵핑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re network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n the mapping table, two or more different QoS parameters may be mapped to the same QoS parameter dedicated to one radio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QoS 파라미터는, 코어망 단에서 특정 크기 이하의 소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 또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wo or more QoS parameters may be appli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or a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servic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small amount of data of a specific size or less at a core network stage.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특정 QoS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된 각 컨텐츠의 QoS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맵핑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re network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n the mapping table, for a service flow to which a specific QoS parameter is applied, a dedicated QoS parameter for each radio section may be mapped for each QoS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는, 대역폭을 미 보장하는 Non-GBR(Guaranteed Bit Rate)을 서비스타입으로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pecific QoS parameter may have a non-GBR (Guaranteed Bit Rate) that does not guarantee bandwidth as a service type.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부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패킷의 헤더에서 서비스품질 유형(DiffServ) 구분을 위한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필드에 따라 구분되는 컨텐츠의 QoS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s the specific QoS parameter, the identification un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DSCP (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field for class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DiffServ) in the header of the packe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wireless section mapped to the QoS of the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QoS제어정보를 포함하는 RRC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RRC메시지 내 QoS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플로우의 업링크 패킷 송신 시 상기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제어정보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by transmitting an RRC message including QoS control information that enables identification of QoS parameters for the identified radio section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based on the QoS control information in the RRC message, the service flow When transmitting an uplink packet, a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enables transmission at a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은, 기지국장치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패킷 송신 시 상기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패킷을 코어망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한다.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pped to the QoS parameter based on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for the base station apparatus to transmit to the terminal. A checking step of checking QoS parameters for the dedicated wireless section; And a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base station apparatus transmits the packet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terminal to the QoS level converted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end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by applying the identified QoS parameter for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 내 QoS 파라미터의 개수가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in the mapping table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QoS 파라미터가 동일한 하나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와 맵핑될 수 있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In the mapping table, two or more different QoS parameters may be mapped to the same QoS parameter dedicated to one radio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QoS 파라미터는, 코어망 단에서 특정 크기 이하의 소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 또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wo or more QoS parameters may be appli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or an IoT servic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small amount of data of a specific size or less at the core network end.

바람직하게는,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특정 QoS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된 각 컨텐츠의 QoS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맵핑될 수 있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for each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In the mapping table, for a service flow to which a specific QoS parameter is applied, a dedicated QoS parameter for each radio section may be mapped for each QoS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는, 대역폭을 미 보장하는 Non-GBR을 서비스타입으로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pecific QoS parameter may have Non-GBR as a service type that does not guarantee bandwidth.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패킷의 헤더에서 서비스품질 유형(DiffServ) 구분을 위한 DSCP 필드에 따라 구분되는 컨텐츠의 QoS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hecking step, when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s the specific QoS parameter, the QoS of the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SCP field for class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DiffServ) in the header of the packet is determined. You can check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mapped radio section.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함으로써, 통신서비스 별로 보다 차등적인 QoS 즉 서비스 품질을 적용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radio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the radio section in more detailed units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each communication service We derive the effect of applying more differential QoS, that is, quality of service.

도 1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이 실현되는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low in which a QoS control scheme of a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ontrol flow charts illustrating a QoS control method of a radio sec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control flow charts illustrating a QoS control method of a radio sec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ontrol flow charts illustrating a QoS control method of a radio section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설명하겠다.First,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몇 개 종류의 통신서비스를 묶어 EPS Bearer 즉 베어러라는 논리적 단위로 QoS를 적용(보장)하는 방식이다.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is a method of applying (guaranteing) QoS in a logical unit called EPS Bearer or Bearer by bundling several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이에,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단말(사용자)에는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에서 요구되는 QoS를 보장하는 베어러, 예컨대 Bearer1,2가 생성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use a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a bearer, for example, Bearer 1, 2, which guarantees QoS required in a communication service to be used is generated in a terminal (user).

이때, Bearer1,2 각각은, Default Bearer일 수도 있고, Dedicated Bearer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each of Bearer 1 and 2 may be a Default Bearer or a Dedicated Bearer.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1의 서비스 플로우1, 통신서비스2의 서비스 플로우2가 하나의 베어러(Bearer1)에 속하고, 단말이 이용하는 통신서비스3의 서비스 플로우3, 통신서비스4의 서비스 플로우4가 하나의 베어러(Bearer2)에 속한다면, Bearer1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플로우1,2에는 모두 동일한 QoS 즉 Bearer1의 QoS 레벨(QoS 파라미터A)이 적용되고, Bearer2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플로우3,4에는 모두 동일한 QoS 즉 Bearer2의 QoS 레벨(QoS 파라미터B)이 적용된다.And, 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flow 1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1 and the service flow 2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2 used by the terminal belong to one bearer (Bearer 1), and the service flow 3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3 used by the terminal, If the service flow 4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4 belongs to one bearer (Bearer 2), the same QoS, that is, the QoS level of the Bearer 1 (QoS parameter A) is applied to the service flows 1 and 2 transmitted through Bearer 1, and transmitted through Bearer 2 The same QoS, that is, the QoS level (QoS parameter B) of Bearer2 is applied to the service flows 3 and 4.

결국,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은, 베어러라는 논리적 단위로 QoS를 적용함으로써, QoS 제어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로 인해 하나의 베어러에 속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해서 차등적인 QoS를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After all,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has an advantage of lowering the complexity of QoS control by applying QoS in a logical unit called a bearer, but due to this, differential QoS is applied to service flows belonging to one bear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not be made.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실현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특히 QoS 제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무선구간에서 실현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realiz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than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and is particularly intended to be implemented in a radio section, which is the core of QoS control.

헌데,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실현하게 되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QoS 제어의 복잡도 및 부하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differential QoS control is realized in a detailed unit, the complexity and load of QoS control may increase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이하,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inimizing the complexity and load increase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a method for realiz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in a radio section (hereinafter, QoS control method in the radio section) I would like to sugges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을 실현하는 장치 즉 기지국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alizing a QoS control scheme of a wireless sec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base st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이 실현되는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flow of implementing the QoS control scheme of the radio se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코어망(20)은,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를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을 기지국(100)에 전달한다(S1).The core network 20 transmits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into service parameters dedicated to the wireless section to the base station 100 (S1).

이때, 코어망(20)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그대로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e network 20 may support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as it is.

이 경우라면,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는 해당 서비스 플로우가 속한 베어러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와 같을 것이며, 따라서 기지국(100)에 전달되는 맵핑룰은,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베어러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will be the same as the QoS parameter (QoS level) of the bearer to which the service flow belongs, and thus the mapping rul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i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t can be referred to as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QoS parameters for each wireless section into QoS parameters applied to each QoS parameter (bearer unit QoS parameter).

또한, 코어망(20)은, 기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과 달리, 서비스 플로우 단위로 상이한 QoS를 보장(적용)하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Further, the core network 20 may support a QoS control method in a service flow unit that guarantees (applies) different QoS in a service flow unit, unlike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이 경우라면,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는 서비스 플로우 별로 정의되는 Qos 파라미터(QoS 레벨)일 것이며, 따라서 기지국(100)에 전달되는 맵핑룰은,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will be a Qos parameter (QoS level) defined for each service flow, so the mapping rul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is Qo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t can be referred to as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to QoS parameters dedicated to a wireless section for each parameter (service flow unit QoS parameter).

다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은, 코어망(20)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 여부와 무관하게, 후술의 동일한 구성으로 후술의 동일한 효과를 얻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코어망(20)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구분 없이 설명하겠다,However,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below, regardless of whether the core network 20 supports the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or the service flow unit QoS control method. Since the same effect is obtained, the core network 20 will be described below regardless of whether it supports a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or a service flow unit QoS control method.

기지국(100)은, 코어망(20)으로부터 전달되는 맵핑룰을 셋팅할 수 있다(S2).The base station 100 may set mapping rule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20 (S2).

이때, 맵핑룰을 셋팅하여 기지국(1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코어망(20)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베어러 단위 QoS 파라미터,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ase station 100 by setting the mapping rule is for each QoS parameter (bearer unit QoS parameter, or service flow unit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QoS dedicated to the wireless section It may be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in which parameters are mapped.

그리고, 기지국(100)은, 자신에 접속되는 단말(10)과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설정 과정에서(S3), 서비스 플로우 별로 기지국(100)이 적용하는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Qos제어정보를 RRC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10)로 제공한다.And, the base station 100,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RC (Radio Resource Control) with the terminal 10 connected to itself (S3),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pplied by the base station 100 for each service flow. Qos control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RRC message is provided to the terminal (10).

이에, 단말(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제공되는 QoS제어정보를 셋팅할 수 있다(S4). Accordingly, the terminal 10 may set QoS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100 (S4).

이때, Qos제어정보는, 기지국(100)이 단말(10)로 제공하는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os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pplied to the service flow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0 to the terminal 10.

기지국(100)은, 코어망(20)으로부터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이 수신되면(S5), 금번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A)를 확인한다.When the packet for transmission from the core network 20 to the terminal 10 is received (S5), the base station 100 checks QoS parameters (for example, QoS parameter A)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urrent packet.

그리고, 기지국(100)은, 앞서 셋팅/저장한 맵핑테이블에서,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S6). Then, the base station 100 checks QoS parameters for the radio section mapped to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n the mapping table previously set/stored (S6).

즉, 기지국(100)은, 금번 패킷(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코어망(20)에서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A)를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1)로 맵핑시킴으로써(S6), 코어망(20) 단의 QoS 레벨을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변환하는 것이다.That is, the base station 100 maps the QoS parameter (eg, QoS parameter A)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to the current packet (service flow) to a QoS parameter (eg, QoS parameter 1)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By doing so (S6), the QoS level of the core network 20 is converted to a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이후, 기지국(100)은, 단말(10)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앞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1)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한다(S7).Subsequently, the base station 100 applies the QoS parameter (for example, QoS parameter 1)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dentified above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terminal 10 at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stage. It transmits at the QoS level converted to radio section only (S7).

그리고, 단말(10)에서는, 업링크 패킷 발생 시(S8), 앞서 제공받아 셋팅한 QoS제어정보를 기반으로, 금번 서비스 플로우의 다운링크 시 기지국(100)이 적용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1)를 업링크 패킷 송신 시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S9), 다운링크와 동일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uplink packet generation (S8), the terminal 10 is based on the QoS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provided and set,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pplied by the base station 100 during downlink of the current service flow (eg : By applying the same QoS parameter 1) when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S9), it is possible to transmit at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same radio section as the downlink.

이에, 기지국(100)은, 단말(10)로부터 업링크 패킷이 수신되면, 전술한 S6 단계의 QoS 맵핑을 역으로 수행하여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1)를 코어망(20)에서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A)로 맵핑시킨 후 업링크 패킷 전송 시 QoS 파라미터(예: QoS 파라미터A)를 적용하여, 금번 업링크 패킷을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에서 변환한 코어망(20)의 QoS 레벨로 전송한다(S10).Accordingly, when the uplink packe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the base station 100 reversely performs QoS mapping of step S6 described above to perform QoS parameters (for example, QoS parameter 1)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n the core network 20. The core is converted from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by mapping to the QoS parameters (eg QoS parameter A) applied in) and applying the QoS parameters (eg QoS parameter A) when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It transmits at the QoS level of the network (20) (S10).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을 실현하는 장치, 즉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he apparatus for realizing the QoS control scheme of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ase st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언급한 기지국(100)의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reference number of the base station 100 mentioned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확인부(110)와, 상기 패킷 송신 시 상기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패킷을 코어망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하는 송신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acket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Qo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 Confirmation unit 110 for checking parameters,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ackets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end to the QoS level converted to the radio section only by applying the QoS parameters for the checked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130.

여기서, 단말은,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하여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며,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동시에 여러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is a terminal that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and uses a communication service, and multiple communication services can be simultaneously used through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이하에서는, 단말로서 도 2에 도시된 단말(1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terminal 10 illustrat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as a terminal.

확인부(110)는, 코어망(20)으로부터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이 수신되면,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When the packet for transmission from the core network 20 to the terminal 10 is received, the verification unit 110 checks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orresponding packet.

예를 들어, 코어망(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 헤더에는, 코어망(20)에서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한 QoS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downlink packet header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may includ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orresponding packet in the core network 20.

이 경우, 확인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추출/확인함으로써,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ification unit 110 can check th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by extracting/verifying the QoS parameters included in the packet header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0.

또는, 코어망(2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패킷 헤더에는, 코어망(20)에서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한 QoS 파라미터가 무엇인지를 식별하게 하는 별도의 QoS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ownlink packet header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may include a separate QoS identifier that identifies what th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are in the core network 20.

이 경우, 확인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QoS식별자를 추출/확인함으로써,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rification unit 110 can check th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by extracting/verifying the QoS identifier included in the packet header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0.

또는, 기지국장치(100)에는, 코어망(20)에서 각 서비스 플로우에 어떤 QoS 파라미터(베어러 단위 QoS 파라미터,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파라미터)를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책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may store policy information on which QoS parameter (bearer unit QoS parameter or service flow unit QoS parameter) to be applied to each service flow in the core network 20.

이 경우, 확인부(110)는,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헤더 내 5-tuple 즉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ID에 근거하여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를 구분하고, 앞서 언급한 정책정보를 기초로 금번 구분한 서비스 플로우에 코어망(20)이 적용할 QoS 파라미터를 확인함으로써, 코어망(20)에 의해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firmation unit 110 classifies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based on 5-tuple in the packet header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10, that is,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ID, By checking the QoS parameters to be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to the service flow classified this tim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olic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by the core network 20.

그리고, 확인부(110)는,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이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Then, when checking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the confirming unit 110 checks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코어망(20)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radio sections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stage. Ca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어망(20) 내 지정된 특정 장비(미도시)는,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를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을 기지국장치(100)에 전달한다.More specifically, specific equipment (not shown) designated in the core network 20 includes a base station apparatus that maps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ore network 20 into QoS parameters dedicated to a radio section. 100).

이때, 코어망(20)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그대로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e network 20 may support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as it is.

이 경우라면,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는 해당 서비스 플로우가 속한 베어러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와 같을 것이며, 따라서 기지국장치(100)에 전달되는 맵핑룰은,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베어러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will be the same as the Qos parameter (QoS level) of the bearer to which the service flow belongs, and thus the mapping rul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is a service flow It can be referred to as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each wireless section into QoS parameters applied to each QoS parameter (bearer unit QoS parameter).

또한, 코어망(20)은, 기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과 달리, 서비스 플로우 단위로 상이한 QoS를 보장(적용)하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Further, the core network 20 may support a QoS control method in a service flow unit that guarantees (applies) different QoS in a service flow unit, unlike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이 경우라면,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는 서비스 플로우 별로 정의되는 Qos 파라미터(QoS 레벨)일 것이며, 따라서 기지국장치(100)에 전달되는 맵핑룰은,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맵핑룰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20 will be a Qos parameter (QoS level) defined for each service flow, and thus the mapping rul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i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t can be said to be a mapping rule for converting QoS parameters (service flow unit QoS parameters) into QoS parameters dedicated to a wireless section.

다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은, 코어망(20)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 또는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후술의 동일한 구성으로 후술의 동일한 효과를 얻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코어망(20)이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구분 없이 설명하겠다,However, the QoS control scheme of the wireless s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described below, regardless of whether the core network 20 supports the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or the bearer unit QoS control scheme. Since the same effect is obtained, hereinafter, the core network 20 will be described without distinction on whether to support a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or a service flow unit QoS control method.

기지국장치(100)는 코어망(20)으로부터 전달되는 맵핑룰을 셋팅하며, 맵핑룰을 셋팅하는 과정에서 저장부(120)에는, 코어망(20)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베어러 단위 QoS 파라미터,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이 저장된다.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sets the mapping rule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20, and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mapping rules, the storage unit 120 has QoS parameters (bearers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to the service flow. For each QoS parameter or service flow unit QoS parameter), a mapping table in which dedicated QoS parameters for radio sections are mapped is stored.

다시 확인부(110)에 대해 설명하면, 확인부(110)는,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이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저장부(120)에 저장된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Referring back to the verification unit 110, when the verification unit 110 checks the QoS parameters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the storage unit 120 stores QoS parameters exclusive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s. Check in the mapping table stored in.

즉, 확인부(110)은, 금번 패킷(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코어망(20)에서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를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로 맵핑시킴으로써, 코어망(20) 단의 QoS 레벨을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변환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firmation unit 110 maps the QoS parameters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to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for the current packet (service flow), thereby wirelessly transmitting the QoS level of the core network 20 stage. It is to convert to QoS level for section only.

송신부(130)는, 단말(10)으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확인부(110)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한다.When transmitting the current packet to the terminal 10, the transmitter 130 applies QoS parameters exclusively for the radio section checked by the confirming unit 110, so that the current packet i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t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stage. And transmits at the QoS level converted to.

즉, 송신부(130)는, 다운링크 패킷을 무선구간으로 송신할 때, 코어망(20) 단에서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한 QoS 파라미터(QoS 레벨) 대신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을 적용하여 송신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ransmitting the downlink packet in the radio section, the transmitter 130 instead of the QoS parameter (QoS level)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in the core network 20 stage,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QoS level) Is applied and transmitted.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단말에서 코어망까지의 전체구간(베어러)을 대상으로 QoS를 적용하는 기존의 QoS 제어 방식과 달리, 단말에서 코어망까지의 전체구간 중 액세스 및 코어망 사이의 QoS 제어 방식과는 별개로 단말 및 액세스 단(기지국) 사이 무선구간(Radio Section)의 QoS 제어를 별도로 구현하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QoS control method of applying QoS for the entire section (bearer) from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for the service flow, access and the core network during the entire sec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Separately, QoS control of a radio s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QoS control scheme between them.

즉,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에서는, 단말에서 코어망까지의 전체구간 중 무선구간을 DRB(Data Radio Bearer)이라는 별도의 단위로 정의하여, 액세스 및 코어망 사이의 QoS 제어 방식과는 별개로 QoS 제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장 민감한 무선구간에서 독립적으로 보다 세부적인 DRB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ection of the entire sec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is defined as a separate unit called a data radio bearer (DRB), which is separate from the QoS control method between the access and the core network. In the most sensitive radio section, which is the core of QoS control, differential QoS control can be realized independently in more detailed DRB uni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을, 다운링크 트래픽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downlink traffic.

업링크 트래픽에 대해서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선구간 QoS 제어에 필요한 정보(QoS제어정보)를 단말로 알려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은 QoS 제어가 세분화될수록 복잡도 및 부하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In order to apply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link traffic,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terminal of the information (QoS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QoS control of the wireless section. May increase.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잡도 및 부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무선구간 QoS 제어에 필요한 정보(QoS제어정보)를 단말로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inform the terminal of the information (QoS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QoS control of the wireless section while minimizing complexity and load increas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제어정보전달부(140)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제어정보전달부(140)는, 확인부(110)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Qos제어정보를 포함하는 RRC메시지를 단말(10)로 전송하여, 단말(10)이 RRC메시지 내 Qos제어정보를 기반으로, 동일 서비스 플로우의 업링크 패킷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게 한다.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0 transmits an RRC message including Qos control information to identify the QoS parameters for the wireless section identified by the checking unit 110 to the terminal 10, so that the terminal 10 performs RRC Based on the Qos control information in the message, when transmitting uplink packets of the same service flow, it is possible to transmit at a QoS level dedicated to a radio s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에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단말(10)이 접속하는 경우,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10) 간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설정 과정이 수행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terminal 1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to use a communication service,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and the terminal 10.

이때, 제어정보전달부(140)는, RRC 설정 과정에서, 단말(10)로 제공하는 서비스 플로우 별로 기지국장치(100)가 적용하는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Qos제어정보를 RRC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in the RRC setting process, RRC the Qos control information to identify the QoS parameters for the radio section applied by the base station device 100 for each service flow provided to the terminal 10 RRC It can be included in the message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10.

이때, Qos제어정보는, 기지국(100)이 단말(10)로 제공하는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os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pplied to the service flow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0 to the terminal 10.

예를 들어, Qos제어정보는, 서비스 플로우 구분에 이용되는 5-tuple(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ID) 및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매핑시킨 형태를 가짐으로써, 기지국장치(100)가 서비스 플로우 별로 적용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Qos control information has a form in which 5-tuple (Source IP, Destination IP,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ID) and QoS parameters dedicated to radio section are used to classify the service flow, and thus, the base station The device 100 may be information enabling identification of QoS parameters dedicated to a radio section applied for each service flow.

이에,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Qos제어정보를 셋팅할 수 있고, 무선구간 QoS 제어에 필요한 정보(QoS제어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업링크 패킷 송신 시 금번 서비스 플로우의 다운링크 시 기지국장치(100)가 적용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다운링크와 동일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terminal 10 can set Qos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and can know information (QoS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QoS control in a radio section, it transmits an uplink packet based on this. In the downlink of the current service flow,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pplied by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by transmitting the same QoS level as the downlink.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RRC 설정 과정에서 QoS제어정보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메시지만 사용해서 복잡도 및 부하가 증가를 최고화하면서, 무선구간 QoS 제어에 필요한 정보(QoS제어정보)를 단말에 알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QoS control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uring the RRC setting proces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QoS control in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information) is maximized while maximizing the increase in complexity and load by using only minimal messages. Can be informed 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 방식은,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무선구간에서의 QoS 제어를 통해 지향하여 얻을 수 있는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QoS control scheme of the wireless s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how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is defined, performance obtainable through QoS control in a wireless section may v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에서, QoS 제어를 위한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how to define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for QoS control in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을 통해 가장 세부적으로 차등적인 QoS를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예시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로 상이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DRB)을 보장하는, 서비스 플로우:DRB의 1:1 맵핑테이블일 것이다.First, an ideal example in which the most detailed differential QoS can be applied through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arantee QoS levels (DRBs) dedicated to different wireless sections in units of service flows. It will be a 1:1 mapping table.

이와 같은 서비스 플로우:DRB의 1:1 맵핑의 경우, 서비스 플로우 별로 미디어 유형에 따라 각기 독립적인 최적의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DRB)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플로우 단위의 차등적인 QoS 제어 측면 면에서는 가장 우수할 것이다.In the case of 1:1 mapping of the service flow:DRB, since the QoS level (DRB) for each dedicated optimal wireless section can be guaranteed for each service flow according to the media type, differential QoS control in units of service flow In terms of aspect, it will be the best.

하지만, 서비스 플로우:DRB의 1:1 맵핑의 경우, 액세스 단(기지국)에서의 과도한 맵핑 처리로 인한 오버헤드, 많은 수의 DRB 관리로 인한 비용 등 때문에 기존의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가 심각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1:1 mapping of the service flow:DRB, the complexity and load increase compared to the existing QoS control method due to the overhead due to excessive mapping processing at the access end (base station) and the cost of managing a large number of DRBs There is concern that it will be serious.

이에, 본 발명에서는, QoS 제어를 위한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정의하는데 있어, 바람직한 다음의 3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fining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for QoS control, the following three preferred embodiments are proposed.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어망(20)이 서비스 플로우 단위 QoS 제어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는, 코어망(20)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플로우 별로, 각각에 정의된 QoS 파라미터(QoS 레벨)이 적용되어 있을 것이다.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core network 20 supports the QoS control method for each service flow. Under this assumption, QoS parameters (QoS level) defined for each service flow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will be applied.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로우:DRB의 M:N 맵핑을 제안한다(M>N).Fir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N mapping of a service flow:DRB is proposed (M>N).

제1실시예에서는, 맵핑테이블 내 QoS 파라미터의 개수가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이 특징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in the mapping tabl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즉, 코어망(20)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플로우 M개 각각에 적용되는 M개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를 M개 보다 작은 N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QoS 레벨)로 맵핑하는, 서비스 플로우:DRB의 M:N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정의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rvice flow that maps the M QoS parameters (QoS level) applied to each of the M service flows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to the N dedicated QoS parameters (QoS level) of N radio segments smaller than M:DRB To define the M:N mapping rule (mapping table).

이러한 서비스 플로우:DRB의 M:N 실시예의 경우, 차등적인 QoS 제어 측면 면에서는 1:1 맵핑의 경우 보다는 성능이 약간 떨어지만 기존 베어러 단위 QoS 제어와 비교할 때 여전히 우수하며, 액세스 단(기지국)에서의 맵핑 처리로 인한 오버헤드, DRB 관리로 인한 비용 등에서 1:1 맵핑의 경우 대비 우수하기 때문에, 복잡도 및 부하 증가를 줄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N embodiment of the service flow:DRB, in terms of differential QoS control, performance is slightly lower than in the case of 1:1 mapping, but it is still superior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and the access stage (base station) Since it is superior to the 1:1 mapping in terms of overhead due to mapping processing and cost due to DRB management, complexity and increase in load can be reduced.

이때, M개의 QoS 파라미터와 N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 간 맵핑 관계는, 맵핑룰(맵핑테이블) 정의 시 결정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M QoS parameters and QoS parameters dedicated to N radio sections will be determined when defining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로우:DRB의 M:1 맵핑을 제안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1 mapping of the service flow:DRB is proposed.

제2실시예에서, 맵핑테이블에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QoS 파라미터가 동일한 하나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와 맵핑되는 것이 특징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pping t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different QoS parameters are mapped to the same QoS parameter dedicated to one radio section.

즉, 코어망(20)에서 수신되는 서비스 플로우 M개 각각에 적용되는 M개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를 1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QoS 레벨)로 맵핑하는, 서비스 플로우:DRB의 M:1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정의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M QoS parameters (QoS level) applied to each of the M service flows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are mapped to dedicated QoS parameters (QoS level) for one radio section, M:1 of DRB. It is to define the mapping rule (mapping table).

이때, 2 이상 즉 M개 서비스 플로우 각각에 적용되는 M개의 QoS 파라미터(QoS 레벨)는, 코어망(20) 단에서 특정 크기 이하의 소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 또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서비스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QoS 레벨)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wo or more, that is, the M QoS parameters (QoS level) applied to each of the M service flows, a communication service periodically transmitting a small amount of data of a specific size or less from the core network 20, or the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Thing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QoS parameter (QoS level) applied to a service.

향후, 5G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통신서비스 중 하나로는, 원격지의 다수 단말이 각각 수집한 특정 트기 이하의 소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 일명 사물인터넷(IoT) 서비스가 있다.In the future, on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5G environment is a communication service, aka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which periodically transmits a small amount of data below a specific site collected by a plurality of terminals at a remote site to a central (server). .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의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도 등장하였다.Among thes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with specialized IoT technologies (LoRa: Long Range) that support low-speed transmission (<1 kbps) and low power for wide-area coverage have also appeared.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경우, 광역 커버리지/저속 전송(<1kbps)/저 전력/소량 데이터에 특화되기 때문에, 무선구간에서 서비스 플로우 별로 차등적인 QoS 제어 보다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에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it is specialized in wide area coverage/low speed transmission (<1kbps)/low power/small data, so it is more efficient to operate radio resources rather than differential QoS control for each service flow in the wireless section. It will make more sense.

이에, 서비스 플로우:DRB의 M:1 실시예의 경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M개 서비스 플로우를 모두 동일한 1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QoS 레벨)로 맵핑함으로써, 액세스 단(기지국)에서의 맵핑 처리로 인한 오버헤드, DRB 관리로 인한 비용 등에서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무선자원 운용 효율도 높기 때문에, 복잡도 및 부하 증가를 줄이면서도 무선자원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M:1 embodiment of the service flow:DRB, by mapping all the M service flows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to the same QoS parameter (QoS level) dedicated to one radio section, the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Since it is very excellent in overhead due to mapping processing and DRB management, and also has high radio resource operation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increase radio resource operation efficiency while reducing complexity and load increase.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플로우:DRB의 1:N 맵핑을 제안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N mapping of the service flow:DRB is proposed.

제3실시예에서, 맵핑테이블에는, 특정 QoS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된 각 컨텐츠의 QoS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맵핑되는 것이 특징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for a service flow to which a specific QoS parameter is applied to a mapping table, a dedicated QoS parameter for each radio section and a dedicated QoS parameter for each wireless section are mapped for each QoS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

즉, 코어망(20)에서 수신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는 1개의 특정 QoS 파라미터(특정 QoS 레벨)를 N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QoS 레벨)로 맵핑하는, 서비스 플로우:DRB의 1:N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정의하는 것이다.That is, one specific QoS parameter (specific QoS level) applied to one service flow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20 is mapped to N dedicated QoS parameters (QoS level) of N radio sections, and the service flow is 1: of DRB. It is to define N mapping rules (mapping table).

이때, 특정 QoS 파라미터는, 대역폭을 미 보장하는 Non-GBR(Guaranteed Bit Rate)을 서비스타입으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cific QoS parameter has a non-GBR (Guaranteed Bit Rate) that does not guarantee bandwidth as a service type.

코어망(20)에서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는, 서비스타입(Resource Type), QCI(QoS Class Identifier),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등을 포함한다.QoS parameters applied in the core network 20 include a service type (Resource Type), QCI (QoS Class Identifier), and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서비스타입은 전송 시 대역폭을 보장하는 GBR인지 아니면 대역폭을 보장하지 않는 Non-GBR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QCI는 QoS 우선 순위를 정수값인 1~9로 표현한 파라미터이며, ARP는 서비스 플로우에 따른 베어러 생성이 요구될 때, 생성 또는 거절에 관여하는 파라미터이다. 물론, QoS 파라미터는, 전술의 파라미터들 외에 다른 파라미터도 포함할 수 있다.Service type is a parameter that indicates whether it is GBR that guarantees bandwidth during transmission or Non-GBR that does not guarantee bandwidth, QCI is a parameter that expresses QoS priority as an integer value of 1 to 9, and ARP according to the service flow. When bearer generation is required, it is a parameter involved in creation or rejection. Of course, the QoS parameter may include other parameters in addition to the parameters described above.

대역폭을 보장하지 않는 Non-GBR의 QoS 파라미터가 적용된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라도, 서비스 플로우 내에는 QoS Requirement가 다른 각 컨텐츠의 패킷들이 포함될 수 있다.Even in one service flow to which QoS parameters of Non-GBR that do not guarantee bandwidth are applied, packets of contents having different QoS requir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이에, 서비스 플로우:DRB의 1:N 실시예의 경우, Non-GBR의 특정 QoS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되는 각 컨텐츠의 QoS 즉 QoS Requirement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각 컨텐츠 별로, 서로 다른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맵핑하여, 무선구간 QoS 제어를 가장 세분화하여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1:N embodiment of the service flow:DRB, for one service flow to which a specific QoS parameter of Non-GBR is applied, each content classified based on QoS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that is, QoS requirement Poorly,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different radio sections are mapped, and the QoS control of the radio sections is subdivided and applied differentially.

특히, 1:N의 제3실시예의 경우는,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되는 각 컨텐츠(컨텐츠 QoS)를 구분해야 하는 구성이 더 요구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1:N,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content (content QoS)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should be classified is further required.

이에, 제3실시예의 경우, 확인부(110)는, 코어망(20)으로부터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이 수신되고,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 결과 Non-GBR의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라면, 금번 패킷의 헤더(예: IP 패킷 헤더)에서 서비스품질 유형(DiffServ) 구분을 위한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필드를 보고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를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onfirmation unit 110 receives a packet for transmission from the core network 20 to the terminal 10, and confirms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If it is a specific QoS parameter of GBR, the QoS (QoS Requirement) of the content can be identified by looking at the DSCP (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field for class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DiffServ) in the header of the current packet (eg, IP packet header). have.

그리고, 확인부(110)는, DSCP 필드를 보고 구분한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제3실시예에 따른 맵핑테이블(1:N 맵핑)에서 확인한다.Then, the confirmation unit 110 checks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QoS (QoS Requirement) of the classified content by viewing the DSCP field in the mapping table (1:N mapp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이렇게 되면, 송신부(130)는, 단말(10)으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확인부(110)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 즉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포함되지만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컨텐츠 별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서비스 플로우 내 컨텐츠 별)로 송신한다.In this case, the transmitter 130 is included in a QoS parameter dedicated to a radio section, that is, included in one service flow when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that is, it is based on QoS (QoS Requirement) of the content. By apply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each wireless section classified as, the packet is transmitted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by content in the service flow).

이에, 서비스 플로우:DRB의 1:N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포함되는 컨텐츠 별로 다른 N개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QoS 레벨)를 맵핑함으로써, 차등적인 QoS 제어 측면 면에서는 기존의 QoS 제어 방식(베어러 단위, 또는 서비스 플로우 단위) 대비 성능이 가장 우수할 것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1:N embodiment of the service flow:DRB, by mapping QoS parameters (QoS level) for N different radio sections for each content included in one service flow, existing QoS control is performed in terms of differential QoS control. It will have the best performance compared to the method (bearer unit, or service flow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단말에서 코어망까지의 전체구간 중 액세스 및 코어망 사이의 QoS 제어 방식과는 별개로 단말 및 액세스 단(기지국) 사이 무선구간(Radio Section)의 QoS 제어를 별도로 구현함으로써, 무선구간에서 독립적으로 DRB 단위 QoS 제어를 실현하며, 더 나아가 맵핑룰(맵핑테이블)을 맵핑룰(맵핑테이블)을 정의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무선구간의 QoS 제어로 인해 우려되는 QoS 제어 성능을 얻으면서도 복잡도 및 부하 증가를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무선자원 운용 효율까지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s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is separate from the QoS control method between the access and the core network among the entire section from th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By separately implementing the QoS control of (Radio Section), it realizes the DRB unit QoS control independently in the radio section, and furthermore, the radio section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defining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and a mapping rule (mapping table). The QoS control performance can be expected to minimize the complexity and load increase, and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 operation while obtaining the concerned QoS control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구간 QoS 제어 방식에 따르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함으로써, 통신서비스 별로 보다 차등적인 QoS 즉 서비스 품질을 적용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in a wireless section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more differential QoS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That is, it derives the effect of applying service qualit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 QoS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다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은, 기지국(100)에서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겠다.However, since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base station 1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referred to as a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즉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맵핑테이블 즉 서비스 플로우:DRB의 M:N 맵핑테이블을 저장한다(S100).As shown in FIG. 4,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the mapping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service flow: M:N mapping of DRB The table is stored (S100).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로의 패킷이 수신되면(S110),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 즉 코어망(20)에 의해 적용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S120).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checks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orresponding packet, that is, the QoS parameter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when a packet to the terminal 10 is received (S110). (S120).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S120단계에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M:N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S130).When the QoS parameter is checked in step S120 in the radio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 is checked in the M:N mapping table (S130).

그리고,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으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S130단계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한다(S140).In addition, in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terminal 10,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wireless section checked in step S130 is applied, and the QoS applied to the core network 20 by the core network 20 stage is applied. It is transmitted at the QoS level converted from the level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S140).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A,B,C가 적용되는 각 서비스 플로우의 패킷1,2,3이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100)은, 각 패킷1,2,3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A,B,C를 확인한 후, QoS 파라미터A,B,C 각각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M:N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하는, 무선구간 전용 QoS 맵핑을 수행한다.Thus, referring to FIG. 5, for example, assuming that packets 1, 2, and 3 of each service flow to which different QoS parameters A, B, and C are applied are received, the base station 100 receives each packet 1 After checking the QoS parameters A, B, and C applied to the service flows of ,2,3, and checking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each of the QoS parameters A, B, C in the M:N mapping table, Section-specific QoS mapping is performed.

이때, M:N 맵핑테이블에서, QoS 파라미터A,B는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1에 맵핑되고, QoS 파라미터C는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2에 맵핑된다고 가정한다.At this time, in the M:N mapping table, it is assumed that QoS parameters A and B are mapped to QoS parameter 1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nd QoS parameter C is mapped to QoS parameter 2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이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10)으로의 패킷1,2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1을 적용하고, 단말(10)으로의 패킷3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2를 적용함으로써, 금번 패킷1,2,3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변환하는, M:N 무선구간 전용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 applies QoS parameter 1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packets 1 and 2 to the terminal 10, and QoS parameter 2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packets 3 to the terminal 10. By applying, the current packets 1, 2, and 3 can be transmitted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end to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and transmitted to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M:N radio section.

다음,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즉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제2실시예에 따른 맵핑테이블 즉 서비스 플로우:DRB의 M:1 맵핑테이블을 저장한다(S200).As shown in FIG. 6,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the mapping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service flow: M:1 mapping of the DRB The table is stored (S200).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로의 패킷이 수신되면(S210),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 즉 코어망(20)에 의해 적용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S220).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checks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packet, that is, the QoS parameter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when a packet to the terminal 10 is received (S210). (S220).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S220단계에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M:N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S230).When the QoS parameter is checked in step S220 in the radio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 is checked in the M:N mapping table (S230).

그리고,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으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S230단계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로 송신한다(S240).In addition, in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when the current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the QoS parameter exclusively applied to the wireless section checked in step S230 is applied, and the QoS of the core network 20 is applied by the core network unit 20 It transmits at the QoS level converted from the level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S240).

이에,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서로 다른 QoS 파라미터D,E,F가 적용되는 각 서비스 플로우의 패킷1,2,3이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100)은, 각 패킷1,2,3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D,E,F를 확인한 후, QoS 파라미터D,E,F 각각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M:1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하는, 무선구간 전용 QoS 맵핑을 수행한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7, for example, assuming that packets 1, 2, and 3 of each service flow to which different QoS parameters D, E, and F are applied are received, the base station 100 receives each packet 1 After checking the QoS parameters D, E, and F applied to the service flows of ,2,3, and checking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each of the QoS parameters D,E,F in the M:1 mapping table. Section-specific QoS mapping is performed.

이때, 패킷1,2,3의 서비스 플로우는, 광역 커버리지/저속 전송(<1kbps)/저 전력/소량 데이터에 특화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라고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service flow of packets 1, 2, and 3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specialized for wide area coverage/low speed transmission (<1 kbps)/low power/small data.

그리고, M:1 맵핑테이블에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적용되는 QoS 파라미터D,E,F가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3에 맵핑된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QoS parameters D, E, and F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are mapped to QoS parameter 3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n the M:1 mapping table.

이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10)으로의 패킷1,2,3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3을 적용함으로써, 금번 패킷1,2,3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변환하는, M:1 무선구간 전용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 applies the QoS parameter 3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packets 1, 2, and 3 to the terminal 10, so that the core network 20 end applies the packets 1, 2, and 3 of this time. Transmitting from the QoS level to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the M:1 radio section dedicated QoS level can be transmitted.

다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즉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제3실시예에 따른 맵핑테이블 즉 서비스 플로우:DRB의 1:N 맵핑테이블을 저장한다(S300).As shown in FIG. 8,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wireless section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100, a mapping ta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at is, a service flow: 1:N mapping of DRB The table is stored (S300).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로의 패킷이 수신되면(S310), 해당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 즉 코어망(20)에 의해 적용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다(S320).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checks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the corresponding packet, that is, the QoS parameter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when a packet to the terminal 10 is received (S310). (S320).

이때,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S320단계에서 QoS 파라미터를 확인한 결과 Non-GBR의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라면, 금번 패킷의 헤더(예: IP 패킷 헤더)에서 서비스품질 유형(DiffServ) 구분을 위한 DSCP(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필드를 보고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를 구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checks the QoS parameters in step S320, and if it is a specific QoS parameter of Non-GBR, the quality of service type (DiffServ ) 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DSCP) field for classification may be used to identify QoS (QoS Requirement) of the content.

그리고,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DSCP 필드를 보고 구분한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1:N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S330).Then,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QoS of the wireless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the QoS parameters for the wireless section mapped to QoS (QoS Requirement) of the classified content are checked in the 1:N mapping table by looking at the DSCP field (S330).

그리고, 기지국(100)의 무선구간 QoS 제어방법은, 단말(10)으로의 금번 패킷 송신 시 S330단계에서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 즉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포함되지만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컨텐츠 별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금번 패킷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으로 변환한 QoS 레벨(서비스 플로우 내 컨텐츠 별)로 송신한다(S340).And,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radio s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is included in a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checked in step S330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terminal 10, that is, it is included in one service flow, but QoS of content By apply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each wireless section classified based on, the current packet is transmitted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end to the wireless section only (by content in the service flow) ( S340).

이에, 도 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QoS 파라미터G(Non-GBR)가 적용되는 서비스 플로우의 패킷1,2,3이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100)은, 각 패킷1,2,3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G를 확인한 결과 Non-GBR의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라면, 각 패킷1,2,3의 헤더에서 DSCP 필드를 보고 컨텐츠의 QoS(QoS Requirement)를 구분할 것이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9, for example, assuming that packets 1, 2, and 3 of a service flow to which QoS parameter G (Non-GBR) is applied are received, the base station 100 receives each packet 1,2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oS parameter G applied to the service flow of ,3, if it is a specific QoS parameter of Non-GBR, the DSCP field is viewed in the header of each packet 1, 2, and 3 to identify the QoS (QoS Requirement) of the content. .

이때, 패킷1,2는 동일 QoS의 컨텐츠로 구분되고, 패킷3은 다른 QoS의 컨텐츠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packets 1 and 2 are divided into contents of the same QoS, and packet 3 is divided into contents of different QoS.

이 경우, 기지국(100)은, 패킷1,2의 컨텐츠(QoS)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1:M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하고 패킷3의 컨텐츠(QoS)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1:M 맵핑테이블에서 확인하는, 무선구간 전용 QoS 맵핑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 checks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mapped to the contents of packets 1 and 2 (QoS) in the 1:M mapping table, and the radio section dedicated to the contents of packets 3 (QoS). The QoS parameter is checked in the 1:M mapping table, and QoS mapping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s performed.

이때, 1:N 맵핑테이블에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포함된 패킷1,2의 컨텐츠에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4가 맵핑되고, 패킷3의 컨텐츠에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5가 맵핑된다고 가정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QoS parameter 4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s mapped to the contents of packets 1 and 2 included in one service flow and the QoS parameter 5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is mapp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et 3 in the 1:N mapping table. do.

이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10)으로의 패킷1,2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4를 적용하고, 단말(10)으로의 패킷3 송신 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5를 적용함으로써, 금번 패킷1,2,3을 코어망(20) 단이 적용한 QoS 레벨에서 무선구간 전용의 QoS 레벨로 변환하는, 1:N 무선구간 전용 QoS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00 applies QoS parameter 4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packets 1 and 2 to the terminal 10, and QoS parameter 5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packets 3 to the terminal 10. By applying,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ackets 1, 2, and 3 at a QoS level dedicated to the 1:N radio section, which converts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20 end to the QoS level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은,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함으로써, 통신서비스 별로 보다 차등적인 QoS 즉 서비스 품질을 적용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in a wireless section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for each communication service. We derive the effect of applying more differential QoS, that is, quality of ser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s described above,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베어러 단위 QoS 제어 방식 대비 복잡도 및 부하 증가 없이, 보다 세부적인 단위로 차등적인 QoS 제어를 무선구간에서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radio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technology in terms of realizing differential QoS control in a more detailed unit in a more detailed unit without increasing complexity and 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bearer unit QoS control method It is an invention tha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since it is not only possible to use related technologies, but also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s, as well a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arried out realistically.

100 : 기지국장치
110 : 확인부 120 : 저장부
130 : 송신부 140 : 제어정보전달부
100: base station device
110: confirmation unit 120: storage unit
130: transmitting unit 140: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laims (7)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의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QoS 파라미터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기지국장치가, 상기 패킷 송신 시 상기 확인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패킷의 QoS 레벨을 코어망 단이 적용한 QoS 레벨로부터 무선구간에서 적용하는 QoS 레벨로 변환 및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In the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A base station apparatus confirming a QoS parameter dedicated to a radio section mapped to the QoS parameter based on a QoS parameter applied to a service flow of a packet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And
A transmission step of the base station apparatus converting and transmitting the QoS level of the packet from the QoS level applied by the core network end to the QoS level applied in the radio section by applying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checked radio section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QoS control method for a wireless se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 내 QoS 파라미터의 개수가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의 개수 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The QoS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QoS parameters in the mapping tabl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dedicated QoS parameters in the wireless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QoS 파라미터가 동일한 하나의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In the mapping table,
QoS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different QoS parameters are mapped to dedicated QoS parameters of the same one wireless s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QoS 파라미터는,
코어망 단에서 특정 크기 이하의 소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서비스, 또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QoS parameters of the two or more,
A QoS control method for a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li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or IoT servic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small amount of data of a certain size or less at the core network end.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망 단이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하는 QoS 파라미터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를 맵핑시킨 맵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테이블에는,
특정 QoS 파라미터가 적용되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에 대하여, 서비스 플로우 내 포함된 각 컨텐츠의 QoS 별로 무선구간 전용 QoS 파라미터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mapping table mapping the QoS parameters dedicated to the radio section for each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by the core network end;
In the mapping table,
QoS control method for a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dedicated QoS parameter is mapped for each QoS of each content included in the service flow for one service flow to which a specific QoS parameter is appli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는, 대역폭을 미 보장하는 Non-GBR을 서비스타입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pecific QoS parameter, QoS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non-GBR service type that does not guarantee the bandwid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되어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특정 QoS 파라미터인 경우, 상기 패킷의 헤더에서 서비스품질 유형(DiffServ) 구분을 위한 DSCP 필드에 따라 구분되는 컨텐츠의 QoS에 맵핑된 무선구간 전용의 QoS 파라미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구간의 QoS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firmation step,
When the QoS parameter applied to the service flow is the specific QoS parameter, the QoS parameter dedicated to the wireless section mapped to the QoS of the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SCP field for classifying the quality of service (DiffServ) in the header of the packet is set. QoS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heck.
KR1020170113806A 2017-09-06 2017-09-06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KR102139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06A KR102139466B1 (en) 2017-09-06 2017-09-06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06A KR102139466B1 (en) 2017-09-06 2017-09-06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57 Division 2016-10-17 201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17A KR20180042117A (en) 2018-04-25
KR102139466B1 true KR102139466B1 (en) 2020-07-30

Family

ID=6208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06A KR102139466B1 (en) 2017-09-06 2017-09-06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1233A1 (en) * 2012-04-26 2013-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node, user node, core network, and method mounted thereto
JP2014216873A (en) * 2013-04-26 2014-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ase station having packet analysis func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1233A1 (en) * 2012-04-26 2013-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node, user node, core network, and method mounted thereto
JP2014216873A (en) * 2013-04-26 2014-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Base station having packet analysis func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17A (en)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5060B (en)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wireless section
CN110099370B (en) Service layer southbound interface and quality of service
US9497128B2 (en) Service rate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US9749895B2 (en) Facilitating in-bearer QoS differentiation in multi-connectivity 5G networks
US108267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21032131A1 (en) User plan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1657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7198132A1 (en) Data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139466B1 (en)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FOR RADIO SECTION
US924681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raffic flow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20192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adio bearer
CN106817730B (en) QoS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plane in LTE system
EP3525513B1 (en) Base station, and qos control method of wireless section
EP4040845B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9096393A1 (en) A client device, an access network device,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establishing a data radio bearer
KR201901293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through unified transport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