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065B1 -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 Google Patents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065B1
KR102132065B1 KR1020180000060A KR20180000060A KR102132065B1 KR 102132065 B1 KR102132065 B1 KR 102132065B1 KR 1020180000060 A KR1020180000060 A KR 1020180000060A KR 20180000060 A KR20180000060 A KR 20180000060A KR 102132065 B1 KR102132065 B1 KR 10213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ial
group
organic
microbial group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563A (ko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최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수 filed Critical 최윤수
Priority to KR102018000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2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fish or from fish-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 제거단계; 멸균단계 및 파쇄단계;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유기질원료에 미생물배양단계;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 및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로 생성된 것을 혼합단계; 발효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술적 특징으로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에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생성된 비료에는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태계복원 및 안전한 유기농산물생산으로 소득증대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유기질원료에 미생물을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미생물제재의 난제인 미생물의 생존과 정착 및 증식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유기비료에 탑재한 미생물은 10℃이상의 지온과 포화수분율 20%이상의 물을 유지하면 증식을 개시하여 유용물질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므로 토양과 작물의 미생물상을 짧은 시일 내에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ANTAGONISTIC MICROORGANISM, FERMENTATIVE MICROORGANISM, SYNTHETIC MICROORGANISM, METHOD BY ORGANIC RAW MATERIAL AND ORGANIC FERTILIZERS PRODUCE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균형미생물군(群),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을 이용한 유기비료와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를 위해 토양에서 분리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을 단독배양, 혼합배양, 조합배양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 제초제의 연용(連用)과 과용(過用)으로 토양과 수질, 농작물까지 오염시키고 있어서 인간은 물론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특히, 토양오염은 토양미생물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미생물의 양도 줄어들고, 심지어 멸종하는 종(種)까지 늘어나면서 토양이 점점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생태파괴의 심각성을 깨달은 농민들이 생태계를 복원하고자 각종 민간 농법을 적용하고는 있지만, 생태파괴의 근본 원인이 되는 농약과 화학비료,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농사하는 유기농자재가 개발되지 않은 한 생태계복원은 힘든 문제점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토양개량제로 석회와 규산을 사용하고 있지만, 석회와 규산을 계속사용하면 석회와 규산이 집적되어 토양이 굳어지면서 작물에 각종 장해를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국가인증 유기농자재 중 미생물농자재가 실용화되었지만, 미생물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오용(誤用)되고 있어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일본에서 발명하고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용미생물제재(EM)는 미생물이 온도와 수분, pH, CEC, ORP의 토질형태, 토착미생물과 경쟁, 환경의 영향에서 살아남아야 하고 살아남은 미생물이 토양과 작물에 정착하여 증식하면서 생성한 유용물질을 토양과 작물에 공급하여야만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농장 환경에 따른 사용방법, 사용횟수, 토양조건, 기상조건, 재배지, 보관, 번잡하고 까다로운 사용조건을 잘 맞추어 사용해야 하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살포해야 토양미생물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일반농민들이 사용하기엔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2855호(발명의 명칭: 식물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미생물제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공개일자: 2010년 03월 26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0842호(발명의 명칭: 진핵생물에서 분리한 리소좀의 항균활성을 증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친환경 항균제, 공개일자: 2010년 12월 14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을 이용한 유기비료와 유기비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를 위해 토양에서 분리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을 단독배양, 혼합배양, 조합배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은, 유기질원료의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 상기 유기질원료를 고온고압증기로 멸균하는 멸균단계; 및 상기 유기질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단계;로 생성된 분말형 유기질원료, 토양에서 분리한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을 단독배양, 혼합배양, 조합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배양하는 미생물배양단계; 상기 미생물배양단계에서 생성한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에 복합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미생물배양액을 제조하는 미생물배양액 제조단계; 및 상기 미생물배양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미생물배양액과 당밀희석액을 혼합하는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로 생성된 미생물첨가액을 상기 분말형 유기질원료에 분사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단계는 상기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단독배양 또는 혼합배양하는 1차 배양단계와 상기 1차 배양단계를 거친 미생물을 조합배양하는 2차 배양단계로 나누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배양단계는 미생물 간에 편리공생, 원시협동, 상리공생 중 어느 하나 이상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단계는 각 개체군 사이의 신호물질인 미생물페르몬으로 종간정보교환을 통해 유전자를 교환하여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 생성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도입미생물간의 유전자교환과정을 거쳐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 유기오염물의 생분해, 금속오염의 정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미생물을 생성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액단계는 미생물을 유도기, 지수기, 정체기까지만 배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배양조별 9단계의 이송절차로 이루어지며, 1단계는 각종배지이며, 2단계는 삼각플라스크, 3단계는 20L 생물반응기(bioreactor), 4단계는 0.5톤 배양조, 5단계는 1톤 배양조, 6단계는 2.5톤 배양조, 7단계는 5톤 배양조, 8단계는 10톤 배양조, 9단계는 대용량 배양조 순서로 이송하며 배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의 유기질원료는 곡물겨 74wt%, 유박 10wt%, 왕겨와 볏짚을 원료로 한 볶은 분말 10wt% 및 첨가물 6wt%로 혼합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어분, 골분, 게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 혼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의 당밀희석액은 당밀 20~40wt%와 정제수 60~80wt%를 혼합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는 당밀희석액 25~50wt%와 미생물배양액 50~75wt%를 혼합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수분 50~60%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발효온도 40℃~45℃가 되는 시점부터 교반을 시작하고, 상기 발효온도를 50℃이하로 유지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3~10일간 발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발효형미생물군과 합성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유기질원료에 분사하여 3~5일간 발효하는 1차 발효단계와 정균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하고 3~5일간 발효하는 2차 발효단계로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는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의 대사로 유용물질을 지속적으로 토양과 작물에 공급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는 배양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을 유기질원료에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substrate)을 제공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보호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을 이용한 유기비료와 유기비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에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생성된 비료에는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태계복원 및 안전한 유기농산물생산으로 소득증대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유기질원료에 미생물을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미생물제재의 난제인 생존과 정착 및 증식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유기비료에 탑재한 미생물은 10℃이상의 지온과 포화수분율 20wt%이상의 물을 유지하면 증식을 개시하여 유용물질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므로 토양과 작물의 미생물상을 짧은 시간 내에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유기질원료에 미생물과 유용물질을 탑재시키고 건조하였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토양개량시험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고추의 생장시험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병해충방제시험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무경운시험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잡초방제시험사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이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하여 토양개량을 하는 시험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하여 고추를 생장시킨 결과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하여 병해충방제시험을 한 결과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하여 무경운시험을 한 결과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하여 잡초방제시험을 한 결과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S100)은, 이물질 제거단계(S110), 멸균단계(S111) 및 파쇄단계(S112)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유기질원료에 미생물배양단계(S120),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S121), 및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S122)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하고, 혼합하는 혼합단계(S130), 발효단계(S131) 및 건조단계(S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말형 유기질원료는 이물질 제거단계(S110), 멸균단계(S111). 파쇄단계(S112)를 통해 생성된다.
이물질 제거단계(S110)는 유기질원료의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어분, 골분, 게껍질,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 제거단계(S110)의 유기질원료는 곡물겨 74wt%, 유박 10wt%, 왕겨와 볏짚을 원료로 한 볶은 분말 10wt% 및 첨가물 6wt%로 혼합된 원료이다.
이물질 제거단계(S110)의 첨가물은 어분, 골분, 게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한다.
멸균단계(S111)는 유기질원료를 고온고압증기로 멸균한다.
고온고압증기멸균(steam sterilization)은 멸균대상물에 따라 온도와 압력을 설정하고 가열한 포화수증기를 분사하여 효소와 조직 단백질의 비가역적인 응고작용과 변성으로 미생물을 살멸(殺滅)시킨다.
또한, 가스멸균과 비교하면 독성이 없고 멸균대상물에 대한 침투력도 빠르며, 비용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파쇄단계(S112)는 유기질원료를 파쇄한다.
유기질원료를 파쇄하여 표면적을 넓게 하여 미생물첨가액이 단시간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유기질원료를 파쇄하여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할 시, 고르게 섞일 수 있다.
미생물첨가액은 미생물배양단계(S120),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S121),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S122)를 통해 생성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토양에서 분리한 정균형미생물군(Bacillus sp., Streptomyces sp., Penicillium sp., Trichoderma sp.), 발효형미생물군(Lactobacillus sp., Saccharomyces sp., Aspergillus sp.) 및 합성형미생물군(Rhodobacter sp., Azotobacter sp., Pseudomonas sp.)을 단독배양, 혼합배양, 조합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배양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단독배양 또는 혼합배양하는 1차 배양단계(S120a)와 상기 1차 배양단계를 거친 미생물을 조합배양하는 2차 배양단계로(S120b) 나뉜다.
미생물배양은 영양분이 첨가된 배지에 대상균을 접종한 후, 외부균의 침입을 차단하고, 대상균을 증식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단독배양은 한 가지 종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말하며, 혼합배양은 여러 종의 미생물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조합배양(combined cultivation)은 목적물질을 얻기 위해 단독배양한 미생물과 혼합배양한 미생물 중에서 선발하여 최적의 조합을 만들어 2차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1차 배양단계(S120a)는 미생물 간에 편리공생, 원시협동, 상리공생 중 어느 하나 이상 이루어진다.
편리공생(commensalism)은 A쪽은 이익을 받고, B쪽은 이익이나 불이익이 없는 공생관계로, A쪽이 B쪽에 일방적으로 의존하여 살지만 서로 절대적인 관계는 아니며, B쪽은 이익이나 불이익은 없지만 A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원시협동(synergism)은 A쪽, B쪽 모두 서로 이익을 얻는 공생관계로,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관계는 아니다.
상리공생(mutualism)은 원시협동의 확장된 개념으로 A쪽, B쪽 모두 이익을 얻는 절대적인 공생관계로, A쪽이 B쪽에 이익을 주면서 A쪽에 이익이 되며, A쪽, B쪽은 서로 상대 쪽을 다른 쪽으로 대체하지 않는다.
2차 배양단계(S120b)는 1차 배양단계를 거친 호기성, 혐기성, 반호기성 미생물은 2차 배양단계에서 각 개체군(population)사이의 신호물질인 미생물 페르몬으로 종간정보교환(interspecies communication)을 통해 개체군 유전자를 교환하여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 생성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를 통해 도입미생물(introduced microorganisms)간의 유전자교환과정을 거쳐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 유기오염물의 생분해, 금속오염의 정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미생물을 생성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미생물을 유도기(적응기), 지수기(증식기), 정체기(안정기)까지만 배양한다.
미생물생장주기는 균을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면 새로운 환경에 노출된 균이 생리적으로 적응하는 기간인 유도기(誘導期, lag phase), 균이 대수적으로 증식하는 시기인 지수기(指數期, exponential phase), 생균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총 균수는 최대가 되는 시기인 정체기(停滯期, stationary phase), 영양분 고갈과 균이 너무 많아 더 이상의 생장이 억제되는 시기로 균은 대사노폐물로 죽거나 새로운 영양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때까지 생존하기 위해 휴면상태로 들어감으로써 생균수가 감소하는 시기인 사멸기(死滅期, death phase)로 이루어진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미생물의 대사노폐물로 인한 열악한 생육환경으로 인한 생균수 감소를 막기 위해 사멸기 전인 정체기(안정기)까지만 미생물을 배양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배양조별 이송절차는 9단계로 이루어지며, 1단계는 각종배지이며, 2단계는 삼각플라스크, 3단계는 20L 생물반응기(bioreactor), 4단계는 0.5톤 배양조, 5단계는 1톤 배양조, 6단계는 2.5톤 배양조, 7단계는 5톤 배양조, 8단계는 10톤 배양조, 9단계는 대용량 배양조 순서로 이송하며 배양한다.
미생물배양단계(S120)는 이송절차를 거치며 미생물 수가 증가하게 된다.
배양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을 유기질원료에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substrate)을 제공하고, 미생물의 생육을 보호한다.
미생물군을 유기비료에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을 제공하면 유기질원료에 탑재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의 대사로 생성되는 유용물질을 토양과 작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미생물군의 대사로 생성되는 유용물질은 질소, 인산, 칼륨, 아미노산, 비타민, 단백질, 당류, 지방질, 섬유소의 작물생장에 필수적인 물질들이 있다.
유기질원료에 탑재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의 대사로 생성되는 항생물질과 유도물질은 작물의 세균성병원균과 진균성병원균의 생육을 저해하거나 사멸시키고, 작물의 감수성과 저항성을 증가시키므로 작물의 생장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비료를 토양에 시비하고, 10℃이상의 지온과 포화수분율 20%이상의 물을 유지하게 되면, 유기비료에 탑재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은 증식을 개시하여 작물의 근권(根圈)이나 엽권(葉圈)을 우점(優點)함으로 토양과 작물의 미생물상이 정균, 발효, 합성형으로 개선된다.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S121)는 미생물배양단계(S120)에서 생성한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에 복합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미생물배양액을 제조한다.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S121)에서 복합아미노산을 첨가할 시, 복합아미노산의 첨가량은 미생물 각 군별로 차등을 두고 첨가하여 제조한다.
차등을 두는 이유는, 미생물생장에 필요한 복합아미노산을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미생물이 있는 반면, 필요로 하지 않거나 소량만 필요로 하는 미생물이 있기 때문이다.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S122)는 미생물배양액제조단계(S121)에서 제조된 미생물배양액과 당밀희석액을 혼합한다.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S122)의 당밀희석액은 당밀 20~40wt%와 정제수 60~80wt%가 혼합된 당밀희석액이다.
당밀희석액의 주원료인 당밀(molasses)은 설탕을 제조할 때에 결정당(結晶糖)을 분리한 나머지 액체를 말한다.
미생물의 기질은 주로 유기질이며, 그 중에서도 당밀희석액은 대다수 미생물의 기질이 되는 당을 함유하고 있다.
당밀희석액의 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시, 발효단계(S131)에서 미생물생장에 영향을 주므로 원하는 발효효과를 볼 수 없다.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S122)는 당밀희석액 25~50wt%와 미생물배양액 50~75wt%를 혼합한다.
미생물군의 배양환경에 따라 당밀희석액과 미생물배양액의 비율을 조절하여 미생물첨가액을 제조하게 된다.
혼합단계(S130)는 분말형 유기질원료와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하고, 혼합한다.
혼합단계(S130)는 혼합물이 수분 50~60wt%를 포함하도록 분말형 유기질원료와 미생물첨가액을 혼합한다.
혼합단계(S130)에서 혼합물의 수분함량이 50~60wt%일 때, 미생물이 안정적으로 발효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 발효단계(S131)에서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발효단계(S131)는 혼합단계(S130)에서 혼합된 분말형 유기질원료와 미생물첨가액을 발효한다.
발효단계(S131)는 혼합물의 발효온도 40℃~45℃가 되는 시점부터 교반을 시작하고, 발효온도를 50℃이하로 유지한다.
발효단계(S131)에서는 혼합물이 발효하면서 계속 발열하기 때문에 냉각장치, 자연냉각의 방법을 사용하여 발효온도를 50℃이하로 유지한다.
발효단계(S131)는 3~10일간 발효한다.
발효단계(S131)의 발효기간이 3일 이하인 경우, 유기질원료가 제대로 발효되지 않아 원하는 비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발효단계(S131)의 발효기간이 10일 이상인 경우, 유기질원료가 완숙되기 때문에 유기비료에 유효성분이 거의 없고,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되어 원하는 비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발효단계(S131)는 발효형미생물군과 합성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유기질원료에 분사하여 3~5일간 발효하는 1차 발효단계(S131a)와 정균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하고 3~5일간 발효하는 2차 발효단계(S131b)로 나누어 발효한다.
건조단계(S132)는 발효단계(S131)를 거친 혼합물을 건조한다.
건조단계(S132)는 발효탱크에서 발효된 유기비료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며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건조한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S100)에 의해 제조된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에 휴면상태로 탑재된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은 지온이 10℃이상 유지되고, 포화수분율 20%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증식을 개시하여 토양과 작물의 미생물상이 정균, 발효, 합성형으로 개선된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토양개량시험을 나타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시비하여 지력(地力, soil fertility)이 보통인 토양을 정균, 발효, 합성형토양으로 개량하고, 5년간 동일한 시비방법으로 고추를 경작한 결과, 매년 고추는 병해충에 강했고, 고품질의 고추를 다수확 하였고,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 및 생물성은 매년 향상되었으며 지력은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이 생성한 저분자 아미노산과 유기산은 토양의 점토입자나 이온화된 무기질을 분산시켜 분자 간에 일정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 무기화학반응이 진행할 수 없는 상태[킬레이트(chelate)화]로 만드는 작용을 하였고, 킬레이트화 됨으로써, 염류가 집적되지 않아 작물에 필요한 무기영양은 완만하게 흡수되었고, 무기화학반응이 억제되어 완충능력이 높은 토양을 형성하였다.
또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이 생성한 연쇄상의 고분자는 논이온(Non-ion)에 높은 활성력이 있고, 저분자의 아미노산과 유기산으로 분산되어 논이온 상태가 된 점토입자 및 무기물질과 반응하여 토양입단(soil aggregate)을 형성하였다.
또한, 입단이 증대하면서 강우에도 파괴되지 않는 내수성입단(耐水性粒團)이 형성되어 토양의 물리성이 개선되고, 화학성과 생물성도 개선된다.
또한, 경작 1~2기 후에는 pH1~2정도 개량된 사실을 확인하였고, 수산기(水酸基, OH, hydroxyl group)를 함유한 무기화합물인 염기가 이온화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으며, 알칼리토양은 중성에 가까운 성질이 있고, 이온치환능력도 높아져 일시적으로 pH가 8.5 이상이 되는 경우, 알칼리화는 광합성세균에 의한 수소이온(H+)의 소화(消化)에 의한 것으로써, pH가 높아지거나 알칼리화가 되어도 장해가 발생한 일은 없으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일시적으로 상승한 pH도 저하되어 중성부근에서 안정되었고, 반면, 토양이 산성인 경우도 석회의 알칼리자재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pH가 서서히 상승되었다.
또한,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은 좋아졌으며, 토양에 활성이 높은 음이온과 효소의 공급으로 토양수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었고, 뿌리활성도 좋아지는 토양의 종합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이 염류집적으로 발생한 불용성 영양원을 가용화하여 염류장해가 해소되고, 농약성분과 환경호르몬도 분해시킬 수 있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고추의 생장시험을 나타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시비한 토양에 고추를 재배한 결과, 고추의 광합성과 전류가 촉진되어 잎은 약간 작으면서 두껍고 곧추섰으며 그로 인해 빛이 내부까지 잘 투과되어 광합성능력은 높아졌고, 뿌리는 하얀 세근이 여러 층에 확대되면서 흡수면적이 커져서 고추가 고품질, 다수확 된다.
또한, 작물의 대사과정 중 탄소와 산소를 축으로 하는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유기에너지가 질소와 결합하여 아미노산을 합성하고 아미노산이 축중합하여 단백질을 형성하는데, 작물이 무기질소를 다량흡수하면 질소를 단백질로 변화시키기 위해 광합성으로 생성한 당류를 질소와 평행이 될 정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양분을 축적할 여력이 없다. 이 여력이 실질적인 수량과 품질이다. 유기비료(100) 처리구는 유기물이 대부분 가용화되어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체로 흡수되기 때문에 단백합성과정에서 당류의 요구비율이 낮고, 무기질소가 흡수되어도 가용성의 당류를 동시에 흡수함으로써 잎에서 합성된 당류를 적게 사용하므로 당류를 축적할 여력이 생긴다. 이로 인해 유기비료(100)처리구의 작물은 당류의 축적량이 증대되어 고품질, 다수확이 된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병해충방제시험을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시비하여 고추의 탄저균을 이용한 병해충방제시험을 한 결과, 고추밭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은 대조구, 다른 한쪽은 처리구로 하고, 5엽까지 키운 어린 고추에 고추탄저균인 Colletotrichum coccodes를 잎을 통해 흘려보내는 형태로 고추밭 전체를 접종한다.
대조구는 탄저병이 유발된 후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고 관수만 하였고, 처리구는 탄저균이 유발된 후 유기비료(100)를 관주당 200g씩 관주시비한 후 관수를 충분히 하였다. 시험결과, 대조구에서는 거의 모든 고추가 탄저병에 걸려 더 이상 시험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처리구에서는 고추관주 일부만 탄저병에 걸려 잎이 무르는 병징을 보이다가 다시 생장을 하며 키가 커졌고 열매가 굵어졌으며 수확량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기비료(100)에 고정화한 항생물질 및 탑재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이 고추의 근권이나 엽권에 생존하면서 항생물질을 생산하여 작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유전자전달을 통한 형질의 변화과정 및 유도물질에 의해 탄저균의 병원성이 소실되어 방제된다.
또한, 병해충발생은 기온상승과 과습, 뿌리의 호흡량증대로 인한 산소부족, 연작, 과비에 의한 뿌리의 탐(根燒), 토양에 집적된 무기영양과 유해물질, 작물의 생육환경이 부적합한 경우, 작물에 각종 생리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대사계에 혼란이 일어나 발생하고, 대사의 정합성(整合性)이 파괴되어 미소화질소인 암모니아, 질산, 아미드(amide), 불안정한 유해 환원물질이 작물체내에 다량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환원물질은 악취가 나며, 세포와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작용을 하고, 대부분의 병해충은 그 물질로 유인되며 그 물질을 먹이로 하여 증식한다.
이러한 문제는 유기비료(100)로 토양을 정균, 발효, 합성형으로 개량함으로써 토양의 통기성과 투수성으로 기온조절, 습도조절, 산소공급이 원활해지고, 토양입단(soil aggregate)으로 연작장해, 염류장해를 해결하고, 그로 인해 작물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하여 병해충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무경운시험을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시비하여 무경운시험을 한 결과, 유기비료(100)로 토양을 정균 발효 합성형으로 개량함으로써 생유기물도 유기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토양수는 정화되고, 토양입단으로 토양은 부드러워지면서 통기성과 투수성이 개선되었으며 뿌리의 뻗는 범위가 확대되어 경운을 하지 않고 경작을 하였지만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를 시비한 잡초방제시험을 나타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시비하여 잡초방제시험을 한 결과,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이 생성한 유기산과 생리활성물질이 휴면잡초종자의 종피(種皮)를 연화(軟化)시켜 휴면을 타파(打破)하여 발아를 촉진하고, 유기비료(100)의 발효로 인한 발효열에 의해 토층의 깊이나 산소유무와 관계없이 휴면이 타파되어 깊은 토층에서 5~10년간 휴면하던 종자도 타파되었다. 타파된 잡초종자는 결국 심토의 경우에는 산소부족, 표토의 경우에는 발효열로 모두 고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100)를 가을 추수 후, 토양에 작물잔사를 그대로 두고, 그 위에 유기비료(100)를 1무(200평)당 80㎏을 골고루 흩뿌리고, 수분이 과잉될 정도로 물을 살포하고 방치한다. 이듬해 봄에 싹이 난 잡초 위에 유기비료(100)를 1무(200평)당 80㎏을 골고루 흩뿌리고 수분이 과잉될 정도로 물을 살포하면 유기비료(100)가 발효되면서 발생한 발효열로 잡초가 살초된다. 이렇게 처리된 토양에 후작을 정식할 경우, 별도의 퇴비, 비료,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토양은 토양입단으로 통기성과 보수성이 개선되어 경운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가축사료에 유기비료(100)를 10wt%정도 첨가하면 가축의 소화율향상, 생육장애해소, 질병에 대한 저항력증가 및 축분의 악취를 감소시키며, 축산물의 육질과 맛이 향상된다.
또한, 양어사료에 유기비료(100)를 10wt%정도 첨가하면 각종어류(담수어, 해수어)의 소화흡수촉진으로 소화율증가, 성장률증가, 증체율증가, 산란율증가, 부화율증가, 분변감소의 효과가 있어 사료허실방지와 급여증대효과가 있으며, 어류의 DHA와 EPA, 다가불포화지방산생성증가, 세포증식활성화로 양질의 단백질생성 및 장, 간기능 활성으로 품종특유의 기능성이 유지되어 어류고유의 육질과 맛이 좋아지고, 어류의 면역력강화로 내병성이 증가하여 외부상처자연치유력과 세균오염방어력이 증가함으로써 항생제, 성장촉진제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질환경이 안정화되어 어류의 스트레스감소로 생존율이 증가하며, 급여로 수질에 잔류한 사료를 발효하여 수질오염방지 및 개선으로 비린내와 악취제거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품은 농축수산업은 물론 환경산업에도 효과가 있다.
S100 :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S110 : 이물질제거단계
S111 : 멸균단계
S112 : 파쇄단계
S120 : 미생물배양단계
S120a : 1차 배양단계
S120b : 2차 배양단계
S121 : 미생물배양액 제조단계
S122 :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
S130 : 혼합단계
S131 : 발효단계
S131a : 1차 발효단계
S131b : 2차 발효단계
S132 : 건조단계
100 : 정균형미생물군, 발효성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Claims (18)

  1. 유기질원료의 불순물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유기질원료를 고온고압증기로 멸균하는 멸균단계; 및
    상기 유기질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단계;로 생성된 분말형 유기질원료,
    토양에서 분리한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을 단독배양, 혼합배양, 조합배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배양하는 미생물배양단계;
    상기 미생물배양단계에서 생성한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에 복합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미생물배양액을 제조하는 미생물배양액 제조단계; 및
    상기 미생물배양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미생물배양액과 당밀희석액을 혼합하는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로 생성된 미생물첨가액을 상기 분말형 유기질원료에 분사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단계를 거친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의 유기질원료는
    곡물겨 74wt%, 유박 10wt%, 왕겨와 볏짚을 원료로 한 볶은 분말 10wt% 및 첨가물 6wt%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어분, 골분, 게껍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단독배양 또는 혼합배양하는 1차 배양단계와 상기 1차 배양단계를 거친 미생물을 조합배양하는 2차 배양단계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배양단계는
    미생물 간에 편리공생, 원시협동, 상리공생 중 어느 하나 이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배양단계는
    각 개체군사이의 신호물질인 미생물 페르몬으로 종간정보교환을 통해 유전자를 교환하여 1차대사산물, 2차대사산물, 분해 및 합성효소의 복합효소, 항생물질, 생리활성물질, 유도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도입미생물간의 유전자교환과정을 거쳐 토양개량, 작물생장, 병해충방제, 유기오염물의 생분해, 금속오염의 정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미생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미생물을 유도기, 지수기, 정체기까지만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배양단계는
    배양조별 9단계의 이송절차로 이루어지며, 1단계는 각종배지이며, 2단계는 삼각플라스크, 3단계는 20L생물반응기, 4단계는 0.5톤 배양조, 5단계는 1톤 배양조, 6단계는 2.5톤 배양조, 7단계는 5톤 배양조, 8단계는 10톤 배양조, 9단계는 대용량 배양조 순서로 이송하며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의 당밀희석액은
    당밀 20 내지 40wt%와 정제수 60 내지 80wt%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첨가액 제조단계는
    당밀희석액 25 내지 50wt%와 미생물배양액 50 내지 75wt%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혼합물이 수분 50 내지 60wt%를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발효온도 40℃ 내지 45℃가 되는 시점부터 교반을 시작하고, 상기 발효온도를 50℃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3 내지 10일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발효형미생물군과 합성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유기질원료에 분사하여 3 내지 5일간 발효하는 1차 발효단계와 정균형미생물군으로 제조한 미생물첨가액을 분사하고 3 내지 5일간 발효하는 2차 발효단계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는
    유기질원료에 탑재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의 대사로 유용물질을 지속적으로 토양과 작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비료는
    배양한 정균형, 발효형, 합성형미생물군을 유기질원료에 탑재시켜 주거공간과 기질(substrate)을 제공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KR1020180000060A 2017-04-27 2018-01-02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KR10213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60A KR102132065B1 (ko) 2017-04-27 2018-01-02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WO2017/069479 2017-04-27
KR1020180000060A KR102132065B1 (ko) 2017-04-27 2018-01-02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63A KR20180120563A (ko) 2018-11-06
KR102132065B1 true KR102132065B1 (ko) 2020-07-08

Family

ID=6432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60A KR102132065B1 (ko) 2017-04-27 2018-01-02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774B1 (ko) * 2022-05-31 2022-11-25 김미나 가축분 퇴비 제조방법
KR102574958B1 (ko) * 2022-11-11 2023-09-06 강경훈 미생물 배양 후 버려지는 폐배양액을 활용하는 미생물 대사산물 비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96B1 (ko) * 2007-04-17 2007-07-23 디에스케이엔지니어링(주)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785B1 (ko) * 1999-02-12 2001-09-13 이 종 헌 유기배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0530350A (ja) * 2007-06-20 2010-09-09 ウルトラ バイオテック リミテッド 微生物製剤および植物の成長促進にそれを使用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96B1 (ko) * 2007-04-17 2007-07-23 디에스케이엔지니어링(주)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63A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8428B2 (en) Antagonistic bacteria for controlling the Fusarium wilt of continuous cropping banana and their microbial organic fertilizer
KR101669599B1 (ko) 유용 미생물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악취 및 중금속 제거용 조성물
CN108840777A (zh) 一种环保型高效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US2019007772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fertilizers by using organic raw material, antagonistic microorganism, fermentative microorganism, and synthetic microorganism, and organic fertilizers manufactured by said manufacturing method
CN106434430A (zh) 一种降解抗生素与农药残留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制备与应用
KR101365728B1 (ko) 친환경 유기 액체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4926530A (zh) 一种有机农作物高效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1875571B (zh) 增强型液体微生物有机肥料的制备方法
CN103086771B (zh) 一种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和生物有机肥及应用
CN102491802A (zh) 茶粕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CN104560045B (zh) 微生物菌剂及化肥过度使用促生次生盐碱及沙化土壤的改良应用
KR101670651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및 중금속 함량이 감소된 가축 분뇨 발효 액비의 제조방법
CN104496573B (zh) 一种葡萄专用生防复合微生物肥料、生产方法及应用
CN105060944A (zh) 一种鱼溶浆制备蛋白肥的方法
CN102276351B (zh) 多功能全营养肥料及其生产方法
CN102093094A (zh) 一种生物菌肥及利用农业固体有机废弃物生产有机肥
KR102132065B1 (ko) 정균형미생물군, 발효형미생물군 및 합성형미생물군과 유기질원료로 제조된 유기비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유기비료
KR20090057539A (ko) 해조류 구멍 갈파래를 발효하여 액체비료 제조방법
CN105418206A (zh) 一种酵素型水稻旱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RU245802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икробного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со свойствами иммуномодулятора и обладающего лечащим эффектом при поражении растений бактериальными болезнями
JP2023179490A (ja) 有機物からリンを遊離する方法
CN107099493A (zh) 复合型微生物粪便腐熟剂及制备方法与粪便腐熟处理方法
KR101936012B1 (ko) 어류를 이용한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963922A (zh) 一种浒苔酵素有机肥的制备方法
CN106883051A (zh) 一种杀虫有机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