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92B1 -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 Google Patents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92B1
KR102130792B1 KR1020180140798A KR20180140798A KR102130792B1 KR 102130792 B1 KR102130792 B1 KR 102130792B1 KR 1020180140798 A KR1020180140798 A KR 1020180140798A KR 20180140798 A KR20180140798 A KR 20180140798A KR 102130792 B1 KR102130792 B1 KR 10213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hrinkable
curved
shap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750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18014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용기의 입구에 투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음료 음용 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쉐이크 볼의 비중이 음료의 비중보다 크게 형성되어 용기를 흔드는 것에 의해 쉐이크 볼이 용기의 구석까지 위치할 수 있어 덩어리 형태로 뭉친 파우더 및 용기의 내측에 밀착된 파우더를 음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Shrinkable shaking ball and bott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쉐이크 볼이 수축될 수 있어 음료 용기의 좁은 입구로 투입되고 음료 음용 시 입구로 배출되지 않는 형태의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대용할 수 있으면서 양질의 영양 섭취가 가능한 음료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각종 곡물, 채소 또는 과일 등을 파우더의 혼합물로 제조하여 물 또는 우유 등의 음료에 혼합하여 섭취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우더는 음료에 쉽게 혼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우더가 뭉쳐서 덩어리 형태를 형성하거나 용기의 내측에 밀착되는 경우 음료의 용기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것으로는 파우더가 음료에 혼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혼합되지 않는 파우더는 용기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섭취하지 못하거나, 음료에 혼합되지 않고 덩어리 형태로 배출되어 섭취가 불쾌해질 수 있다. 또한, 파우더의 혼합 비율을 감소시켜 혼합된 음료의 향미를 떨어트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푼 또는 스틱 등으로 덩어리 형태로 뭉친 파우더를 혼합시키거나, 용기의 내측에 밀착된 파우더를 긁어 분리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스푼 또는 스틱 등의 도구가 필요하고, 그 과정이 번거롭다는 점에서 휴대용 용기 또는 일회용 용기에서는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3585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용기의 내부에 파우더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는 쉐이킹 부재가 있는 쉐이커 용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파우더가 덩어리 형태로 뭉치는 것은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나, 파우더가 용기의 내측에 밀착되어 혼합되지 않는 것은 해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 용기에는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이 간단하면서도 구성이 간소하여 휴대용 용기 및 일회용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덩어리 형태로 뭉친 파우더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측에 밀착된 파우더도 원활하게 혼합할 수 있는 혼합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438호(2013년 6월 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83585호(2014년 7월 4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파우더 혼합물을 용기 내부에서 음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하는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덩어리 형태로 뭉친 파우더 및 용기의 내측에 밀착된 파우더를 음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쉐이크 볼이 수축될 수 있어 좁은 용기의 입구에 투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음료 음용 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형태의 수축형 쉐이크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쉐이크 볼의 비중이 음료의 비중보다 크게 형성되어 용기를 흔드는 것에 의해 쉐이크 볼이 용기의 구석까지 위치할 수 있는 수축형 쉐이크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축형 쉐이크 볼은, 반구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혼합부와 결합되는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축형 쉐이크 볼은, 럭비공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가운데 부분에 함몰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럭비공 형태를 갖고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혼합부를 내장하고 있는 제2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은 탄성을 갖고 있고 물보다 같거나 큰 비중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최대 높이는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이 내장되는 용기의 용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실패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곡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갖는 조개껍데기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하부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부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혼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합부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부면에 상기 제1 혼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의 일단은 제1 지지대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의 일단은 제1 지지대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는 끼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혼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에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의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내부 중심부 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기의 최고 돌출 높이는 상기 제2 혼합기의 최저 돌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용기 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반구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혼합부와 결합되는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잇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용기 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럭비공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가운데 부분에 함몰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럭비공 형태를 갖고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혼합부를 내장하고 있는 제2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은 탄성을 갖고 있고 물보다 같거나 큰 비중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최대 지름은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이 상기 용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은 파우더 혼합물을 용기 내부에서 음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은 덩어리 형태로 뭉친 파우더 및 용기의 내측에 밀착된 파우더를 음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은 쉐이크 볼이 수축될 수 있어 좁은 용기의 입구에 투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음료 음용 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음료를 섭취하면서 삼킬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은 비중이 음료보다 크게 형성되어 용기를 흔드는 것에 의해 쉐이크 볼이 용기의 구석까지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수축형 쉐이크 볼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이 장착된 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에 대한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수축형 쉐이크 볼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이 장착된 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수축형 쉐이크 볼(1)은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1 혼합부(10), 제1 혼합부(10)와 결합되고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2 혼합부(20) 및 제1 혼합부(10)와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30)를 구비한다.
제1 혼합부(10)은 제1 지지대(11), 제1 지지대(11)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12) 및 제1 지지대(11)의 하부면에 제2 혼합부(2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13)를 구비한다.
제1 지지대(11)는 가운데가 빈 원형의 고리(ring) 형상을 갖고 있고, 이미 기재한 것처럼, 하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제1 결합부(13)에 의해 제2 혼합부(20)와 결합된다.
복수의 제1 연결부(12)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고, 각 연결부(12)는 곡선 형태의 연결 막대로서, 사각형의 단면 현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1 연결부(12)는 제1 지지대(11)의 상부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게 위치하며, 제1 연결부(12)의 일단은 제1 지지대(11)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어느 한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인접한 두 제1 연결부(12) 사이에는 빈 구멍(S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혼합부(10)의 형상은 인접한 두 연결부(12) 사이에 구멍(S11)을 구비한 반구 형태를 갖고 있고, 반구의 외주면 중앙 지점이 복수의 제1 연결부(12)의 타단이 서로 중첩되어 연결되는 지점이 된다.
제2 혼합부(20)는 제2 지지대(21), 제2 지지대(21)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22), 및 제2 지지대(21)의 하부면에 제1 혼합부(1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2 결합부(23)를 구비한다.
제2 지지대(21)는 제1 혼합부(10)의 제1 지지대(11)와 비교할 때, 하부면에 복수의 제1 결합부(13)와 각각 결합되는 제2 결합부(23)의 형상이 제1 결합부(13)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 지지대(11)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지지대(21) 역시 가운데가 빈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고 있고, 제2 결합부(23)를 이용하여 제1 지지대(11)와 결합되어, 제1 혼합부(10)와 제2 혼합부(20)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지지대(11)와 제2 지지대(12)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한다.
복수의 제2 연결부(22)는 제1 혼합부(10)의 복수의 제1 연결부(12)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동일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2 연결부(22)는 곡선 형태의 연결 막대이고,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인접한 두 제2 연결부(22) 사이에 빈 구멍(S21)을 갖도록 복수의 제2 연결부(22)는 제2 지지대(21)의 상부면에 정해진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있고, 각 제2 연결부(22)의 일단은 제2 지지대(21)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혼합부(20)의 외주면 중앙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어 연결된다.
복수의 돌출부(30)는 제1 지지대(11)의 외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직선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지지대(11)의 외측면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각 제1 연결부(12)와 결합되는 제1 지지대 부분의 측면에 각 돌출부(30)가 위치하지만, 이러한 각 돌출부(30)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며, 제1 연결부(12)가 위치하지 않는 제1 지지대(11)의 부분에도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가 위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복수의 돌출부(30)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각 돌출부(30)는 제1 혼합부(10)의 측면, 즉, 제1 지지대(11)의 해당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는 제1 부분(31), 제1 부분(3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32)을 구비한다.
제1 부분(31)은 제1 지지대(11)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실패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부분(31)은 제1 지지대(11)와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거나 돌기와 홈 등을 이용하여 제1 지지대(11)의 측면 해당 부분에 끼움 형태로 제1 지지대(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32)은 제1 부분(3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제1 부분(3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부분(31)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부분(32)의 평면 형상은 대략 곡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갖는 조개껍데기 형상을 갖고 있고, 제2 부분(32)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직선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G31)이 위치한다.
본 예와 같이 복수 개(3개)의 홈(G31)이 형성되는 경우, 이들 복수 개의 홈(G31)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타단은 하부면의 어느 한 지점[예,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의 연결 부분]에서 서로 만난다.
따라서, 수축형 쉐이크 볼(1)이 용기 내에 삽입된 후 음료와 같은 내용물의 혼합 동작이 이루어질 때, 이러한 홈(G31)에 의해 내용물의 흐름 변화 등으로 인해 내용물의 혼합 동작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곡면 부분을 갖는 실패 형상과 조개껍데기 형상의 제1 및 제2 부분(31, 32)으로 인해, 내용물의 흐름 방향이 변화하여 내용물의 혼합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 사이의 연결 부분에는 돌출부(3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홈(G32)이 형성되고 있고, 이로 인해,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 사이의 연결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이 잡혀 있다.
이러한 주름으로 인해, 돌출부(30)는 주름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A)으로 움직이게 되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돌출부(30)는 가해지는 힘의 양에 해당하는 만큼 접히게 된다.
본 예의 수축형 쉐이크 볼(1)은 탄성을 갖고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리적인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돌출부(30)는 초기 위치로 회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용기 속으로 본 예의 수축형 쉐이크 볼(1)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며, 용기를 흔드는 등의 내용물 혼합 동작이 이루어질 때, 물살에 의한 돌출부 움직임으로 용기 내의 내용물은 좀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이러한 제1 혼합부(10)와 제2 혼합부(20)가 제1 및 제2 결합부(14, 24)에 의한 결합 동작에 의해 서로 조립되면, 복수의 구멍(S11, S21)을 구비하고 가운데 부분에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30)를 구비한 구(球) 형태의 수축형 쉐이크 볼(1)이 완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수축형 쉐이크 볼(1)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용기(100)에 삽입되어 용기(100)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미 기재한 것처럼 탄성을 갖고 있고, 이에 더하여 물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수축형 쉐이크 볼(1)의 최대 높이(H11)는 삽입되는 용기(100)의 용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크다. 이때, 제1 및 제2 혼합부(10, 20)의 최대 높이(H12)는 입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것이 좋다.
따라서, 용기(100)의 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 본체(120) 내부의 빈 공간으로 수축형 쉐이크 볼(1)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돌출부(30)에 힘을 가해 원하는 양만큼 돌출부(30)의 상태를 접힘 상태로 만들어 입구(110) 속으로 주입하여 용기 본체(120) 속으로 밀어 넣는다.
용기 본체(120) 속으로 완전히 주입되면 수축형 쉐이크 볼(1)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므로, 돌출부(30)는 원래 상태로 회복되어 돌출부(30)의 접힘 상태는 초기의 펴짐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용기(100)의 용기 본체(120) 속으로 삽입된 수축형 쉐이크 볼(1)이 입구(110) 쪽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수축형 쉐이크 볼(1)이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자의 입속으로 삽입되는 현상 역시 방지된다.
또한, 수축형 쉐이크 볼(1)의 비중이 물보다 크므로, 용기(10)에 담겨 있는 물에 뜨지 않고 물 속에 가라앉게 되어 내용물의 혼합 동작은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음료 음용 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방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기 본체(120) 속에 곡물가루, 물, 우유, 주스 등과 같이 원하는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넣고 용기(100)를 흔들게 되면, 용기 본체(120) 내에 있는 수축형 쉐이크 볼(1)은 용기 본체(120) 속에서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내용물의 혼합 동작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형 쉐이크 볼(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수축형 쉐이크 볼(1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수축형 쉐이크 볼(1)과 형태만 상이할 뿐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수축형 쉐이크 볼(1a) 역시 용기(100)에 삽입되어 용기(100)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물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갖고 있고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수축형 쉐이크 볼(1a), 즉 제2 혼합부(20a)의 최대 높이(H11a)는 삽입되는 용기 입구(110)의 내부 지름보다 크다. 이때, 제1 혼합부(10a)의 최대 높이(H12a)는 삽입되는 용기 입구(110)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것이 좋다.
이하, 이러한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수축형 쉐이크 볼(1a)은 제1 혼합부(10a), 그리고 제1 혼합부(10a)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위치하고 있는 제2 혼합부(20a)를 구비한다.
제1 혼합부(10a)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가늘고 얇은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혼합기(111)를 구비한다.
각 제1 혼합기(111)는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곡선 부분(P11, P12)과 양 곡선 부분(P11, P12)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P13)을 구비한다.
이러한 복 수 개의 제1 혼합기(111)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양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제1 혼합기(111) 사이에는 빈 구멍이 존재하여 내용물의 혼합 동작이 내용물이 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도록 하며, 각 제1 혼합기(111)의 제1 단부는 다른 제1 혼합기(111)의 제1 단부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제2 단부 역시 다른 제1 혼합기(111)의 제2 단부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혼합기(111)의 결합에 의해 제1 혼합부(10a)는 정해진 방향[예,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는 럭비공(rugby ball) 형태를 갖는다.
제2 혼합부(20a)는 제1 혼합부(10a)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혼합부(20a) 역시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가늘고 얇은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혼합기(211)를 구비한다.
각 제2 혼합기(211) 역시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곡선 부분(P21, P22)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1 혼합기(111)와는 달리 양 곡선 부분(P21, P22)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 함몰 형태[즉,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내부 중심부 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형태]의 함몰 부분(P23)을 구비한다.
따라서, 함몰 부분(P23)으로 인해, 수축형 쉐이크 볼(1a)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제2 혼합부(20)의 접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 수 개의 제2 혼합기(211) 역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양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두 제2 혼합기(211) 사이에는 빈 구멍이 존재하며, 각 제2 혼합기(211)의 제1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제2 단부 역시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중심점에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및 제2 혼합기(111, 211)의 돌출 높이 중에서, 제1 혼합기(111)의 최고 돌출 높이[즉,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중심점에서부터 직선 부분(P13)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는 제2 혼합기(211)의 최저 돌출 높이[즉,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중심점에서부터 함몰 부분(P23)의 최저 하부면까지의 높이]보다 낮아, 각 제2 혼합기(211)의 펼쳐진 총 길이는 각 제1 혼합기(111)의 펼쳐진 총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제2 혼합기(211)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된 제2 혼합부(20a)의 내부 공간 속에 제1 혼합부(10a)가 존재하므로, 복수의 제2 혼합기(211)는 복수의 제1 혼합기(111)를 감싸고 있다.
이로 인해, 제2 혼합부(20a)는 정해진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부에 제1 혼합부(10a)를 내장하고 있으며 가운데 부분이 함몰되어 있는 함몰 부분(P23)를 구비하고 있는 럭비공 형태를 갖는다.
이때, 각 제2 혼합기(211)는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접한 두 제1 혼합기(111)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 혼합기(111)와 제2 혼합기(211)는 360도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혼합기(111)와 제2 혼합기(211)의 교번 배열로 인해, 내용물의 섞임 동작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축형 쉐이크 볼(1a), 역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용기 본체(120) 내부의 빈 공간으로 삽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혼합부(20a)에 힘을 가해 원하는 양만큼 제2 혼합기(211)의 함몰 부분(P23)을 접힘 상태로 만들어 용기 입구(110) 속으로 주입하여 용기 본체(120) 속으로 밀어 넣게 되고, 수축형 쉐이크 볼(1a)이 용기 본체(120) 속으로 완전히 주입되면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함몰 부분(P23)은 초기 상태로 회복되어 초기의 럭비공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용기(100)의 흔들림 동작이 이루어질 때 용기 본체(120) 속으로 해당 방향을 이동하게 되어 내용물의 혼합 동작을 실시하고,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음용할 때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외부 배출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수축형 쉐이크 볼(1a)의 형상이 럭비공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용기 본체(120) 내에서의 이동 상태와 이동 방향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혼합 능력은 더욱 형상된다.
수축형 쉐이크 볼(1)의 경우처럼, 수축형 쉐이크 볼(1a) 역시 물보다 큰 비중을 갖고 있으므로, 용기(100)에 담겨 있는 물에 뜨지 않고 물 속에 가라앉게 되어 내용물의 혼합 동작이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되며 음료 음용 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수축형 쉐이크 볼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 수축형 쉐이크 볼 10, 10a: 제1 혼합부
11: 제1 지지대 12: 제1 연결부
30: 돌출부 31: 제1 부분
32: 제2 부분 G31, G32: 홈
14: 제1 결합부 20, 20a: 제2 혼합부
21: 제2 지지대 22: 제2 연결부
24: 제2 결합부 111: 제1 혼합기
211: 제2 혼합기 P11, P12, P21, P22: 곡선 부분
P13: 직선 부분 P23: 함몰 부분
100: 용기 110: 용기 입구
120: 용기 본체

Claims (16)

  1. 반구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혼합부와 결합되는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
  2. 럭비공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가운데 부분에 함몰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럭비공 형태를 갖고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혼합부를 내장하고 있는 제2 혼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에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의 수축형 쉐이크 볼의 내부 중심부 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 부분
    를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은 탄성을 갖고 있고 물보다 같거나 큰 비중을 갖는 수축형 쉐이크 볼.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최대 높이는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이 내장되는 용기의 용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큰 수축형 쉐이크 볼.
  5.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분은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실패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곡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갖는 조개껍데기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수축형 쉐이크 볼.
  6.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하부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더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
  7. 제1항에서,
    상기 제1 혼합부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혼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1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합부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하부면에 상기 제1 혼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의 일단은 제1 지지대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의 일단은 제1 지지대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수축형 쉐이크 볼.
  9.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는 끼움 결합되어 있는 수축형 쉐이크 볼.
  10. 삭제
  11. 삭제
  12. 제2항에서,
    상기 제1 혼합기의 최고 돌출 높이는 상기 제2 혼합기의 최저 돌출 높이보다 낮은 수축형 쉐이크 볼.
  13. 내용물을 수용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용기 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반구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혼합부와 결합되는 제2 혼합부 및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 볼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1 혼합부의 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잇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용기.
  14. 내용물을 수용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용기 입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럭비공 형태를 갖는 제1 혼합부, 가운데 부분에 함몰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럭비공 형태를 갖고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혼합부를 내장하고 있는 제2 혼합부를 포함하는 수축형 쉐이크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혼합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360도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에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혼합기 각각은,
    양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어 있는 제1 곡선 부분과 제2 곡선 부분; 및
    상기 제1 곡선 부분과 상기 제2 곡선 부분 사이의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내부 중심부 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 부분
    를 포함하는
    용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은 탄성을 갖고 있고 물보다 같거나 큰 비중을 갖는 용기.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의 최대 지름은 상기 수축형 쉐이크 볼이 상기 용기 입구의 내부 지름보다 큰 용기.
KR1020180140798A 2018-11-15 2018-11-15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KR10213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98A KR102130792B1 (ko) 2018-11-15 2018-11-15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98A KR102130792B1 (ko) 2018-11-15 2018-11-15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50A KR20200056750A (ko) 2020-05-25
KR102130792B1 true KR102130792B1 (ko) 2020-07-06

Family

ID=7091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798A KR102130792B1 (ko) 2018-11-15 2018-11-15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887A1 (en) * 2005-05-03 2006-11-09 Vernon Robert D Shaker with reciprocating agitator
KR101582521B1 (ko) * 2008-06-11 2016-01-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회전형 교반기 및 회전형 교반기와 함께 사용을 위한 주방 기구
US20160073829A1 (en) 2012-06-22 2016-03-17 Medport Llc Agitator for food and beverage mixer
US10028603B2 (en) 2014-01-19 2018-07-24 Runway Blue, Llc Closure for an opening in a l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775A (ko) * 2013-10-21 2015-04-29 (주)매직코스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887A1 (en) * 2005-05-03 2006-11-09 Vernon Robert D Shaker with reciprocating agitator
KR101582521B1 (ko) * 2008-06-11 2016-01-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회전형 교반기 및 회전형 교반기와 함께 사용을 위한 주방 기구
US20160073829A1 (en) 2012-06-22 2016-03-17 Medport Llc Agitator for food and beverage mixer
US10028603B2 (en) 2014-01-19 2018-07-24 Runway Blue, Llc Closure for an opening in a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50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411B (zh) 适于容器的盖
US10863841B2 (en) Spill prevention system for drinking cup
CN105899441B (zh) 适于容器的盖
US7441944B2 (en) Drinking extension for blender container
US20120160928A1 (en) Sliding straw with solid food
US10532866B2 (en) Container cap assembly
US11503958B2 (en) Tamper
US20070267411A1 (en) Spill-proof container
CN109843738A (zh) 容器和容器封盖
US20040047231A1 (en) Mixing structures
US9204759B2 (en) Dressing shaker
US11034510B2 (en) Vessel with agitator
US20150173543A1 (en) Device for sucking up beverages
CA2742236A1 (en) Beverage container
CN109195482A (zh) 便携式水化瓶
KR102130792B1 (ko) 수축형 쉐이크 볼 및 이를 내장한 용기
KR20200057261A (ko) 용기 결합형 혼합 장치 및 이를 내장한 용기
US20130201784A1 (en) Batter shaker
CA3085290C (en) Drinking cup with solid ingredient storing space
US20210219785A1 (en) Foodstuff container and agitator
US11234561B1 (en) Shaker cup
US10052599B2 (en) Mixing chain agitator
KR100883828B1 (ko) 고형식품이 내장된 슬라이딩 스트로
WO2018144982A1 (en) Mixer bottle
KR200286206Y1 (ko) 음료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