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098B1 - 홀 가공 툴 - Google Patents

홀 가공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098B1
KR102129098B1 KR1020180080201A KR20180080201A KR102129098B1 KR 102129098 B1 KR102129098 B1 KR 102129098B1 KR 1020180080201 A KR1020180080201 A KR 1020180080201A KR 20180080201 A KR20180080201 A KR 20180080201A KR 102129098 B1 KR102129098 B1 KR 10212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ool
hole
outer bod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444A (ko
Inventor
김대영
남성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 작업 후 잔재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홀 가공 툴로서, 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에 공구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 중공 펀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펀치부와 상기 공구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중공 탭부를 형성한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대한 나사 회전을 통해서 탄성 재질의 작업 대상물에 가공할 구멍의 천공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중공 탭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한 외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중공 탭부와 상기 중공 펀치부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 블럭; 및 상기 내부 몸체를 기반으로 지지되고, 상기 내부 블럭의 이동 또는 복귀시 탄성력을 상기 내부 블럭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외부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 가공 툴{TOOL FOR MAKING HOLES}
본 발명은 선박 화물창 또는 배관의 단열재, 보온재 및 기타 의자용 쿠션의 천 및 스폰지 등과 같이 금속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재질을 갖는 천공 작업 대상물에 구멍을 가공하는 홀 가공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각종 재질의 구조물, 부착물, 조립물 등이 어우러져 장시간 해양이나 바다, 호수, 강 등에서 사용되도록 건조되고 있다.
선박에는 선체(hull) 또는 선박 내부의 화물창, 거주구 등의 철재 또는 구조재 및 배관 등에 보온재 또는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선박 주요 배관의 보온재는 배관 외부에 부착되어 단열 및 보온 성능을 발휘하며, 이때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응결된 물의 배출을 위하여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생활 주변에서 사용되는 쿠션을 갖는 의자의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땀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역시 의자용 보온재도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보온재 또는 단열재 중에서 구멍 가공이 필요한 작업 대상물은 중공 펀치와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구멍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문화된 설비에서 구멍을 뚫는 경우, 또는 펀칭 머신을 이용한 대량 생산 시, 복수개의 펀치를 설치하여 일괄 작업을 하더라도, 다품종 소량 생산의 경우에 적합하지 않으며, 구멍의 위치가 제품마다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때 펀칭 머신에 장착된 부가 장치의 크기로 인하여, 구멍 위치 변경에 제약이 따를 수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리 구멍 가공한 보온재를 현장에 가져와 작업하더라도, 볼트 구멍, 드레인 배관용 구멍, 부가 설치물의 유체 배출 통로 등과 같은 곳에 구멍 위치를 일치시켜 구멍을 가공하는 경우 역시 수많은 홀 가공을 위한 수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의 구멍 가공은 해당 사용자의 스킬이나 숙련도와 관련하여 천공 품질에 오차를 발생시키고, 중공 펀치에 망치를 사용하는 힘을 조절하기 어려워서 천공 깊이 조절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작업 대상물이 있는 구조물 상부가 하부에 비해 처마처럼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위를 덮은 상태에서의 오버헤더 천공 작업은 중공 펀치와 망치를 들고 복수개의 구멍을 가공하기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 및 사용자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스펀지, 보온재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작업 대상물은 천공 또는 펀칭 작업 이후, 해당 중공 펀치의 내부에 탄성을 갖는 잔재물이 남아있고,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서 잔재물을 중공 펀치로부터 분리시키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전동 드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멍 가공시 관통뿐만 아니라 원하는 천공 깊이를 가공하기 위하여,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멍 가공 후 툴 내부의 잔재물을 용이하게 배출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열재, 보온재 등과 같이 재질 특성상 비교적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천공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천공 작업 후 사용자에 의해 잔재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잔재물을 제거에 사용한 이동핀 및 내부 블럭이 인장 스프링에 의해 신속히 원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툴의 재사용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 및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전동 드릴에 장착 가능하여 천공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홀 가공 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에 공구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 중공 펀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펀치부와 상기 공구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중공 탭부를 형성한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대한 나사 회전을 통해서 탄성 재질의 작업 대상물에 가공할 구멍의 천공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중공 탭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한 외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중공 탭부와 상기 중공 펀치부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 블럭; 및 상기 내부 몸체를 기반으로 지지되고, 상기 내부 블럭의 이동 또는 복귀시 탄성력을 상기 내부 블럭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외부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홀 가공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중공 탭부에는, 상기 내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부 몸체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는,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선택적으로 겹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슬롯 길이를 갖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슬롯 폭을 갖는 복수개의 외부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몸체는, 상기 내부 몸체의 중공 탭부의 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1 링부; 상기 제 1 링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탭부의 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2 링부; 상기 제 1 링부 및 상기 제 2 링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일체형의 연결부; 상기 외부 슬롯을 제외한 곳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 몸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서로 관통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외부 몸체와 상기 내부 몸체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탭부는, 상기 중공 펀치부 또는 상기 공구 체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 및 상기 중공 펀치부와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탭부는, 상기 중공 펀치부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중공 탭부의 내부 공간 끝에 설치된 댐퍼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탭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서 상기 중공 탭부의 후방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핀 설치 구멍; 및 상기 탄성체가 상기 내부 몸체를 기반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핀 설치 구멍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공 탭부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블럭은, 상기 중공 펀치부에 의해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중공 펀치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잔재물을 툴 외부로 밀어 내도록, 상기 잔재물과 접촉하는 상기 내부 블럭의 끝단면에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블럭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슬롯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중공 탭부의 지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이동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에 의하면, 전동 공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망치를 이용한 펀칭 작업에 비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에 의하면, 사용자가 외부 몸체 또는 내부 몸체를 나사 방식으로 회전시켜서, 원하는 천공 깊이에 대응한 돌출 거리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대상물에 원하는 천공 깊이의 구멍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공 깊이에 대응한 위치에 단차면을 형성하여, 작업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과도한 천공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에 의하면, 무두 나사와 같은 고정 나사로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를 상호 고정함으로써, 조절된 돌출 거리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핀 및 내부 블럭을 신속히 원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툴의 재사용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여서 홀 가공 작업 시간을 줄이고, 홀 가공시 발생하는 잔재물의 신속한 제거 및 수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잔재물 제거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여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천공 깊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잔재물 배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을 이용한 천공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 가공 툴(10)은 탄성 재질의 작업 대상물에 구멍을 가공하도록 전동 공구에 탈부착 되어 사용된다.
구멍 직경을 고려하여 홀 가공 툴(10)은 구멍 직경에 대응한 사이즈별로 제작되어서, 즉 다수개로 구성 또는 세트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가공 툴(10)은 깊이 가변식 천공 수단이면서, 이와 함께 잔재물 제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자동식 천공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홀 가공 툴(10)은 내부 몸체(100), 외부 몸체(200), 탄성체(300), 내부 블럭(5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몸체(100)는 드릴 비트용 고강도 및 고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몸체(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구 체결부(110), 중공 펀치부(120) 및 중공 탭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구 체결부(110)는 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홀 가공 툴(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공구 체결부(110)는 전동 공구의 회전 부위 또는 타격 전달 부위에 해당하는 척 어셈블리(도 6의 도면부호 '20' 참조)에 체결될 수 있는 직경 및 길이를 가지고 있다.
공구 체결부(110)는 다양한 전동 드릴 제품에 장착될 수 있는 표준 부품 사이즈를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중공 펀치부(120)는 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홀 가공 툴(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 펀치부(120)의 직경(예: 외경 또는 내경)은 구멍 가공 목적, 사용처, 용도에 대응하게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즉, 중공 펀치부(120)는 작업 대상물에 가공하려는 구멍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몸체(100)의 규격 또는 중공 펀치부(120)의 규격(예: 돌출 거리(L) 또는 중공 펀치부(120)의 외경 및 내경)은 가공 하려는 구멍의 사이즈에 대응하게 다양하게 제작되어 세트화될 수 있다.
또한, 중공 펀치부(120)의 끝단부 내측에는 탄성 재질의 작업 대상물을 천공하기 위한 펀칭 날(12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펀칭 날(121)는 튜브 형태 또는 중공 형태로서 중공 펀치부(12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형 커터를 의미할 수 있다.
중공 펀치부(120)의 외주면에는 줄자 눈금 마크(122)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내부 몸체(100)를 기준으로 외부 몸체(200)의 나사 회전에 따른 외부 몸체(200)의 이동량(예: 돌출 거리(L) 또는 천공 깊이)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결국 후술되는 천공 깊이를 미리 용이하게 예측하고 조절할 수 있다.
돌출 거리(L)는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과 중공 펀치부(120)의 끝단(예: 펀칭 날(121)의 끝단)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은 외부 몸체(200)의 끝단면을 지칭하지만, 중공 펀치부(120)의 끝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고, 작업 대상물(30) 등과 접촉하여 정지턱 역할을 한는 의미로서의 단차 부위일 수 있다.
돌출 거리(L)는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가변 가능한 천공 깊이일 수 있다.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은 작업 대상물(30)의 표면 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표면과 면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게 가공된 평활면일 수 있다.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은 작업 대상물(30) 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와 면접촉하여 정지턱 역할을 하는 의미로서의 단차 부위일 수 있다.
줄자 눈금 마크(122)의 스케일은 외부 몸체(200)의 회전수 또는 중공 탭부(130)의 수나사 형상(예: 나사 피치)에 비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기준점(예: 줄자 눈금 마크(122))으로부터 외부 몸체(200)를 한 바퀴 또는 반 바퀴 나사 회전(R)시킬 경우, 외부 몸체(200)가 내부 몸체(100)의 툴 연장 방향을 따라 스케일 간격만큼 이동(M)(도 4 참조)될 수 있다.
이런 기능을 위해서 외부 몸체(200)의 외표면에도 회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팅 마크(205)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홀 가공 툴(10)의 제작 당시 인디케이팅 마크(205)와 줄자 눈금 마크(122)는 선택적으로 프리팅 기법 또는 식각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몸체(200)는 복수개의 나사홀(203)과 고정 나사(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나사홀(203)은 후술될 외부 슬롯(202)을 제외한 곳을 기준으로 외부 몸체(2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서로 관통하고 있으며, 외부 몸체(2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 나사(210)는 일종의 무두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고, 나사홀(203)에 나사 결합되어 외부 몸체(200)와 내부 몸체(100)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외부 몸체(200)는 나사홀(203)의 입구를 각각 기준으로 하여 외부 몸체(200)의 원주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활하게 가공된 평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204)로 인하여 사용자는 고정 나사(210)를 조이기 위한 공구(미 도시)의 접근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고정 나사(210)로 외부 몸체(200)와 내부 몸체(100)를 상호 고정함으로써, 조절된 돌출 거리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전동 공구의 적용에 따라 외력(예: 충격, 진동)을 전달 받게 되더라도, 외부 몸체(200)와 내부 몸체(100)는 고정 나사(210)의 체결력으로 상호 일체화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본 발명은 매우 정밀하게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중공 펀치부(120)에 의해 구멍을 가공하려는 작업 대상물은 탄성 재질로서 단층이면서 동일 재질로 형성된 스폰지 형태의 단층 보온재이거나, 제 1 층(31) 및 제 2 층(32)과 같이 복층이면서 동일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제 1 층(31)에만 구멍을 가공하여야 하는 복층 보온재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는 복층 보온재에 해당하는 작업 대상물(3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멍 가공 대상만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그 뒤에 있거나 적층된 비 작업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공 탭부(130)는 중공 펀치부(120)와 공구 체결부(110)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천공 깊이의 가변을 위해 나사 회전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중공 탭부(130)의 외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 탭부(130)의 수나사는 깊이 조절용 나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런 중공 탭부(130)의 내부는 후술되는 내부 블럭(500)의 이동 경로가 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의 단면 형상은 내부 블럭(5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중공 탭부(130)의 내부 단면적은 내부 블럭(500)의 단면적보다 슬라이딩 공차 또는 유격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중공 탭부(130)는 중공 펀치부(120) 또는 공구 체결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공 탭부(130)는 중공 펀치부(120)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및 중공 탭부(130)의 내부는 공간상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블럭(500)이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과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을 반복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외부 몸체(200)는 내부 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거나, 금속 재질, 합금 재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몸체(200)는 내부 몸체(100)에 대한 나사 회전을 통해서 탄성 재질의 작업 대상물에 가공할 구멍의 천공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몸체(200)는 원통 형상으로서,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외부 몸체(200)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외부 몸체(200)는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의 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1 링부(207)와, 제 1 링부(207)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중공 탭부(130)의 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2 링부(208)과, 제 1 링부(207) 및 제 2 링부(208)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일체형의 연결부(206)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몸체(200)는 연결부(206)를 기준으로 외부 몸체(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외부 슬롯(20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6)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06)에도 나사 가공이 되어 있으므로,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6)의 개수 및 형상은 천공 깊이 조절을 위해 외부 몸체(200)를 회전시킬 때, 내부 몸체(100)의 가이드 슬롯(131)이 외부 슬롯(202)을 통해 노출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다양하게 변경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일 수 있고, 이를 변경 제작하여 2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외부 슬롯(202)의 슬롯 폭(S)은 4개의 연결부(206)일 때보다 2개일 때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핀(250)을 해체하지 않고도, 외부 몸체(200)의 회전각 또는 회전량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런 연결부(206), 제 1 링부(207) 및 제 2 링부(208)을 포함한 외부 몸체(200)는 그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를 기반으로 깊이 조절용 탭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내부 몸체(1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외부 몸체(200)는 단순히 원통 형상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외측 부위가 복수개의 다면체로 이루어진 사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 통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블럭(500)은 일종의 잔재물 제거를 위해 이동될 수 있는 이동체, 슬라이딩 블럭, 플런저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홀 가공 툴(10)은 그의 내부에 내부 블럭(500)의 복귀시 발생 가능한 충격 및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댐퍼 블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 블럭(400)은 쿠션 재질 또는 충격 감쇄를 위한 우레탄, 실리콘 등의 폴리머 재질일 수 있다.
댐퍼 블럭(400)은 중공 펀치부(120)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 끝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 끝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 돌기(133) 또는 접착 수단 등이 더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정 돌기(133)에 둘러싸인 안쪽 공간의 크기는 댐퍼 블럭(400)의 단면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댐퍼 블럭(400)은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댐퍼 블럭(400)은 탄성 변형을 통해 내부 블럭(500)으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 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핀(520)이 후진하는 도중 가이드 슬롯(131)의 끝단 부위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댐퍼 블럭(400)이 내부 블럭(500)과 접촉하여, 내부 블럭(500)의 복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핀(520)과 가이드 슬롯(131)의 끝단 부위간 접촉에 의한 충격, 진동, 소음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부 블럭(500)은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잔재물을 툴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런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부 블럭(500)은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와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00)는 내부 블럭(500)의 이동 또는 복귀시 탄성력을 내부 블럭(50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탄성체(300)는 이동핀(520)과 지지핀(140)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00)는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 재질의 복귀 수단일 수 있으므로, 인장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탄성체(300)는 복수개(예: 2개)로서 외부 몸체(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탄성체(300)의 양쪽 끝단의 고리부(301, 302)는 지지핀(140)의 핀본체부(142) 또는 이동핀(520)의 연장부(522)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탄성체(300)가 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탄성체(300)의 탄성력은 균형감 있게 내부 블럭(5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00)의 개수만큼 내부 블럭(500)의 이동 속도 또는 복귀 속도는 증가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내부 블럭(500)은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탄성체(300)로부터 내부 블럭(500)이 탄성력(예: 인장력)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특징 있는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공 탭부(130)의 원주벽에는 관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슬롯(131)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슬롯(131)은 탄성체(300)의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1)은 중공 탭부(130)의 전방 위치를 기준으로 중공 탭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런 가이드 슬롯(131)은 중공 탭부(13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공 탭부(130)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가이드 슬롯(131)의 연장 방향은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의 연장 방향과 평행을 이루어서 결과적으로 내부 블럭(500)의 직선 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중공 탭부(130)의 후방 위치에는 핀 설치 구멍(132) 및 지지핀(14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핀 설치 구멍(132)은 가이드 슬롯(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중공 탭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핀 설치 구멍(132)도 탄성체(3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즉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핀(140)은 내부 몸체(100)를 기반으로, 더욱 상세하게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를 기반으로 탄성체(300)의 탄성력(예: 인장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지핀(140)은 중공 탭부(130)의 각각의 핀 설치 구멍(132)에 각각 결합되어서 중공 탭부(130)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핀(140)은 핀 설치 구멍(132)을 이용하여 중공 탭부(130)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41)와, 이동핀(520)에 비해 작은 돌출 길이를 갖는 핀본체부(142)와, 그 핀본체부(142)의 끝단에 형성된 볼트헤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블럭(500)은 홈부(510) 및 이동핀(520)을 포함한다.
내부 블럭(500)의 홈부(510)는 잔재물과 접촉하는 내부 블럭(500)의 끝단면에 형성된다.
구멍 가공 도중에 홈부(510) 및 홈부(510)의 주변 부위는 작업 대상물의 해당 부위가 잔재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잔재물을 임시로 잡고 있는 바이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공 펀치부(120)에 의해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잔재물을 툴 외부로 밀어 내도록, 홈부(510)의 홈 면적만큼 잔재물과의 접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잔재물과 내부 블럭(500) 간의 고착 상황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부(510)의 체적만큼 내부 블럭(500)의 체적당 중량을 감소시켜서, 내부 블럭(50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볼트 체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핀(520)을 용이하게 내부 블럭(5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과도한 천공 깊이 조절로 인하여, 사용자가 내부 몸체(100)를 기반으로 외부 몸체(200)를 외부 슬롯(202)의 슬롯 폭(S)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가 발생된다. 이런 경우, 외부 몸체(200)의 외부 슬롯(202)의 사이의 연결부(206)가 이동핀(520)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핀(520)을 내부 블럭(500)의 나사홀(501)로부터 분리 또는 해체하여 간섭을 제거한 후, 외부 몸체(200)을 회전시켜 돌출 거리(L)를 조정한 다음, 다시 이동핀(520)을 내부 블럭(500)의 나사홀(501)에 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지핀(140)을 역시 볼트 체결 방식으로 중공 탭부(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볼트 체결 방식은 이동핀(520) 및 지지핀(14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제작, 돌출량 조절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핀(140) 및 이동핀(520) 각각의 볼트헤드부(143, 523)는 핀본체부(142) 또는 연장부(5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있거나, 고리부(301, 30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볼트헤드부(143, 523)는 탄성체(30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301, 302)의 이탈, 즉 탄성체(300)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동핀(520)은 내부 블럭(500)의 홈부(5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내부 블럭(500)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런 이동핀(520)은 앞서 설명한 중공 탭부(130)의 가이드 슬롯(131)을 각각 통과하여 중공 탭부(130)의 지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이동핀(520)은 내부 블럭(50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즉 내부 블럭(500)의 후방쪽의 외주면의 나사홀(50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521)를 가지고 있다.
이때, 나사홀(501)은 내부 블럭(500)의 외주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갖는 홀입구부(502)에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홀(501)의 나사 가공에 따라 발생 가능한 버(burr) 또는 나사산 끝단의 날카로운 부위 등으로 인하여, 중공 탭부(130)의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홀입구부(502)의 면적만큼 마찰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내부 블럭(500)의 이동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핀(520)은 가이드 슬롯(131)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미끄럼 원주면을 가지고 있는 연장부(522)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522)는 나사산이 있는 것에 비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이드 슬롯(131)에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런 연장부(522)는 사용자의 손가락 힘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나사부(521)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서, 가이드 슬롯(131)의 외부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동핀(520)은 연장부(522)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523)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편안하게 이동핀(520) 및 내부 블럭(500)을 잡아당길 수 있을 힘을 이동핀(520)의 나사부(523) 및 연장부(522)를 통해 작용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천공 깊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의 잔재물 배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의 직경(D1)이 중공 펀치부(120) 또는 공구 체결부(110)의 직경(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중공 탭부(130)의 직경(D1)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 탭부(130)의 외주면에는 정밀한 숫나사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멍 가공을 위해 홀 가공 툴(10)이 작업 대상물을 향하여 이동된 이후, 구멍 가공 부위의 표면에 근접되는 과정에서,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이 작업 대상물에 접촉함으로써, 홀 가공 툴(1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외부 몸체(200)와 내부 몸체(100)간 나사 회전(R)에 의해, 외부 몸체(200)는 툴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M)하고, 그 결과 천공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나사 회전량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이 중공 펀치부(120)의 끝단에 더 가까운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최초 돌출 거리(L1)는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된 도 4의 돌출 거리(L2)로 조절되고, 조절된 돌출 거리(L2)에 대응하게 천공 깊이가 만들어지는 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외부 몸체(200)의 나사 회전량은 돌출 거리(L1, L2)의 조절량 또는 천공 깊이의 변화량과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천공 작업을 수행 전, 나사 회전(R)을 통해 외부 몸체(200)를 내부 몸체(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몸체(100)에 따르면, 중공 펀치부(120) 및 중공 탭부(130)의 각각의 내부는 동일 내경을 갖는 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멍 가공시 발생하는 잔재물(W)(도 6 참조)을 제거하기 위한 내부 블럭(500)의 매끄러운 이동 경로가 내부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내부 몸체(100)의 가이드 슬롯(131)은 외부 몸체(200)의 외부 슬롯(202)에 대하여 공간상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몸체(200)는 내부 몸체(100)의 가이드 슬롯(131)에 선택적으로 겹칠 수 있는 복수개의 외부 슬롯(202)를 포함한다.
이때, 각 외부 슬롯(202)은 외부 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 몸체(2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외부 몸체(200)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고, 가이드 슬롯(131)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슬롯 길이, 또는 가이드 슬롯(13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슬롯 폭(S)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핀(520)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외부 몸체(200)를 회전(R) 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내부 블럭(500)을 내부 몸체(100)의 중공 탭부(130)의 내부 공간에서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신의 손가락으로 미는 힘(F1)을 이동핀(520)에 인가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 기준으로, 이동핀(520)과 함께 내부 블럭(500)은 이동(예: 전진)할 수 있다.
만일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에 구멍 가공시 발생한 잔재물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하는 내부 블럭(500)이 잔재물을 중공 펀치부(120)의 외부로 밀어 배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체(300)는 신장되면서 인장력(F2)(예: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만일, 잔재물 제거를 끝낸 사용자가 이동핀(520)으로부터 자신의 손가락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300)의 인장력(F2)은 상기 전진 또는 이동된 내부 블럭(500) 및 이동핀(52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예: 후진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내부 블럭(500) 및 이동핀(520)은 원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지핀(140)은 탄성체(300)의 신장 또는 축소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중공 탭부(130)의 가이드 슬롯(131)은 이동핀(520)의 직선 왕복 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몸체(200)의 외부 슬롯(202)은 가이드 슬롯(131)에 비해 넓은 관통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핀(520)과 비접촉될 수 있고, 내부 블럭(500) 및 이동핀(52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홀 가공 툴(10)을 이용한 구멍 가공 작업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홀 가공 툴을 이용한 천공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를 작업 대상물(30) 위에 올릴 수 있다(도 6의 (I) 참조).
여기서, 작업 대상물(30)은 여러 겹의 천 또는 제 1 층(31) 및 제 2 층(32)을 갖는 복층 보온재일 수 있다.
또한,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는 구멍 가공의 편의성을 위해 미리 표기된 구멍을 갖는 얇은 금속판일 수 있다.
이때, 구멍 수량이 적고 구멍 위치가 중요하지 않을 경우,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를 올려 놓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외부 몸체(200)와 내부 몸체(100)를 상호 나사 회전시켜서, 중공 펀치부(120)의 돌출 거리(L)를 미리 조절 및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돌출 거리(L)는 작업 대상물(30)의 제 1 층(31)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제 1 층(31) 및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돌출 거리(L)는 천공 깊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중공 펀치부(120)가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 사용 유무에 따라서, 돌출 거리(L) 작업 대상물(30)의 제 1 층(31)의 두께, 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 및 제 1 층(31)의 합산 두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위와 같이 천공 깊이를 고정 또는 조절한 다음, 홀 가공 툴(10)을 전동 공구의 척 어셈블리(20)에 장착한다.
도 6의 (II) 및 (III)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에 표기된 구멍에 따라 전공 공구 및 홀 가공 툴(10)을 이용한 구멍 작업을 수행한다.
구멍 가공 도중, 내부 몸체(100)의 중공 펀치부(120)는 작업 대상물(30)의 제 1 층(31)에 해당하는 보온재를 뚫게 된다.
또한, 외부 몸체(200)의 단차면(201)은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표면에 접촉, 또는 작업 가이드 플레이트(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 1 층(31)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전동 공구 및 홀 가공 툴(10)의 이동은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잔재물(W)은 홀 가공 툴(10)의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탄성체(300)는 축소된 상태로 이동핀(520)과 지지핀(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의 (IV)를 참조하면, 구멍 작업 이후 홀 가공 툴(10)은 작업 대상물(3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다.
그 결과, 앞서 설명한 돌출 거리(L)에 대응한 천공 깊이만큼 구멍(H)이 작업 대상물(30)에 가공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30)의 제 1 층(31)에는 구멍(H)이 가공되지만, 선택적으로 제 2 층(32)에는 구멍(H)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V)를 참조하면, 홀 가공 툴(10)의 중공 펀치부(120)의 내부 공간에는 잔재물(W)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런 잔재물(W)의 제거를 위해서, 사용자 자신의 손가락으로 미는 힘(F1)을 이동핀(520)에 인가하여서, 이동핀(520) 및 내부 블럭(5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9의 (VI)를 참조하면, 이동핀(520) 및 내부 블럭(500)의 이동으로 인하여, 잔재물(W)은 내부 블럭(500)에 의해 중공 펀치부(120)의 외부쪽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
또한, 탄성체(300)는 이동핀(520)의 이동 및 지지핀(140)의 고정(예: 지지)에 의해서 신장되면서 인장력(F2)(예: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도 10의 (VII)를 참조하면, 잔재물(W)은 홀 가공 툴(10)로부터 분리 및 배출(예: 중력에 의한 자연 낙하)되어 미 도시된 수거함의 내부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동핀(52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런 경우, 탄성체(300)의 인장력(F2)은 내부 블럭(500) 및 이동핀(520)을 원래 위치로 신속히 복귀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곧바로 다음 구멍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홀 가공 툴에 남아 있는 잔재물을 별도의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구멍 가공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고, 생상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조작성이 높은 전동 공구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가이드 슬롯에 의해 이동핀이 가이드됨으로써, 그 결과 내부 블럭의 직선 왕복 이동 품질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재물 제거를 위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에 따른 번거러움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홀 가공 툴 100 : 내부 몸체
110 : 공구 체결부 120 : 중공 펀치부
130 : 중공 탭부 132 : 가이드 슬롯
140 : 지지핀 200 : 외부 몸체
202 : 외부 슬롯 210 : 고정 나사
300 : 탄성체 400 : 댐퍼 블럭
500 : 내부 블럭 520 : 이동핀

Claims (8)

  1. 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끝단에 공구 체결부를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 중공 펀치부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펀치부와 상기 공구 체결부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중공 탭부를 형성한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대한 나사 회전을 통해서 작업 대상물에 가공할 구멍의 천공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중공 탭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한 외부 몸체;
    상기 중공 탭부와 상기 중공 펀치부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 블럭; 및
    상기 내부 몸체를 기반으로 지지되고, 상기 내부 블럭의 이동 또는 복귀 시 탄성력을 상기 내부 블럭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외부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탭부에는 상기 중공 펀치부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내부공간 끝에 댐퍼 블록이 설치되는 홀 가공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탭부에는,
    상기 내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부 몸체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홀 가공 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는,
    상기 내부 몸체의 상기 가이드 슬롯에 선택적으로 겹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지름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슬롯 길이를 갖고, 상기 가이드 슬롯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슬롯 폭을 갖는 복수개의 외부 슬롯을 포함하는 홀 가공 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는,
    상기 중공 탭부의 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1 링부;
    상기 제 1 링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탭부의 전방 위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를 갖는 제 2 링부;
    상기 제 1 링부 및 상기 제 2 링부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일체형의 연결부;
    상기 외부 슬롯을 제외한 곳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 몸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서로 관통하고, 상기 외부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외부 몸체와 상기 내부 몸체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홀 가공 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탭부는,
    상기 중공 펀치부 또는 상기 공구 체결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경; 및
    상기 중공 펀치부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홀 가공 툴.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탭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서 상기 중공 탭부의 후방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핀 설치 구멍; 및
    상기 탄성체가 상기 내부 몸체를 기반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핀 설치 구멍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공 탭부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핀;을 포함하는 홀 가공 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블럭은,
    상기 중공 펀치부에 의해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중공 펀치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잔재물을 툴 외부로 밀어 내도록, 상기 잔재물과 접촉하는 상기 내부 블럭의 끝단면에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블럭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슬롯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중공 탭부의 지름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이동핀;을 포함하는 홀 가공 툴.
KR1020180080201A 2018-07-10 2018-07-10 홀 가공 툴 KR10212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01A KR102129098B1 (ko) 2018-07-10 2018-07-10 홀 가공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201A KR102129098B1 (ko) 2018-07-10 2018-07-10 홀 가공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44A KR20200006444A (ko) 2020-01-20
KR102129098B1 true KR102129098B1 (ko) 2020-07-01

Family

ID=6936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201A KR102129098B1 (ko) 2018-07-10 2018-07-10 홀 가공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70A (ko) 2020-07-15 2022-0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료 확보용 펀칭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40B2 (ja) * 1993-12-27 2001-03-12 オルガノ株式会社 連続イオン交換装置
JP4421157B2 (ja) * 1999-06-03 2010-02-24 アルスリン エス アー 口腔外科で使用される穿孔器具のストッパを備えた安全装置、並びに穿孔深さを前校正および記憶する装置
CN202317173U (zh) * 2011-11-11 2012-07-11 湖北金科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波轮去芯钻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40U (ja) * 2008-07-18 2008-10-02 立身 斎藤 電動工具用ビ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40B2 (ja) * 1993-12-27 2001-03-12 オルガノ株式会社 連続イオン交換装置
JP4421157B2 (ja) * 1999-06-03 2010-02-24 アルスリン エス アー 口腔外科で使用される穿孔器具のストッパを備えた安全装置、並びに穿孔深さを前校正および記憶する装置
CN202317173U (zh) * 2011-11-11 2012-07-11 湖北金科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波轮去芯钻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70A (ko) 2020-07-15 2022-0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료 확보용 펀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44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4544A (en) Drill feed control
US7896590B2 (en) Cutter for engagement with an arbor
US6676343B2 (en) Hole enlarging bit for power drills
US20180166867A1 (en) Cable stripper having an adjustable bushing
CN101035642B (zh) 具有非圆形连接端的工具
JPWO2014156471A1 (ja) 電動工具
CN110496992B (zh) 一种金属钢管自动打孔装置
KR102129098B1 (ko) 홀 가공 툴
CN104439426A (zh) 一种钻孔导向装置
US20190039262A1 (en) Hole saws
US20050244238A1 (en) Hole resizing arbor for power drills
KR102172799B1 (ko) 홀 가공 툴
JP3873190B2 (ja) レール穿孔装置
US7896589B2 (en) Cutter for engagement with an arbor
KR102172798B1 (ko) 홀 가공 툴
JP7042267B2 (ja) センタリング装置を備えた、金属ナットのねじ切りのためのタッピングマシン
KR102172800B1 (ko) 홀 가공 툴
JP2005111592A (ja) 被覆コルゲート管カッター及び被覆コルゲート管の切断方法
JP4562724B2 (ja) パイプ加工装置
WO2022174821A1 (zh) 切割工具及支架制造方法
JP4471151B2 (ja) 穿孔具
JP6357352B2 (ja) 自動工具交換装置付きドリルタップマシン
US5933963A (en) Tube saw
JP2016175139A (ja) 穿孔機
JP6573300B1 (ja) 加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