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616B1 -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 Google Patents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616B1
KR102128616B1 KR1020180082123A KR20180082123A KR102128616B1 KR 102128616 B1 KR102128616 B1 KR 102128616B1 KR 1020180082123 A KR1020180082123 A KR 1020180082123A KR 20180082123 A KR20180082123 A KR 20180082123A KR 102128616 B1 KR102128616 B1 KR 10212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table
wheelchair
enclosure
us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8242A (en
Inventor
이수경
김병조
박진성
장준혁
변민재
이동헌
허현구
박근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616B1/en
Publication of KR2020000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접어 수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미는 바퀴(hand rim)를 구비한 휠부와,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위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 사이를 연결하여 팔걸이(armrest)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된 봉 형상의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을 갖고,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사용자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지지되거나 전개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자력에 의해 합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to maximiz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and the inclination of the table can be adjusted, the wheel portion having a hand rim (hand rim), and the wheel An additional rotatable mainframe, a seat supported by the mainframe,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 and supported by the mainframe, a handle extending rearward from above the backrest,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eat It has a plurality of sub-frames in the shape of rod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to perform the role of an armrest (armrest), so that the user does not cause interference to the user while not in the seat, the user's forward direction After sliding, it is possible to include a table modul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frame so as to be able to coalesce a folding table that can be supported or deployed based on the subframe by magnetic force.

Description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Wheelchair with folding table{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바퀴의자, 휠체어 리프트, 전동 리프트, 장애인 좌변기, 재활의료기, 의료기기, 의료보조용품 등과 같은 제품의 양손 팔걸이에서 테이블이 펼쳐지거나 수납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and more specifically, a table is unfolded on both armrests of a product such as a wheelchair, a wheel chair, a wheelchair lift, an electric lift, a disabled toilet seat, rehabilitation medical equipment, medical equipment, and medical aids. Or it relates to a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that can be stored.

일반적으로 휠체어 또는 바퀴의자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바퀴가 달린 이동식 의자이다. 이 기기는 사람의 손으로 바퀴를 돌리거나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하여 앞으로 나가게 할 수 있다. 휠체어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인 질병, 상해, 장애로 인하여 걷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보장구이다.Generally, a wheelchair or a wheel chair is a mobile chair with wheels on which a user can sit. The device can be rotated by the human hand or pushed forward through various automation systems. Wheelchairs are used by people who have difficulty or are unable to walk due to mental or physical illness, injury or disability.

보장구에는 바퀴를 사람의 힘으로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는 일반형 휠체어를비롯하여,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다리의지, 다리보조기, 척추보조기, 자세보조용품 등이 있다.In addition to general wheelchairs that push or pull the wheels by the force of a person, the gusset includes electric wheelchairs, electric scooters, leg prostheses, leg supports, spine aids, and posture aids.

또한, 이들 보장구 중에서 사용자의 손을 지탱할 수 있는 양손 팔걸이를 갖는 제품들이 의자 형태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roducts having both hand armrests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and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hair.

사용자는 의자 형태의 보장구 위에서 앉아서 쉴 뿐만 아니라, 몸이 많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식탁 의자로 갈아타지 않고, 직접 휠체어에 앉아서 식사를 하기도 한다. 또한, 거동이 불편하지만 시력이나 정신건강이 높은 사용자의 경우, 휠체어 위에서 책을 읽거나, 다양한 취미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휠체어에 적용 가능한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user not only sits and rests on the chair-type guaranty, but,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is very uncomfortable, does not change to a table chair, but sits in a wheelchair and ea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but has high eyesight or mental health, a table applicable to a wheelchair is used because he/she reads a book on a wheelchair or performs various hobby activities.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용 테이블은 휠체어의 양손 팔걸이를 지지 수단으로 사용하여, 그 위에 놓고 사용하는 판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The wheelchair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be a plate-shaped structure that is placed on and used by using both armrests of a wheelchair as a support means.

종래 기술의 테이블은 그의 저면에 테이프 형태의 벨크로파스너 등의 부착 수단을 구비한 뒤, 팔걸이에 미리 장착한 벨크로파스너를 통해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table of the prior art may be provided with attachment means such as a tape-shaped velcro fastener on its bottom surface, and then detachable through a velcro fastener previously mounted on the armrest.

그러나, 종래 기술의 테이블은 휠체어에 설치되기 위하여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단순히 목재, 금속재 등의 재질에 따른 중량감과, 휠체어의 평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상 몸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하고, 거치 및 해체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table of the prior art has to be assisted by an assistant in order to be installed in a wheelchair, and simply has a weight according to materials such as wood and metal, and a plate-like body having a surface area equal to or more than the plane of the wheelchair, so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use.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ounting and disassembly is very inconvenient.

또한, 종래 기술의 테이블은 휠체어의 팔걸이의 경사도에 그대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팔걸이 등이 경사져 있는 휠체어, 또는 휠체어 자체가 경사 지면에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되는 경우 등과 같이, 테이블 장체가 경사에 영향을 받아서 테이블 위에 물건을 얹거나 놓는 것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테이블 경사 기능의 부재로 인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ble of the prior art is directly affec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armrest of the wheelchair, the table body is affected by the inclination, such as a wheelchair in which the armrest is inclined, or when the wheelchair itself is inclined naturally because it is on an inclined surface. It is very inconvenient to place or place an object on the table, and due to the absence of the table inclination function, many difficulties may occur in use.

따라서, 종래 기술은 테이블 자체가 판상이거나, 테이블을 휠체어의 팔걸이에 수납, 보관, 운반, 펼침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이 매우 경량이면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휠체어 자체 또는 휠체어의 팔걸이에 휴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력자의 도움 없이도 테이블을 펼치거나 전개시켜 사용함으로써, 활용도가 매우 높은 제품의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the table itself may be plate-shaped, or the table may not be stored, stored, transported, or unfolded in the armrest of the wheelchair, so the table is very lightweight, easy to handle and store, and is carried in the wheelchair itself or in the armrest of the wheelchair. While possible, the user is in urgent need to develop a product with very high utilization by expanding or using the table without the assistance of an assistant as need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1549호(2016.10.06.)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1549 (2016.10.06.)

본 발명은 장시간 휠체어를 사용하는 환자, 사용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휠체어에 마련되어 있는 팔걸이(armrest)로부터 테이블을 펼쳐 사용하거나, 팔걸이 내부에 접어 수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테이블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as a patient, a user, or a person of any age or age who uses a wheelchair for a long time can easily use the table from an armrest provided in the wheelchair or fold it inside the armrest for stor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that can be adjusted inclin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는 바퀴(hand rim)를 구비한 휠부와,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위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 사이를 연결하여 팔걸이(armrest)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된 봉 형상의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휠체어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사용자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지지되거나 전개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자력에 의해 합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모듈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heel part having a hand rim, a main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part, a seat supported by the main frame, connected to the seat,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 plurality of rod-shaped subfram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to serve as an armrest by connecting a supported backrest, a handle extending rearward from above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and the seat In a wheelchair hav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in the seat, after sliding the user in the forward direction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to the user, the folding table that can be supported or deployed based on the subframe is incorporated by magnetic forc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a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including a table module installed on each of the subframe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테이블 모듈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함체; 상기 제 1 함체의 끝단에 결합되고 피봇 역할과 각도 조절 역할을 수행하는 조인트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함체를 덮을 수 있는 제 2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이 상기 제 2 함체의 내부에 접혀 수납되거나, 상기 제 2 함체로부터 펼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 module, rail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frame; A first enclosure movably coupled to the rail; A joint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enclosure and performing a pivoting role and an angle adjusting role; And a second enclosure connected to the joint and capable of covering the first housing by rotating relative to the joint, and the folding table is fol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or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It can have a size that can be unfolded from.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홈 형상의 곡면부; 상기 곡면부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면에 형성된 정지홈; 상기 정지홈과 상기 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레일바퀴를 구비한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the base plat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frame; A groove-shaped curved portion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A stop groove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A rail groove formed between the stop groove and the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And a movable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rail wheels moving along the rail groove.

또한, 상기 제 1 함체는,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벽면과, 상기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정지홈에 형합될 수 있는 반원형 돌기부, 및 상기 벽면의 안쪽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각각 탈부착되어 상기 벽면의 안쪽 공간에 수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 또는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를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the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movable body, the wall surface formed vertically at the rim of the bottom surfac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 semi-circular projection that can be shaped into the stop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wall surface 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d can be accommodated in a support bar for a telescopic structure or a reading support,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der,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all.

또한, 상기 제 2 함체는, 상기 제 1 함체의 커버 또는 뚜껑으로서, 상기 조인트부를 통해 회전시, 상기 제 1 함체의 벽면에 일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테두리를 마감하고 있는 커버면과, 상기 측벽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는 홈 형상의 테이블 고정부, 및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고정부에 연결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측벽 및 커버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접이식 테이블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2 함체의 외부쪽으로 펼쳐져 나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as a cover or a lid of the first housing, when rotated through the joint portion, the side wall coinciding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cover surface closing the edge of the side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ncludes a groove-shaped table fixing port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folding table, and a groove portion used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supporting projection for the reading table, and the folding table connected to the table fixing portion is ,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and the cover surface, or the folding table may be extended outward from the inner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enclosure by the user.

또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양분된 형태로 각각 상기 테이블 모듈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때, 서로 대면될 수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able tab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s that are installed on side surfaces that can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side surfaces when they are unfolded in a direction that is close to each other from the table module.

또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복수개의 접이선을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금속 박판 재질 또는 카본 파이버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may be made of a metal thin plate material or a carbon fiber material that can be repeatedly folded or unfolded by having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또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코너 저면에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may include a pocket portion formed on a corner bottom surface of the folding table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of the telescopic structure can be fitted.

또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조인트부의 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설치된 각도 조절 레버; 및 상기 각도 조절 레버를 잡아당길 때 상호 분리되고, 상기 각도 조절 레버를 잡아당기지 않을 때 내부 탄성체에 의해 복원되어 상호 결속되는 톱니형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portion, the angle adjustment lever installed based o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joint portion; And a toothed stopper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angle adjusting lever is pulled, and that is restored by an internal elastic body and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angle adjusting lever is not pull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휠체어 내에서 장시간 있는 사용자에게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수납 및 관리가 편리한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조력자의 도움 없이 테이블을 펼치거나 접어 보관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elchairs equipped with a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able that is easy to use, easy to carry, and easy to store and manage for a user who has been in a wheelchair for a long time, so that the table can be opened or folded without assistance from an assista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종래의 분리된 형태의 휠체어용 판상 구조물 형태 또는 나무나 아크릴 재질의 테이블에 비해서 휴대성과 편리성이 높고, 경량화되어 있어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because it has a high portability and convenience and is lightweight compared to a conventional plate-shaped structure for a wheelchair or a table made of wood or acrylic.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부채처럼 펼쳐서 자석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가볍고 견고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휠체어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of the wheelchair may not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using a light and sturdy material that can be spread like a fan and fixed by a magnet.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사용자가 테이블을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환자, 사용자의 운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carry the table separately, thereb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patient and the user.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접이식 테이블 자체가 경사 조절이 가능하므로, 식탁, 책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folding table itself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dining table and a desk, since the tilting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모듈에 의한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module shown in FIG. 1.
3 to 7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by the table module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present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ng.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In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modul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10)는 휠부(20), 메인프레임(30), 좌석(40), 등받이(50), 손잡이(60), 서브프레임(70) 및 테이블 모듈(1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wheelchair 10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heel part 20, a main frame 30, a seat 40, a backrest 50, a handle 60, and a subframe 70 and a table module 100.

휠부(20)는 메인프레임(3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로서, 그의 옆에 부착된 미는 바퀴(hand rim)를 구비할 수 있다. 휠부(20)는 메인프레임(30)의 전방 양측에 더 부착된 방향 조절용 회전바퀴(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portion 20 is a wheel that is rotatably coupled in the main frame 30, and may have a hand rim attached to the side. The wheel part 2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wheel 22 for direction adjustment, which is further attached to both front sides of the main frame 30.

메인프레임(30)은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 하중을 감당할 수 있는 의자 구조물로서,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0)에는 휠부(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0)의 전방에는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는 복수개의 발받침(31)이 구비되어 있다.The main frame 30 is a chair structure capable of carrying a load when the user is sitting as a whole, and may be configured as a fold. In addition, the wheel portion 20 is mov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30.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otrest 31 that can support the user's foot.

좌석(40)은 천재질 및 쿠션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프레임(30)에 봉재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메인프레임(30)에 지지될 수 있다.The seat 40 is formed of a natural material and a cushion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30 in a bar manner, so that it can be supported on the main frame 30.

등받이(50)는 좌석(40)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메인프레임(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30)에 봉재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등받이(50)도 천재질 및 쿠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ckrest 5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from the seat 40,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frame 30 in a bar manne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mainframe 30. The backrest 50 may also be formed of a cloth material and a cushion material.

손잡이(60)는 복수개 또는 2개로서, 등받이(50)를 지탱하고 있는 메인프레임(30)의 상부 끝단에서 각각 휠체어의 배면 방향으로 꺾여 있을 수 있다. 즉, 손잡이(60)는 메인프레임(30)의 상부 끝단을 기준으로 등받이(50) 위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handles 60 are plural or two, and may be bent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30 supporting the backrest 50, respectively. That is, the handle 60 may extend from the top of the backrest 50 to the rear bas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30.

서브프레임(70)은 등받이(50)와 좌석(40) 사이를 연결하여 팔걸이(armrest)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메인프레임(30)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봉 형상의 구조물 또는 부속품일 수 있다.The subframe 70 may be a plurality of rod-shaped structures or accessori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frame 30 to connect the backrest 50 and the seat 40 to perform the role of an armrest.

테이블 모듈(100)은 서브프레임(7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table module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subframes 70, respectively.

테이블 모듈(100)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서브프레임(70)으로 설치 위치를 지칭하였을 뿐, 휠체어에서 팔걸이를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 영역이라면 어느 곳이든 설치될 수 있다.For ease of explanation, the table module 100 refers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s the subframe 70, and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a frame area that serves as an armrest in a wheelchair.

또한, 테이블 모듈(100)은 휠체어 제작 당시 일체형으로 서브프레임(70)에 구비되거나, 분리 탑재형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휠체어의 암레스트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 module 100 may be a component that may be provided on the subframe 70 as an integral type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wheelchair,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armrest of the existing wheelchair.

테이블 모듈(100)은 2개를 1세트로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70)을 기반으로 테이블 역할, 테이블 수납 역할, 사용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기능을 구현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테이블을 형성시킬 수 있는 테이블 전개 기능, 독서 책받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table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with two sets of one, based on the subframe 70, a table role, a table storage role, a sliding function to avoid user interference, or a user directly sitting in a wheelchair A table deployment function and a reading book support function that can form a table in a state can be implemented.

예컨대, 테이블 모듈(100)은 사용자가 좌석(40)에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사용자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기능을 구현한 후, 각 서브프레임(70)을 기반으로 지지되거나 전개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110)을 자력에 의해 합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the table module 100 is supported based on each subframe 70 after implementing a sliding movement function in the user's forward direction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to the user while the user is not in the seat 4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alesce the folding table 110 that can be deployed by magnetic force.

도 2를 참조하면, 각 테이블 모듈(100)은 레일(120), 제 1 함체(130), 조인트부(140), 제 2 함체(150) 및 접이식 테이블(1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each table module 100 includes a rail 120, a first enclosure 130, a joint 140, a second enclosure 150 and a folding table 110.

레일(120)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서브프레임(7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레일(120)의 저면에는 볼트 구멍, 접착 수단, 벨크로파스너 등의 설치 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레일(120)은 볼트(미도시) 등의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70)에 고정될 수 있거나 탈부착 될 수도 있다.The rails 1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frame 70 of FIG. 1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1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such as bolt holes, adhesive means, and Velcro fasteners. That is, the rail 120 may be fixed to the subframe 70 using a mounting means such as a bolt (not shown) or may be detachable.

이런 레일(120)은 서브프레임(7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판(121)과, 그 베이스판(121)의 전방 상면에 형성되고, 조인트부(14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홈 형상의 곡면부(122)를 갖는다. 곡면부(122)는 조인트부(140)의 회전(R)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역할과, 곡면부(122)의 홈 형상에 의해 조인트부(14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일종의 정지턱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The rail 120 is a base plate 121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frame 70, and a groove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joint 140 It has a curved portion 122 of a shape. The curved portion 122 also serves to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R) of the joint portion 140, and also serves as a kind of stop jaw that can seat the joint portion 140 by the groov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122. can do.

또한, 레일(120)은 곡면부(122)와 이격 배치되도록 베이스판(121)의 후방 상면에 형성된 정지홈(123)을 포함한다. 정지홈(123)은 제 1 함체(130)의 슬라이딩을 임시 구속하는 정지턱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정지홈(123)은 제 1 함체(130)의 저면의 반원형 돌기부(131)에 형합될 수 있다. 정지홈(123)은 제 1 함체(130) 및 그 위의 제 2 함체(150)의 움직임을 구속함으로써, 평상시 테이블 모듈(100)로 하여금 기본적으로 암레스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the rail 120 includes a stop groove 123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122. The stop groove 123 serves as a stop jaw for temporarily restraining the sliding of the first housing 130. That is, the stop groove 123 may be fitted to the semi-circular projection 13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enclosure 130. The stop groove 123 restrains the movements of the first enclosure 130 and the second enclosure 150 thereon, thereby allowing the table module 100 to perform the armrest function by default.

또한, 레일(120)은 정지홈(123)과 곡면부(122) 사이에 형성되고 베이스판(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레일(12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홈(12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ail 120 includes a rail groove 124 formed between the stop groove 123 and the curved portion 122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20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21.

또한, 레일(120)은 레일홈(124)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홈(124)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레일바퀴(125)를 구비한 이동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126)는 레일바퀴(125)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레일바퀴(12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126)의 상면은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제 1 함체(1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l 12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groove 124 and may include a moving body 126 having a plurality of rail wheels 125 moving along the rail groove 124. Here, the movable body 126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rail wheel 125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rail wheel 125.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126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30 using bolts or screws.

제 1 함체(130)는 플라스틱 재질, 쿠션 재질, 나무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일측이 개방되고 서브프레임(7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박스형 구조물일 수 있다. 제 1 함체(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체(126)를 통해서 레일(120)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enclosure 130 may be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from any one of a plastic material, a cushion material, and a wood material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frame 70. The first housing 13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rail 120 through the movable body 126 as described above.

즉, 제 1 함체(130)는 이동체(126)에 결합되는 저면(132)과, 그 저면(132)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벽면(133)과, 그 저면(132)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레일(120)의 정지홈(123)에 형합될 수 있는 반원형 돌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using 130 is a bottom surface 132 coupled to the movable body 126, a wall surface 133 formed vertically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132, and a rail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32 It may include a semi-circular projection 131 that can be fitted to the stop groove 123 of the (120).

또한, 제 1 함체(130)는 그의 벽면(133)으로 둘러싸인 안쪽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더(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홀더(134)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양측부가 영문 C자형 탄성핀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closur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13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its wall surface 133. Here, each holder 134 has an open top, and both sides may be composed of an English C-shaped elastic pin.

또한, 제 1 함체(130)는 홀더(134)에 각각 탈부착되어 제 1 함체(130)의 벽면(133)의 안쪽 공간에 수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160)를 포함 또는 수납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를 포함 또는 수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nclosure 130 includes or stores a support bar 160 of a telescopic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f the holders 134 and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wall surface 133 of the first enclosure 130, or The reading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shown in 4 may be included or stored.

지지바(160)와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별도 구성이거나 제 1 함체(130)의 구성품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바(160)는 2개의 제 1 함체(130)들 중에서 일측 함체에 수납되고,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타측 함체에 수납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16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may be separate components or may be components of the first enclosure 130. For example, the support bar 160 may be accommodated in one of the two first enclosures 13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70 for a reading st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other enclosure.

지지바(160)의 길이는 휠체어의 팔걸이 부분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대각선 거리에 대응하게 신장되거나, 제 1 함체(1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축소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160 may be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diagonal distance between the subframes corresponding to the armrest portion of the wheelchair, or may be reduced to have a distance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enclosure 130.

조인트부(140)는 제 1 함체(130)를 기준으로 제 2 함체(150)를 각도 0도에서 180도로 회전(R)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부(140)는 그의 내부에 미도시된 각도 180도 회전 제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2 함체(150)는 각도 180도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The joint 140 is configured to rotate (R) the second enclosure 150 from an angle of 0 degrees to 180 degrees based on the first enclosure 130. Since the joint part 14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on protrusion not shown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e second enclosure 150 may not rotate at an angle of 180 degrees or more.

이런 조인트부(140)는 회전축 방향(RL)을 기준으로 회전(R) 또는 각도 조절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 1 함체(130)의 끝단에 결합되고, 특히 상호 관절 부위에 해당하는 제 1 함체(130)의 끝단 및 제 2 함체(130)의 끝단에서 피봇 역할과 각도 조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joint 140 is to perform rotation (R) or angle adjustment based o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RL),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130, in particular the first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mutual joint site (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pivot role and an angle adjustment role at the end of the 130 and the second enclosure 130.

예컨대, 조인트부(140)는 그의 회전축 방향(RL)을 기준으로 설치된 각도 조절 레버(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40)는 테이블 경사 기능을 위해서 회전축 방향(RL)을 따라 상호 분리 또는 상호 합체될 수 있는 톱니 세트로 이루어진 톱니형 스톱퍼(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톱니형 스톱퍼(142)는 사용자가 각도 조절 레버(141)를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축 방향(RL)을 따라 잡아당길 때 상호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각도 조절 레버(141)를 잡아당기지 않을 때 조인트부(140)의 내부 탄성체(예: 복원스프링)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외에 조인트부(150)는 각도 조절 또는 틸팅 조절 이후, 그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각도 조절형 관절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 각도 조절형 관절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joint portion 140 may include an angle adjustment lever 141 installed based on its rotation axis direction RL. In addition, the joint portion 140 may include a toothed stopper 142 made of a set of teeth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joined together along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RL for a table tilt function. That is, the toothed stoppers 14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grasps the angle adjustment lever 141 with a finger and pulls it along the rotation axis direction RL, or the joint portion when the angle adjustment lever 141 is not pull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internal elastic body (eg, restoration spring) of (140) to bind to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joint portion 150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angle-adjustable joint products capable of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adjusted state after angle adjustment or tilting adjustment, it may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angle-adjustable joint product. have.

제 2 함체(150)는 회전 또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조인트부(140)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140)를 기준으로 회전(R)하여 상기 제 1 함체(130)를 덮을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제 1 함체(130)와 함께 접이식 테이블(110)의 수납 기능, 접이식 테이블(110)의 이동 기능 및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enclosure 150 is connected to the joint unit 140 to be rotatable or angle adjustable, and implements a function to cover the first enclosure 130 by rotating (R) relative to the joint unit 14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torage function of the folding table 110, the moving function and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folding table 110 together with the first enclosure 130.

이를 위해서, 제 2 함체(150)는 제 1 함체(130)의 커버 또는 뚜껑으로서, 조인트부(140)를 통해 회전시, 제 1 함체(130)의 벽면(133)에 일치되는 측벽(151)을 가지고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enclosure 150 is a cover or lid of the first enclosure 130, and when rotated through the joint 140, the sidewall 151 coincides with the wall surface 133 of the first enclosure 130. Have

또한, 제 2 함체(150)는 그의 측벽(151)의 테두리를 마감하고 있는 커버면(152)을 가지고 있다. 커버면(152)에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제 1 함체(130)의 위쪽 부위를 덮고 있을 때, 사용자의 팔과 상기 쿠션부가 접촉되게 하여서, 편안한 암레스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nclosure 150 has a cover surface 152 closing the edge of its sidewall 151. The cover surface 152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shion portion (not show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nclosure 130, the user's arm and the cushion portion are brought into contact,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rmrest. You can also do

또한, 제 2 함체(150)는 그의 측벽(151)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접이식 테이블(110)의 일측 끝단(113)을 고정하는 홈 형상의 테이블 고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enclosure 150 may include a groove-shaped table fixing portion 153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51 to fix one end 113 of the folding table 110.

이렇게 테이블 고정부(153)에 고정 또는 연결된 접이식 테이블(110)은 제 2 함체(150)의 측벽(151) 및 커버면(15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접이식 테이블(110)은 제 2 함체(15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제 2 함체(150)의 외부쪽으로 펼쳐져 나올 수 있다.The folding table 110 fixed or connected to the table fixing part 153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151 and the cover surface 152 of the second enclosure 150. 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110 may be unfold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enclosure 15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enclosure 150 by the user.

이를 위해서, 접이식 테이블(110)은 제 2 함체(150)의 내부에 접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110)은 제 2 함체(150)로부터 펼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foldable table 110 may be folded and stored inside the second enclosure 150. 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110 may have a size that can be unfolded from the second enclosure 150.

접이식 테이블(110)은 전체 테이블 면적의 1/2 크기로서, 각 테이블 모듈(100)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이식 테이블(110)은 양분된 형태로 각각 상기 테이블 모듈(100)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때, 서로 대면될 수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자석(1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자석(111)은 접이식 테이블(110)의 일측 끝단(113)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타측 끝단에 배열 또는 설치되어 있다.The folding table 110 is 1/2 the size of the entire table area,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table module 100. That is, the folding table 110 is installed on a side that can face each other when they are unfolde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from the table module 100 in a bisected form, and a plurality of magnets 111 spaced apart along the side ). That is, the plurality of magnets 111 are arranged or installed at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one end 113 of the folding table 110.

또한, 접이식 테이블(110)은 자석(111) 부위를 제외하고, 복수개의 접이선 또는 접이선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힌지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금속 박판 재질 또는 카본 파이버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접이식 테이블(110)은 플라스틱 재질, 직물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110 is made of a metal sheet material or carbon fiber material that can be repeatedly folded or unfolded by having hinge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or folding lines, except for the magnet 111 portion. Can consist of 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11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a textile material.

또한, 접이식 테이블(110)은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160)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접이식 테이블(110)의 코너 저면에 형성된 포켓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부(112)는 지지바(160)의 끝단을 수용하는 튜브형 몸체로서, 포켓부(112)의 일측은 지지바(160)의 끝단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포켓부(112)의 타측은 지지바(160)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table 110 may include a pocket portion 112 formed on a corner bottom surface of the folding table 110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160 of the telescopic structure can be fitted. Pocket 112 is a tubular body that receives the end of the support bar 160, one side of the pocket 112 is open to receive the end of the support bar 160, the pocket of the 112 The other side may be closed to support the end of the support bar 160.

또한 제 2 함체(150)는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홈부(154)를 각각 포함 또는 구비하고 있다. 홈부(154)는 조인트부(140)에 근접한 곳을 기준으로 제 2 함체(15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부(154)의 홈 연장 방향은 제 2 함체(15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nclosure 150 includes or includes a groove portion 154 that is used to couple or separate the support protrusion 170 for a reading stand. The groove portion 15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enclosure 150 based on the place close to the joint portion 140. Here, the groov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oove portion 154 may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nclosure 150.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의 작동 방법 또는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or using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테이블 모듈에 의한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3 to 7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by the table module shown in FIG. 1.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테이블 모듈(100)의 각각의 레일(120)의 연장 방향으로 힘을 준다. 이런 경우, 상호 겹쳐진 상태의 제 1 함체(130) 및 제 2 함체(150)는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사용자의 전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3 and 4, the user applies a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each rail 120 of the table module 100. In this case, the first housing 130 and the second housing 150 in the overlapped state may be moved along the rail 120 to be moved to the user's front position.

이런 경우, 사용자의 전방 위치에는 후술되는 접이식 테이블(110)의 전개 공간이 더욱 넓게 확보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휠체어의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매우 용이하게 접이식 테이블(110)을 펼칠 수 있고, 이때 접이식 테이블(110)과 사용자 신체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loyment space of the folding tabl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secured more widely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user.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unfold the folding table 110 while sitting in the seat of the wheelchair, and at this time, interference between the folding table 110 and the user's body may not occur.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인트부(140)를 기준으로 제 2 함체(150)를 각각 회전(R)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rotates (R) each of the second enclosures 150 based on the joint portion 140.

이런 경우, 제 2 함체(150)에 보관되어 있는 접이식 테이블(110)이 표출된다.In this case, the folding table 110 stored in the second enclosure 150 is exposed.

또한, 사용자는 제 1 함체(130)에 보관된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160) 2개를 제 1 함체(130)의 밖으로 꺼내고, 각 지지바(160)를 신장시킨다.In addition, the user takes out the two support bars 160 of the telescopic structure stored in the first housing 130 out of the first housing 130, and extends each support bar 160.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지지바(160)를 크로스 시킨 상태에서 각각 지지바(160)의 끝단을 접이식 테이블(110)의 각 코너의 포켓부(112)에 끼워 넣는다. 그 결과, 접이식 테이블(110)에 대한 중력 또는 수직 하중을 담당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이 접이식 테이블(110)의 아래쪽에 완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바(160)는 접이식 테이블(110)과 제 2 함체(150)의 사이에 배치되고, 결과적으로 제 2 함체(150)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즉, 접이식 테이블(110)에 가해진 하중은 지지바(160)를 경유하여 제 2 함체(150), 조인트부(140), 제 1 함체(130), 레일(120) 및 휠체어의 서브프레임(70)로 전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접이식 테이블(110)은 견고한 하중 지지력을 갖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ser inserts the ends of the support bars 160 into the pockets 112 of each corner of the folding table 11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s 160 are crossed. As a result,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gravity or vertical load on the folding table 110 may be completed under the folding table 110. In particular, the support ba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olding table 110 and the second enclosure 150 and, as a result, can be supported by the second enclosure 150. That is, the load applied to the folding table 110 is via the support bar 160, the second enclosure 150, the joint 140, the first enclosure 130, the rail 120 and the subframe 70 of the wheelchair ), as a result, the folding table 110 may have a solid load bearing force.

또한, 사용자는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를 제 1 함체(130)에서 꺼낸다.In addition, the user takes out the support protrus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from the first enclosure 130.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힌지연결부(172)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히듯이 작동(M)될 수 있고, 그 결과 휠체어의 제 1 함체(130)들 사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사이즈가 되거나, 제 1 함체(130)에 수용될 수 있는 사이즈가 될 수 있다.The reading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can be operated (M) as unfolded or folded by the hinge connection unit 172, and as a result, becomes a siz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enclosures 130 of the wheelchair, or 1 may be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30.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그의 끝단에 끼움편(171)을 구비하고 있다.The reading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is provided with a fitting piece 171 at its end.

도 6을 참조하면, 각 끼움편(171)은 각 제 2 함체(150)의 각 홈부(154)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되는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후술되는 접이식 테이블(110)과 함께 독서 책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each fitting piece 171 may be fitted into each groove portion 154 of each second enclosure 150. The support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combined in this way may also perform a reading book support function together with the folding table 110 described below.

사용자는 양분된 접이식 테이블(110)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각각 자석(111)끼리 상호 대면 및 접촉시킨다.The user pulls the bisected folding table 110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and the magnets 111 face each other and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런 경우, 접이식 테이블(110)은 사용자의 전방 위치에서 완전히 전개 및 합체되고, 지지바(160) 및 제 2 함체(150)에 의해 지지되는 견고한 테이블 구조물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lding table 110 may be a fully sturdy table structure that is fully deployed and incorporated in the user's front position,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enclosure 150.

또한, 사용자는 전개된 접이식 테이블(110) 및 그와 연결된 구성품(예: 지지바(160), 제 2 함체(150), 조인트부(140) 및 제 1 함체(130))을 레일(120)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접이식 테이블(110)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deploy the folding table 110 and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eg, support bar 160, second enclosure 150, joint 140 and first enclosure 130) to rail 120 Since it can be moved further forward or backward within the range of the strok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folding table 110.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인트부(140)의 각도 조절 레버(141)를 조작하여 접이식 테이블(110) 및 제 2 함체(150)를 회전시키고, 각도 조절 레버(141)로부터 손을 땐다. 이런 경우, 접이식 테이블(110)은 경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독서를 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rotates the folding table 110 and the second enclosure 150 by operating the angle adjustment lever 141 of the joint 140, and then lifts the hand from the angle adjustment lever 141. In this case, the folding table 110 may be kept in an inclined state.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reading.

특히,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경사 상태의 접이식 테이블(11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책 등을 접이식 테이블(110) 위에 놓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170)는 벨크로파스너 등의 방식으로 접이식 테이블(110)의 상면에 부착 또는 분리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upport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is disposed under the folding table 110 in an inclined state, the book can be comfortably read while the book is placed on the folding table 110. Here, the support projection 170 for the reading stand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ing table 110 in a manner such as a Velcro fastener.

그리고, 사용자는 접이식 테이블(110)의 사용이 끝난 경우, 도 7로부터 도 3의 순서로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이식 테이블(110)을 제 2 함체(150)의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하여 보관, 운반, 휴대할 수 있다.And, when the use of the folding table 110 is finished, the user performs storage in the order of FIG. 7 to FIG. 3 to consequently easily store and transport the folding table 110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enclosure 150. , Can be carried.

이처럼,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휠체어 내에서 장시간 있는 사용자에게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수납 및 관리가 편리한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조력자의 도움 없이 테이블을 펼치거나 접어 보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and portable for a user who has been in the wheelchair for a long time, and by providing a folding table that is easy to store and manage, the table can be opened or folded without the help of an assistant. I can make it.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는 휴대성과 편리성이 높고, 경량화되어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며, 부채처럼 펼쳐서 자석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가볍고 견고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휠체어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portability and convenience, and is lightweight, so it is easy to use, and by using a light and sturdy material that can be expanded and fixed like a fan, it can greatly increase the weight of the wheelchair. May not increa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equivalent to or within the equivalent range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20 : 휠부
30 : 메인프레임          40 : 좌석
50 : 등받이            60 : 손잡이
70 : 서브프레임 100 : 테이블 모듈
110 : 접이식 테이블 111 : 자석
120 : 레일 130 : 제 1 함체
134 : 홀더 140 : 조인트부
150 : 제 2 함체 160 : 지지바
10: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20: wheel portion
30: main frame 40: seat
50: backrest 60: handle
70: subframe 100: table module
110: folding table 111: magnet
120: rail 130: the first enclosure
134: holder 140: joint
150: second housing 160: support bar

Claims (9)

미는 바퀴(hand rim)를 구비한 휠부와,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 위쪽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 사이를 연결하여 팔걸이(armrest)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된 봉 형상의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휠체어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좌석에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사용자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상기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지지되거나 전개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자력에 의해 합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테이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모듈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함체;
상기 제 1 함체의 끝단에 결합되고 피봇 역할과 각도 조절 역할을 수행하는 조인트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함체를 덮을 수 있는 제 2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이 상기 제 2 함체의 내부에 접혀 수납되거나, 상기 제 2 함체로부터 펼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A wheel part having a hand rim, a main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part, a seat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 backrest connected to the seat and supported by the mainframe, and the upper backrest In the wheelchair having a handle extending from the rear, an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eat to perform a role of an armrest (armrest), a plurality of rod-shaped sub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In order not to cause interference to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not in the seat, after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user, the folding table that can be supported or deployed based on the subframe can be incorporated by magnetic force. Table modul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bframe,
The table module,
Rails respectively disposed on upper surfaces of the subframes;
A first enclosure movably coupled to the rail;
A joint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enclosure and performing a pivoting role and an angle adjusting role; And
It includes; a second enclosure that is connected to the joint, and can rotate and rotate around the joint to cover the first enclosure;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table is folded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enclosure or has a size that can be unfolded from the second enclos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 홈 형상의 곡면부;
상기 곡면부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면에 형성된 정지홈;
상기 정지홈과 상기 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레일바퀴를 구비한 이동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A base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frame;
A groove-shaped curved portion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A stop groove formed on a rear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A rail groove formed between the stop groove and the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And
A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that includes a movable body having a plurality of rail wheels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groove and moving along the rail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함체는,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벽면과,
상기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정지홈에 형합될 수 있는 반원형 돌기부, 및
상기 벽면의 안쪽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각각 탈부착되어 상기 벽면의 안쪽 공간에 수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 또는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를 수용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nclosure,
And the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mobile body,
A wall surface vertic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A semi-circular projec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an be fitted into the stop groove,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wall surfac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folding table for receiving a support bar of a telescopic structure or a support protrusion for a reading stand,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der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a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함체는,
상기 제 1 함체의 커버 또는 뚜껑으로서, 상기 조인트부를 통해 회전시, 상기 제 1 함체의 벽면에 일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테두리를 마감하고 있는 커버면과,
상기 측벽의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는 홈 형상의 테이블 고정부, 및
독서받침대용 받침돌기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고정부에 연결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측벽 및 커버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납되거나, 상기 접이식 테이블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2 함체의 외부쪽으로 펼쳐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enclosure,
As a cover or a lid of the first housing, when rotated through the joint, a side wall coinciding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cover surface that ends the edge of the side wall,
A groove-shaped tabl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fix one end of the folding table, and
It includes a groove portion used to combine or separate the support projection for the reading stand,
The folding table connected to the table fixing part,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table is stored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and the cover surface, or the folding table extends outward from the inner space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양분된 형태로 각각 상기 테이블 모듈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때, 서로 대면될 수 있는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ing table,
Wheelchair having a folding table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s, which are installed on side surfaces that can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long the side surfaces when they are sprea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from the table module in a bisected for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복수개의 접이선을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금속 박판 재질 또는 카본 파이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folding table,
Wheelchair equipped with a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etal sheet material or a carbon fiber material that can be repeatedly folded or unfold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텔레스코픽 구조의 지지바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코너 저면에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folding table,
Wheelchair with a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ck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rner of the folding table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of the telescopic structure can be fit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조인트부의 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설치된 각도 조절 레버; 및
상기 각도 조절 레버를 잡아당길 때 상호 분리되고, 상기 각도 조절 레버를 잡아당기지 않을 때 내부 탄성체에 의해 복원되어 상호 결속되는 톱니형 스톱퍼;를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portion,
An angle adjustment lever install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joint portion; And
A wheelchair with a foldable table including; a toothed stopper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angle adjusting lever is pulled, and restored by an internal elastic body and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angle adjusting lever is not pulled.
KR1020180082123A 2018-07-16 2018-07-16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KR102128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23A KR102128616B1 (en) 2018-07-16 2018-07-16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23A KR102128616B1 (en) 2018-07-16 2018-07-16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42A KR20200008242A (en) 2020-01-28
KR102128616B1 true KR102128616B1 (en) 2020-07-01

Family

ID=6937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23A KR102128616B1 (en) 2018-07-16 2018-07-16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6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179B1 (en) * 2022-02-15 2022-07-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Wheelchairs with combined and detachable sliding boards
KR102531897B1 (en) * 2022-05-16 2023-05-12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Collasible Ch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64A (en) * 2001-10-23 2003-05-07 Wise Gear:Kk Table appliance of wheelchair
KR101293305B1 (en) * 2011-06-02 2013-08-05 서원호 A Chai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9Y1 (en) 2016-08-16 2016-10-25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Table for wheel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164A (en) * 2001-10-23 2003-05-07 Wise Gear:Kk Table appliance of wheelchair
KR101293305B1 (en) * 2011-06-02 2013-08-05 서원호 A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42A (en)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571A (en) Wheel chair with provisions for patient walker
US5904168A (en) Walker with an expandable seat
US7614414B2 (en) Convertible crutches
US908919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US7044267B2 (en) Portable adjustable sleep support device
US5305773A (en) Mobility assist device
US8875327B2 (en) Lightweight portable pelvic exam device
CA3042719C (en) Portable frame
US11786436B2 (en) Walker comprising toilet seat lifting mechanism
KR102128616B1 (en) Wheelchair having foldable table
KR102402692B1 (en) Multifunctional walking car
US7328953B2 (en) Customized articulating anatomical support
KR20160125037A (en) Bath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KR101999921B1 (en) Foldabl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US10925783B2 (en) Conjugal aid chair
JPS62109568A (en) Treatment chair
KR101419672B1 (en) Multiple purpose chair
US4361916A (en) Pediatric table-chair
RU2740222C1 (en) Quick-release and easy-to-assemble adjustable wheelchair
JP2016179163A (en) Self-operating multipurpose cart for care needed person
KR20200012230A (en) A body straighter
US9421138B1 (en) Self-propelling standing commode wheelchair
US10045626B1 (en) Portable elbow rest and method of use
US7017996B2 (en) Reconfigurable chair
JP3227598B2 (en) Wheelchai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