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298B1 - Neckband type earphone - Google Patents

Neckband type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298B1
KR102128298B1 KR1020190046242A KR20190046242A KR102128298B1 KR 102128298 B1 KR102128298 B1 KR 102128298B1 KR 1020190046242 A KR1020190046242 A KR 1020190046242A KR 20190046242 A KR20190046242 A KR 20190046242A KR 102128298 B1 KR102128298 B1 KR 10212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eckband
substrate
dispos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주원
정준호
정태홍
Original Assignee
(주)모비프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프렌 filed Critical (주)모비프렌
Priority to KR102019004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2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ckband type earphone including: a neckband; a cylindrical first hous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eckband; a second cylindrical housing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ckband; a base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a substrate stacked on the base; and a vibration motor dispos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base includes a first region overlapping the subs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region not overlapping the substrate, and the base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vibration motor,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Therefore, the watertightness of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넥밴드형 이어폰{Neckband type earphone}Neckband type earphone{Neckband type earphone}

본 발명은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band type earphone.

이어폰은 사용자의 목에 안착되는 넥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는 넥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5337호(2018. 03, 07. 공고,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넥밴드를 포함하는 이어폰을 개시하고 있다.The earphone may include a neckband seated on the user's neck. Speakers that generate sound waves may be connected to the neckband.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35337 (2018. 03, 07. announcement, referred to as this document) discloses an earphone including a neckband.

본 문헌의 이어폰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측면 케이스가 부가된 형태를 가진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기판이 배치된다. 기판은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와 연결된다. 이러한 본 문헌의 이어폰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또는 측면 케이스까지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어폰 조립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틈으로 물이 침투하여 기판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위험이 크다.The earphone of this document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mbined. Also, the side case has an additional shape. A substrate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 board is connected to the speaker via a cable. Since the earphone of this document needs to be assembled to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or the side case, the earphone assembly process has a complicated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that water may penetrate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cause fatal damage to the substr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5337호(2018. 03, 07.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835337 (Announcement of March 03, 2018)

본 발명은 조립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수밀성과, 하우징의 수용성이 높은 넥밴드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neckband-type earphone having a high watertightness and a watertightness of the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substrate while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넥밴드와, 상기 넥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제1 하우징과, 상기 넥밴드의 타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적층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판과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기판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진동모터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넥밴드형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includes a neckband, a cylindrical first hous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eckband, a cylindrical second housing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ckband, and a base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the base It includes a substrate stacked on and a vibration motor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base includes a first region that overlap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substrate, the base is the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vibration motor may be provid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may provide a neckband-type earphon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된 진동모터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ibration motor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substrate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includes a curved surface, and the curved surface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은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housing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밴드는 상기 배터리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내측에 배치되며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neckband may include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ubstrate, and a wire disposed inside the cable and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하며 스피커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캡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하며 배터리와 상기 기판과 상기 스피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 캡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housing h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re open,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housing, the first cap through which the speaker wire passes, and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battery And a second cap through which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and the speaker pas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위에 적층되는 버튼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드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further comprising a button pad that is stacked on the substrate, the button pad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relative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cap is disposed concave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버튼 패드의 버튼을 노출시키는 버튼홀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housing may include a button hole exposing a button of the button pa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하여 스피커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3 캡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하여 배터리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4 캡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housing h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are open, a third cap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which the speaker wire passes,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battery. A fourth cap through which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passes may be included.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이며 일체형인 하우징을 통해,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수밀성을 높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rough the cylindrical and integral housing,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water tightness of the housing for receiving the substrate.

실시예에 따르며, 하우징이 일체형이며, 기판과 베이스 등이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조립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using is integral, and the substrate and the base are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or rear of the housing,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easy assembly of the earphone.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및 진동모터를 수용하는 베이스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하여, 하우징의 수용성을 높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ase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and the vibration motor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water solubility of the housing.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의 곡면이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하여, 하우징 내부로 베이스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하우징의 내부에서 베이스의 지지구조가 안정적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rved surface of the base make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base in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base within the housing provides a stable advantageous effec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 하우징을 기준으로 본 넥밴드형 이어폰의 분해도,
도 3은 넥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어느 한 측에서 바라본 제1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다른 측에서 바라본 제1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베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베이스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기판과 진동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하우징과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 캡의 홈과 버튼 패드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band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neckband type earphone viewed from the first housing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neckb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ousing viewed from either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using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6 is a view showing a base,
7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base,
8 is a view show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base,
9 is a view showing a substrate and a vibration motor,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housing and a battery,
11 is a view showing the projection of the groove and button pad of the first cap.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of being able to do i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neckband-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이어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하우징을 기준으로 본 넥밴드형 이어폰의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band 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neckband type earphone viewed from the first housing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100)와, 제1 하우징(200)과. 제2 하우징(300)과, 베이스(400)와, 기판(500)과, 진동모터(600)와, 버튼 패드(700)와, 스피커(10,2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neckband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neckband 100 and a first housing 200. The second housing 300, the base 400, the substrate 500, a vibration motor 600, a button pad 700, and speakers 10 and 20 may be included.

넥밴드(100)는 사용자의 목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제1 하우징(200)은 넥밴드(100)의 어느 한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2 하우징(300)은 넥밴드(100)의 다른 측 단부에 배치된다. 베이스(400)와 기판(500)은 제1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모터(600)는 베이스(400)에 수용되어 제1 하우징(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0,20)는 케이블(40)을 통해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10,20)는 전기적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를 생성한다. 스피커(10,20)는 보이스코일, 마그넷 및 진동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ckband 100 is a part that is seated on the user's neck. The first housing 2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neckband 100. The second housing 30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neckband 100. The base 400 and the substrate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200. The vibration motor 6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se 400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200. The speakers 10 and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500 through a cable 40. The speakers 10 and 20 convert electrical and digital signals into analog signals to generate sound waves. The speakers 10 and 20 may include voice coils, magnets, and diaphragms.

기판(500)은 베이스(40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버튼 패드(700)는 기판(500)위에 적층될 수 있다.The substrate 500 may be stacked on the base 400. The button pad 700 may be stacked on the substrate 500.

도 3은 넥밴드(100)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neckband 100.

도 3을 참조하면, 넥밴드(100)는 제1 하우징(200)과 제2 하우징(300)을 연결한다. 넥밴드(100)는, 케이블(110)과 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10)은 넥밴드(100)를 이루는 몸체를 구성하면서, 제1 하우징(200)의 기판(500)과 제2 하우징(300)에 배치된 배터리(800)와 스피커(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110)은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여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12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20)는 케이블(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eckband 100 connects the first housing 200 and the second housing 300. The neckband 100 may include a cable 110 and a wire 120. The cable 110 constitutes a body constituting the neckband 10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800 and the speaker 20 disposed on the substrate 500 and the second housing 300 of the first housing 200. Connect. The cable 110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o be deformable. The wire 120 may b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In addition, the wir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ble 110.

도 4는 어느 한 측에서 바라본 제1 하우징(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측에서 바라본 제1 하우징(200)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ousing 200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ousing 200 viewed from the other side.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200)은 기판(500)과 베이스(400)와 진동모터(600)와 버튼 패드(700)를 내부에 수용한다.2, 4 and 5, the first housing 200 accommodates the substrate 500, the base 400, the vibration motor 600, and the button pad 700 therein.

제1 하우징(20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하우징(200)은 내경보다 길이 긴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캡(210)은 개방된 제1 하우징(200)의 전방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캡은 개방된 제1 하우징(200)의 후방에 삽입된다. 제1 캡(210)과 제2 캡은 제1 하우징(20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캡(210)은 스피커(10,20)에 연결되는 케이블(40)이 관통하는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220)은 넥밴드(100)의 케이블(110)이 관통하는 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2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The first housing 2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longer than the inner diameter. The first cap 210 is inserted in front of the opened first housing 200. In addition, the second cap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opened first housing 200. The first cap 210 and the second cap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first housing 200. The first cap 210 may be formed with a hole 213 through which the cable 40 connected to the speakers 10 and 20 penetrates. The second cap 220 may be formed with a hole 221 through which the cable 110 of the neckband 100 passes.

제1 하우징(200)은 복수의 제1 버튼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홀(230)은 버튼 패드(700)의 버튼(71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제1 하우징(200)은 결합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240)은 제1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베이스(40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하우징(200)은 삽입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250)은 충전을 위한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 USB)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홀일 수 있다.The first housing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utton holes 230. The first button hole 230 exposes the button 710 of the button pad 700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housing 200 may include a coupling hole 240. The coupling hole 240 is for coupling with the base 400 inside the first housing 200.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200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250. The insertion hole 250 may be a hole through which a micro USB for charging is inser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도 6은 베이스(400)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base 400.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400)는 기판(500)과 진동모터(600)를 제1 하우징(200)에 장착시킨다. 베이스(400)는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와 제3 수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와 제3 수용부(430)는 베이스(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410)에는 진동모터(600)가 수용된다. 제1 수용부(410)에 수용된 진동모터(600)는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용부(420)와 제3 수용부(430)에는 기판(500)에 배치된 포트나 전자소자 등이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ase 400 mounts the substrate 500 and the vibration motor 600 on the first housing 200. The base 40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part 410, a second accommodating part 420 and a third accommodating part 430.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0,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420,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430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400. The vibration motor 60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410. The vibration motor 60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500. Ports,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disposed on the substrate 50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420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430.

도 7은 베이스(400)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base 400.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400)는, 측면은 곡면(440)을 포함한다. 곡면(440)은 제1 하우징(20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440)은 베이스(400)가 제1 하우징(20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곡면(440)은 제1 하우징(200)의 내면에 안착하여, 베이스(400)가 제1 하우징(2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곡면(44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e 400 includes a side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440. The curved surface 44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0, and the curved surface 440 induces the base 400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00. In addition, the curved surface 440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0 so that the base 400 can be stably disposed within the first housing 200.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440 may be provided.

도 8은 베이스(400)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base 400.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400)는 제1 영역(O1)과 제2 영역(O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z축은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전후 방향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8, the base 4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O1 and a second region O2. In the drawing, the z-axis represent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front-rear direction.

제1 영역(O1)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기판(500)과 베이스(400)의 오버랩되는 베이스(400)의 영역이다. 제2 영역(O2)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400)와 오버랩되지 않는 베이스(400)의 영역이다. 제1 수용부(410)는 제2 영역(O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원통형의 제1 하우징(200)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진동모터(600)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rst area O1 is an area of the base 400 that overlaps the substrate 500 and the base 4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area O2 is an area of the base 400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base 4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O2. This is to secure the receiving space of the vibration motor 600 in a limited space, such as the cylindrical first housing 200.

도 9는 기판(500)과 진동모터(600)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ubstrate 500 and the vibration motor 600.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410)에 배치된 진동모터(600)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기판(500)과 오버랩 영역(O2)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또한, 내경보다 길이 긴 원통형의 제1 하우징(200)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진동모터(600)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8 and 9, the vibration motor 600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410 may be disposed to form the overlap region O2 with the substrate 500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is also to secure the maximum receiving space of the vibration motor 600 in a limited space, such as the first housing 200 of a cylindrical shape longer than the inner diameter.

베이스(400)에 기판(500)이 적층되고, 기판(500) 위에 버튼 패드(700)가 적층된 상태로, 제1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substrate 500 is stacked on the base 400, and the button pad 700 is stacked on the substrate 50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00.

도 10은 제2 하우징(300)과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housing 300 and the battery.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30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2 하우징(300)은 내경보다 길이 긴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800)는 제2 하우징(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800)는 케이블(120)을 통해 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housing 3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The second housing 3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longer than the inner diameter.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300. The battery 800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500 through a cable 120.

제3 캡(310)은 개방된 제2 하우징(300)의 전방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4 캡(320)은 개방된 제2 하우징(300)의 후방에 삽입된다. 제3 캡(310)과 제4 캡(320)은 제2 하우징(30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피커(10,20)에 연결되는 케이블(40)은 제3 캡(310)을 관통한다. 넥밴드(100)의 케이블(110)은 제4 캡(320)을 관통한다.The third cap 310 is inserted in front of the opened second housing 300. In addition, the fourth cap 320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opened second housing 300. The third cap 310 and the fourth cap 320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housing 300. The cable 40 connected to the speakers 10 and 20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cap 310. The cable 110 of the neckband 100 penetrates through the fourth cap 320.

도 11은 제1 캡(210)의 홈과 버튼 패드(700)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projection of the groove and the button pad 700 of the first cap 210.

도 11을 참조하면, 버튼 패드(700)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210)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배치되는 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720)는 홈(211)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720)가 홈(211)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버트 패드(7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utton pad 700 may include a protrusion 720 protruding based on a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cap 210 may include a groove 211 disposed concavely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rotrusion 72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211. Since the protrusion 720 is disposed in the groove 211,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utt pad 700 from flowing by a user pressing a button.

제1 하우징(200)과 제2 하우징(300은) 원통을 최소로 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이루질 수 있다.The first housing 200 and the second housing 300 may be made of aluminum to minimize the cylinder.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neckband type earphon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any alterable or deformable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넥밴드
200: 제1 하우징
300: 제2 하우징
400: 베이스
410: 제1 수용부
500: 기판
600: 진동모터
700: 버튼 패드
800: 배터리
100: neckband
200: first housing
300: second housing
400: bass
410: first accommodation unit
500: substrate
600: vibration motor
700: Button pad
800: battery

Claims (9)

넥밴드;
상기 넥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제1 하우징;
상기 넥밴드의 타측에 배치되는 원통형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적층되는 기판;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판과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기판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진동모터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하며 스피커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 캡과,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하며 배터리와 상기 기판과 상기 스피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 캡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Neck band;
A cylindrical first hous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eckband;
A second cylindrical housing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ckband;
A base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A substrate stacked on the bas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motor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base includes a first region overlapping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and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substrate,
The base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vibration motor,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includes a curved surface,
The curved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first housing has an open front and rear shape,
A first cap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housing and through which a speaker wire passes,
Neckband-type earphone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housing and including a second cap through which a cable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peaker and the speaker penetrat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된 진동모터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넥밴드형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ng motor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a neckband type earphone arranged to overlap the substrate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ousing is a neckband-type earphone comprising a rechargeable batter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는 상기 배터리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내측에 배치되며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4,
The neckband is a neckband earphone comprising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ubstrate, and a wire disposed inside the cable and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위에 적층되는 버튼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드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tton pad stacked on the substrate,
The button pad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cap is a neckband-type earphone including a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is disposed concavely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버튼 패드의 버튼을 노출시키는 버튼홀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housing is a neckband type earphone including a button hole exposing the button of the button pa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하여 스피커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3 캡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하여 배터리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4 캡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이어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using has an open front and rear shape,
A third cap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speaker wire passes;
Neckband-type earphone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housing and including a fourth cap through which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ubstrate passes.
KR1020190046242A 2019-04-19 2019-04-19 Neckband type earphone KR102128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42A KR102128298B1 (en) 2019-04-19 2019-04-19 Neckband type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42A KR102128298B1 (en) 2019-04-19 2019-04-19 Neckband type ear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298B1 true KR102128298B1 (en) 2020-06-30

Family

ID=7112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42A KR102128298B1 (en) 2019-04-19 2019-04-19 Neckband type ea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2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549A (en) *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earset
KR101713808B1 (en) * 2016-01-29 2017-03-22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Headset
KR101835337B1 (en) 2016-08-26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80125919A (en) * 2018-11-0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549A (en) *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earset
KR101713808B1 (en) * 2016-01-29 2017-03-22 주식회사 블루콤 Bluetooth Headset
KR101835337B1 (en) 2016-08-26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80125919A (en) * 2018-11-0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sou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494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9635448B2 (en) T-shaped joint in a headphone cord
JP5575556B2 (en) earphone
EP0064553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s
US9930436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CN212876067U (en) Bone conduction earphone
JPH0795777B2 (en) 2 way voice communication headphone
JP710103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adapter and acoustic equipment
US11190885B2 (en) Modular hearing aid
JP2023057643A (en) Earphone housing and earphone
US1062384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US9877093B2 (en) Sound generator
KR102128298B1 (en) Neckband type earphone
US20220303659A1 (en) Earphone with detachable add-on unit
US6542614B2 (en) Boomless hearing/speaking configuration for sound receiving means
CN215187292U (en) Earphone set
JP4392419B2 (en) Small speaker unit and small speaker using the same
JPH0111759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230317U (en) earphone
US20110158451A1 (en) Close-Talking Capacitor Microphone
JP7427171B1 (en) open earphones
CN217563766U (en) Bone conduction bluetooth headset
CN215072905U (en) Earphone head structure and earphone
JPH0970087A (en) Bone conduction voice pickup device and speech equipment
CN118104251A (en) Open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