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81B1 - Vibration motor - Google Patents

Vibration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981B1
KR102127981B1 KR1020180129259A KR20180129259A KR102127981B1 KR 102127981 B1 KR102127981 B1 KR 102127981B1 KR 1020180129259 A KR1020180129259 A KR 1020180129259A KR 20180129259 A KR20180129259 A KR 20180129259A KR 102127981 B1 KR102127981 B1 KR 10212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housing
weight body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7159A (en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장원근
김충엄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12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981B1/en
Publication of KR2020004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 속에 삽입된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상기 마그네트의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motor, wherein the vibration motor has a housing, a coil positioned in the housing, a hole located in the housing and the coil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coil inserted in the hole It includes a magnet, a weight body coupled to the magnet, a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 hole in the magnet, and a leaf spring connecting the weight body and the housing.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Vibration moto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겸용으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motor used as a speaker.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통화 등을 위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구비하여, 전화 및 문자 수신 상태, 통화 동작 및 음악 출력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s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for a call, and a vibration motor that generates vibration, so that a call and text reception state, call operation, and music output can be performed. do.

이처럼, 스피커와 진동 모터가 모두 사용될 경우, 휴대 단말기는 이들 스피커와 진동 모터를 설치할 설치 공간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설계의 여유도가 감소하게 된다.As such, when both the speaker and the vibration motor are used, the portable terminal reduces the margin of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se speakers and the vibration motor are installed.

또한 스피커가 장착될 경우, 스피커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영상 표시를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스피커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에는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 영역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a speaker is mounted, image display cannot be perform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speaker is mounted, and thus it is not used as a display area for image display on an upper en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868(공고일자: 2015년 03월 18일, 발명의 명칭: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503868 (Announcement date: March 18, 2015, Title of invention: Vibration motor combined speak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 모터를 스피커로도 사용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설계의 여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vibration motor as a speaker, and thus to increase the margin of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휴대 진동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 속에 삽입된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상기 마그네트의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portable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 housing, a coil positioned in the housing, a hole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into which the coil is inserted, and a coil inserted into the hole. It includes a spaced apart magnet, a weight body coupled with the magnet, a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a hole of the magnet, and a leaf spring connecting the weight body and the housing.

상기 덮개는 상기 중량체 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덮개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 joining part joined to the top surface of the weight body or the magnet, and a protrus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상기 돌출부는 돔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 dome shape or a pillar shape.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중량체의 위치가 최저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덮개는 상기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is positioned at the lowest height due to the vibration, the cover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중량체의 위치가 최고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부면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is located at the highest height due to the vibration, the cover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덮개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외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내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spring may include an out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inn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plate portion and the outer plate portion.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내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외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spring may include an inn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out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plate portion and the outer plate por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스피커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진동 모터의 활용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se features, since the speaker function is made using a vibration motor, the usability of the vibration motor is improved.

또한, 진동 모터에 부착된 덮개로 인해, 진동 모터가 스피커로 이용될 때, 진동 모터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흐름의 효율을 향상시켜 진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의 질이 향상된다. In addition, due to the cover attached to the vibration motor, when the vibration motor is used as a speaker, the efficiency of air fl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is improv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ou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더욱이, 진동 모터가 스피커로 기능할 때, 별도의 진동판이 불필요하므로, 진동 모터의 구조가 좀더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은 더욱 절감된다.Moreover, when the vibration motor functions as a speaker, a separate vibration plate is unnecessary, so 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 motor is simpl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further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가 사용된 제품의 한 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품에서 진동 모터가 위치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덮개에 대한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중량체가 진동할 때 덮개와 케이스부 그리고 덮개와 코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roduct in which a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vibration motor is located in the product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vibration motor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cover of the vibration motor shown in FIG. 3.
6 (a) and (b) are view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 and the case, and the cover and the coil when the weight is vib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ar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m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persons or practices related to the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ence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comprising' embodies specific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이용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본 예의 진동 모터(30)는 스피커 겸용 진동 모터로 사용된다.The vibration mot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n this case, the vibration motor 30 of the present example is a speaker combined vibration Used as a motor.

이처럼, 휴대 단말기에 본 예의 진동 모터가 적용될 때,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휴대 단말기는 상부 케이스(10), 상부 케이스(10)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패널(20), 영상 표시 패널(20)의 하부면에 바로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진동 모터(30), 그리고 진동 모터(30)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 케이스(40)를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ibration motor of the present example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s illustrated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upper case 10, an image display panel 20 positioned under the upper case 10, and an image display panel 20. ), the vibration motor 30 is located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case 40 is located below the vibration motor 30.

이러한 휴대 단말기(1)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진동 모터(30)는 휴대 단말기(1)의 장축 방향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and the vibration motor 30 may be located at one en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상부 케이스(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The upper case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따라서, 영상 표시 패널(20)의 동작을 통한 영상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imag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panel 20 can be display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진동 모터(30)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전화 통화 시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수신용 스피커로 이용될 경우, 별도의 수신용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별도의 구멍(즉, 소리 출력 구멍)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ibration motor 30 is used as a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specifically, a receiving speaker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ositioned adjacent to a user's ear when making a phone call, a separate receiving speaker is not provided. , A separate hole (that is, a sound output hole) of the speaker's sound output is not positioned.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수신용 스피커에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re is no component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0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se 10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eaker.

이로 인해, 본 예의 상부 케이스(10)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지 않아 상부면과 하부면이 모두 막혀 있어,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For this reason, the upper case 10 of this example is not provided with a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blocked, and it is made of one plate shape having the same thickness regardless of the position.

영상 표시 패널(20)은 휴대 단말기(1)의 상부 케이스(10) 쪽으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패널로서, 액정(liquid crystal)이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mage display panel 20 is a panel for outputting an image toward the upper case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a liquid crysta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may be ma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이때, 상부 케이스(10) 및 영상 표시 패널(20)는 가요성 부재(41)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40)에 접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case 10 and the image display panel 20 may be joined to the lower case 40 using a flexible member 41.

본 예의 진동 모터(3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영상 표시 패널(20)의 하부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상태로 진동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중 하나로 기능한다.The vibration motor 30 of this example is attached direct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panel 20, as shown in FIG. 2, and vibrates in a predetermined state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 It functions as on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and the speaker outputting sound.

본 예에서, 진동 모터(30)가 진동부로 기능할 때, 제어부에서 진동 모터(30)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주파수(예,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 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when the vibration motor 30 functions as a vibration unit,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eg,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vibration motor 30 may be 100 to 250 Hz.

또한, 진동 모터(30)가 스피커로 기능할 때, 제어부에서 진동 모터(30)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주파수(예,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 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motor 30 functions as a speaker,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eg,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vibration motor 30 may be 50 to 10 kHz.

이처럼,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진동 상태가 변하게 되어, 진동 모터(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즉, 진동 주파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갖게 되어, 진동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 해당하는 소리나 해당 상태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state of the vibration motor 30 chang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requency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frequency (i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motor 30 is an inaudible frequency band or an audible frequency band. The corresponding sound or vibration in a corresponding stat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0.

이러한 진동 모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31), 고정자(32), 진동자(33), 그리고 탄성체(34)를 구비한다.3 and 4, the vibration motor 30 includes a housing 31, a stator 32, a vibrator 33, and an elastic body 34.

하우징(31)은 내부에 진동 모터(30)를 구비하여 진동 모터(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The housing 31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motor 30 therein to protect the vibration motor 30 from the outside.

따라서, 하우징(31)은 진동 모터(3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에 고정자(32), 진동자(33) 및 탄성체(34)가 위치한다. Therefore, the housing 31 has a space in which the vibration motor 30 is located, and the stator 32, the vibrator 33, and the elastic body 34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1.

하우징(31)은 원통형 기둥이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1)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정해진다.The housing 31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pillar or a polygonal pillar, and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31.

하우징(31)은 브라켓(bracket)(311) 및 이 브라켓(311)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부(312)를 구비한다.The housing 31 includes a bracket 311 and a case part 312 connected to the bracket 311.

브라켓(311)은 하우징(31)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다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The bracket 311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 and has a circular or multi-planar flat shape.

케이스부(312)는 브라켓(311) 위에 위치하고 진동 모터(3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The case part 312 is located on the bracket 311 and serves as a cover of the vibration motor 30.

이러한 케이스부(312)는 하우징(31)의 측부과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인 내부 공간이 하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다.The case portion 312 constitutes a s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1, and a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an inner space that is an empty space is opened through the lower portion.

따라서, 브라켓(311)과 케이스부(312)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에 고정자(32), 진동자(33) 및 탄성체(34)가 위치한다. Therefore, the stator 32, the vibrator 33, and the elastic body 34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bracket 311 and the case portion 312.

이러한 브라켓(311)과 케이스부(312)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cket 311 and the case 312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r a non-magnetic material.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자(32)와 진동자(33)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자(33)는 고정자(32)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stator 32 and the vibrator 33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1 generate electromagnetic force by interaction. Accordingly, the vibrator 33 generates a vibration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interaction with the stator 32.

고정자(32)와 진동자(33)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자(32)는 진동자(33)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진동자(33)는 고정자(32)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stator 32 and the vibrator 33 are relative concepts to each other, and the stator 32 refers to a part fixed to the vibrator 33 and the vibrator 33 refers to a part vibr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32.

본 예에서, 고정자(32)는 회로기판(321), 회로기판(321)과 케이스부(312)에 위치하는 코일(322)을 구비한다. In this example, the stator 32 includes a circuit board 321, a circuit board 321, and a coil 322 positioned on the case portion 312.

또한 진동자(33)는 마그네트(331), 마그네트(331)와 연결되어 있는 중량체(weight)(332) 그리고 중량체(332)의 상부를 덮고 있는 덮개(33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vibrator 33 includes a magnet 331, a weight 332 connected to the magnet 331, and a cover 333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332.

고정자(32)의 회로기판(321)은 진동 모터(30)의 동작의 제어하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321 of the stator 32 may be ma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n which a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0 is mounted,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It can be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코일(322)은 하우징(31)의 하부인 회로 기판(321) 위에 위치하며, 요크(York)(3221)와 요크(3221)에 해당 방향으로 복수 번 권선된 철선(3222)을 구비하는 코일이다.The coil 322 is located on the circuit board 321,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 and is a coil provided with a yoke 3221 and an iron wire 3222 wound multiple tim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n the yoke 3221. .

이러한 코일(322)의 양단은 회로 기판(321)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321)으로부터 코일(322)에 전기적인 신호, 예 교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33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즉, 진동힘)이 발생한다.Both ends of the coil 322 ar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of the circuit board 321, so that electrical signals, such as alternating current, are applied to the coil 322 from the circuit board 321 through the terminals. Electromagnetic force (that is, vibration force) is generated by interaction with the magnet 331.

코일(322)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방향은 마그네트(331)의 착자 형태 및 코일(322)과 마그네트(331)의 배치 관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The direction of the alternating current applied to the coil 32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etization form of the magnet 331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il 322 and the magnet 331.

진동자(33)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마그네트(331), 중량체(332) 및 덮개(333)를 구비한다.The vibrator 33 has a magnet 331, a weight 332, and a cover 333, as already described.

마그네트(331)는 가운데 부분에 코일(322)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인 구멍(H331)을 구비하고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형태를 갖고 있다.The magnet 331 has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cylindrical or square column, having a hole H331, which i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coil 322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center portion.

따라서, 가운데 위치한 구멍(H331) 속으로 코일(322)이 삽입되어, 마그네트(331)는 구멍(H331) 속으로 삽입된 코일(322)의 부분을 주변에서 에워싸고 있다.Therefore, the coil 322 is inserted into the hole H331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magnet 331 surrounds the portion of the coil 322 inserted into the hole H331 in the surroundings.

중량체(332)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332)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3)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량체(332)의 질량을 조정해 진동자(33)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 weight body 332 is an object having a weight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vibrator 33 may be determined by the mass of the weight body 332, so that the mass of the weight body 332 is adjusted to adjust the vibrator 33. Can have the maximum amount of vibration.

이러한 중량체(332)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또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eight body 33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and may also be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한 예로, 중량체(332)는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body 33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iron, such as tungsten.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량체(332)는 인접해 위치하는 마그네트(33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력에 의한 마그네트(331)의 진동 시 중량체(332) 역시 진동한다. 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weight 332 is coupled to the magnet 331 located adjacent, the weight 332 also vibrates when the magnet 331 is vibrated by electromagnetic force.

본 예에서, 중량체(332)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가운데 부분에 대략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멍을 구비하므로 내부에 위치한 구멍 속으로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의 마그네트(331)가 삽입되어 중량체(332)의 내부 측면과 접하게 장착되므로, 마그네트(331)와 중량체(332)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In this example, since the weight 33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polygonal hole such 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or a square shape in the center portion, a magnet 331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a polygonal column is inserted into the hole located therein. Since it is moun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weight body 332, the magnet 331 and the weight body 332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러한 중량체(332)는 가운데 부분에 구멍을 갖고 있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The weight 332 has a circular or polygonal planar shape with a hole in the center portion.

덮개(333)는 중량체(332)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마그네트(331)의 구멍(H331)을 덮고 있다.The cover 333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332 to cover the hole H331 of the magnet 331.

이러한 덮개(333)은 수지재 또는 얇은 금속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접합부(3331)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돌출부(3332)을 구비하고 있다.The cover 333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or a thin metal film, and has a joint portion 3331 located at the edge and a projection portion 3332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이처럼, 덮개(333)는 진동자(33)인 중량체(33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중량체(332)의 진동이 전달되어 중량체(332)와 함께 진동한다.As such, the cover 333 is attached to the weight 332, which is the vibrator 33,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weight 332 is transmitted and vibrates with the weight 332.

본 예에서, 덮개(333)의 접합부(3331)은 구멍(H331) 주변을 완전히 에워싸게 중량체(332)의 상부면 부분과 접합되어, 덮개(333)에 의해 마그네트(33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구멍(H331)이 완전히 덮여져 구멍(H331)이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junction portion 3331 of the cover 333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weight body 332 to completely surround the hole H331, and the cover 333 is attach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magnet 331. The positioned hole H331 may be completely covered, and the hole H331 may not be exposed from the outside.

하지만, 덮개(333)의 접합부(3331)는 구멍(H331)을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 중량체(332)의 상부면 부분의 일부에만 접착되게 위치하여, 구멍(H331)은 덮개(333)에 의해 일부만 덮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중량체(332)의 상부면과 접해 있지 않는 덮개(333)의 가장자리 부분이 존재하여, 이 가장자리 부분과 중량체(332)의 해당 상부면 사이에 외부와 통해 있는 빈 틈이 존재하므로 이 틈을 통해 구멍(H33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However, the bonding portion 3331 of the cover 333 is positioned to be adhered only to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weight 332 that completely surrounds the hole H331, so that the hole H331 is only partially covered by the cover 333. Can be covered. In this case, there is an edge portion of the cover 333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332, so that there is an empty gap through the outside between the edge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332. A part of the hole H33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gap.

또한 덮개(333)의 상부면은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이 구비하지 않고 완전히 막혀 있지만,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다른 예에서, 덮개(333)의 돌출부(3332)는 해당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333)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33 is completely blocked without a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shown in FIG. 5, in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3332 of the cover 333 completely covers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le (H333) through.

또한, 본 예의 덮개(333)의 돌출부(3332)는 상부 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부분으로서, 반구 형태의 돔(dome) 형상이거나 수직한 측면과 평탄한 상부면을 갖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jection portion 3332 of the cover 333 of this example protrudes convexly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includes an empty space therein, a dome-shaped dome shape, or a pillar shape having a vertical side surface and a flat upper surface. Can be

이와 같이, 덮개(333)의 돌출부(3332)로 인해, 진동자(33)가 진동할 때, 덮개(333)과 코일(322)의 손상이 방지된다.In this way, due to the protrusion 3332 of the cover 333, when the vibrator 33 vibrates, damage to the cover 333 and the coil 322 is prevented.

즉, 도 6의 (a)와 같이, 중량체(332)의 진동으로 인해, 중량체(332)의 위치가 최고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덮개(333)의 최고 부분[즉, 돌출부(3332)의 상단]은 하우징(31)의 상단 내부면 즉, 케이스부(312)의 내부면과 닿지 않고 이격되고, 도 6의 (b)와 같이, 중량체(332)의 위치가 최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코일(322)의 상단과 대응되는 덮개(333)의 해당 부분인 돌출부(3332)의 해당 부분 역시 코일(322)의 상단과 닿지 않고 이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 (a), due to the vibration of the weight body 332, even if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332 is located at the highest height of the top portion of the cover 333 (that is, the top of the protrusion 3332) ] Is spaced without contact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312, an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weight 332 is located at the lowest height, as shown in FIG. 6(b), the coil (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protrusion 3332, which is a corresponding part of the cover 333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322,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coil 322.

이러한 덮개(333)는 중량체(332)의 상단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예에서, 덮개(333)는 마그네트(331)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접합부(3331)는 마그네트(331)의 상단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cover 333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weight body 3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cover 333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magnet 331 so that the junction 3331 is a magnet ( 331)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이와 같이, 진동자(33)에 부착되어 마그네트(33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구멍(H331)의 적어도 일부가 덮개(333)로 덮여지므로, 소리 출력을 위한 진동자(33)의 진동 동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외측으로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hole H331, which is attached to the vibrator 33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gnet 331, is covered with the cover 333, air of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vibration operation of the vibrator 33 for sound output The flow is made easier outward.

따라서, 진동 모터(30)가 스피커로 사용될 때 출력되는 소리의 질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quality of sound output when the vibration motor 30 is used as a speaker is improved.

탄성체(34)는 진동자(33)를 하우징(31)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body 34 is for connecting the vibrator 33 to the housing 31, and may be formed of a plate spring having a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square shape having elastic force.

이러한 탄성체(34)는 탄성체(34)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판부(예, 일측 단부)(341), 내측 판부(341) 외곽인 탄성체(34)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외측 판부(예, 타측 단부)(342), 그리고 내측 판부(341)와 외측 판부(342)를 연결하는 연결부(343)를 구비할 수 있다.The elastic body 34 includes an inner plate portion (eg, one end) 341 positioned inside the elastic body 34 and an outer plate portion formed on an outer edge portion of the elastic body 34 outside the inner plate portion 341 (eg, The other end) 342 may be provided, and a connection portion 343 connecting the inner plate portion 341 and the outer plate portion 342.

도 3을 참고로 하면, 이러한 탄성체(34)는 하우징(31)의 상부 내부면, 즉,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 부분과 중량체(332)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한다.Referring to FIG. 3, the elastic body 34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 that is, more specifically, the upper inner surfac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3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332. Connect.

이를 위해, 한 예로서, 탄성체(34)의 외측 판부(342)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고, 내측 판부(341)는 중량체(332)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To this end, as an example, the outer plate portion 342 of the elastic body 34 is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12, and the inner plate portion 341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332 do.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다른 예에서, 탄성체(34)의 내측 판부(341)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과 결합되고, 외측 판부(342)는 중량체(332)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However, on the contrary, in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7, the inner plate portion 341 of the elastic body 34 is engaged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12, and the outer plate portion 342 is of the weight body 332. It is combined with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이러한 탄성체(34)의 연결 구조를 제외하면, 도 7에 도시한 진동 모터는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구조와 동일하다. Except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astic body 34, the vibration motor shown in FIG. 7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 motor shown in FIG.

이때, 탄성체(34)와 해당 부분(312, 332)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지만, 이에 달리 다른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34 and the corresponding parts 312 and 332 are joined using welding or the like, but may be joined through various other methods.

이러한 탄성체(34)로 인해, 진동자(33)는 하우징(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진다.Due to the elastic body 34, the vibrator 3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1 to perform a vibration ope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본 예의 진동 모터(3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진동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용되므로 스피커가 생략된다.The vibration motor 30 of this example is used as a speaker that outputs the generated vibration as sound as well as a vibration unit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thus the speaker is omitted.

이로 인해, 스피커 장착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 없어 해당 제품의 설계의 여유도가 증가하며 해당 제품의 제조 비용 역시 감소한다.Due to this, there is no need to secure space for mounting the speaker, so the design margin of the product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also decreases.

더욱이, 본 예의 진동 모터(30)가 스피커로 기능할 때, 별도의 진동판이 불필요하므로, 진동 모터(30)의 구조가 좀더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은 더욱 절감된다.Moreover, when the vibration motor 30 of this example functions as a speaker, since a separate vibration plate is unnecessary, 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 motor 30 is simpl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further reduced.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vibration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30: 진동 모터 31: 하우징
34: 판 스프링 322: 코일
331: 마그네트 332: 중량체
333: 덮개 3331: 접합부
3332: 돌출부 341: 내측 판부
342: 외측 판부 343: 연결부
30: vibration motor 31: housing
34: leaf spring 322: coil
331: magnet 332: weight
333: cover 3331: joint
3332: protrusion 341: inner plate portion
342: outer plate portion 343: connecting portion

Claims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 속에 삽입된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외부에서 둘러싸게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상기 중량체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의 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외측에서 상기 덮개와 이격되게 상기 중량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과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구멍을 덮고 있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
housing;
A coil located in the housing;
A magne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coil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coil inserted into the hole;
A weight body coupled with the magnet to surround the magnet from the outside;
A cover which is joined to the weight body and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hole of the magnet; And
A plate spring coupled to the weight body spaced apart from the cover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to connect the weight body and the housing
Including,
The cover,
A joining portion joi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And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junction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to cover the hole
Vibration moto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돔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has a vibration motor having a dome shape or a column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중량체의 위치가 최저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is located at the lowest height due to the vibration, the projection motor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중량체의 위치가 최고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부면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sition of the weight body is located at the highest height due to the vibration,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comprises a vibration motor comprising at least one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외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내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eaf spring,
An out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inn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And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inner plate part and the outer plate part
Vibration moto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내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외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진동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eaf spring,
An inn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 outer plate portion coupl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And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inner plate part and the outer plate part
Vibration motor comprising a.
KR1020180129259A 2018-10-26 2018-10-26 Vibration motor KR102127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9A KR102127981B1 (en) 2018-10-26 2018-10-26 Vibration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9A KR102127981B1 (en) 2018-10-26 2018-10-26 Vibration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59A KR20200047159A (en) 2020-05-07
KR102127981B1 true KR102127981B1 (en) 2020-06-29

Family

ID=7073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259A KR102127981B1 (en) 2018-10-26 2018-10-26 Vibration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9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6075A1 (en) * 2007-11-26 2009-05-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ion speake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vibration speaker
KR101101330B1 (en) 2010-07-05 2011-12-30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Lenear vibration device
KR101746007B1 (en) * 2017-02-02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Vertica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685A (en) * 2010-11-20 2012-05-31 이인호 Linear vibrator
KR101503868B1 (en) 2013-01-25 2015-03-18 이남규 Speaker whit vibration motor
KR20150016049A (en) * 2013-08-03 2015-02-11 박준 Linear Actuator
KR20150053106A (en) * 2013-11-07 2015-05-15 자화전자(주)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863540B1 (en) * 2016-06-09 2018-06-01 부전전자 주식회사 Diaphragm for protecting of eardr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6075A1 (en) * 2007-11-26 2009-05-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ion speake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vibration speaker
KR101101330B1 (en) 2010-07-05 2011-12-30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Lenear vibration device
KR101746007B1 (en) * 2017-02-02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Vertic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59A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474B2 (en) Electromagnetic exciter
US10932025B2 (en) Speaker device
JP6783393B2 (en) Mobile devices, receivers for mobile devices, receivers and camera assemblies for mobile devices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WO2017117891A1 (en) Multi-function apparatus having vibration function and sound-producing function
US9035513B2 (en) Vibrator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vibrator
US20150189442A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US7454031B2 (en) Multifunction speaker
JP2002102799A (en) Vibrator with vibration transmitter and its fitting structure
US9510087B2 (en) Acoustic device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JP2003102093A (en) Composite speaker
KR20150078045A (en) Linear Actuator
KR20060127186A (en) Multi-function type oscillation actuator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9237390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KR20160067344A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JP5528866B2 (en) Multi-function sound generator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2127981B1 (en) Vibration motor
CN110874138A (en) Sound vibration driver
KR20200047158A (en) Portable terminal
JP2002171594A (en) Speaker
KR102264328B1 (en) A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eof
KR200371619Y1 (en) Thin type speaker having a damper
US20200059730A1 (en) Speaker
US10601291B2 (en) Linear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