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64B1 - 체결 클립 - Google Patents

체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64B1
KR102127164B1 KR1020180170599A KR20180170599A KR102127164B1 KR 102127164 B1 KR102127164 B1 KR 102127164B1 KR 1020180170599 A KR1020180170599 A KR 1020180170599A KR 20180170599 A KR20180170599 A KR 20180170599A KR 102127164 B1 KR102127164 B1 KR 10212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oving
fixed
moving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열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체결 클립은 일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디의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일 말단에 형성되는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과, 각 상기 그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결홈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모션으로 케이블을 고정하여 작업 공수 및 작업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키는 동시에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체결 클립{FASTENING CLIP}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링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전기로 구동되는 많은 전장부품들이 있이며, 각 장치들은 케이블로 구성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에 의해 구동원 또는 전원에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링은 여러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서로 꼬임 등의 간섭에 의해 단선 또는 화재 등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밴드 케이블을 사용하여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링을 함께 고정하여 차체에 형성된 홀에 정착하였다. 다만, 고정 시 밴드 케이블을 당겨 와이어링을 고정하고 말단부를 절단 전용장비(커팅건)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후 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작업의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밴드 케이블의 절단면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 긁히는 등의 부상이 발생되었으며, 밴드 케이블 절단에 의해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02114호(2003년10월02일 등록)
(특허문헌 0002)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1127호(2006년05월10일 등록)
(특허문헌 0003)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33128호(2006년12월26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을 고정 가능한 체결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일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디의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일 말단에 형성되는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과, 각 상기 그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결홈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방향을 따라 제1 돌기부가 양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그립부는 상기 회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돌기부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이동부가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제1 홈과 상기 이동부가 체결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특정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홈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부의 회동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공간에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테이퍼진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리브와, 고정위치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접촉편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공간에는 체결위치에서 상기 접촉편이 배치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리세스부로 이동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홈은 상기 회동부의 회동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역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그립부의 내측면 및 상기 이동부의 상측면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따라 오목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부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단에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부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체결 클립은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을 고정하는 그립부가 연동되어 원모션에 의해 케이블을 고정한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을 위한 작업의 공수를 현저히 절감시킨다.
이때 이동부는 케이블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케이블의 삽입과 동시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갖는다.
또한 후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체결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향상된다.
또한 그립부의 내측면과 이동부의 상측면이 케이블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케이블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각 오목면에는 방지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력 향상효과를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체결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바디와 이동부의 결합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바디의 고정위치에 이동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케이블의 고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의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체결 클립의 각 단계별 체결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체결 클립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하, 바디는 차체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 고정되는 일실시 예와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다른 실시예로 구분되며, 기능이 동일하는 본체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가 이동공간으로 삽입되는 정도 즉, 이동부의 이동 정도에 따라 그립부의 회동 정도가 결정되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케이블을 고정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부의 이동 정도에 따라 결합 단계가 구분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체결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디와 이동부의 결합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바디의 고정위치에 이동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케이블의 고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Ⅷ-Ⅷ 방향의 단면의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체결 클립의 각 단계별 체결 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체결 클립(100)은 일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1111)이 형성된 바디(110), 상기 이동공간(1111)을 따라 상기 바디(110)의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120), 상기 이동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일 말단에 형성되는 회동부(13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블(300)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그립부(130) 및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141)과, 각 상기 그립부(130)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14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142)로 형성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142)는 상기 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결홈(141)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110)는 이동부(120)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112)와, 고정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부(113)로 형성되어, 케이블(300)을 원하는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한다.
본체(111)는 중심축을 따라 개방된 이동공간(1111)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이동부(120)가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그립부(130)와 결합되는 축돌기(114)가 돌출 형성되어, 이동부(120)와 그립부(130)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공간(1111)은 개방부와 연통되며,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동부(120)의 양측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122)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12)과 테이퍼진 안착홈(1113)과 요입된 리세스부(1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112)은 이동부(1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동부(12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부는 고정위치에서 이동부(120)에 형성된 접촉편(124)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접촉편(124)의 형상에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이동부(120)를 일차적으로 고정한다.
이는 케이블(300) 고정 전에 이동부(120)가 이동되어 그립부(13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보관 과정에서도 그립부(130)가 의도치 않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세스부(1114)는 체결위치에서 접촉편(124)이 배치되도록 이동공간(1111)의 내측면에서 요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편(124)은 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안착홈(1113)에 리세스부(1114)로 이동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세스부(1114)의 일 측면에 걸림 고정되어 그립부(130)의 케이블(300)과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킨다.
이때 리세스부(1114)는 체결단계에 맞춰 접촉편(124)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부(120)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구획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리세스부(1114)는 이동부(120)의 이동 정도(체결단계)에 맞춰 접촉편(124)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력 향상 효과를 증대한다.
축돌기(114)는 이동공간(1111)의 개방된 일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그립부(130)의 회동부(131)와 끼움 결합되며, 그립부(130)의 회동 운동에 중심 축이 된다. 따라서 축돌기(114)는 각 그립부(130) 양 측에 결합되도록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동공간(1111)의 양 측으로 각각 형성된다.
삽입부(112)는 본체(111)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시 탄성 변형되고,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는 탄성 편이 양 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홀 삽입 후에는 탄성편(1121)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그에 따라 탄성편(1121)은 고정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차체에 고정된다.
커버부(113)는 삽입부(112)의 상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홀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바디(110)가 삽입방향으로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탄성편(1121)과 커버부(113)는 차체의 양 측으로 배치되어, 체결 클립(1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동부(120)는 이동공간(1111)을 따라 바디(110)의 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제1 돌기부(122)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가이드홈(1112)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123)와 안착홈(1113)에 안착되는 접촉편(124)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120)는 고정위치에서 체결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회동부(131)가 회동하며 그립부(130)에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위치는 접촉편(124)이 안착홈(1113)에 접촉된 위치를 의미하며, 이동부(120)가 바디(110)에 일차적으로 고정되어 그립부(130)가 최대로 벌어져 있는 상태 즉, 체결돌기(142)가 제1 홈(1411에 체결된 상태로 정의한다. 체결위치는 접촉편(124)이 체결단계에 맞춰 복수의 리세스부(1114)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고정된 위치를 의미하며, 이동부(120)가 고정되어 그립부(130)가 단계적으로 가까워지는 상태 즉, 체결돌기(142)가 제2 홈(1412)에 체결된 상태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20)의 제1 측면(121)은 보다 넓게 형성되어 케이블(300)과의 일정 이상의 접촉면을 확보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측면(121)은 케이블(30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케이블(300)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오목면에는 돌출되어 방지돌기(125,135)가 복수 개 형성되어 고정력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20)는 가압방향 즉, 케이블(300)의 연장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돌기부(122)는 고정위치에서 이동공간(1111)의 개방된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디(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1 돌기부(122)는 이동부(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의 이로 형성되어, 제2 돌기부(132)와의 맞물림에 의해 그립부(130)를 회동시킨다. 다만 제1 돌기부(122)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제2 돌기부(132)와 맞물려 연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동부(120)의 개방부 삽입 시, 가이드홈(111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동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바디(11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가이드리브(123) 또한 이동부(120)의 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립부(130)와의 원활한 연동을 위해 제1 돌기부(122)가 형성된 위치에는 가이드리브(123)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편(124)은 제1 돌기부(122)의 하측에 배치되어 고정위치에서는 안착홈(1113)에 안착되어 이동부(120)를 바디(110)에 일차적으로 고정하며, 체결위치에서는 리세스부(1114)에 배치되어 이동부(120)가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접촉편(124)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차 벌어지도록 이동부(120)의 양 측으로 대칭 형성되며, 말단이 탄성 변형되어 이동방향으로 이동부(120)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회복력에 의해 이동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립부(13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일 말단에는 이동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회동부(131)가 형성되며, 회동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돌기부(122)와 맞물리는 제2 돌기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그립부(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측면(133)은 케이블(300)과의 일정 이상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면으로 형성되며, 오목면에는 돌출되어 방지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어 고정력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131)는 외주면을 따라 제1 돌기부(122)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돌기부(132)가 형성되며, 양 측면으로 축돌기(114)와 결합되는 요입홈(134)이 형성되어 축돌기(114)를 중심축으로 그립부(130)가 회동되도록 한다.
제2 돌기부(132)는 회동부(1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의 이로 형성되어 이동공간(1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1 돌기부(122)와 맞물려 제1 돌기부(122)의 직선 운동에 연동되어 회동한다.
다시 말해 그립부(130)는 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제2 돌기부(132)가 제1 돌기부(122)에 맞물려 축돌기(1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케이블(300)을 고정한다. 따라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그립부(130)는 서로 반대방향 즉, 그립부(130)의 타 말단이 회동하면서 가까워지도록 연동되어 케이블(300)을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 클립(100)은 이동부(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그립부(13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이동부(120)를 가압하는 원모션으로 케이블(300)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종래 케이블(300) 고정을 위한 작업 공수를 현저히 절감시켜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하며, 작업자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체결부(140)는 바디(11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141)과 그립부(130)에서 돌출되어 체결홈(14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142)로 형성되어, 회동부(131)의 역방향 회동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케이블(300)을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고정한다.
체결홈(141)은 이동부(120)가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체결돌기(142)가 결합되는 제1 홈(1411)과 이동부(120)가 체결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체결돌기(142)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홈(1412)으로 형성되고, 제1 홈(1411)과 제2 홈(1412)은 회동부(131)의 회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홈(1411)은 고정위치에서 체결돌기(142)가 결합되어 그립부(130)가 가장 멀리 위치되도록 하측에 형성되며, 제2 홈(1412)은 체결위치에서 체결돌기(142)가 결합되되 이동부(120)의 이동 정도(체결단계)에 따라 그립부(130)의 회동 정도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홈(1411)에서 회동부(131)의 회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체결돌기(142)는 이동부(120)가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홈(1411)에 체결되며, 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특정 위치에 형성된 제2 홈(1412)에 결합되어 각 체결단계에 맞춰 그립부(130)를 고정한다. 따라서 체결돌기(142)는 회동부(131)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회동방향의 전면으로 경사면(1421)이 형성되어 회동부(131)의 역방향 회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1421)은 회동부(131)의 측면에서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회동부(131)가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체결홈(141)에 경사면(1421)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나, 회동부(131)가 회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네는 후면과 체결홈(141)의 내측면과 저촉되면서 이동이 방지된다. 이때 체결홈(141)의 이동방향 내측면 또한 경사면(1421)의 경사방향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회동부(131)의 회동을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140)는 그립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141)와 체결단계에 따라 복수의 체결홈(141) 중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체결홈(141)에 결합되는 체결돌기(142)로 형성되어 그립부(130)의 회동 정도를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300)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예의 체결부(140)는 한 쌍의 체결돌기(142)가 회동부(1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축돌기(114) 주변에 회동부(131)의 회동방향을 따라 한 쌍의 체결돌기(142)와 결합되는 2개의 제1 홈(1411)과 제1 홈(1411)에서 회동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4개의 제2 홈(1412)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41)을 갖는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체결돌기(142)는 2개의 제1 홈(1411)에 각각 결합되고, 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회동부(131)가 회동하면서 한 쌍의 체결돌기(142)는 제1 홈(1411)에서 가장 가까이 형성되는 2개의 제2 홈(1412)에 각각 결합되며, 회동부(131) 이동에 따라 체결돌기(142)는 앞서 형성되는 제2 홈(141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단계(A)에서 체결돌기(142)는 1,2번째 제2 홈(1412)에 결합되고, 제2 체결단계(B)에서 체결돌기(142)는 2,3번째 제2 홈(1412)에 결합되며, 제3 체결단계(C)에서 체결돌기(142)는 3,4번째 제2 홈(1412)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단계는 그립부(130)가 회동하는 정도에 따라 구분되며 높은 단계로 갈수록 그립부(130)가 더 많이 회동하면서 더 작은 케이블(300)을 고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 클립(100)은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체결부(140)를 구비하여 이동부(120)의 가압만으로 케이블(300)을 고정하도록 하며, 별도의 고정 공정 및 고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현저히 절감시킨다.
도 10은 도 4의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체결 클립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 클립(100,200)은 차체에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 그 바디(110,210)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바디(210)는 이동부(120)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211)와, 본체(211)에서 연장되어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12)로 형성된다.
다만, 본체(211)는 이동부(120)가 이동되는 개방된 이동공간(111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에 해당하므로 일실시 예의 바디(110)에 형성된 본체(111)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고정부(212)는 본체(211)에서 연장되고,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2121)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는 체결홀(2121)을 통해 차체에 체결하여 체결 클립(200)을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부(212)는 본체(211)의 양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홀(2121) 또한 양 측으로 연장된 고정부(21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 클립(100,200)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바디(110,210)를 구비하여, 저전압 케이블뿐만 아니라 고전압 케이블 또한 차체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200 체결 클립
110,210 바디 111,211 본체 1111 이동공간
1112 가이드홈 1113 안착홈 1114 리세스부
112 삽입부 1121 탄성편 113 커버부
114 축돌기 120 이동부 121 제1 측면
122 제1 돌기부 123 가이드리브 124 접촉편
125,135 방지돌기 130 그립부 131 회동부
132 제2 돌기부 133 제2 측면 134 요입홈
135 방지돌기
140 체결부 141 제결홈 1411 제1 홈
1412 제2 홈 142 체결돌기 1421 경사면
300 케이블
212 고정부 2121 체결홀
A 제1 체결단계 B 제2 체결단계 C 제3 체결단계

Claims (9)

  1. 일방향으로 개방된 이동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이동공간을 따라 상기 바디의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일 말단에 형성되는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그립부;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과, 각 상기 그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결홈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방향을 따라 제1 돌기부가 양 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부는
    상기 회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돌기부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이동부가 고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제1 홈과 상기 이동부가 체결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특정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홈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부의 회동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에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테이퍼진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리브와, 고정위치에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접촉편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체결위치에서 상기 접촉편이 배치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리세스부로 이동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홈은
    상기 회동부의 회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역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제1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그립부의 제2 측면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부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 단에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고정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동부가 삽입 체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차체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KR1020180170599A 2018-12-27 2018-12-27 체결 클립 KR10212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99A KR102127164B1 (ko) 2018-12-27 2018-12-27 체결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99A KR102127164B1 (ko) 2018-12-27 2018-12-27 체결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64B1 true KR102127164B1 (ko) 2020-06-26

Family

ID=7113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99A KR102127164B1 (ko) 2018-12-27 2018-12-27 체결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20A (ko) 2020-11-23 2022-05-31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진동 감쇄를 위한 유동형 케이블 지지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562U (ko) * 1994-09-23 199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착 클립
KR970039071A (ko) * 1995-12-08 1997-07-24 전성원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KR100581127B1 (ko) 2004-12-13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바이져 장착 클립의 전기적 와이어링 구조
KR20060133128A (ko) 2005-06-17 2006-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어링 및 호스의 고정 클립구조
KR101266760B1 (ko) * 2012-02-10 2013-05-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JP2015023602A (ja) * 2013-07-16 2015-02-0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562U (ko) * 1994-09-23 1996-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착 클립
KR970039071A (ko) * 1995-12-08 1997-07-24 전성원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100402114B1 (ko) 2001-04-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마운팅 클립
KR100581127B1 (ko) 2004-12-13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바이져 장착 클립의 전기적 와이어링 구조
KR20060133128A (ko) 2005-06-17 2006-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어링 및 호스의 고정 클립구조
KR101266760B1 (ko) * 2012-02-10 2013-05-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정리용 멀티 클립
JP2015023602A (ja) * 2013-07-16 2015-02-0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法用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720A (ko) 2020-11-23 2022-05-31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진동 감쇄를 위한 유동형 케이블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947B2 (ja) スライドドア給電用のハーネス固定具とそれを用いた給電構造
US7021959B2 (en) Wire cover with two longitudinal halves connectable around electric wires
US7307217B2 (en) Locking structure for protector and wire harness
CN110303824B (zh) 驱动桥的壳体构件
US7442079B1 (en) Electrical fitting with internal cable retainer
MXPA06012150A (es) Acoplamiento para un sistema conductor de fluidos.
KR102127164B1 (ko) 체결 클립
US10333285B2 (en) Wire harness equipped with protector
WO2015064544A1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950010650Y1 (ko) 전선의 결속구
JP2007531849A (ja) 角度位置固定を有するプラグイン接続
WO2018186151A1 (ja) ハーネスガイド
JP5760902B2 (ja) 電気接続箱
JP4462829B2 (ja) プロテクタで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構造
JP6931602B2 (ja)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JP7089232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JP4335102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4104924A (ja) クランプ
JP2004248367A (ja) ハーネス用外装部材およびハーネス配索構造
JP2017044331A (ja) ベルトクランプ
JP4857449B2 (ja) 伸縮自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5561138B2 (ja) プロテクタ
JP7132675B2 (ja) グロメット
JP2004248366A (ja) ハーネス用外装部材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JP6474875B1 (ja) ケーブル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