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080B1 -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80B1
KR102126080B1 KR1020200034739A KR20200034739A KR102126080B1 KR 102126080 B1 KR102126080 B1 KR 102126080B1 KR 1020200034739 A KR1020200034739 A KR 1020200034739A KR 20200034739 A KR20200034739 A KR 20200034739A KR 102126080 B1 KR102126080 B1 KR 10212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utting
frame
transf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한모
Original Assignee
구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한모 filed Critical 구한모
Priority to KR102020003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원자재인 부직포에 제품에 맞는 펀칭과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품성형부; 및 펀칭 및 성형된 부직포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품이송부; 및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제품을 크기 및 사용용도에 맞게 절단하기 위한 제품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Nonwoven scour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제조하는 장치로써, 부직포의 이동시 가이드수단을 통해 성형기에서 이탈되지안도록 하며, 이동되는 부직포를 정렬수단을 통해 자동정렬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와 각종 주방기구 등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세제와 함께 수세미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수세미는 세제에 대하여 충분한 거품이 발생되게 하면서도 식기 등의 표면에 묻거나 점착된 상태의 음식물 찌꺼기 및 기름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짚이나 수세미 열매의 속을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의 수세미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의 수세미는 수지 형태의 실이 무수히 얽힌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고탄력의 발포성 수지 또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만들어지는 수세미의 공통적인 요구사항은 거품이 잘 발생하여야 하며 그릇 표면의 다양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다량의 주방세제를 사용하게되며, 다량의 주방세제를 사용함으로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오래된 수세미나 수세미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는 상태로 보관되면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수세미를 이용하여 식기나 각종 도구 등을 세척하는 경우 세척된 상태의 식기나 주방 도구의 표면에도 세균이 옮겨가면서 위생상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수세미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건조 또는 가열에 의한 멸균이 바람직하나 건조의 경우 조밀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잦은 사용이 이루어져야 하는 수세미의 특성상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고온에서 가열하는 경우 수세미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11319호
본 발명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제조하는 것으로, 부직포의 이동시 가이드수단을 통해 성형기에서 이탈되지안도록 하며, 이동되는 부직포를 정렬수단을 통해 자동정렬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완료된 제품의 불량과 양호 상태를 판단하여 각각 분류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원자재인 부직포에 제품에 맞는 펀칭과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품성형부; 및 펀칭 및 성형된 부직포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품이송부; 및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제품을 크기 및 사용용도에 맞게 절단하기 위한 제품절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성형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부직포에 미리설정된 형상에 맞게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펀칭성형챔버;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부직포가 이동되도록 펀칭성형챔버 내부로 형성되는 성형이송컨베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송부는, 제품성형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송롤러가 고정되도록 제품성형부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이송프레임; 부직포가 안착되는 이송패드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이송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롤러; 부직포가 안착되며, 이송롤러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복수의 이송롤러 외둘레로 형성되는 이송패드; 복수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송모터; 이송패드 상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직포 상에 펀칭 및 성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송프레임 일측 지면에서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확인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품절단부는, 제품이송부로부터 이동되는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품이송부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절단이동프레임; 부직포의 절단을 위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절단이동롤러; 복수의 절단이동롤러의 회전시 부직포가 안착 이동되도록 복수의 절단이동롤러 외둘레로 형성되는 절단이동패드; 절단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부직포를 절단하는 에어절단기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부직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절단이동패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홈;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절단프레임; 절단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절단부재; 절단프레임 상에 안착결합되어 절단부재가 이동되도록 절단부재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부재롤러; 절단이동패드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미리 설정되는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기 위해 절단부재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에어절단바; 절단프레임에서 절단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부재 일측이 연결형성되며, 절단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부재이동체인; 에어절단바를 통해 절단되는 부직포에서 비산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기수단; 절단되는 제품을 일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배출컨베어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펀칭 및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부직포가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 이탈되거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치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품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가이드부는, 부직포를 이송패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진입부재와 가이드부재가 고정 형성되도록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이송패드로 진입하는 부직포가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부재; 진입부재를 따라 진입하는 부직포가 중앙을 따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펀칭 및 성형이 완료된 부직포를 양측에서 밀어 이송패드의 중앙을 따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품정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정렬부는, 이동되는 부직포를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도록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정렬프레임; 푸시실린더의 작동시 부직포 일측에 접촉되도록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정렬푸시바; 정렬푸시바를 부직포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복귀시키기 위해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푸시바실린더; 부직포와 접촉되어 정렬된 부직포의 이동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정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제품절단부에 의해 절단 이동되는 제품의 양호와 불량을 판단하기 위한 양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불량판단부는, 제품절단부 일측으로 절단되는 제품을 감지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센서; 검수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품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영상수단; 영상수단을 통해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미리저장된 양호정보에 대비판단하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판단수단; 검수판단수단을 통해 판별되는 제품 중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에 각각 제품이동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양불량판단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판단정보에 의해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을 각각 구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품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배출부는, 절단배출컨베어를 통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품을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해 절단배출컨베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프레임; 제품을 불량제품함 또는 양호제품함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품배출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제품배출컨베어; 제품배출컨베어를 따라 이동되는 제품 중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에 각각 표시된 식별지를 감지하도록 제품배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이동감지센서; 제품이동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제품 중 불량으로 감지되는 제품을 배출하기 위해 제품배출컨베어 중앙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량배출개폐기; 불량배출개폐기의 개방시 배출되는 불량 제품이 보관되도록 제품배출컨베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함; 제품이동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제품 중 양호로 감지되는 제품을 보관하기위해 제품배출컨베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양호제품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이동시 가이드수단을 통해 성형기에서 이탈되지않도록 하며, 이동되는 부직포를 정렬수단을 통해 자동정렬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낮춰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완료된 제품의 불량과 양호 상태를 판단하여 각각 자동 분류됨으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가이드부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정렬부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양불량판단부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배출부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는 제품성형부(100), 제품이송부(200), 제품절단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성형부(100)는 외부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원자재인 부직포에 미리 입력된 형태에 맞게 펀칭 작업이 이루어지고,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성형부(100)는 펀칭성형챔버(110), 성형이송컨베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펀칭성형챔버(110)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원자재인 부직포에 미리 설정된 형상에 맞게 펀칭작업이 이루어지며,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펀칭성형챔버(110)는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성형챔버(110)는 이동되는 부직포의 속도에 따라 1차 펀칭기를 통해 펀칭작업이 이루어지며, 펀칭이 완료되는 부직포가 이동되며, 2차 부직포에 성형기를 통해 성형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펀칭성형챔버(110)를 통해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지는 부직포는 원자재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이송컨베어(120)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부직포를 펀칭 및 성형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성형이송컨베어(120)는 펀칭성형챔버(110) 내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이송컨베어(120)는 펀칭 및 성형 상태에 따라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부(200)는 펀칭 작업과 성형작업이 완료된 부직포를 절단시키기 위해 제품절단부(300) 측으로 부직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품성형부(100)와 제품절단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 고정되거나 제품성형부(100)와 제품절단부(300)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부(200)는 이송프레임(210), 이송롤러(220), 이송패드(230), 이송모터(240), 확인발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프레임(210)은 제품성형부(100)로부터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제품절단부(30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송롤러(22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프레임(210)은 제품성형부(100)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210)은 양측으로 형성되어 중앙 측에 이송롤러(2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롤러(220)는 부직포가 안착되는 이송패드(2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220)는 이송프레임(210)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이송패드(2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패드(230)는 부직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패드(230)는 복수의 이송롤러(220) 외둘레인 상부와 하부 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이송롤러(220) 회전시 이송패드(230)가 일측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어 반복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패드(230)는 부직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모터(240)는 이송패드(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복수의 이송롤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이송롤러(220) 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하나의 이송롤러(220) 회전시 이송패드(230)를 회전시킴으로 이송패드(230)와 밀착된 타 복수의 이송롤러(22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모터(240)는 복수의 이송롤러(220)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220) 일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이송프레임(210)에 고정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확인발판(250)은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져 이동되는 부직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확인발판(250)은 이송프레임(210) 상부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지면에 고정되며 중앙측이 이송프레임(210) 상부로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며,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측방향에서 작업자가 이송프레임(210) 상으로 이동하여 타측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절단부(300)는 제품이송부(200)를 통해 이동된 부직포를 설정된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품절단부(300)는 제품이송부(200) 일측 방향으로 지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절단부(300)는 절단날을 통한 부직포의 절단과 고압의 에어를 통한 절단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압의 에어를 통한 절단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절단부(300)는 절단이동프레임(310), 절단이동롤러(311), 절단이동패드(312), 절단홈(313), 절단프레임(320), 절단부재(321), 부재롤러(322), 에어절단바(323), 부재이동체인(324), 흡기수단(330), 절단배출컨베어(340)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이동프레임(310)은 제품이송부(200)로부터 이동되는 부직포의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이동프레임(310)은 제품이송부(200)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이동롤러(311)는 절단을 위해 부직포가 안착되는 절단이동패드(312)를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이동롤러(311)는 절단이동프레임(310)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절단이동패드(31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이동패드(312)는 부직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이동패드(312)는 복수의 절단이동롤러(311) 외둘레인 상부와 하부 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절단이동롤러(311) 회전시 절단이동패드(312)가 일측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어 반복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단이동패드(312)는 부직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홈(313)은 절단프레임(320)을 따라 이동하여 부직포를 절단하는 에어절단기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부직포를 관통하여 절단시 절단이동패드(312)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홈(313)은 절단이동패드(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프레임(320)은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구성인 에어절단바(323)가 형성되도록 절단이동프레임(3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프레임(320)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측은 절단이동프레임(310)과 일정 높이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재(321)는 절단프레임(320)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부재롤러(322)가 형성되며, 전면으로는 에어절단바(3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롤러(322)는 절단부재(321)가 절단프레임(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재롤러(322)는 절단부재(321)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어 절단프레임(320)에 안착시 절단프레임(320) 상에서 절단부재(321)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절단부재(321)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절단바(323)는 절단이동패드(31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미리 설정된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절단바(323)는 절단부재(321) 전면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절단바(323)는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여 에어를 통해 부직포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이동체인(324)은 절단부재(321)를 절단프레임(3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재이동체인(324)의 일측은 절단부재(3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이동체인(324)은 다관절체인으로 이루어져 절단부재(321)의 이동시 절단프레임(320)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수단(330)은 에어절단바(323)를 통해 절단되는 부직포에서 비산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기수단(330)은 절단이동프레임(310) 일측 또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배출컨베어(340)는 에어절단바(323)를 통해 절단되는 제품을 일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단배출컨베어(340)는 절단이동프레임(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가이드부(400)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품가이드부(400)는 펀칭과 성형이 완료되어 제품절단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부직포가 이동간의 흔들림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해 제품이송부(20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품가이드부(400)는 제품이송부(2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가이드부(400)는 가이드프레임(410), 진입부재(420), 가이드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10)은 이송패드(230)를 따라 이동되는 부직포를 이송패드(230) 중앙 측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진입부재(420)와 가이드부재(430)가 형성되도록 이송프레임(2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10)은 이송프레임(210) 양측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410)에 진입부재(420)와 가이드부재(4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부재(420)는 이송패드(230)로 진입하는 부직포가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입부재(420)는 가이드프레임(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부재(420)는 부직포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넓고 타측이 좁게 형성되는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30)는 이송패드(230)로 진입하는 부직포가 진입부재(420)를 거쳐 이송패드(230)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430)는 가이드프레임(4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부직포가 이송패드(230)에서 일부 이탈되어 이동시 진입부재(420)에 의해 이송패드(230) 중앙 측으로 이동되며, 가이드부재(430)를 통해 제품절단부(300)까지 이송패드(230) 중앙의 위치에서 이동되도록 이탈을 방지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정렬부(500)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품정렬부(500)는 펀칭과 성형작업이 완료되어 제품절단부(300) 측으로 이동되는 부직포를 일정 하게 이동되도록 양측에서 밀어 정렬시켜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정렬부(500)는 제품이송부(20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정렬부(500)는 정렬프레임(510), 정렬푸시바(520), 푸시바실리더(530), 정렬롤러(540)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프레임(510)은 이송프레임(210) 양측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렬프레임(510)은 이송패드(230)를 따라 이동되는 부직포를 양측에서 밀어줌으로 중앙측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정렬푸시바(520)와 푸시바실리더(530)와 정렬롤러(5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푸시바(520)는 푸시바실리더(530)의 작동시 부직포 일측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렬푸시바(520)는 정렬프레임(51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푸시바(520)는 부직포와 접촉시 부직포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바실리더(530)는 정렬푸시바(520)를 부직포 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푸시바실리더(530)는 정렬프레임(510) 양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낟.
상기 푸시바실리더(530)는 시간별, 부직포의 이동길이 별로 반복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롤러(540)는 정렬푸시바(520)에 밀려 중앙 측으로 이동되는 부직포가 원활하게 제품절단부(300) 측으로 이동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정렬프레임(510) 내부로 상호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롤러(540)는 부직포의 넓이에 따라 조절가능하여 부직포가 정렬롤러(540)와 밀착으로 인해 이동간의 마찰로 인한 부직포의 이동이 멈춰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양불량판단부(600)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양불량판단부(600)는 제품절단부(300)를 통해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절단되어 이동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제품의 양호상태와 불량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불량판단부(600)는 제품절단부(3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불량판단부(600)는 검수센서(610), 영상수단(620), 검수판단수단(630),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검수센서(610)는 제품절단부(300)를 통해 절단되는 제품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검수센서(610)는 제품을 감지하여 실시간 절단되어 배출되는 제품의 수량을 체크하며, 검수를 위해 이동하는 제품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수센서(610)는 절단이동프레임(310)의 일측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배출컨베어(340)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수단(620)은 절단되어 이동하는 제품을 영상정보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품을 촬영하도록 절단이동프레임(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수단(620)은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검수판단수단(630) 측으로 제공하여 영상정보에 의해 양호와 불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판단수단(630)은 영상수단(620)으로부터 제공받는 실시간 영상정보를 미리 저장된 양호정보와 불량정보에 따라 대비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검수판단수단(630)은 절단이동프레임(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수판단수단(630)은 양호정보와 불량정보를 판단한 실시간 판단정보를 표시수단 측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검수판단수단(630)으로부터 양호정보 또는 불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동되는 제품에 스티커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표시수다는 절단이동프레임(310)의 일측 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1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제품배출부(700)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품배출부(700)는 양불량판단부(600)로부터 제품에 대한 영상판단정보를 제공받아 이동되는 제품의 상태를 감지하여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을 각각 구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양불량판단부(600)는 제품절단부(300) 일측 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배출부(700)는 제품배출프레임(710), 제품배출컨베어(720), 제품이동감지센서(730), 불량배출개폐기(740), 불량제품함(750), 양호제품함(760)을 포함한다.
상기 제품배출프레임(710)은 제품을 분류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배출프레임(710)은 절단배출컨베어(3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배출컨베어(720)는 제품배출프레임(7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배출컨베어(720)는 제품을 불량제품함(750) 또는 양호제품함(760) 중 어느 하나의 함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동감지센서(730)는 제품배출컨베어(720)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는 제품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품이동감지센서(730)는 이동되는 제품의 표식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불량배출개폐기(740) 측으로 제공하여 제품이 불량인 경우 불량배출개폐기(740)가 개폐되어 불량제품함(750) 측으로 불량제품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배출개폐기(740)는 제품이동감지센서(730)로부터 제공받은 불량정보에 따라 개방되거나 닫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불량배출개폐기(740)는 제품배출컨베어(720) 상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제품함(750)은 제품배출컨베어(720)를 따라 이동되는 제품 중 불량제품으로 판단되는 제품이 불량배출개폐기(740)의 개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이를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불량제품함(750)은 제품배출컨베어(720)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호제품함(760)은 제품배출컨베어(720)를 따라 이동되는 제품 중 양호제품으로 판단되는 제품이 배출됨에 따라 이를 보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양호제품함(760)은 제품배출컨베어(7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세미제조장치
100 : 제품성형부 110 : 펀칭성형챔버
120 : 성형이송컨베어
200 : 제품이송부 210 : 이송프레임
220 : 이송롤러 230 : 이송패드
240 : 이송모터 250 : 확인발판
300 : 제품절단부
310 : 절단이동프레임 311 : 절단이동롤러
312 : 절단이동패드 313 : 절단홈
320 : 절단프레임 321 : 절단부재
322 : 부재롤러 323 : 에어절단바
324 : 부재이동체인 330 : 흡기수단
340 : 절단배출컨베어
400 : 제품가이드부
410 : 가이드프레임 420 : 진입부재
430 : 가이드부재
500 : 제품정렬부
510 : 정렬프레임 520 : 정렬푸시바
530 : 푸시바실린더 540 : 정렬롤러
600 : 양불량판단부
610 : 검수센서 620 : 영상수단
630 : 검수판단수단 640 : 표시수단
700 : 제품배출부
710 : 제품배출프레임 720 : 제품배출컨베어
730 : 제품이동감지센서 740 : 불량배출개폐기
750 : 불량제품함 760 : 양호제품함

Claims (2)

  1.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원자재인 부직포에 제품에 맞는 펀칭과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제품성형부; 및 펀칭 및 성형된 부직포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품이송부; 및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제품을 크기 및 사용용도에 맞게 절단하기 위한 제품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세미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품성형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부직포에 미리설정된 형상에 맞게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펀칭성형챔버;
    펀칭 및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부직포가 이동되도록 펀칭성형챔버 내부로 형성되는 성형이송컨베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송부는,
    제품성형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송롤러가 고정되도록 제품성형부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이송프레임;
    부직포가 안착되는 이송패드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해 이송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이송롤러;
    부직포가 안착되며, 이송롤러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복수의 이송롤러 외둘레로 형성되는 이송패드;
    복수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송모터;
    이송패드 상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직포 상에 펀칭 및 성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송프레임 일측 지면에서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확인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품절단부는,
    제품이송부로부터 이동되는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품이송부 일측방향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절단이동프레임;
    부직포의 절단을 위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절단이동롤러;
    복수의 절단이동롤러의 회전시 부직포가 안착 이동되도록 복수의 절단이동롤러 외둘레로 형성되는 절단이동패드;
    절단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부직포를 절단하는 에어절단기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부직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절단이동패드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홈;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절단프레임;
    절단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절단부재;
    절단프레임 상에 안착결합되어 절단부재가 이동되도록 절단부재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부재롤러;
    절단이동패드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부직포를 미리 설정되는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절단하기 위해 절단부재 일측으로 수직 형성되는 에어절단바;
    절단프레임에서 절단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절단부재 일측이 연결형성되며, 절단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부재이동체인;
    에어절단바를 통해 절단되는 부직포에서 비산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흡기수단;
    절단되는 제품을 일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절단배출컨베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펀칭 및 성형이 완료되어 이동되는 부직포가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시 이탈되거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치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품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가이드부는,
    부직포를 이송패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진입부재와 가이드부재가 고정 형성되도록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이송패드로 진입하는 부직포가 중앙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입부재;
    진입부재를 따라 진입하는 부직포가 중앙을 따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프레임 타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펀칭 및 성형이 완료된 부직포를 양측에서 밀어 이송패드의 중앙을 따라 제품절단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품정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정렬부는,
    이동되는 부직포를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도록 이송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정렬프레임;
    푸시실린더의 작동시 부직포 일측에 접촉되도록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정렬푸시바;
    정렬푸시바를 부직포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복귀시키기 위해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푸시바실린더;
    부직포와 접촉되어 정렬된 부직포의 이동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렬프레임 양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정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제품절단부에 의해 절단 이동되는 제품의 양호와 불량을 판단하기 위한 양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불량판단부는,
    제품절단부 일측으로 절단되는 제품을 감지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센서;
    검수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품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영상수단;
    영상수단을 통해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미리저장된 양호정보에 대비판단하도록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검수판단수단;
    검수판단수단을 통해 판별되는 제품 중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에 각각 제품이동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해 절단이동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세미제조장치는,
    양불량판단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판단정보에 의해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을 각각 구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품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배출부는,
    절단배출컨베어를 통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품을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해 절단배출컨베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배출프레임;
    제품을 불량제품함 또는 양호제품함 측으로 이동되도록 제품배출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제품배출컨베어;
    제품배출컨베어를 따라 이동되는 제품 중 양호제품과 불량제품에 각각 표시된 식별지를 감지하도록 제품배출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품이동감지센서;
    제품이동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제품 중 불량으로 감지되는 제품을 배출하기 위해 제품배출컨베어 중앙에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량배출개폐기;
    불량배출개폐기의 개방시 배출되는 불량 제품이 보관되도록 제품배출컨베어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불량제품함;
    제품이동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제품 중 양호로 감지되는 제품을 보관하기위해 제품배출컨베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양호제품함을 포함하는 수세미제조장치.
  2. 삭제
KR1020200034739A 2020-03-22 2020-03-22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KR10212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739A KR102126080B1 (ko) 2020-03-22 2020-03-22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739A KR102126080B1 (ko) 2020-03-22 2020-03-22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80B1 true KR102126080B1 (ko) 2020-06-23

Family

ID=7113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739A KR102126080B1 (ko) 2020-03-22 2020-03-22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803B1 (ko) * 2021-09-17 2022-02-23 (주)티에스피코리아 품질을 향상시킨 세정제가 함침된 크린룸 와이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040245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19B1 (ko) 2019-05-14 2019-08-16 주식회사 소프런 수세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세미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세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19B1 (ko) 2019-05-14 2019-08-16 주식회사 소프런 수세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세미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세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45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KR102500550B1 (ko) 2020-09-23 2023-02-17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마스크 제조 포장 장치
KR102366803B1 (ko) * 2021-09-17 2022-02-23 (주)티에스피코리아 품질을 향상시킨 세정제가 함침된 크린룸 와이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080B1 (ko) 부직포수세미 제조장치
TW201336750A (zh) 包裝餐具之彈性裝配線
KR101428830B1 (ko) 패류 위치 설정 및 개방 장치
RU2698660C2 (ru) Робот
JP2015510472A (ja) トレー包装のためのフレキシブル組立ライン
KR101513594B1 (ko)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101839548B1 (ko) 농산물 선별장치
CN112693987B (zh) 一种清洁电梯的方法及机器人
CN204894364U (zh) 注塑件收集装置
CN210309199U (zh) 一种纸箱生产用平面压平自动模切机
US20210268572A1 (en) Die molding surface treatment device
US10160134B2 (en) Method of cutting and cutting apparatus using high pressure liquid
CN105161445B (zh) 集成电路封装后去除溢料装置
CN106829082A (zh) 一种可以检测苹果完整度的苹果自动装箱机
CN113376167A (zh) 一种塑料件熔点质量检测***
CN217533526U (zh) 一种食品包装机的自动冲孔切割装置
CN211141882U (zh) 一种热弯机上下料装置
JP3795463B2 (ja) バルク包装に用いるセパレートシート清掃装置
CN212051174U (zh) 一种乳化***分段剪切设备
CN211073934U (zh) 一种卧式数控开料机
CN214865376U (zh) 一种食品检测用金属检测机
US20160025487A1 (en) An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both sides of a test board
CN212821181U (zh) 一种新型x射线安检机
CN212333916U (zh) 一种用于料盘的检测装置
CN214353383U (zh) 一种片式电子元件分切机上的清扫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