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575B1 -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575B1
KR102125575B1 KR1020170166938A KR20170166938A KR102125575B1 KR 102125575 B1 KR102125575 B1 KR 102125575B1 KR 1020170166938 A KR1020170166938 A KR 1020170166938A KR 20170166938 A KR20170166938 A KR 20170166938A KR 102125575 B1 KR102125575 B1 KR 10212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ncrete
connector
sound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991A (ko
Inventor
허승웅
윤승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원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원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04B16/082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other than polystyrene based, e.g. polyurethane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2Halogen containing polymers, e.g. PV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2Posts or frame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reduced sound or heat transmi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보강재는, 복합몰탈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보드와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서로 이웃하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감싸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2보드의 수평면과 수직면을 감싸며; 상기 제1연결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구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에는 상기 그루브에 맞물려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REINFORCEMENT METHOD TO PREVENT AND REDUCE NOISE BETWEEN WALL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까지 우리나라는 주택난의 해소와 토지 이용률의 제고를 통한 쾌적한 환경 조성과 효율적인 주거생활을 도모하기 위하여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공동주택 건설사업을 빠르게 추진하여 왔다. 이에 따라 최근 주택건설의 70% 이상을 공동주택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도시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에 이르러 벽식 구조의 아파트들이 대량 건설되고, 이후 1990년대 후반의 초고층 아파트 및 주상복합 건축물의 등장이 있기까지 국내 공동주택의 주요 구조 형식은 벽식 구조로 이루어졌다. 현재 20년이 지난 벽식 구조의 아파트들은 점차 기능과 공간 상의 낙후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노후화가 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노후 공동주택 및 아파트에서는 바닥 충격음으로 인한 살인, 방화 등 강력범죄 사건이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재건축 시 안전진단 평가 항목에 층간 소음 및 진동을 포함하자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신 건축물에는 표준 바닥 구조와 인정 바닥 구조를 통합하여 일정 두께와 일정 차단 성능을 모두 만족하는 바닥 구조 시공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기존 건축물에 대한 차음 규정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차음재 또는 흡음재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중량충격원과 경량충격원을 모두 감소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종래에는 마감몰탈과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차음재를 별개의 레이어로 시공하여 공정이 복잡하고 레이어의 두께 증가가 차음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열층을 별도로 구비했어야 하므로, 시공의 경제성과 구조 성능의 개선이 필요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내력벽과 비내력벽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소음억제 기술이 필요하며 소음억제와 동시에 단열성능까지 확보할 수 있는 공법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참고로 층간소음에 대한 현행기준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121784791-pat00001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210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에 비해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격실간 및 외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격실간 소음을 줄이면서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두께에 따른 경제성을 감안하여 신축 및 노후된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격실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공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격실간 소음(또는 층간소음) 및 진동(고체음)을 차단하는 차음성능과, 소음이 면에 부딪혀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음과 진동음을 흡수시키는 흡음성능을 모두 충족하는 효과적인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격실간 소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공동주택의 바닥의 단열성능을 아울러 개선할 수 있고,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변형시공이 용이한 격실간소음 저감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으로는, 격실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방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격실간 및 외부 소음 억제를 위한 보강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는, 서로 일정거리 유격을 유지하고 설치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유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 블록, 및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드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보드들 사이의 유격만큼의 폭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보드의 양측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좌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에서는, 상기 좌우 플랜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 플랜지보다 더 멀리 상기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드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에서는, 상기 웨브에는 배관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에서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좌우플랜지의 면내에 형성된 구멍에 걸쳐 있는 받침판에 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벽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몰탈층, 및; 위와 같은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커튼월과 같이 설계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비내력벽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내력벽은 연결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비내력벽은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는, 상기 내력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3보드와 제4보드, 상기 제3보드와 제4보드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서로 이웃하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감싸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2보드의 수평면과 수직면을 감싸며, 상기 제1연결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내력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구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에는 상기 그루브에 맞물려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상기 제3보드와 제4보드가 설치되는 상기 내력벽에는 복합몰탈층이 시공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보강재는, 복합몰탈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보드와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제2보드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서로 이웃하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감싸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1보드의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2보드의 수평면과 수직면을 감싸며; 상기 제1연결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구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에는 상기 그루브에 맞물려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보강재에서는, 상기 그루브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는 탄성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보강재에서는, 상기 그루브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가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보강재에서는, 상기 제2보드의 수직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드의 수직면과 대응되는 상기 제2연결구의 수직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필요한 고정 높이에 따라서 대응되는 높이의 걸림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보강재에서는, 상기 제2보드의 수직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드의 수직면과 대응되는 상기 제2연결구의 수직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크기의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필요한 고정 높이에 따라서 대응되는 높이의 걸림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고,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상기 걸림홈은 각각 상기 제2보드와 상기 제2연결구의 높이방향 중앙점 아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콘크리트 벽체;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복합몰탈층; 상기 복합몰탈층 위에 시공되는 바닥마감재, 및;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상기 그루브에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는 탄성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상기 그루브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가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부착되는 제1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보드와 일정거리 유격을 유지하게 배열되는 제2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유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배열되는 이격 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드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보드들 사이의 유격만큼의 폭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보드의 양측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좌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좌우 플랜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 플랜지 보다 더 멀리 상기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드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웨브에는 배관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좌우플랜지의 면내에 형성된 구멍에 걸쳐 있는 받침판에 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격실간 소음 및 외부 소음 억제를 위한 보강재와 보강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차음재층과 경량기포콘크리트(경량기포몰탈)층과 마감몰탈층을 하나의 복합몰탈층으로 시공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된다.
둘째, 복합몰탈층 내에 단열층이 함께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음성능과 함께 단열성능까지 보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법이다. 특히, 내력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차음보강부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량 충격음 차단 성능에 비하여 경량 충격음 차단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복합몰탈층을 시공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바닥층의 층고를 줄일 수 있어서 공동주택의 연면적 확보도 유리하다.
넷째, 복합몰탈층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보드를 그루브-돌출부의 결합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해짐과 동시에 보드와 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보드와 보드의 연결부위를 넓게 덮어 주므로 소음이나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다섯째, 복합몰탈층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보드 사이에 지지구와 'ㄷ'형강과 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음과 진동의 전달을 차단 내지 지연할 수 있는 보드 사이의 이격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특유한 구성에 의하여 또 다른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에 콘크리트 바닥에 차음재가 시공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철근콘크리트 바닥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바닥층과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바닥층의 두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바닥층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층의 시공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드가 설치된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드를 형성하기 위한 보드와 보드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드에서 연결구의 높이가 조정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드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의 이격구조가 벽체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층을 슬라브와 이격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좌우와 상하와 같은 방향의 구별은 각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수평과 수직의 구별은 벽체나 슬라브에서 중량방향을 수직으로 하고 그에 직교하는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정의한다.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케일에 따라 도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하여 도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기존 바닥층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층(10)은 콘크리트 슬라브(11), 차음재(12), 경량기포콘크리트(13), 마감몰탈(14), 바닥마감재(15)가 차례대로 개별층으로 시공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층(10)에서 콘크리트 슬라브(11)가 일반적으로 180 mm로 시공되고 있는데 층간소음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11)의 두께를 210 mm로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겠으나 이때는 무려 공사비가 5~6% 증가하게 된다. 또한, 슬라브 두께 증가에 비하여 중량충격음은 1db 감소에 그쳐서 콘크리트 슬라브 두께 증가에 드는 비용에 비하여 차음효과는 제한적이라는 비효율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현재 신축건축물에서는 표준바닥구조와 인정바닥구조를 통합하여 일정 두께와 일정 차단성능을 모두 만족하는 바닥구조를 의무화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의 종래의 바닥층은 도 5에서와 같은 순서로, 콘크리트 슬라브(11) 층 위에 차음재(12)를 시공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13)와 마감 몰탈(14)을 차례로 시공한 후 그 위에 바닥마감재(15)가 시공되는 것으로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바닥층의 두께가 커지고 층고가 커지므로 과밀화되는 도시건축물로서 연면적 확보에도 문제가 있다. 더욱이 두꺼워지는 두께만큼이나 차음효과는 발현되지 않는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건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바닥층(100)을 도 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한다. 즉, 콘크리트 슬라브(101)를 시공한 이후 그 위에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하나의 복합몰탈층(102)으로서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의 철근 콘크리트 바닥층(100)은 콘크리트 슬라브(101), 복합몰탈층(102)과 바닥마감재(103)로서 시공 과정이 단순화된다.
뿐만 아니라, 도 1의 차음재, 경량기포콘크리트, 마감몰탈을 하나의 복합몰탈층(102)으로서 시공하는 것이므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바닥층의 두께가 자연스레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시공하는 경우 두께가 감소되어서 공사비 감소와 층고 감소 등의 유리한 점이 있기는 하나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그 자체로서 바닥층의 두께 감소로 인하여 열전달율이 향상될 수 있어 단열성능 저하가 문제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건 발명에서는 위 복합몰탈층(102)에 흡음 및 단열성능을 가지는 인조 광물 섬유를 함께 시공함으로써 두께 저하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까지 해결하면서 오히려 단열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차음재의 물성은 통상적으로 경도가 크거나 상대적 강성재로서 음을 반사시켜서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흡음재의 경우에는 역으로 (음흡수가 가능하도록) 음을 유도하는 물성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그러한 음을 유도하는 성격을 가지기 위하여 기포제와 같이 상대적으로 강성이 떨어지는 제재가 사용된다.
위와 같은 차음재와 흡음재의 물성의 차이로 인하여 차음재는 중량충격음 차단에 유리하고 흡음재는 경량충격음 차단에 유리하게 되어 차음재와 흡음재는 구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몰탈층(102)은 차음재와 흡음재를 일체화하여 바닥몰탈과 함께 단일 레이어로 몰탈처리하였기 때문에 상기 복합몰탈층(102) 자체가 경량음 충격음(흡음효과)과 중량음 충격음(차음효과)에서 모두 방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차음재와 흡음재를 동시에 몰탈 처리하여 하나의 신소재로서 단일 레이어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건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구형의 흡음재와 차음재를 몰탈에 혼합하여 시공함으로써, 몰탈을 통한 소음의 투과 시 흡음재가 소음을 흡수하게 하는 구조로, 흡음과 차음이 동시에 발생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소음의 투과손실을 크게 할 수 있어 층간 소음진동 완화 및 마감재 표면처리효과를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층(10)에 비하여 전체적인 두께는 감소하지만 두께 감소가 층간소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는 복합몰탈층(102)에 첨가되는 차음재로 인한 차음성능과 흡음재로 인한 흡음성능의 향상으로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본건 발명에서는 복합몰탈층(102)에 첨가되는 차음재로서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흡음재로서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복합몰탈층(102)에 위와 같은 차음재와 흡음재를 혼합하게 되면 복합몰탈층(102)을 통과하는 소음원의 일부는 복합몰탈층(102) 내의 차음재에서 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흡음재를 통과하여 흡수되어 흡음효과가 발효되고 이로써 층간 소음이 감쇠되는 효과가 발현되는 것이다.
즉, 본건발명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을 채용하게 되면 내력향상 및 차음성능 확보(중량 충격음)에 추가하여 흡음성능 확보(경량 충격음)까지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건축물에서 차음(방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음재 또는 흡음재 어느 하나만으로는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을 모두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렵고, 특히 차음재로서 흔히 사용되는 석고보드는 그 자체가 환경친화적 소재가 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차음재와 흡음재+몰탈"의 복합 몰탈층으로 대체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흡음재 중에서 멜라민폼은 가공성과 불연성 및 저밀도에서 특히 유리하고, PP 초극세사 섬유는 친환경적이며 고면밀도성이다.
또한, 상기 복합몰탈층(102)에는 경량기포몰탈에 인조 광물 섬유와 같은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합몰탈층(102)에 인조 광물 섬유와 경량기포몰탈이 함께 혼합된다. 글라스울, 미네랄 울 등의 인조 광물 섬유와 같은 단열재는 섬유가 가늘고 균일하며 연속된 미세 공극 형성으로 공기층이 미세하게 분할되어 열의 흐름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음을 흡수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흡음성 및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기포몰탈은 시멘트 몰탈에 둘러싸인 아주 작은 기포들의 집합체로서 기포몰탈 형태는 매우 낮은 열전도성, 동적에너지의 흡수성, 높은 내열성 및 압축에 대해 인장응력 특성(압축력 충격에 따라 단번에 부서지지 않고 내부에 함유된 기포가 모두 부서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정한 저항력을 가짐)을 가지고 있어 단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킨 상기 복합몰탈층(102)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우수한 단열 및 흡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복합몰탈층(102)에 혼합되는 마감몰탈은 차음재와 단열재 성분 등이 혼합되는 매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동시에 마감몰탈로서 바닥층 보호 및 표면 처리 효과가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음재와 흡음재, 경량기포콘크리트, 마감몰탈을 하나의 복합몰탈층으로 형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차음재는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흡음재는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경량 기포 몰탈로서 단열성능이 있는 인조 광물 섬유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마감몰탈 역시 층간소음 진동 완화가 있는 소재를 사용하고 마감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표면 처리 효과가 있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바닥마감재는 고분자 수지몰탈계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뛰어난 결합력을 가진 고분자 입자가 구조물 표면 및 구조물 내에 깊숙이 침투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건 발명의 복합몰탈층(102)을 시공하게 되면 단일층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된다. 또한, 단일 복합몰탈층(102)에 의하여 일거에 차음 및 흡음효과와 단열성능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한다.
차음재와 흡음재는 층간소음 완화효과, 경량기포몰탈은 단열성능, 마감몰탈은 바닥층 보호 및 표면 처리 효과를 갖고 있다. 위 3가지의 공정을 단일복합 몰탈의 복합몰탈층으로 하여 단순화된 공법을 제안한 것이 도 6의 공법이다.
이때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배관(104)의 설비 시공을 고려하여 단일몰탈의 두께를 결정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도 4의 복합몰탈층(102)을 시공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마감몰탈의 압축강도는 20MPa 이지만 경량기포몰탈의 성능을 고려하여 압축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그리고 복합몰탈에 첨가되는 재료의 크기 및 함량 역시 조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마감몰탈과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차음재를 별개의 레이어로 시공하여 공정이 복잡하고 레이어의 두께 증가가 차음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와 단열층을 별도로 구비했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경량기포몰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우레탄폼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고서 바닥몰탈의 배관(104) 공사를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우레탄폼콘크리트는 70 내지 80 mm의 두께로 타설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는 150 내지 180 mm로 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복합몰탈층(102)을 시공하는 경우 두께가 감소되어 바닥층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특히나 바닥이 아닌 벽면에 시공되는 경우에는 두께 감소로 인한 강성 저하로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없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강성 저하를 상쇄할 수 있으면서도 본건발명의 차음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건발명에 따른 복합몰탈층(102)에 의하는 경우 차음, 흡음, 단열, 마감이 하나의 레이어에 의하여 완성되어 바닥두께가 감소되어 층고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유리한 점이 있으나, 바닥 두께 감소로 인한 내구성 보강과 방진성 보강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콘크리트 벽체(101)(또는 콘크리트 슬라브 일 수 있다)에 두 개 이상의 보드(200)로 형성된 연결보드를 부착하되 상기 보드(200)와 보드(200)는 별도의 연결구(110, 1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보드(200)의 두께가 감소하더라도 그 길이가 분할된 복수의 보드(200)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보드를 시공하게 되면 보드(200)의 두께 감소로 인한 강성 저하를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부재의 길이방향 스팬이 감소할수록 부재의 휨강도나 좌굴강도가 향상되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
보드(200)와 보드(200)를 서로 연결하는 도 7에서와 같이 각각의 보드(200)에 연결된 두 개의 연결구(110, 1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보드(200)와 보드(200)가 연결되도록 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구(110, 120)들은 보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연장되어 퍼져 있어서 보드(200)와 보드(200) 사이의 연결부를 충분한 넓이로 덮어주기 때문에 보드(200)와 보드(200) 사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110, 120) 중에서 좌측의 제1연결구(110)에는 그루브(111)가 형성되어서 다른 하나의 우측의 제2연결구(120)에 형성된 돌출부(121)가 상기 그루브(111)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연결구(110, 120)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110)는 제1보드(200)에 마련되고 제2연결구(120)는 제2보드(200)에 마련된다. 하나의 연결보드를 형성하는 보드(200)가 3개 이상일 수도 있으며, 제1과, 제2과 같은 표현은 그러한 보드(200)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연결보드를 형성하는 각각의 보드는 서로 동일하게 제작된다.
제1연결구(110)와 제2연결구(120)는 서로 마주보면서 보드(200)와 보드(200)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연결구(110)는 제1보드(200)의 2개의 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기 위하여 제2보드(200)와 마주하는 모서리의 수직면(a)과 이와 직교하게 연결되는 수평부(b)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a)로부터 다시 상기 벽체(101)를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c)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c)에서 상기 제1연결구(110)는 상기 벽체(101)와 나사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300)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구(120)는 상기 제1보드(200)와 맞닿는 제2보드(200)의 면들을 감싸게 형성되며 제2보드(200)의 면들 중에서 제1보드(200)에 연결되는 면들에 대응되게 수직부(d)와 상기 수직부(d)에 연결되는 수평부(e)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수직부(a), 수평부(b, c)는 연속적으로 제1보드(200)의 대응하는 면들을 감쌀 수 있도록 제1보드(200)의 대응하는 면들에 고정되게 구성되는데 반해서, 제2보드의 수직부(d)는 그 위치가 제2보드(200)의 수직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9에서와 같이 제2보드(200)에서 수직부(d)가 형성되는 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201)가 여러 개 형성되고 그 고정돌기(201)에 맞물리는 걸림홈(122)이 제2연결구(120)의 수직부(d)에 형성되어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돌기(201)와 걸림홈(122)이 맞물림으로써 수직부(d)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201)는 걸림홈(122)에 걸리고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 원활하도록 도 9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연결구의 고정돌기(201)와 걸림홈(122)의 구성은 중요한데 그 이유는 제1보드(200)와 제2보드(200)를 결합할 때 상기 그루브(111)가 상기 돌출부(12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면이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121)가 그루브(111)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121)가 연결된 수직부(d)의 위치를 조정해서 상기 그루브(111)에 가압력을 주어 그루브(111) 내에서 돌출부(121)가 탄성을 유지하면서 정착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보드(200)와 보드(2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그루브(111)가 돌출부(121) 내에서 탄성적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121)는 탄성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통상 제1연결구(110)는 제2연결구(120)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므로 제1연결구(110)와 그루브(111) 역시 탄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121)가 그루브(111)를 향해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져서 삽입되도록, 즉 그루브(111)가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면 수직부(d)는 돌출부(121)의 그루브(111)에 대한 탄성결합을 유지하도록 그러한 하향경사면에 저촉되는, 즉 그러한 하향경사면을 가압하는 하향 탄성력이 생겨야 하므로 상기 수직부(d)는 중립상태보다 아래에서 고정되고 이를 위하여 중립상태보다 아래에 있는 고정돌기(201)에 수직부(d)의 걸림홈(122)이 맞물린다. 도 9는 그와 같이 그루브(111)가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수직부(d)가 보드(200)의 상부 모서리와 간격(g)만큼 이격되어 내려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 중립상태라는 것은 위 g=0 인 경우를 의미한다.
만일 상기 그루브(111)를 향해서 돌출부(121)가 위를 향해서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면 수직부(d)는 중립상태보다 위에 있는 고정돌기(201)에 수직부(d)의 걸림홈(122)이 맞물릴 수는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그루브(111)로부터 돌출부(121)가 이탈할 가능성이 높기도 하고 제2연결구(120)가 보드(200)의 테두리를 넘어서 벽체(101)로 나가야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기는 어렵다.
상기 그루브(111)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보드(200)의 수직부(d)와 수평부(e)가 만나는 곳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제1보드(200)의 상기 수직부(a)와 상기 수평부(b)가 만나는 곳에 형성된 그루브(111)의 대응되는 제2연결구(12)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111)는 상기 돌출부(121)가 상기 그루브(111) 안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그루브(111) 내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1)의 길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루브(111)는 대체적으로 'ㄷ'자형이고 상기 돌출부는 대체적으로 'ㅡ'자 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결보드는 도 10에서와 같은 구조체의 벽면(101)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연결보드가 위 구조체의 바닥면(40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위 연결보드는 앞서 설명한 복합몰탈층(102)에 형성될 수 있게 되어 복합몰탈층(102)을 채용해서 생기는 두께 감소로 인한 강성 저하의 문제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보드(200)와 제2보드(200)를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나란히 연속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도 11에서와 같이 이들 사이의 유격(u)을 두고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연결보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중첩보드라고 호칭한다. 이와 같은 중첩보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두 개 이상의 보드(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경우 그 유격(u)만큼 벽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인접 실로부터의 소음의 전달경로가 길어져서 차음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단, 중첩보드의 내부를 모두 중실단면으로 채우는 경우 재료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중첩보드의 하중 증가로 인하여 슬라브 등의 단면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는데다가, 중첩보드 자체는 비내력 구조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중첩보드에서 굳이 단면이 중실단면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드(200)와 보드(200) 사이를 충분히 필요한 만큼 이격시키고 이러한 중공단면의 중첩보드가 내구성 있게 설치될 수 있는 강성이 확보되면 충분하다. 물론 본 발명의 연결보드가 비내력벽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첩보드를 구성하는 두 보드(200) 사이에는 보드(200)와 보드(200)를 안정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블록(2010)을 설치한다. 이 이격블록(2010)은 보드(200)와 보드(200) 사이를 안정적으로 이격시키기에 충분한 부피이면 되므로 보드(200) 보다 훨씬 작은 높이이면 충분하고 이격블록(2010)의 부피로 인하여 보드(200)와 보드(200)가 이격되는 것이므로 스티로폼이나 석고보드재와 같은 저중량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거운 석재나 강재일 필요 없다. 한편, 상기 보드(200)와 보드(200)가 내구성 있게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보드(200)와 보드(200)를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10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0)은 보드(20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고 보드(200)들 사이의 간격만큼의 폭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웨브(2101)와 상기 웨브(2101)의 폭방향 양단에서 보드(200)의 양측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 좌우 플랜지(2102)로 이뤄져 전체적으로 'ㄷ' 자형 단면을 가지는 'ㄷ'형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ㄷ'형강(2100)의 좌우 플랜지(2102)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 플랜지(2102)보다 더 멀리 보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드(200)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2200)이 상기 보드(200)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200)은 상기 좌우플랜지(2102)의 면내에 형성된 구멍(2105)에 걸쳐있는 받침판(2104)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21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첩보드는 두 개의 보드(200) 사이가 안정적으로 이격되면서 그러한 이격을 내구성 있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이격거리에 의하여 벽간 차음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브(2101)에는 배관 등의 목적으로 통공(210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는 층간 소음 감소에 대한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벽간 소음 감소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와 같은 중첩보드를 바닥 슬라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내력구조물인 슬라브와 바닥마감재의 사이에 뜬 바닥 방음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ㄷ' 형강(2100)과 지지판(2200)을 슬라브(400) 위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를 바닥슬래브에 최대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진동이나 충격에너지를 바닥슬래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순한 뜬바닥 공법은 경량충격음 저감효과는 아주 우수하나 저주파대의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불리하고, 반면 콘크리트 강도와 슬래브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슬래브의 강성을 높이는 방법(중공(Void)형식이나 리브형식의 슬래브)은 경량충격음에 대해서는 크게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ㄷ' 형강(2100)과 지지판(2200)을 슬라브(400)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로 작용하는 'ㄷ' 형강(2100)이 콘크리트 슬래브(400)로 직접 고체진동음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중량충격음 감소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바닥마감재를 발포 PVC, 발포 PE, 발포 PP, 발포 우레탄 등의 충격흡수층을 포함하게 되면 경량충격음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에 비해 경량 및 중량충격음을 효과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및 진동 억제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설계공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건발명의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1)는 건축물의 벽체, 보, 기둥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1)에는 콘크리트의 인장내력 보강을 위하여 철근이 내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중첩보드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벽체 역시 복합몰탈층이 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서, 상기 복합몰탈층은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하여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는 내력벽은 앞서 설명한 연결보드를 사용하고 비내력벽은 중첩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력벽은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를 적용하고 비내력벽은 도 11 내지 도 12의 실시예를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콘크리트 구조체에서는 내력벽은 상기 연결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비내력벽은 중첩보드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내력벽은 전단벽과 같은 설계 하중을 지지하는 벽체를 의미하며, 상기 비내력벽은 커튼월과 같이 설계 하중을 부담하지 않고 내부 공간의 구획 등의 역할만을 하는 벽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보드나 중첩보드의 설치 위치, 즉 벽체에 설치할지, 슬래브에 설치할지 또는 벽과 슬래브에 모두 설치할지에 따라서 실험적으로 층간소음의 감소효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121784791-pat00002
이하에서는 바닥충격음을 평가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바닥충격음은 중량 충격음과 경량 충격음으로 구별하는데 이를 구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121784791-pat00003
바닥충격음을 중량 바닥충격음과 경량 바닥충격음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경우에 평가 순서를 나타내면 하기 그림과 같다.
Figure 112017121784791-pat00004
이와 같은 바닥충격음 평가에 있어서 역A특성 효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17121784791-pat00005
이상에서 층간소음 억제에 대하여 설명한 것은 특별히 달리 제한은 하지 않은 이상 격실간 소음 억제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철근콘크리트 바닥층
101: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벽체
102: 복합몰탈층
103: 바닥마감재
110, 120: 연결구
111: 그루브
121: 돌출부
122: 걸림홈
200: 보드
201: 고정돌기
300: 고정수단
400: 바닥면
2100: 지지프레임
2101: 지지프레임 웨브
2102: 지지프레임 플랜지
2103: 통공
2104: 받침판
2105: 구멍
2200: 지지판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슬라브,
    상기 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 설치되는 복합몰탈층, 및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는,
    서로 일정거리 유격을 유지하고 설치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유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 블록, 및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드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보드들 사이의 유격만큼의 폭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보드의 양측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좌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플랜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 플랜지 보다 더 멀리 상기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드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웨브에는 배관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좌우플랜지의 면내에 형성된 구멍에 걸쳐 있는 받침판에 안착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구형의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는 발포 PVC, 발포 PE, 발포 PP, 발포 우레탄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되는 바닥마감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는 150 내지 180 mm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우레탄폼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고서 상기 배관을 설치하되 상기 우레탄폼콘크리트는 70 내지 80 mm의 두께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7. 설계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커튼월과 같이 설계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비내력벽, 및
    콘크리트 슬라브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내력벽은 연결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비내력벽은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는,
    상기 내력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3보드와 제4보드,
    상기 제3보드와 제4보드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제3보드의 서로 이웃하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감싸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3보드의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4보드의 수평면과 수직면을 감싸며,
    상기 제1연결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내력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구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에는 상기 그루브에 맞물려 결합 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제4보드의 수직면을 감싸는 수직부 및 상기 제4보드의 수평면을 감싸는 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4보드의 수직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수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보드 형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는,
    서로 일정거리 유격을 유지하고 설치되는 제1보드 및 제2보드,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상기 유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 사이에 설치되는 이격 블록, 및
    상기 제1보드와 상기 제2보드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드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보드들 사이의 유격만큼의 폭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웨브와, 상기 웨브의 폭방향 양단에 상기 보드의 양측 길이방향 중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좌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플랜지와 연결되어 상기 좌우 플랜지 보다 더 멀리 상기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드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웨브에는 배관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좌우플랜지의 면내에 형성된 구멍에 걸쳐 있는 받침판에 안착되고,
    상기 제3보드와 제4보드가 설치되는 상기 내력벽에는 복합몰탈층이 시공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구형의 차음재 및 흡음재를 마감몰탈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염화비닐, 고분자러버, 철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음재와, 멜라민폼, 발포폴리스티렌(EPS), PP 초극세사 섬유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몰탈층은 경량기포몰탈에 단열재를 혼합해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 미네랄 울 중에서 선택되는 인조 광물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는 상기 연결보드 또는 중첩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는 발포 PVC, 발포 PE, 발포 PP, 발포 우레탄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되는 바닥마감재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는 150 내지 180 mm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우레탄폼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고서 상기 배관을 설치하되 상기 우레탄폼콘크리트는 70 내지 80 mm의 두께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8. 삭제
KR1020170166938A 2017-12-06 2017-12-06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KR10212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38A KR102125575B1 (ko) 2017-12-06 2017-12-06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38A KR102125575B1 (ko) 2017-12-06 2017-12-06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91A KR20190066991A (ko) 2019-06-14
KR102125575B1 true KR102125575B1 (ko) 2020-06-23

Family

ID=6684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938A KR102125575B1 (ko) 2017-12-06 2017-12-06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891A (ja) * 2007-06-15 2008-12-25 Isao Maeshiba 耐火間仕切壁用耐火ブロック
JP2012017644A (ja) * 2010-06-10 2012-01-26 Yoshino Gypsum Co Ltd 間仕切壁の目透し目地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92432B1 (ko) * 2012-12-13 2014-05-13 이형기 탄성 스터드에 의한 고차음 건식벽체
KR101569026B1 (ko) * 2015-07-03 2015-11-13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052A (ko) 2004-09-02 2006-03-07 덕유패널 주식회사 차음시트를 갖는 콘크리트 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500456B1 (ko) * 2013-08-01 2015-03-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KR20160133211A (ko) * 2015-05-12 2016-11-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내력 향상이 가능한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1760079B1 (ko) * 2015-07-31 2017-07-2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891A (ja) * 2007-06-15 2008-12-25 Isao Maeshiba 耐火間仕切壁用耐火ブロック
JP2012017644A (ja) * 2010-06-10 2012-01-26 Yoshino Gypsum Co Ltd 間仕切壁の目透し目地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92432B1 (ko) * 2012-12-13 2014-05-13 이형기 탄성 스터드에 의한 고차음 건식벽체
KR101569026B1 (ko) * 2015-07-03 2015-11-13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91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235B1 (ko) 나노기술에 기반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2139181B1 (ko) Poss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225560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해 벽체-고정 강선케이블을 이용한 뜬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70096270A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0718698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2125575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벽체간 소음 억제 및 저감을 위한 보강공법
KR102131435B1 (ko) 건축구조물의 바닥충격음 감소를 통한 층간소음 및 진동 억제를 위한 보강재와 보강공법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2056870B1 (ko)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소음 저감 공법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2240458B1 (ko) 나노기술에 기반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200374808Y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190033995A (ko) 나노기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억제 공법
KR102139187B1 (ko) Poss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1936881B1 (ko) 바닥슬래브의 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슬래브 절연장치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