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57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57B1
KR102124457B1 KR1020130080551A KR20130080551A KR102124457B1 KR 102124457 B1 KR102124457 B1 KR 102124457B1 KR 1020130080551 A KR1020130080551 A KR 1020130080551A KR 20130080551 A KR20130080551 A KR 20130080551A KR 102124457 B1 KR102124457 B1 KR 10212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ubstrate
display panel
ho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728A (ko
Inventor
김길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57B1/ko
Priority to US14/223,522 priority patent/US9013101B2/en
Priority to CN201410324606.0A priority patent/CN104282725B/zh
Publication of KR2015000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봉 기판 및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기판과 밀봉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밀봉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밀봉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술한 유기 발광층은 외부의 수분과 산소 또는 자외선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층을 밀봉시키는 패키징(packaging)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유기 발광층을 밀봉시키기 위해 밀봉 기판(10)과 밀봉부(20)를 사용한다. 그러나, 밀봉 기판(10) 및 밀봉부(20)는 외부 충격에 약하여,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밀봉 기판(10) 또는 밀봉부(20)가 파손되어 유기 발광층으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충격에 의해 표시 패널을 밀봉하는 밀봉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 기판과 하부 기판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부 충격에 의해 기판과 밀봉 기판이 밀봉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봉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의 양측 단부 각각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밀봉 기판의 일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관통구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구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구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구는 상기 밀봉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부는 프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밀봉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밀봉 패턴 내부로 밀봉재을 투입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봉 기판을 상기 밀봉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패턴은 상기 밀봉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 상측면에 상기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재가 상기 밀봉 패턴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밀봉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봉 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밀봉 기판을 상기 밀봉부 상측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밀봉 기판이 상기 상측면에 접촉된 후, 상기 밀봉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봉부를 가열한 후, 상기 밀봉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외부 충격에 의해 표시 패널을 밀봉하는 밀봉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투된 산소 또는 수분에 의해 표시 패널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밀봉 기판과 기판을 견고하게 밀착시켜 밀봉 기판과 기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밀봉부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밀봉기판 및 밀봉재가 포함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밀봉부에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P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내부에 관통구(210)가 형성된 밀봉부(200)에 의해 기판(400)과 밀봉 기판(100)의 결합을 강화시키며, 또한, 관통구(210)에 의해 외부 충격이 분산되어 밀봉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400), 표시 패널(300), 밀봉 기판(100) 및 밀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판(400)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300) 등이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층에 해당된다.
이때, 기판(40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400)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30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30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계 효과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300) 위에는 표시 패널(300)을 밀봉하는 밀봉 기판(100)이 배치된다. 밀봉 기판(100)은 후술하는 밀봉부(200)와 함께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300)을 보호한다. 특히, 밀봉 기판(100)은 표시 패널(300)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층이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밀봉 기판(10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밀봉 기판(100)과 기판(400) 사이에는 밀봉부(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밀봉부(200)는 표시 패널(500)을 둘러싸도록 표시 패널(500) 둘레에 배치된다.
이때, 밀봉부(200)는 밀봉 기판(100)과 기판(400)에 결합된다. 밀봉부(200)는 프릿(frit)을 함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 기판(100)과 기판(400)을 결합시키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부(200)에는 관통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210)는 밀봉부(200)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하 방향은 밀봉부(200)를 중심으로 기판(400)과 밀봉 기판(100)을 연결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관통구(210)의 양측 단부는 각각 기판(400) 및 밀봉 기판(100)에 결합된다. 관통구(210)의 상측 단부는 밀봉 기판(100)에 결합되고, 관통구(210)의 하측 단부는 기판(400)에 결합된다.
이때, 관통구(210)의 양측 단부는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에 밀착되어, 관통구(210) 내부로 공기 등의 기체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관통구(210) 내부는 진공 상태가 형성된다.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관통구(210)의 양측 단부가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에 밀착된다.
여기에서,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관통구(210)를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하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밀봉부(200)가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밀봉부(200)와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 각각의 결합력이 우수해진다.
또한, 밀봉부(200) 내부에 관통구(210)가 형성되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도 4 (a)를 참조하면, 밀봉부(200)에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으면, 외부 충격이 표시 패널 내부 방향으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 (b)에서와 같이, 밀봉부(200)에 관통구(210)가 형성되면, 외부 충격의 전달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충격의 전달 경로가 더 증가되어 외부 충격이 전달 중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밀봉부(200)의 관통구(210)는 그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관통구(21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 관통구(210)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관통구(210)는 밀봉부(200)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관통구(210)는 밀봉부(200)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둘레를 따라 밀봉부(200)에 형성된다. 관통구(210)가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외부 충격이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210)가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밀봉부(200)가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밀봉부(200)와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 각각의 결합력이 더욱 우수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부(200)는 프릿(fri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 기판(100)과 기판(400)을 결합시키고, 표시 패널을 밀봉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P 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표시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는 표시 기판(123) 위에 구동 트랜지스터(Qd)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표시 기판(123)은 도 5의 기판(400)에 대응된다.
이때, 구동 트랜지스터(Qd) 위에는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보호막(122b)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22b)이 유기물로 만들어진 경우 그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보호막(122b)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일부를 드러내는 비아홀(1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막(122b) 위에는 제 1 전극(122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122d)은 반사 전극과 그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전극은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따위의 반사도가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따위의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막(122b) 위에는 제 1 전극(122d)의 가장자리 주변을 덮으며 화소 정의막(122c)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전극(122d) 위에는 유기 발광층(122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122e) 및 화소 정의막(122c) 위에 제 2 전극(122f)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122e)은 실제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층(도시하지 않음) 이외에 정공 또는 전자의 캐리어를 발광층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기층들(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유기층들은 제 1 전극(122d)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과, 제 2 전극(122f)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122f) 위에는 제 2 전극(122f)을 덮어 보호하는 캡핑층(125)이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핑층(125)으로부터 이격되어 밀봉 기판(100)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표시 기판(123)과 밀봉 기판(100) 사이에 위치한 여러 층들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300, 도 5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하기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밀봉부(200) 내부에 진공 상태의 관통구(210)를 형성하여, 밀봉 기판(100) 및 기판(400)과 밀봉부(2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우선,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400) 위에 표시 패널(300)을 형성한다(S100). 이때, 표시 패널(300)에는 구동 트랜지스터, 유기 발광층이 포함될 수 있다. 기판(400) 위에 표시 패널(300)을 형성하는 과정은 공지된 구동 트랜지스터 또는 유기 발광층의 형성 과정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밀봉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500)를 표시 패널(300) 위에 위치시킨다(S200). 이때, 마스크(500)는 밀봉재(600)를 투입하여 밀봉부(20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밀봉부(200)의 특정 형상을 위한 밀봉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밀봉 패턴이란 밀봉부(200) 내부에 관통구(210)가 형성되도록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다.
도 9는 밀봉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5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500)에는 관통구 영역(510) 및 밀봉부 영역(520)이 형성된다.
이때, 밀봉부 영역(520)은 투입되는 밀봉재(600)가 기판(400) 위에 밀봉부(200)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영역이다. 밀봉재(600)가 밀봉부 영역(520)을 관통하여 기판(400)에 안착되면, 표시 패널(300)를 둘러싸는 밀봉부(200)가 형성된다.
한편, 관통구 영역(510)은 밀봉부(200) 내부에 관통구(210)가 형성되도록, 밀봉재(600)가 기판(400)으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밀봉부(20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 영역(530)은 표시 패널(300) 위에 밀봉재(600)가 투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밀봉 패턴 내부로 밀봉재(600)를 투입하여 밀봉부(200)를 형성한다(S300).
이때, 밀봉부(200)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밀봉재(600)를 마스크(500)의 상측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밀봉재(600)를 가압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크(500)를 표시 패널(300) 위에 위치시킨 후, 마스크(500) 상측면에 밀봉재(600)를 도포한다. 그러나, 마스크(500)를 표시 패널(300) 위에 위치시키기 전에, 마스크(500) 상측면에 미리 밀봉재(600)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상측면에 미리 밀봉재(600)가 도포된 마스크(500)를 표시 패널(300)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밀봉재(600)를 가압하여, 밀봉 패턴을 따라 기판(400) 위로 밀봉재(600)를 투입시킨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크(500)의 관통구 영역(510)에 의해 밀봉부(200) 내부에 관통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밀봉부(200)의 형성이 완료되면, 마스크(500)를 제거시킨다(S400).
마스크(500)를 제거시키고 난 후, 표시 패널(300)을 밀봉하도록 밀봉 기판(100)을 밀봉부(200)에 결합시킨다(S500).
이때, 밀봉 기판(100)을 밀봉부(200)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밀봉 기판(100)을 밀봉부(200) 상측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밀봉부(200)를 가열시키는 단계로 구분된다.
밀봉 기판(100)을 밀봉부(2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우선 밀봉 기판(100)을 밀봉부(200) 상측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나서, 밀봉부(200)를 가열시킨다.
이때, 밀봉부(200)가 가열된 후, 밀봉부(200)가 냉각되면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다. 이는, 밀봉부(200)를 이루는 밀봉재(600)가 가열된 후 수축되면서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관통구(2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됨으로써, 밀봉 기판(100)이 밀봉부(200)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마찬가지로, 기판(400)도 밀봉부(200)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밀봉부(200)를 가열 후, 밀봉부(200)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자연 냉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밀봉부(200)의 강도, 관통구(210)의 진공 정도 등을 고려하여, 별도의 냉각 장치에 의해 밀봉부의 냉각 시간 등을 조절하여 밀봉부(200)를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따라, 표시 장치의 밀봉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 기판과 기판이 밀봉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밀봉 기판 200: 밀봉부
210: 관통구 300: 표시 패널
400: 기판 500: 마스크
510: 관통구 영역 520: 밀봉부 영역
530: 표시패널 영역 600: 밀봉재

Claims (11)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봉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상기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양측 단부 각각은 상기 기판 및 상기 밀봉 기판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인 표시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프릿(frit)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8. 기판 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밀봉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밀봉 패턴 내부로 밀봉재을 투입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둘러싸도록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밀봉 기판을 상기 밀봉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패턴은 상기 밀봉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패턴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 상측면에 상기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재가 상기 밀봉 패턴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밀봉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밀봉 기판을 상기 밀봉부 상측면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밀봉 기판이 상기 상측면에 접촉된 후, 상기 밀봉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를 가열한 후, 상기 밀봉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80551A 2013-07-09 2013-07-09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551A KR102124457B1 (ko) 2013-07-09 2013-07-09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223,522 US9013101B2 (en) 2013-07-09 2014-03-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410324606.0A CN104282725B (zh) 2013-07-09 2014-07-09 显示装置和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551A KR102124457B1 (ko) 2013-07-09 2013-07-09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728A KR20150006728A (ko) 2015-01-19
KR102124457B1 true KR102124457B1 (ko) 2020-06-19

Family

ID=5225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551A KR102124457B1 (ko) 2013-07-09 2013-07-09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3101B2 (ko)
KR (1) KR102124457B1 (ko)
CN (1) CN104282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92B1 (ko) * 2016-07-29 2023-08-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D806705S1 (en) * 2016-11-01 2018-01-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123B1 (ko) * 2003-07-29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US7538488B2 (en) * 2004-02-14 2009-05-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JP2005276769A (ja) * 2004-03-26 2005-10-06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パネル
KR100657953B1 (ko) 2005-02-23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실링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US7452258B1 (en) * 2005-08-30 2008-11-18 Rockwell Collins, Inc. Method of sealing OLED cover with liquid adhesive
US20070172971A1 (en) * 2006-01-20 2007-07-26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nt sealing arrangement for OLED devices
CN101548578B (zh) * 2006-12-26 2012-04-25 夏普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面板、有机电致发光显示器、有机电致发光照明装置和它们的制造方法
US8067883B2 (en) * 2008-02-29 2011-11-29 Corning Incorporated Frit sealing of large device
KR100926622B1 (ko) * 2008-03-17 2009-11-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프릿을 이용한 기밀 밀봉 장치 및 기밀 밀봉 방법
KR101493410B1 (ko) * 2008-07-21 2015-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TWI426815B (zh) * 2010-04-27 2014-02-11 Au Optronics Corp 電致發光顯示裝置及其製備方法
KR101275792B1 (ko) * 2010-07-28 2013-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19800B1 (ko) 2010-10-25 2017-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77470A (ko) * 2010-12-30 2012-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022367B (zh) * 2011-09-26 2016-08-1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玻璃材质封装体的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3101B2 (en) 2015-04-21
US20150015138A1 (en) 2015-01-15
CN104282725A (zh) 2015-01-14
KR20150006728A (ko) 2015-01-19
CN104282725B (zh)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73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499486B (zh) 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20070085020A (ko)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KR102055281B1 (ko) 표시 장치
KR10216069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5456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1021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86944B1 (ko)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4154B1 (ko) 표시 장치
JP5493791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67609A (ko)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9889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248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4457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0061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9127880A1 (zh) 柔性电路板保护层及oled显示装置
KR2011007164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60413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209414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223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58438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용 기판 합착장치
US20190334113A1 (en) Oled display device
KR100518962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JP2008288034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