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03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03B1
KR102124203B1 KR1020180121649A KR20180121649A KR102124203B1 KR 102124203 B1 KR102124203 B1 KR 102124203B1 KR 1020180121649 A KR1020180121649 A KR 1020180121649A KR 20180121649 A KR20180121649 A KR 20180121649A KR 102124203 B1 KR102124203 B1 KR 10212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ty
magnetic body
magnetic
hall sens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516A (ko
Inventor
노종은
임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18012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03B1/ko
Priority to PCT/KR2018/015793 priority patent/WO2020075915A1/ko
Priority to CN201880008654.5A priority patent/CN111316394B/zh
Priority to US16/477,358 priority patent/US11088690B2/en
Priority to DE212018000426.9U priority patent/DE212018000426U1/de
Publication of KR2020004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스위치를 개시한다. 스위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본체의 전기적 스위칭을 유도하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제2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면에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극성; 그리고, 상기 제1 극성에 반대하는 제2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제3 극성; 그리고, 상기 제3 극성에 반대하는 제4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성, 제2 극성, 제3 극성 및 제4 극성은 상기 제2 면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전원과 엑츄에이터를 분리할 수 있는데, 스위치는 전원과 엑츄에이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스위치의 일 종류로서 자기력을 이용한 비접촉식 스위치가 있다. 비접촉식 스위치는 기계적인 접점을 가지지 않으므로 접점간의 마모가 없어 내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마모에 의한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아 방진을 요구하는 환경에 적합하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스위치(1)는 도어(2) 개폐의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체(5)는 벽(4)에 설치될 수 있고, 작동기(3)는 도어(2)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5)는 복수개의 홀센서(9)를 구비할 수 있고, 작동기(3)는 복수개의 자석(6)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2)가 벽(4)에 가까워지면, 자석(6)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홀센서(9)가 감지하여 도어(2)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다. 케이블(35)은 복수개의 홀센서(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석(6)은 각각이 서로 다른 극성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61)은 N극이 전방을 향하여 본체(5)와 마주하고 S극이 후방을 향할 수 있고, 제2 자석(62)은 S극이 전방을 향하여 본체(5)와 마주하고 N극이 후방을 향할 수 있고, 제3 자석(63)은 N극이 전방을 향하여 본체(5)와 마주하고 S극이 후방을 향할 수 있다.
제1 홀센서(91)는 제1 자석(61)에서 제공되는 자기력선을 감지하고, 제2 홀센서(92) 및/또는 제3 홀센서(93)는 제2 자석(62)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선을 감지하고, 제4 홀센서(94)는 제3 자석(63)에서 제공하는 자기력선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스위치는 자석들간의 자기력선의 상쇠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석들간의 간격을 일정 간격 이상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여 스위치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스위치의 감도 및/또는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석의 개수를 늘리면 스위치의 크기가 커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스위치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스위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며,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의 감도 및/또는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의 소형화를 달성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본체의 전기적 스위칭을 유도하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제2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2 면에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극성; 그리고, 상기 제1 극성에 반대하는 제2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제3 극성; 그리고, 상기 제3 극성에 반대하는 제4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성, 제2 극성, 제3 극성 및 제4 극성은 상기 제2 면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의 제2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3 극성과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의 제2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3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고, 상기 제1 자성체의 제1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4 극성과 동일한 극성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홀센서는: 상기 제1 극성에 대응하는 제1 홀센서; 상기 제2 극성에 대응하는 제2 홀센서; 상기 제3 극성에 대응하는 제3 홀센서; 그리고, 상기 제4 극성에 대응하는 제4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는 상기 케이스의 제2 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위치하는 격리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의 거리는,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의 거리는, 상기 제3 홀센서와 상기 제4 홀센서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위치의 감도 및/또는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위치의 소형화를 달성하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비접촉식 스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예들의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선 분포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작동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와 작동기(200)는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케이블(300)이 본체(100)에 연결되어 본체(100)와 외부 기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전기적 스위칭을 제공할 수 있다. 작동기(200)는 본체(10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작동기(200)가 본체(1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작동기(200)가 본체(10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150), 케이스(110), 커버(150)는 본 실시예에서 서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일 수 있고, 이들은 서로 혼용될 수 있다.
본체(100)는 하우징(110,150)을 구비할 수 있다. PCB(120)는 하우징(110,15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PCB(120)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4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홀센서(131)는 N극 또는 N극의 극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홀센서(132)는 S극 또는 S극의 극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홀센서(133)는 S극 또는 S극의 극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4 홀센서(134)는 N극 또는 N극의 극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블(300)은 PCB(120)를 통해 복수개의 홀센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150)은 케이스(110), 그리고 커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PCB(120)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고, 커버(15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 또는 커버(150)에 의해 제공되는 하우징(110,150)의 면을 제1 면이라 칭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제1 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210,250), 케이스(210), 커버(250)는 본 실시예에서 서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일 수 있고, 이들은 서로 혼용될 수 있다.
작동기(200)는 하우징(210,250)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하우징(210,25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230,240)는 플레이트(220)상에 위치하거나 안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230,24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자성체(230,240)는 2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250)은 케이스(210), 그리고 커버(250)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케이스(210) 내부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고, 커버(250)는 케이스(21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케이스(210)의 개방된 일면 또는 커버(250)에 의해 제공되는 하우징(210,250)의 면을 제2 면이라 칭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230,240)는 제2 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자성체(230,240)는 제1 자성체(230), 그리고 제2 자성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230)는 제1 극성(231) 및 제2 극성(23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성체(240)는 제3 극성(242) 및 제4 극성(2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극성(231)은 N극, 제2 극성(232)은 S극, 제3 극성(242)은 S극, 제4 극성(241)은 N극일 수 있다. 제2 극성(232)과 제3 극성(24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제1 평판부(221), 제2 평판부(222), 그리고 격리벽(223)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22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은 메탈일 수 있다. 제1 평판부(221)와 제2 평판부(222)는 서로 이웃할 수 있고, 격리벽(223)은 제1 평판부(221)와 제2 평판부(22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평판부(221)와 제2 평판부(22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평판부(221)는 제1 안착부(221d)를 구비할 수 있고, 제2 평판부(222)는 제2 안착부(222d)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착부(221d)는 제1 평판부(221)가 프레스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부(222d)는 제2 평판부(222)가 프레스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h1)이 제1 평판부(221) 또는 제1 안착부(221d)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홀(h2)이 제2 평판부(222) 또는 제2 안착부(222d)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격리벽(223)은 제1 벽(223w1), 제2 벽(223w2), 그리고 브릿지(223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벽(223w1)은 제1 평판부(221)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제2 벽(223w2)은 제2 평판부(222)에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고, 브릿지(223c)는 제1 벽(223w1)과 제2 벽(223w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벽(223w1)은 제2 벽(223w2)과 마주하거나 대향할 수 있다.
격리벽(223)의 높이(H2)는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의 높이(H1) 보다 작을 수 있다. 격리벽의 높이(H2)는 공간 높이(H3) 보다 클 수 있다. 브릿지(223c)의 너비(W) 또는 길이(W)는 제1 자성체(230)와 제2 자성체(24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성체(230)는 제2 자성체(240)에 척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격리벽(223)은 이러한 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격리벽(223)의 높이(H2)는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의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브릿지(223c)의 너비(W) 또는 길이(W)는 제1 자성체(230)와 제2 자성체(24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성체(230)는 제2 자성체(240)에 척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격리벽(223)은 이러한 척력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 보다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도 10은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가 제공하는 자기력선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의 일측에 플레이트(220)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가 제공하는 자기력선의 분포를 나타낸다. 플레이트(220)에 의해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가 제공하는 자기력선의 거리(L2)가 제1 자성체(230) 또는 제2 자성체(240)가 제공하는 자기력선의 거리(L1) 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자성체(M)가 플레이트(220)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자성체(M)에 의해 제공되는 자기력선의 분포를 나타낸다. 제1 자성체(M1)는 N극과 S극을 지닐 수 있는데, N극과 S극은 Z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성체(M2)는 S극과 N극을 지닐 수 있는데, S극과 N극은 Z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자성체(M2)의 극성은 제1 자성체(M1)의 극성과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성체(M3)는 N극과 S극을 지닐 수 있는데, N극과 S극은 Z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자성체(M3)의 극성은 제2 자성체(M2)의 극성과 반대이고, 제1 자성체(M1)의 극성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성체(M1), 제2 자성체(M2), 제3 자성체(M3)의 극성은 서로 엇갈리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자성체(M)가 배치되면, 복수개의 자성체(M) 각각이 제공하는 자기력선은 서로 상쇠되어 복수개의 자성체(M)가 제공하는 전체적인 자기력선의 세기 또는 자기력선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자성체(M)를 서로 이웃하여 배치하려면, 이들간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D1,D2)을 유지해야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자성체(230,240)가 플레이트(220)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자성체(230,240)에 의해 제공되는 자기력선의 분포를 나타낸다. 제1 자성체(230)는 N극과 S극을 지닐 수 있는데, N극과 S극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성체(240)는 S극과 N극을 지닐 수 있는데, S극과 N극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자성체(240)의 극성은 제1 자성체(230)의 극성과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축 방향을 따라서, 제1 자성체의 N극, S극이 제2 자성체의 S극, N극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 자기력선의 세기 또는 자기력선의 길이는 도 12에서 자기력선의 세기 또는 자기력선의 길이 보다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자성체가 인접하여 배치되면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감쇠를 개선하여 스위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개의 자성체간에 유지되어야 하는 거리를 줄임으로써 스위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자성체가 제공하는 극성이 늘어날수록 스위치의 신뢰도는 향상될 수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위치의 신뢰도 및 성능향상을 스위치의 소형화와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14및 15를 참조하면, 작동기(200)가 본체(100)에 가까워지면, 제1 홀센서(131)는 제1 자성체(230)의 제1 극성(231)을, 제2 홀센서(132)는 제1 자성체(230)의 제2 극성(232)을, 제3 홀센서(133)는 제2 자성체(240)의 제3 극성(242)을, 제4 홀센서(134)는 제2 자성체(240)의 제4 극성(241)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홀센서(131)는 N극형 홀센서일 수 있고, 제2 홀센서(132)는 S극형 홀센서일 수 있고, 제3 홀센서(133)는 S극형 홀센서일 수 있고, 제4 홀센서(134)는 N극형 홀센서일 수 있다. 복수개의 홀센서(130)는 케이블(300)을 통해 복수개의 홀센서(13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본체의 전기적 스위칭을 유도하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제2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제2 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성체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자성체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위치하는 격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는:
    제1 극성; 그리고,
    상기 제1 극성에 반대하는 제2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제3 극성; 그리고,
    상기 제3 극성에 반대하는 제4 극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성, 제2 극성, 제3 극성 및 제4 극성은 상기 제2 면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의 제2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3 극성과 마주하는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의 제2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3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고,
    상기 제1 자성체의 제1 극성은 상기 제2 자성체의 제4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며,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케이스의 제2 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홀센서는:
    상기 제1 극성에 대응하는 제1 홀센서;
    상기 제2 극성에 대응하는 제2 홀센서;
    상기 제3 극성에 대응하는 제3 홀센서; 그리고,
    상기 제4 극성에 대응하는 제4 홀센서를 포함하는 스위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의 높이는 상기 제1 자성체 또는 상기 제2 자성체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게 마련되는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의 거리는,
    상기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의 거리보다 큰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의 거리는,
    상기 제3 홀센서와 상기 제4 홀센서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위치.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은 상기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위치.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스위치.
  10.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스위치.
  11.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은,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성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벽과, 상기 제2 자성체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벽과,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스위치.
KR1020180121649A 2018-10-12 2018-10-12 스위치 KR10212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49A KR102124203B1 (ko) 2018-10-12 2018-10-12 스위치
PCT/KR2018/015793 WO2020075915A1 (ko) 2018-10-12 2018-12-12 스위치
CN201880008654.5A CN111316394B (zh) 2018-10-12 2018-12-12 开关
US16/477,358 US11088690B2 (en) 2018-10-12 2018-12-12 Switch
DE212018000426.9U DE212018000426U1 (de) 2018-10-12 2018-12-12 Scha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49A KR102124203B1 (ko) 2018-10-12 2018-10-12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16A KR20200041516A (ko) 2020-04-22
KR102124203B1 true KR102124203B1 (ko) 2020-06-17

Family

ID=7016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49A KR102124203B1 (ko) 2018-10-12 2018-10-12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24203B1 (ko)
CN (1) CN111316394B (ko)
DE (1) DE212018000426U1 (ko)
WO (1) WO20200759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001A (ja) * 2004-09-10 2006-03-23 Idec Corp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538A (ja) * 1993-09-08 1995-03-20 Asa Denshi Kogyo Kk ホール効果形位置センサ
US5493216A (en) * 1993-09-08 1996-02-20 Asa Electronic Industry Co., Ltd. Magnetic position detector
JP2005174667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近接センサ
JP4321611B2 (ja) * 2007-03-13 2009-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US8264309B2 (en) * 2009-09-02 2012-09-11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Adjustable magnetic target
WO2013159067A1 (en) * 2012-04-20 2013-10-24 Martin Bryan A Magnetic field switc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001A (ja) * 2004-09-10 2006-03-23 Idec Corp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6394B (zh) 2023-04-18
CN111316394A (zh) 2020-06-19
KR20200041516A (ko) 2020-04-22
DE212018000426U1 (de) 2021-07-12
WO2020075915A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644B2 (en) Switch
US8289026B2 (en)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the switch state of a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JP5585550B2 (ja) 継電器
US9318280B2 (en) Contactless switch
US8448615B2 (en) Electromagnetic camshaft-adjuster device
CN103489708A (zh) 磁开关装置
US20140015596A1 (en) Magnetic field switches
KR102646513B1 (ko) 스위칭 장치
EP2549236B1 (en) Stationary magnet variable reluctance magnetic sensors
JP2006294363A (ja) 磁気近接スイッチ
KR102124203B1 (ko) 스위치
MX2014009549A (es) Interruptor de proximidad activado magneticamente.
US7705252B2 (en) Rotary control device
EP1751781B1 (en) Magnetic switch arrangement
US11088690B2 (en) Switch
KR102359956B1 (ko) 스위치
US10982945B2 (en) Mechanical magnetic proximity sensor device
JP2008277051A (ja) 磁気近接スイッチ
JP2006236627A (ja) 箱状構造体の開閉検知構造
JP3039828U (ja) 磁気センサー
JP6712249B2 (ja) 開放防止装置
EP2590197B1 (en) Magnetic sensor designed to operate with a corresponding magnet and magnetic contact comprising said magnetic sensor and corresponding magnet
JP5349534B2 (ja) リードスイッチ制御装置および押しボタンスイッチ
RU2501113C1 (ru) Комму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зрывозащищенное
JP2015219205A (ja) 位置ズレ検出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