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06B1 -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06B1
KR102123406B1 KR1020130079301A KR20130079301A KR102123406B1 KR 102123406 B1 KR102123406 B1 KR 102123406B1 KR 1020130079301 A KR1020130079301 A KR 1020130079301A KR 20130079301 A KR20130079301 A KR 20130079301A KR 102123406 B1 KR102123406 B1 KR 10212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tool
touch inpu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386A (ko
Inventor
정병민
유영웅
이유진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406B1/ko
Priority to US14/324,757 priority patent/US9261996B2/en
Publication of KR2015000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선 또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터치 입력이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드로잉 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드로잉 툴과 연동하여 상기 제2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 또는 도형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선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OUCH SCREEN SUPPORTING A MULTI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선 또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멀티 터치 기능(디스플레이 상에서 동시에 복수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기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말기들의 발전에 비해서 멀티 터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발전은 미비한 상태이다. 일 예로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도 설치 가능한 드로잉 툴(drawing tool)의 경우 멀티 터치입력을 이용하지 못하고, 단지 싱글 터치 입력에 의한 직선, 사각형, 원 등의 드로잉 기법을 사용자에게 지원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싱글 터치 입력은 그 정확성이나 세밀함이 떨어진다. 특히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직선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시작점을 한 번 결정한 이후에는 변경하기가 어렵고, 원하는 방향으로 직성을 그리기 어렵다. 또한 원의 경우에는 그 중심점의 위치를 알기 힘들고, 타원의 경우에는 여러 번의 터치를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멀티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라고 하여도, 종래의 기기의 경우에는 그리기 상태에서 메뉴를 통해 도형을 추가하나 또는 사용자가 드로잉 툴의 그리기 모드에서 도구 사용 모드 등으로 모드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기에서는 도구 사용 모드로 모드를 변경한 이후, 도형을 그려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다시 그리기 모드로 복귀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은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도구의 사용 유무에 따라 모드가 자주 변경되어야 하므로 단말기 내의 연산량 또한 증가하게 되어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선 또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터치 입력이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드로잉 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드로잉 툴과 연동하여 상기 제2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 또는 도형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선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1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제1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터치 입력이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드로잉 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2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툴과 연동하여 상기 제2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 또는 도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선 또는 도형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선 또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선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선형 툴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m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원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도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도형 툴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입출력 모듈(160)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 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및 터치스크린 스크롤러(19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각종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적어도 한 점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드로잉 모드(Drawing Mode)를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로잉 모드(Drawing Mode)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통한 터치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한 터 치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점, 직선, 곡선 또는 도형 등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가리킨다.
실시예에 따라 드로잉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따른 드로잉 툴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멀티 터치 입력은, 터치스크린(190) 상의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멀티 터치 입력은 적어도 세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로잉 툴은, 선형 툴, 원형 툴 및 도형 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툴은 직선을 그리기 위한 툴이고, 원형 툴은 원, 원호, 타원, 타원의 일부 등의 곡선을 그리기 위한 툴이다. 도형 툴은 기타 도형,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 등을 그리기 위한 툴이며, 원기둥, 원뿔, 밑면이 삼각 이상인 각기둥, 밑면이 삼각 이상인 각뿔, 다면체, 타원체, 구 등도 도형 툴로 그릴 수 있는 도형에 포함될 수 있다. 선형 툴은 직선형 툴이라고 하고, 원형 툴은 곡선형 툴이라고 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드로잉 툴이 표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 이외의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멀티 터치 입력 이외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드로잉 툴에 인접한 터치 입력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 터치 이외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드로잉 툴의 내부이거나 또는 상기 드로잉 툴의 반경 1cm 이내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이외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 이외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드로잉 툴에 따른 선 또는 도형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 상에 선형 툴이 표시되고 있고, 상기 선형 툴의 반경 1cm 이내에 직선을 그리기 위한 터치 입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직선을 그리기 위한 터치 입력에 따라 직선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직선은,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지점에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지점까지를 연결한 직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직선은,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지점과 인접한 지점까지의 직선으로서, 상기 선형 툴과 평행한 형태로 그려지는 직선일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151) 및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 또는 제2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는 모바일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카메라(152)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는 인접(예를 들어,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의 간격이 1cm보다 크고, 8cm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90)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의 적어도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형태로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드로잉 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멀티 터치 입력 이외의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멀티 터치 입력 이외의 터치 입력에 따라 드로잉 툴에 따른 선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는 이동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랜 모듈(13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무선 인터넷 연결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와 화상형성장치(미도시)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를 들어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미도시)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미도시)에서부터 모바일 단말기(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미도), 볼륨 버튼(미도시),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모바일 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는 다른 장치(미도시)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전원소스(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미도시)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미도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미도시)이 삽입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모바일 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미도시),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예, 모바일 단말기(100)의 회전, 모바일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미도시),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미도시),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70)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터치스크린(190)과 근접한 일정 범위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었다면 근접 센서로 구현된 센서 모듈(170)은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일정 범위(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으로부터 10cm 높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미도시)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미도시)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센서모듈(170)에 의해 감지된 근접 센싱 입력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좌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을 통하여 터치스크린(190)과 근접한 일정 범위 내의 한 지점(제1지점)을 선택하기 위한 근접 센싱 입력이 감지되었다고 가정한다. 또한 근접 센싱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센싱 모듈(170)은 터치스크린(190)의 일정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110)는 정전용량이 변화한 지점(제1지점)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 상의 지점(제2지점)의 좌표를 추출하도록 터치스크린 제어부(19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점은,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터치스크린(190) 상의 한 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스크린(19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는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메뉴 전환키(191-4)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키(16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DMB 안테나(141a)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고정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터치입력 분석부(410),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 및 드로잉 툴 결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가 제어부(1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데이터로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터치 데이터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된 입력 시각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입력되고 있는 동안의 시간을 나타내는 입력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터치 입력 분석부(41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x1, y1)의 좌표를 가지는 제1터치입력, (x2, y2)의 좌표를 가지는 제2터치입력 및 (x3, y3)의 좌표를 가지는 제3터치입력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제1터치입력, 제2터치입력 및 제3터치입력의 좌표를 결정하여 저장부(175)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1터치입력이 입력된 시각 10:05:01, 제2터치입력이 입력된 시각 10:05:01 및 제3터치입력이 입력된 시각 10:05:03를, 터치입력들 각각의 좌표와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입력의 입력 지속시간,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들이 10초 동안 입력되고 있었다면, 상기 10초를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들 각각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이미 좌표가 결정된 터치 입력이 지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시간마다 체크할 수 있다.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시간 이내(예를 들어, 1초)에 입력된 다수의 터치 입력을, 동시에 입력된 다수의 터치 입력, 즉 멀티 터치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 제1 및 제2터치입력의 입력 시각은 10:05:01이고, 제3터치입력의 입력 시각은 10:05:03이다. 제1 및 제2터치입력과 제3터치입력 사이의 입력 간격이 1초 이내이므로,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이 동시에 입력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을 멀티 터치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 또는 도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임시로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을 임시로 연결하여 도형을 그리고, 그려진 도형의 가장 큰 각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기준각(예를 들어, 15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예와 같이 세 지점으로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이 입력된 각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서로 연결하면 삼각형이 그려진다.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으로 인하여 그려진 삼각형의 내각(Internal Angle)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내각이 기준각(예를 들어, 15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각이 기준각 이상이면,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멀티 터치 입력,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에 의해 그려지는 선 또는 도형을 직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내각이 기준각 미만인 경우,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멀티 터치 입력,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터치입력에 의해 그려지는 선 또는 도형을 원 또는 타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에 의하여 멀티 터치 입력에 의해 그려지는 선 또는 도형이 결정되면,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실행시킬 드로잉 툴을 결정한다.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에 의하여 결정된 선 또는 도형(즉, 직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이 직선이면,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실행시킬 드로잉 툴로서 선형 툴을 결정한다. 또한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에 의하여 결정된 선 또는 도형이 원, 타원, 원호 등의 곡선이면,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실행시킬 드로잉 툴로서 원형 툴을 결정한다. 드로잉 툴이 결정되면,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해당 도형 툴인 선형 툴 또는 원형 툴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는 드로잉 모드를 실행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5에서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은 터치스크린(190) 상의 적어도 세 지점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502).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지점을 좌표로 환산하여 제어부(110), 그 중에서도 터치 입력 분석부(410)에 전달한다. 이때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입력 시각 및 입력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터치 입력 분석부(410)에 전달한다.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단계 S502에서 입력된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4).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의해 생성된 터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가 적어도 두 개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입력들의 입력 시각들의 입력 간격이 기준 시간 이내이면 상기 터치 입력을 멀티 터치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터치 입력이 입력된 지점의 좌표가 하나이면, 상기 터치 입력을 단일 터치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터치입력들이 입력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터치 입력들이 입력된 입력 시각의 입력 간격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이면, 터치 입력들 각각을 별개의 단일 터치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이 아닌 경우(S504: 아니오),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상기 터치 입력을 단일 터치 입력인 것으로 결정한다(S542). 상기와 같이 단일 터치 입력이 입력된 경우, 터치 입력 분석부(410)를 포함하는 제어부(110)는 상기 단일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44).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모드에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어느 한 지점만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 즉 단일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일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90) 상에 점(dot)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일 터치 입력은, 선의 색깔, 굵기 또는 글자의 폰트(font), 크기, 색깔 등을 변경하거나 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S504: 예),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쓰리 포인트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쓰리 포인트 입력은, 멀티 터치 입력의 일종으로, 터치스크린(190) 상의 세 지점을 통해 동시에 입력된 터치 입력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은, 터치스크린(190) 상의 세 지점을 통해 동시에 입력되는 쓰리 포인트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190) 상의 네 지점을 통해 동시에 입력되는 포 포인트 입력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쓰리 포인트 입력은 선형 툴 또는 원형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고, 포 포인트 입력은 도형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506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쓰리 포인트 입력이 아닌 경우(S506: 아니오), 터치 입력 분석부(4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을 포 포인트 입력인 것으로 결정한다(S532).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되었으므로,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도형 툴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터치스크린(190)은 도형 툴을 표시하고(S534), 도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536). 도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스크린(190)은 해당 도형을 표시한다(S538).
본 실시예에서 도형 툴은 적어도 하나의 도형을 그리기 위한 툴로서, 복수 개의 도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드로잉 툴 결정부(430)가 포함된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복수 개의 도형을 포함하는 도형 툴을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도형 툴은,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도형 툴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 개의 도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 외의 단일 터치 입력 또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6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쓰리 포인트 입력인 경우(S506: 예),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이하, 쓰리 포인트)을 연결한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8).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쓰리 포인트를 임시로 연결하여 삼각형을 그린다. 또한 쓰리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형의 내각들 각각의 각도를 구하고, 상기 삼각형의 내각들 중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쓰리 포인트를 임시로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형은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이상이면,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이 선을 그리기 위한 멀티 터치 입력인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에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미만이면, 드로잉 도형 결정부(420)는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이 원을 그리기 위한 멀티 터치 입력인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508의 판단 결과, 상기 쓰리 포인트를 연결한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미만이면(S508: 아니오),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터치스크린(190)에 원형 툴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쓰리 포인트 입력의 좌표들을 기초로 원형 툴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원형 툴은 쓰리 포인트 입력의 지점들, 즉 좌표들이 원의 호에 포함되거나 또는 원의 호에 근접하는 형태로서 구현되어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 각각이 호의 반경 1cm 이내가 되는 범위에 원형 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로부터 1cm 이내가 되는 범위 상에서 호를 그리기 위한 터치 입력을 터치스크린(19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은 쓰리 포인트 입력의 좌표들을 기초로 원형 툴을 표시하고(S522), 원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524). 원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스크린(190)은 해당 원을 표시한다(S526).
실시예에 따라 원형 툴은,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원형 툴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원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 외의 단일 터치 입력 또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8의 판단 결과, 상기 쓰리 포인트를 연결한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기준각 이상이면(S508: 예),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터치스크린(190)에 선형 툴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쓰리 포인트 입력의 좌표들을 기초로 선형 툴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선형 툴은 쓰리 포인트 입력의 지점들, 즉 좌표들이 직선에 포함되거나 또는 직선에 근접하는 형태로서 구현되어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 각각이 직선의 상하 1cm 이내가 되는 범위에 직선 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지점들로부터 상하 1cm 이내가 되는 범위 상에서 직선를 그리기 위한 터치 입력을 터치스크린(19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은 쓰리 포인트의 좌표들을 기초로 선형 툴을 표시하고(S510), 직선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512). 직선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스크린(190)은 해당 직선을 표시한다(S514).
실시예에 따라 선형 툴은,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되고 있는 동안에만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선형 툴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직선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 외의 단일 터치 입력 또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이 멀티 터치 입력인 경우(S504: 예), 제어부(110)는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단계 S504 및 단계 S506 단계 사이에, 사기 멀티 터치 입력이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상기 투 포인트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입력이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이 아닌 경우에 제어부(110)는 전술한 단계 S506을 수행할 수 있다.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90) 상에 점 또는 선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 터치 입력이 투 포인트 터치 입력인 경우, 제어부(110)는 드로잉 툴(예를 들어, 선형 툴, 원형 툴, 도형 툴 등)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선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쓰리 포인트 입력이 감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로부터 쓰리 포인트 입력(601, 602)을 입력받는다. 쓰리 포인트 입력(601)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선형 툴(610, 620)을 표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쓰리 포인트 입력(601)을 터치스크린(190)에 입력하고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쓰리 포인트 입력에 따라 선형 툴(610)을 표시한다. 이때,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드로잉 툴, 예를 들어 선형 툴(610)의 방향 또는 상기 선형 툴(610)이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드로잉 툴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도 6a에서는 쓰리 포인트 입력이 가로 방향으로 입력되었다.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에 대응하는 선형 툴 또한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쓰리 포인트 입력을 터치스크린(190)에 입력하고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쓰리 포인트 입력에 따라 선형 툴(620)을 표시한다. 도 6a와 마찬가지로 드로잉 툴 결정부(430)이 쓰리 포인트 입력이 입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드로잉 툴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도 6b에서는 쓰리 포인트 입력이 가로 방향으로 입력되었므로, 드로잉 툴 결정부(430)는 선형 툴(620)이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 또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선형 툴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은 (a)에서부터 (i)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쓰리 포인트 입력(701, 702)은 선형 툴(710, 720)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으로 가정한다.
(a)는 드로잉 모드가 실행 중인 상태의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a)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드로잉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멀티 터치 입력을 입력받지 않은 상태이다.
(b)는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은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쓰리 포인트 입력(701)을 입력받고 있다.
(c)는 (b)의 쓰리 포인트 입력(701)에 따라 선형 툴(710)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선형 툴(710)은 쓰리 포인트 입력(701)과 근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그에 따라 (c)에서는 쓰리 포인트 입력(701)을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의 세 손가락 아래에 선형 툴(710)이 표시되고 있다.
(d)는 선형 툴(71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d)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731)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이다.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731)을 이용하여 선형 툴(710)과 인접한 위치에 선을 그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선형 툴(710)에 포함된 눈금자를 참조하여 원하는 길이만큼의 선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긋는다. (d)에는 사용자가 선형 툴(710)에 포함된 눈금자의 상측의 어느 한 점(제1지점)에서부터 다른 한 점(제2지점)까지 좌에서 우로 선을 긋고 있다.
(e)는 (d)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직선을 표시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다. (d)와 같이 제1지점에서부터 제2지점까지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한 직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한 직선을 제1라인(741)이라 하기로 한다. 즉 (e)의 터치스크린(190)은 제1라인(741)을 표시하고 있다.
(f)는 제1라인(741)이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쓰리 포인트 입력(702)을 입력받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멀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드로잉 툴을 실행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할 수 있다.
(g)는 (f)의 쓰리 포인트 입력(702)에 따라 선형 툴(720)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선형 툴(720)은 쓰리 포인트 입력(702)과 근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에서와 마찬가지로 (g)에서도 쓰리 포인트 입력(702)을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의 세 손가락 아래에 선형 툴(720)이 표시될 수 있다.
(h)는 선형 툴(72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d)와 마찬가지로 (h)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731)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이다.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731)을 이용하여 선형 툴(720)과 인접한 위치에 선을 그린다. 사용자는 선형 툴(720)에 포함된 눈금자를 참조하여 원하는 길이만큼의 선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긋는다. (g)에는 사용자가 선형 툴(720)에 포함된 눈금자 바로 오른편의 어느 한 점(제3지점)에서부터 다른 한 점(제4지점)까지 상에서 하로 선을 긋고 있다.
(i)는 (h)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직선을 표시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다. (h)와 같이 제3지점에서부터 제4지점까지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제3지점과 제4지점을 연결한 직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지점과 제4지점을 연결한 직선을 제2라인(742)이라 하기로 한다. (i)에서 제1라인(741)과 제2라인(742)는 서로 지각을 이루며 한 점에서 만나고 있다. 즉 (i)의 터치스크린(190)은 서로 교차된 제1라인(741) 및 제2라인(742)을 표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원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드로잉 모드가 실행 중인 상태의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a)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드로잉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멀티 터치 입력을 입력받지 않은 상태이다.
(b)는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b)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은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쓰리 포인트 입력(801)을 입력받고 있다.
(c)는 (b)의 세 포인트 입력(801)에 따라 원형 툴(810)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원형 툴(810)은 쓰리 포인트 입력(801)과 근접한 위치에 표시되며, 각도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원형 툴(810)은 도 (c)에서는 쓰리 포인트 입력(801)을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의 세 손가락들 각각에 대응하는 세 지점들이 모두 원 안에 포함되는 형태로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원형 툴(810)은 상기 세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들 중 가장 긴 선의 길이가 원의 지름이 되는 형태로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801)이 입력되고 있는 상기 세 지점들 중 적어도 한 지점을 움직임으로써 그리고자 하는 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90) 상의 세 지점들 각각을 압압하고 있는 손가락들 중 적어도 하나를 오무리거나 또는 폄으로써 상기 세 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 지점의 좌표가 변경되면, 세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들의 길이 또한 달라지게 된다. 제어부(110)는 상기 세 지점을 서로 연결한 선들 중 가장 긴 선의 길이가 원의 지름 또는 원형 툴의 폭이 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원형 툴(8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를 오무리면, 제어부(110)는 원형 툴(810)의 크기를 축소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세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를 펴면, 제어부(110)는 원형 툴(810)의 크기를 확대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d)는 원형 툴(81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원 또는 호를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d)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831)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이다. 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831)을 이용하여 원형 툴(810)과 인접한 위치에 선을 그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원형 툴(810)에 포함된 눈금자를 참조하여 원하는 각도만큼의 선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긋는다. (d)에는 사용자가 원형 툴(810)에 포함된 눈금자 상측의 어느 한 점(제1지점)에서부터 다른 한 점(제2지점)까지 호 형태로 선을 긋고 있다. 이러한 호에 대하여, 제어부(110)는 미리 저장된 각도(원의 중심과 호의 양단을 잇는 두 직선의 끼인각) 이상을 가지는 호인지, 아니면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의 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판단 결과 미리 저장된 각도 또는 길이 이상의 호가 아닌 경우에, 유효한 사용자 입력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여 호를 표시하지 않도록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직선에 대한 예에서도, 제어부(110)는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의 직선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e)는 (d)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841)를 표시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다. (d)와 같이 제1지점에서부터 제2지점까지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한 원 또는 원의 일부, 즉 호(82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도형 툴을 실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90) 상의 네 지점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 입력, 즉 포 포인트 입력(901)을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입력한다. 터치스크린(190)이 상기 포 포인트 입력(901)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포 포인트 입력에 대응하는 도형 툴(910)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한다. 도 9에서 도형 툴(910)은 포 포인트 입력(901)이 감지된 네 지점들의 우측에 표시되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형 툴(910)이 표시되는 위치는 포 포인트 입력(901)의 우측뿐만 아니라 좌측, 상측, 하측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도형 툴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은 (a)에서부터 (h)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포 포인트 입력(1001)은 도형 툴(1001)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으로 가정한다.
(a)는 드로잉 모드가 실행 중인 상태의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a)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드로잉 툴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멀티 터치 입력을 입력받지 않은 상태이다.
(b)는 멀티 터치 입력이 입력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b)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은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포 포인트 입력(1001)을 입력받고 있다.
(c)는 (b)의 포 포인트 입력(1001)에 따라 도형 툴(1010)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형 툴(1010)은 포 포인트 입력(1001)과 근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그에 따라 (c)에서는 포 포인트 입력(1001)을 입력하고 있는 사용자의 세 손가락 아래에 도형 툴(1010)이 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도형 툴(1010)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포 포인트 입력(1001)이 쓰리 포인트 입력(1002)로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도형 툴(1010)을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에 도형 툴(1010)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포 포인트 입력(1001)을 입력하고 있던 네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스크린(190)에서 떼어낸다고 하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지속적으로 도형 툴(1010)이 표시될 수 있다.
(d)는 도형 툴(101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형 툴(1010)에 포함된 도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제1입력을 입력받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d)를 참조하면 (b)에서의 포 포인트 입력(1001)이 쓰리 포인트 입력(1002)로 변경되었다. 제1입력은 쓰리 포인트 입력(1002)을 입력하고 있는 세 손가락들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 입력으로서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190)은 상기 포 포인트 입력(1001)이 쓰리 포인트 입력(1002)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터치스크린(190)을 터치하지 않게 된 손가락으로부터 상기 제1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190)은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1002)을 입력하고 있는 세 손가락들을 제외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1020)으로부터 상기 제1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d)에서는, 도형 툴(1010)에 포함된 도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입력이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1002)을 입력하고 있는 세 손가락들을 제외한 손가락을 통해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c) 내지 (g)에 도시된 도형 툴(1010)이 포함하고 있는 도형을, 제1 내지 제9도형(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의 9개로 한정하기로 한다. (d)를 참조하면, 제1입력에 의해 선택된 도형은 제4도형(1014)이다.
(e)는 도형의 선택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제2입력을 입력받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e)에서 터치스크린(190)은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1002)를 입력하고 있는 세 손가락들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제2입력을 입력받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1002)를 입력하고 있는 세 손가락들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1020)으로 터치스크린(190)의 표면을 튕겨냄으로써 제2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f)는 제2입력에 따라 도형들(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의 배열이 변경된 도형 툴(1010)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e)와 같이 제2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도형 툴(1010)에 포함된 도형들(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의 배열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도형들(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도형이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1002)에 근접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f)에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로부터 도형을 재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제3입력을 입력받고 있다. (f)를 참조하면, 제3입력에 의해 선택된 도형은 제5도형(1015)이다. 즉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선택하고자 한 도형은 제5도형(1015)이다.
(g)는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도형(제5도형(1015))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제4입력을 입력받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g)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은 스타일러스 펜(1020)을 통해 제5도형(1015)을 그리는 터치 입력을 입력받고 있다.
(h)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입력된 제4입력에 따라 그려진 도형(제5도형(1015))을 표시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제4입력에 따라 선을 표시함으로써 제5도형(1015)을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도형(제5도형(1015))을 그리기 위한 사용자 입력, 즉 제4입력을 입력받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제3입력만으로 (h)와 같은 제5도형(1015)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단말기 110: 제어부
111: CPU 112: ROM
113: RAM 120: 이동 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31: 무선 랜 모듈
132: 근거리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41: 방송 통신 모듈 142: 오디오 재생 모듈
143: 동영상 재생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51: 제1카메라 152: 제2카메라
153: GPS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1: 버튼 162: 마이크
163: 스피커 164: 진동 모터
165: 커넥터 166: 키패드
167: 이어폰 연결잭 170: 센서 모듈
175: 저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스크린 195: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410: 터치 입력 분석부 420: 드로잉 도형 결정부
430: 드로잉 툴 결정부

Claims (26)

  1.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1 터치 입력로서 입력된 지점들의 수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지점들의 수가 3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쓰리 포인트 입력(three-point input)으로서 판단하는 동작;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의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생성된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에 기초하여 선형 툴 또는 원형 툴을 표시하는 동작;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선형 툴 또는 원형 툴과 연동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선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툴 또는 상기 원형 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기준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상기 미리 저장된 크기 이상이면, 상기 지점들의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툴을 표시하고,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각도 미만이면 상기 지점들의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원형 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선형 툴이 표시되면, 상기 선형 툴과 인접한 위치에 선을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원형 툴이 표시되면, 상기 원형 툴과 인접한 위치에 호(arc)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들의 수가 4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포 포인트 입력(four-point input)으로서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포 포인트 입력에 대응하는 도형 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도형 툴에 포함된 다수의 도형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도형 툴에 포함된 복수개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선택된 도형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삭제
  10.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제1 터치 입력으로서 입력된 지점들의 수를 판단하고, 상기 지점들의 수가 3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쓰리 포인트 입력으로서 판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쓰리 포인트 입력의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생성된 삼각형의 가장 큰 내각의 각도를 판단하고,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에 기초하여 선형 툴 또는 원형 툴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선형 툴 또는 상기 원형 툴과 연동하여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선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기준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크기 이상이면, 상기 지점들의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툴을 표시하고, 상기 가장 큰 내각의 각도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각도 미만이면 상기 지점들의 좌표들에 기초하여 상기 원형 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선형 툴과 인접한 위치에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의 선을 그리는 사용자 입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은,
    상기 원형 툴과 인접한 위치에 미리 저장된 각도 이상을 가지는 호를 그리는 사용자 입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점들의 수가 4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포 포인트 입력(four-point input)으로서 판단하고,
    상기 포 포인트 입력에 대응하는 도형 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도형 툴에 포함된 복수개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도형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18. 삭제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의 길이가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인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의 길이가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이면 상기 선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호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호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각도 이상이면 상기 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선이 표시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선형 툴 또는 상기 원형 툴을 제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8항에 있어서,
    제4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도형 툴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도형들을 재정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의 길이가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선의 길이가 미리 저장된 길이 이상이면 상기 선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호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각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호의 각도가 미리 저장된 각도 이상이면 상기 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선이 표시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선형 툴 또는 상기 원형 툴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4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4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도형 툴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도형들을 재정렬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30079301A 2013-07-05 2013-07-05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2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1A KR102123406B1 (ko) 2013-07-05 2013-07-05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4/324,757 US9261996B2 (en) 2013-07-05 2014-07-07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supporting multi-touch inpu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1A KR102123406B1 (ko) 2013-07-05 2013-07-05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86A KR20150005386A (ko) 2015-01-14
KR102123406B1 true KR102123406B1 (ko) 2020-06-16

Family

ID=5213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301A KR102123406B1 (ko) 2013-07-05 2013-07-05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1996B2 (ko)
KR (1) KR102123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7403B2 (en) * 2013-11-26 2016-10-25 Adobe Systems Incorporated Drawing on a touchscreen
EP3674857B1 (en) 2015-03-19 2022-04-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Touch ev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10795558B2 (en) 2015-06-07 2020-10-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nd interacting with a virtual drawing aid
US10691316B2 (en) 2016-03-29 2020-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uide objects for drawing in user interfaces
KR102053074B1 (ko) * 2018-05-23 2019-12-0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에서 호를 간편하게 그릴 수 있는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5821A1 (en) 2010-01-15 2011-07-21 Apple Inc. Virtual Drafting Tools
JP2012088768A (ja) 2010-10-15 2012-05-10 Sharp Corp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783A (ko) 2009-09-23 2012-08-01 딩난 한 인간-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KR20100044772A (ko) * 2010-04-12 2010-04-30 서정현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1682162B1 (ko) * 2010-12-22 2016-12-12 네이버 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드로잉 기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99270B1 (ko) * 2010-12-29 201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917690B1 (ko) * 2012-06-0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5821A1 (en) 2010-01-15 2011-07-21 Apple Inc. Virtual Drafting Tools
JP2012088768A (ja) 2010-10-15 2012-05-10 Sharp Corp 電子機器および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9162A1 (en) 2015-01-08
KR20150005386A (ko) 2015-01-14
US9261996B2 (en)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1890B2 (en) Touchscreen keyboard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051418B1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KR102092132B1 (ko)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60045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US2015025385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feedback
KR102158098B1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39110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40026177A (ko) 스크롤링 제어 방법 및 장치
EP2753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102123406B1 (ko) 멀티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36090B1 (ko)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11449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25450A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022050B1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0646A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KR20140049324A (ko) 필기 입력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40113032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86819B1 (ko) 노트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18507B1 (ko) 라이브 박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9679B1 (ko) 입력 장치를 이용한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KR102160954B1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