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69B1 -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69B1
KR102121969B1 KR1020190060305A KR20190060305A KR102121969B1 KR 102121969 B1 KR102121969 B1 KR 102121969B1 KR 1020190060305 A KR1020190060305 A KR 1020190060305A KR 20190060305 A KR20190060305 A KR 20190060305A KR 102121969 B1 KR102121969 B1 KR 10212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leaf extract
melissa leaf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박병영
이희석
여형수
김정은
김현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지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to KR102019006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69B1/ko
Priority to US17/427,168 priority patent/US20220096586A1/en
Priority to PCT/KR2020/006669 priority patent/WO2020235952A1/en
Priority to CN202080014383.1A priority patent/CN113474001A/zh
Priority to JP2021551874A priority patent/JP2022533503A/ja
Priority to EP20810304.4A priority patent/EP3972624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69B1/ko
Priority to US18/381,023 priority patent/US202400419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 또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 또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리사 (Melissa officinalis)는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레몬밤 (Lemon Balm)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멜리사엽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flavonoid)와 트리테르펜산 (triterpene acids), 휘발성 오일 (volatile oil), 알코올 및 페놀 화합물 등의 배당체 및 카페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멜리사엽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시나로사이드 (cynaroside), 코스모신 (cosmosin), 람노시트린 (rhamnocitrin), 이소쿼르시트린 (isoquercitrin) 등이며, 테르펜산으로는 우르솔산 (ursolic acid)이 함유되어 있다. 최근에 와서 주목받고 있는 비휘발성 성분의 하나인 로즈마린산 (rosmaric acid)과 같은 히드록시신남산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휘발성 오일로는 제라니올 (geraniol), 네랄 (neral), 시트로네랄 (citronellal), 유게놀 (eugenol)이 함유되어 있다.
중이강에 발생하는 염증을 중이염이라 하고, 중이염은 크게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약 40 ∼ 50% 가 삼출성 중이염이라고 한다.
삼출성 중이염은, 소아 및 노인에게 많은 중이염으로, 중이와 코 속을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이 나빠지면, 고막 내외의 압력 조절이 불량이 되어, 중이가 음압이 되기 때문에 점막으로부터 액체가 스며나와 고인다. 이 때문에, 난청, 귀 폐색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 급성 상기도염, 만성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아데노이드 비대 등이 환자의 배경에 있으면, 코나 인후의 염증이, 항상 이관을 통해서 중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천연 되어 난치화되기 쉽다. 삼출성 중이염이 난치화되면, 난청 등의 후유증이 남고, 수술의 필요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다. 소아의 경우, 고막 절개나 고막 튜브 유치 등의 외과적 처치를 빈번하게 실시하는 것이 어려워, 외과적 처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약제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출성 중이염에 대한 치료약은 주로, 거담약 (예를 들어, 카르보시스테인 등) 이나 마크로라이드계 항생 물질 (예를 들어, 에틸숙산에리트로마이신, 쿠라리트로마이신 등) 등이 사용되지만,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유효성이 높은 경구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자궁내막증은 에스트로겐의 증가에 의존하여 자궁내막 또는 그것에 유사한 조직이 자궁 이외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자궁내막증은 양성 질환인데, 월경통을 비롯한 동통이나 임잉성의 저하를 초래하여, 사회 활동 및 생식 활동에 있어서 여성의 QOL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자궁내막증에서는 월경통은 매우 고빈도로 보이며, 월경시 이외의 하복부통, 요통, 성교통, 배변통 등의 동통 증상도 고빈도로 확인된다.
자궁내막증은 근치수술을 행하지 않는 한, 폐경까지 재연 또는 재발을 반복하는 환자도 많아, 장기간에 걸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다.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있어서 최초로는 약물 치료가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약물요법은 대증요법과 내분비요법으로 크게 구별된다. 대증요법으로서는 주로 자궁내막증에 따른 동통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진통약 등이 사용된다. 내분비요법으로는 동통의 개선에 더해 에스트로겐 의존성의 자궁내막 증식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여 저용량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제제, 디에노게스트,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 아고니스트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자궁내막증 환자의 10% 내지 30%에 있어서 진통약으로는 자궁내막증에 따른 동통을 컨트롤할 수 없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또 저용량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제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혈전증, 간기능 장해 등에 주의가 필요하다. 디에노게스트는 장기 투여 시험에 있어서의 부정성기출혈의 부작용 발현이 71.9%라고 보고되어 있으며, 중도의 빈혈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GnRH 아고니스트는 에스트로겐 저하 작용에 기초하는 골염량의 저하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6개월을 넘는 투여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궁내막증 치료의 약물요법에 있어서 각각의 약제에 특유의 부작용이 확인되기 때문에 계속 투여가 곤란한 환자도 많다. 그 때문에 부작용이 경감되고 장기에 걸쳐 투여 가능한 새로운 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Human Reproduction Vol.18, No.12 pp. 2668-2671,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삼출성 중이염과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러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삼출성 중이염과 자궁 내막증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중이 삼출액 (MEE)이 개선되고, 삼출액이 재흡수되어 관찰되지 않으며, 중이 점막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IL-23 및 TNF-α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IL-23 및 TNF-α 유전자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삼출성 중이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자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어 자궁 내막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멜리사엽을 50~100% 알코올(v/v)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건조하여 얻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멜리사엽을 50~100% 알코올(v/v)로 추출한 후 건조시키고,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물로 현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건조시키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물로 재현탁시킨 후 건조시켜 얻은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 또는 병리의 의료적 진단, 처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화합물 또는 물질, 또는 2개 이상의 화합물 또는 물질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의 제조시에는 건조시킨 멜리사엽 또는 건조시키지 않은 멜리사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효과적인 추출을 위해 멜리사엽은 잘게 부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알코올」은, 히드록실기가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화합물을 의미하고, 용어 「알킬」은, 선형 (linear)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분지형 (branched)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용어 「치환된 알킬기」는, 알킬기의 탄소와 결합된 치환기가 히드록시, 시아노, 할로 등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멜리사엽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분획」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의 분획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멜리사엽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극성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유효 성분」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해 그 조성물의 효능 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 (약리학적 활성성분 등이 밝혀지지 않은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멜리사엽의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멜리사엽의 5 내지 15배 (v/w)의 50~100%의 알코올(v/v), 바람직하게는 70~80%의 알코올(v/v)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등을 포함한 C1-C6 알코올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C1-C6」은, 탄소수가 1개 이상 6개 이하를 갖는 작용기 또는 주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멜리사엽의 75%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 건조하여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였다.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은 멜리사엽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50~100%의 알코올(v/v)을 사용함으로써 수용성 물질과 비수용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물에 대한 용해도는 낮으나 에틸아세테이트에서의 용해는 높은 비수용성 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율과 잔류 용매의 독성 여부, 지표성분의 상대적 함량 등을 고려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멜리사엽의 이차 추출 용매로 선택한다.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의 대량 생산을 위해 멜리사엽의 50~100%의 알코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동결건조 또는 열풍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함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전형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액체 또는 비액체 기초를 포함한다. 만약 약학적 조성물이 액체 형태로 제공된다면, 담체는 전형적으로 피로겐 없는 물; 등장성 식염수 또는 버퍼 (수용성) 용액, 예를 들어 인산염, 구연산 등 버퍼 용액이다. 주사 버퍼는 특정한 기준 매질 (Reference media)에 고장성, 등장성 또는 저장성 기준일 수 있어, 즉 버퍼는 특정한 기준 매질에 높은, 같은 또는 낮은 염 함량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투압 또는 다른 농도 효과에 의한 세포 손상을 유도하지 않는, 앞서 언급된 염의 상기 이러한 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기준 매질은 혈액, 림프, 세포질 액상, 또는 다른 체액, 또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버퍼 또는 액체로써 "생체 외" 방법에 기준 매질로 사용될 수 있는 체액과 같은, 예를 들어 "생체 내" 방법에서 발생하는 액체이다. 이러한 일반적 버퍼 또는 액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액상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도포 또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주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경구 투여」는 병리학적 증상을 호전하기 위한 약제를 입으로 주입하는 방법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비경구투여」는 입으로 투여하는 것을 제외한 피하, 근육내, 정맥, 튜브를 이용한 복강내로 투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등이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상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된 수용액, 액상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점안제, 안연고제,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안연고제, 점안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 라스마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국소 투여의 조성물은 임상적 처방에 따라 무수형 또는 수성형일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9.9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비만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4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삼출성 중이염 (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이란, 이통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없이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에 삼출액이라는 액체가 차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중이 삼출액 (MEE)이 개선되고, 삼출액이 재흡수되어 관찰되지 않으며, 중이 점막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IL-23 및 TNF-α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IL-23 및 TNF-α 유전자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삼출성 중이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4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자궁 내막증 (endometriosis)」이란, 자궁내막 조직이 난소, 자궁후벽, 자궁인대, 골반벽 등에 존재하게 되어 통증, 출혈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자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어 자궁 내막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4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예방 또는 치료방법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는, 원숭이, 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레트, 마우스 등의 포유 동물을 의미하며, 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4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4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삼출성 중이염과 자궁 내막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삼출성 중이염과 자궁 내막증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의 목적은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궁 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허용되는 담체 등을 혼합할 수 있으며, 다른 작용제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치료 방법, 용도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중이 삼출액 (MEE)이 개선되고, 삼출액이 재흡수되어 관찰되지 않으며, 중이 점막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IL-23 및 TNF-α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IL-23 및 TNF-α 유전자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삼출성 중이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자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어 자궁 내막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의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대조군 처리시 NO 생성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의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대조군 처리시 IL-6의 단백질 발현량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스타키오관을 폐쇄하여 유도된 SD계 흰쥐 실험 모델에서의 삼출성 중이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스타키오관을 폐쇄하여 유도된 SD계 흰쥐 실험 모델에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투여하였을 때의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효과(Grade 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스타키오관을 폐쇄하여 유도된 SD계 흰쥐 실험 모델에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투여하였을 때의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효과(Grade 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대조군(0.5% CMC) 처리 후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7일째 적출한 중이강 조직소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대조군(0.5% CMC) 처리 후 중이 점막 두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LPS에 의해 상향조절된 IL-23 유전자에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처리 시 IL-23의 발현량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LPS에 의해 상향조절된 TNF-α 유전자에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처리 시 TNF-α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대조군 (0.5% CMC) 을 투여하였을 때 SD계 흰쥐 실험 모델에서의 자궁 병변 크기를 확인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제조예를 제시한다. 하기의 실시예,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의 제조
건조 멜리사엽 200kg을 10 중량배의 75%의 에탄올(v/v)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고 감압농축 방법으로 1차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분획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이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회수한 후, 감압농축 방법으로 2차 농축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멜리사엽 에탄올 추출물의초산에틸 분획(양: 8.2k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NO 생성 억제 및 단백질 발현양 억제
(1) 실험 방법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이 LPS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의 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이 LPS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의 Interleukin-6(IL-6)의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이 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의 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 평가와 관련하여, RAW 264.7 세포를 1 X 106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0, 25, 50, 75 및 100 ug/mL 처리하고, 1 시간 후에 1 ug/mL의 LPS로 자극하여 24 시간 동안 본 배양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상층액과 Griess 시약 (1% sulfanilamide + 0.1% naphthylendiamine dihydrochloride, 1:1)을 1:1로 실온에서 10 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이 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의 Interleukin-6(IL-6)의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효과 평가와 관련하여, RAW 264.7 세포의 세포배양액 내의 Interleukin-6(IL-6)의 분비량은 ELISA kit (Mouse ELISA set, R&D Systems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얻기 위해 RAW 264.7 세포를 5 X 106 cells/mL로 조절하여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2 시간 동안 배양 후, 0, 25, 50, 75 및 100 ug/mL 농도 별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과 1 ug/mL의 LPS를 처리하였다. 그 후 24 시간 동안 본 배양을 거쳐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을 얻었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는 마이크로 플레이트(microplate)에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로 항-마우스 IL-6(anti-mouse IL-6)를 분주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 시켰다. 이후 세척용 버퍼(Wash Buffer, #WA126, R&D Systems Inc.)로 세척하고, 시약급 희석제(Reagent Diluent, #DY995, R&D Systems Inc.) 로 블록킹(blocking)하였고, 세척용 버퍼로 세척한 뒤, 각 마이크로 플레이트 웰에 세포 배양 상층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용 버퍼로 세척하고 희석한 biotinylated anti-mouse IL-6 detection antibody와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를 분주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다시 세척용 버퍼로 세척하고, 기질 용액 (Substrate Solution, #DY999, R&D Systems Inc.)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0 분 동안 암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정지 용액 (Stop Solution, #DY994, R&D Systems Inc.)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을 이용하여,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의 NO 생성억제 실험을 통해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의 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52724318-pat00001
도 1을 참조하면, LPS에 의해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의 양이 증가하며, 여기에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LPS에 의해 유발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 증가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3) IL-6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효과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을 이용하여, LPS로 유도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의 IL-6의 단백질 발현량 억제 실험을 통해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의 IL-6의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표 2]
Figure 112019052724318-pat00002
도 2를 참조하면, LPS에 의해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증가된 IL-6 단백질에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IL-6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LPS에 의해 유발된 RAW264.7 염증모델에서 증가된 IL-6 단백질 발현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실험예 2.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실험 1
In vitro 시험에서,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한 인간 중이 세포 (HMEEC)에서 염증이 유발된 후에, 염증성 사이토 카인 인터루킨 (IL)-23 및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α)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2
웅성 SD (Sprague-Dawley)계 흰쥐의 피부를 절개한 후 유스타키오관 (eustachian tube; ET)의 뼈 부분에 구멍을 뚫어 세공을 만들고, 1 mL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세공에 치과용 시멘트 (dental cement)를 주입하였다.
이내시경(otoendoscope)을 사용하여 모든 SD계 흰쥐를 관찰함으로써 삼출성 중이염 (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의 발병를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은 0.5% CMC(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에 현탁하여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0.5% CMC만을 투여하였다.
유스타키오관 (ET) 차단 직후부터 0.5% CMC (대조군, n = 11) 및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실험군, n = 11)을 SD계 흰쥐에게 100 mg/kg/day 복용시켰다.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효과, 조직 병리학적 소견 및 중이 점막 두께를 평가하였다.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효과는 Grade II (삼출액이 중이강을 가득 채운 경우,'++'로 표시), Grade I (삼출액이 중이강을 일부만 채운 경우, '+'으로 표시) 및 Grade 0 (삼출물 없음, 'O'으로 표시)으로 정의하였다.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효과는 총 3번에 걸쳐 확인하였으며, 1차 확인은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3일째, 2차 확인은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5일째, 3차 확인은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5일째에 이내시경으로 확인하였다.
조직 병리학적 소견은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7일째 중이강을 적출하여, 적출한 중이강 조직을 관찰하였다.
중이 점막 두께는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7일째에 중이 (bulla)를 적출하여 10% formalin에 고정 시킨 다음, EDTA를 사용하여 탈회 (decalcification) 및 탈수 (dehydration)를 시행하였고, 이후 파라핀에 고정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Hematoxylin and eosin stain; HE stain) 및 메이슨-트리크롬 염색 (Masson-Trichrome stain)을 시행하여 관찰하였으며, 중이 갑각의 가장 비후된 점막을 중심으로 5군데를 관찰하여 상피하층의 두께를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효과
삼출성 중이염 (OME)의 치료 여부를 대조군 (0.5% CMC)과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에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3을 참조하면,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3일째부터 전부 Grade II(++)로 삼출성 중이염이 발생하였다 (1차 확인).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에서는 유스타키오관 차단 5일째부터 중이 삼출액 (MEE)의 소실이 grade II (++)에서 grade I (+)로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도 4 참조), 총 SD계 흰쥐 11마리 중에서 10마리의 SD계 흰쥐에서 7일 이내에 grade 0 (90.9 %)으로 개선되었다 (도 5 참조).
그러나, 대조군 (0.5% CMC)에서는 총 SD계 흰쥐 11마리 중에서 2마리만 Grade 0으로 호전되었으며 (18.1%), 11마리 중 7마리에서 삼출성 중이염이 호전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었다(63.6%).
[표 1]
Figure 112019052724318-pat00003
(3) 조직 병리학적 소견
조직 병리학적 소견은, 염증세포와 함께 삼출액이 대조군(0.5% CMC)의 중이강(middle ear cavity)에 존재함을 보여주었지만,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 에서는 삼출액이 재흡수되어 관찰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유스타키오관 차단 후 7일째 적출한 중이강 조직소견에서는 대조군(0.5% CMC에서는 삼출액이 중이강내 흡수되지 않고 존재하고 있었으나,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에서는 삼출액이 흡수되어 있었다 (도 6 참조).
(4) 중이 점막 두께 평가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의 경우 대조군 (0.5% CMC) 보다 중이 점막의 두께가 현저히 얇았다 (도 7 참조, p < 0.05).
구체적으로, 대조군(0.5% CMC) 에서는 중이강 안에 염증세포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나, 실험군(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은 염증세포들이 보이지 않았으며 중이점막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얇아져 있었다.
(5) 염증인자 평가
LPS에 의해 상향조절된 IL-23 유전자는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도 8 참조), LPS에 의해 상향조절된 TNF-α 유전자는 실험군 (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 에서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9 참조).
실험예 3. 자궁 내막증의 치료효과 확인
(1) 실험방법
7주령의 랫드를 구매하여 1주간 순화시킨 후에 전신마취제 (에보틴 Avertin)를 15 mg/kg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 (intraperitoneal injection;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수술 부위를 면도하고 70 % 에탄올로 수술 부위를 소독하였다.
질구에서 2 cm 떨어진 위치를 약 2 ~ 3 cm 절개한 후, 왼쪽 자궁을 드러내고 6 ~ 8 cm의 5-0 봉합사로 드러낸 자궁의 양쪽 말단 부분을 단단히 묶었다.
묶은 사이의 자궁을 잘라내 페니실린 (penicillin, 100 U/ml)과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 μg/ml)이 함유된 인산완충식염수 (PBS, 100 mL)를 포함하는 멸균 유리 페트리 접시에 놓고 지방을 제거한 후 세로로 자궁을 절개하여 1 cm 길이로 잘라내었다.
절개한 자궁 조각을 왼쪽 자궁을 드러낸 랫드의 오른쪽 복막에 자궁내막이 복막에 접하도록 봉합한 후 복강에 생리식염수를 넣고 봉합사를 사용하여 복벽을 꿰매고 오토클립 (autoclip)으로 피부를 닫았다.
수술 후 체온저하를 대비하여 스탠드로 열을 가해주었고, 수술 부위를 포비돈으로 소독하고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을 2 mg/mL로 식수에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수술 4주 후에 개복을 실시하여 이식한 자궁내막 조직의 크기를 측정하여 자궁내막조직의 크기가 균일하게 실험군(n = 8)과 대조군(n = 8)에 배분될 수 있도록 군분리를 시행하였다. 1주일 후에 상처 클립을 제거하고, 4주 동안 실시예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을 100 mg/kg 농도로 0.5% CMC에 녹여 경구 투여하였다.
(2) 결과
복막에 분리된 자궁 병변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험군 (실시예 1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을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 (PBS)에 비해 자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분획은,
    멜리사엽을 50~100% 알코올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건조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획은 멜리사엽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0305A 2019-05-22 2019-05-22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12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05A KR102121969B1 (ko) 2019-05-22 2019-05-22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17/427,168 US20220096586A1 (en) 2019-05-22 2020-05-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PCT/KR2020/006669 WO2020235952A1 (en) 2019-05-22 2020-05-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CN202080014383.1A CN113474001A (zh) 2019-05-22 2020-05-21 包含香蜂花叶提取物的馏分的药物组合物
JP2021551874A JP2022533503A (ja) 2019-05-22 2020-05-21 メリッサ・オフィシナリス(Melissa officinalis)葉抽出物の画分を含む医薬組成物
EP20810304.4A EP3972624A4 (en) 2019-05-22 2020-05-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US18/381,023 US20240041965A1 (en) 2019-05-22 2023-10-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05A KR102121969B1 (ko) 2019-05-22 2019-05-22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69B1 true KR102121969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05A KR102121969B1 (ko) 2019-05-22 2019-05-22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096586A1 (ko)
EP (1) EP3972624A4 (ko)
JP (1) JP2022533503A (ko)
KR (1) KR102121969B1 (ko)
CN (1) CN113474001A (ko)
WO (1) WO202023595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83A (ko) * 2001-02-20 2002-08-27 주식회사 안지오랩 멜리사엽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US20040009244A1 (en) * 2000-12-12 2004-01-15 Min-Young Kim Composition comprising melissa leaf extract for anti-angiogenic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y activity
KR20090020285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안지오랩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4511112B2 (ja) * 2000-10-18 2010-07-28 アウリス イーエイチエフ 中耳炎の治療又は予防のための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011209A (ko) * 2012-07-18 2014-01-28 한미약품 주식회사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mmp 활성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정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96378A1 (en) * 2002-12-06 2004-06-30 Arriva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otitis media
KR20150035245A (ko) * 2013-09-27 2015-04-06 한미약품 주식회사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EP3244906B1 (en) * 2015-01-13 2020-02-19 New Chapter, Inc. Vegetarian capsules containing supercritical herbal extra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112B2 (ja) * 2000-10-18 2010-07-28 アウリス イーエイチエフ 中耳炎の治療又は予防のための送達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40009244A1 (en) * 2000-12-12 2004-01-15 Min-Young Kim Composition comprising melissa leaf extract for anti-angiogenic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y activity
KR20020068183A (ko) * 2001-02-20 2002-08-27 주식회사 안지오랩 멜리사엽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20285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안지오랩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11209A (ko) * 2012-07-18 2014-01-28 한미약품 주식회사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mmp 활성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정제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ance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Volume 2013, Article ID 101759, 7 pages *
Human Reproduction Vol.18, No.12 pp. 2668-2671, 2003
Human Reproduction, Volume 18, Issue 12, December 2003, Pages 2668-2671, 2003.12.01 *
J. Soc. Cosmet. Sci. Korea, Vol. 44, No. 4, December 2018, 465-475 *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Volume 93, Issue 1, 2009, Pages 10-16 *
The Journal of Laryngology & Otology, 119, pp.436-442(200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952A1 (en) 2020-11-26
EP3972624A4 (en) 2023-05-17
EP3972624A1 (en) 2022-03-30
US20240041965A1 (en) 2024-02-08
JP2022533503A (ja) 2022-07-25
CN113474001A (zh) 2021-10-01
US20220096586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2772C2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натуральн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сел
AT504159A1 (de) Verwendung von proteasen
RU256541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ОЧИЩЕННОЙ АЗИАТИКОЗ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И ИЗ Centella asiatica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US9028883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emorrhoids and related diseases
Hsu et al. The effects of isoliquiritigenin on endometriosis in vivo and in vitro study
RU2750992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лечении патологий простаты
EP1933945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ahanin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Porwal et al. Herbal medicine AnoSpray suppres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COX‑2 and RANTES in the management of hemorrhoids, acute anal fissures and perineal wounds
WO2013037843A1 (en)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KR102121969B1 (ko)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A3159601A1 (en)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170007426A (ko) 신장 섬유증을 억제하기 위한 진세노사이드 m1의 용도
KR20210129565A (ko) 전립선 비대증 또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20132019A1 (en) Sterol fractions of Nigella sativa L. seeds
US20230117155A1 (en) Fraction extract of melissa officinalis leaves an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same
WO2019074235A1 (ko) 알파 아사론을 포함하는 척수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474765T3 (es) Agente profiláctico y/o terapéutico para la dismenorrea
US20050281903A1 (en) Extract of Stephaniae sinica Die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129412B1 (ko)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8554A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 약학적 조성물
CN108354998B (zh) 一种治疗***的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7618425A (zh) 一种生物碱类化合物在制备抗结肠炎药物中的应用
AU2014330225A1 (en) A use of the mixture of a salt and suga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employed for treating lax vagina syndrome or colpoxerosis disease in a mammal
CN116059252A (zh) 用于预防或治疗肠炎和肠癌的药物
AU2022374290A1 (en) Medici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enteritis and intestinal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