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059B1 -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 Google Patents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59B1
KR102121059B1 KR1020190076542A KR20190076542A KR102121059B1 KR 102121059 B1 KR102121059 B1 KR 102121059B1 KR 1020190076542 A KR1020190076542 A KR 1020190076542A KR 20190076542 A KR20190076542 A KR 20190076542A KR 102121059 B1 KR102121059 B1 KR 10212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xt
broadcast
speech recognition
predef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근
이후중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7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스템은,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내부에 저장되고,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장치와,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를 포함하되, 입력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텍스트 도출 장치는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스피커의 출력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한다.

Description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PPARATUS AND TECHNIQUE FOR SPEECH RECOGNITION BASED DIVERSIFIED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본 개시는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에 관한 것이다.
공공 안전의 측면에서, 건물과 같은 시설 내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은 그러한 시설 내에 또는 그 주변에 발생한 비상 상황(예컨대, 화재, 폭발, 침수, 정전, 지진 등등)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868085호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 방송 신호의 전송을 위한 선로의 단절, 비상 방송 신호의 전송을 위한 장치의 오류 등등과 같은 이유로 비상 방송이 유지되기 곤란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비상 방송 도중에 비상 방송 신호의 전송이 비정상적이게 되더라도, 단순한 경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넘어, 가능한 한 충실하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히 오래 비상 방송을 유지하면서도 비상 방송을 듣는 이들을 오도하지(mislead) 않도록 한다. 이 특허는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 어떤 소리 내지 청각적 신호가 출력되게 할 것인지에 주로 집중한다. 발명자는 유용한 비상 방송이 유지된다는 이점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비상 방송 시스템을 개선할 여지가 남아 있음을 인식하였다.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개선된 시스템, 장치 및 기법이 본 문서에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위 시스템은,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내부에 저장되고, 위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위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장치와,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를 포함하되,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고,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며, 위 입력 오디오 신호가 위 수신된 부분인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에 따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텍스트 도출 장치가 제공된다.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프로세서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 텍스트 도출 장치 상에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동작과, 위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며, 위 입력 오디오 신호가 위 수신된 부분인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에 따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텍스트 도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 방법은, 위 텍스트 도출 장치 상에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단계와, 위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며, 위 입력 오디오 신호가 위 수신된 부분인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에 따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전술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몇몇 양상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subject matter)의 중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정하는 데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나아가,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이점을 제공하는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에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비상 상황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상황을 알리는 오디오 데이터가 음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또는 사전정의된 것인지에 따라, 음성 인식 모델이 상이하게 적용가능한바, 비상 상황에 대한 다각화된 통지에 요구되는 텍스트가 더욱 정확히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도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예시적인 텍스트 도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한 세부사항이 제공되는데, 몇몇 실시예는 이들 세부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없더라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공지 기술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 의미로 고려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단수 형태의 표현은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이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어떤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송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비상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송 시스템(100)은 방송 송신 장치(120), 방송 수신 장치(140), 방송 출력 장치(160) 및 텍스트 도출 장치(18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시스템(100)은 전관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 장치(120)와 방송 수신 장치(140)는 송신 매체(130)를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communicatively coupled)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상 1개의 방송 수신 장치(140)가 도시되었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방송 송신 장치(120)와 커플링된 방송 수신 장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로서, 그러한 커플링 각각은 별개의 송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40)와 방송 출력 장치(160)는 송신 매체(150)를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상 1개의 방송 출력 장치(160)가 도시되었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와 커플링된 방송 출력 장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로서, 그러한 커플링 각각은 별개의 송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출력 장치(160)와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송신 매체(170)를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상 1개의 방송 출력 장치(160)가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커플링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와 커플링된 방송 출력 장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로서, 그러한 커플링 각각은 별개의 송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 매체(예를 들어, 송신 매체(130, 150, 170))는 유선 송신 매체(예를 들어, 송신 선로(transmission line), 전화선(telephone line), 꼬임쌍선(twisted pair lin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optical fiber) 등등), 무선 송신 매체(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RF,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등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만,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방송 출력 장치(160)와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가령, 하나의 폼 팩터(form factor) 내에) 함께 통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나아가, 어떤 실시예에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 예컨대, 컴퓨팅 장치(191)(예를 들면, 서버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등등), 모바일 컴퓨팅 장치(192)(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 등등),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컴퓨팅 장치(193)(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와 커플링되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제시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 및/또는 주행체내(in-vehicle) 컴퓨팅 장치(194)(예를 들면, 자동차, 드론 등등과 같은 주행체에 임베딩된(embedded) 컴퓨팅 장치)에 네트워크(190)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90)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가령, 와이파이(Wi-Fi)),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가령,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무선 광역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내지 전기통신 네트워크(가령, 3세대(3rd Generation: 3G), 4세대(4th Generation: 4G), 5세대(5th Generation: 5G) 또는 이후의 차세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140)는 어떤 건물의 통제실 또는 전산실에 배치될 수 있고, 방송 수신 장치(140)와 커플링된 각 방송 출력 장치(가령, 방송 출력 장치(160))가 그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출력 장치와 커플링된 텍스트 도출 장치(가령, 텍스트 도출 장치(180))도 해당 층에 자신의 커플링된 방송 출력 장치와 일체화되어 또는 그로부터 멀지 않은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40)를 비롯하여 다수의 방송 수신 장치와 커플링되어서 이들과 통신하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20)는 이들이 위치된 동일한 건물 내에 위치되거나, 이들로부터 원격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방송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동작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송 송신 장치(120)는 방송용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떤 포맷의 데이터(이하에서 "음원 데이터"로 지칭될 수도 있음)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방송용 음원의 예는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원격인 마이크(이하에서 "원격 마이크"(Remote Microphone: RM)로 지칭될 수도 있음),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CDP), 텍스트 대 발화(Text-To-Speech: TTS) 합성기 등등을 포함한다. 예로서, 방송 송신 장치(120)는 음원의 유형/종류와 무관하게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음원 데이터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송신 장치(120)는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외에도, 음원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음원 데이터 내에(가령, 음원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 포함시켜, 음원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송 송신 장치(120)는 특정 음원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떤 상호작용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그 상호작용은 음원으로부터 방송 송신 장치(120)로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되게 하거나, 오디오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 부분(가령, 헤더 부분)을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CDP에 삽입된 CD에 기록된 어떤 오디오 트랙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송 송신 장치(120)는 그 오디오 트랙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RM 상에서의 발화(speech)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송 송신 장치(120)는 RM에 입력된 소리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TTS 합성기에 문구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송 송신 장치(120)는 TTS 합성기에 의해 그 문구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음원 데이터는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송신 매체(13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송 수신 장치(140)는 일반 방송 모드와 비상 방송 모드를 가진다. 일반 방송 모드 하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상황(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140), 방송 출력 장치(160) 및 텍스트 도출 장치(180)가 위치된 건물 내의 화재, 정전, 침수, 또는 다른 유형의 사고 등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상황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일반 방송을 위해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음원 데이터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상 상황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방송 모드로 진입하여 비상 방송 프로세스(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10-186808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비상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고, 비상 방송이 수행되는 도중에 비상 상황이 해소된 경우 비상 방송 모드에서 일반 방송 모드로 빠져나올 수 있다.
예시적인 방송 출력 장치(160)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출력 장치(160)의 오디오 스피커는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해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방송을 위해, 그러한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방송 수신 장치(140)가 수신한 음원 데이터 부분 또는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40)는 특정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수신함에 응답하여, 비상 방송 모드로 진입하고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상황의 발생을 감지한 장치로부터 그러한 감지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비상 방송 모드로 진입하고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음원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조작될 수 있는 음원에서 유래하므로, 음원 데이터의 수신이 비상 상황의 감지 신호의 수신보다 우선시될 수 있다는 점(예컨대,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전송하는 도중에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40)는 전자의 전송을 중단하고 후자를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전송하기 시작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송 시스템(100)은 어떤 여건 하에서도 가능한 한 충실하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히 오래 비상 방송을 유지하면서도 비상 방송을 듣는 이들을 오도하지 않도록 하는데, 특히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의 음원 데이터의 전송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예컨대, 송신 매체(130)가 단절되거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방송 송신 장치(120)가 고장 나거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등)에도 그러하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비상 방송을 위한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즉,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의 음원 데이터의 전송이 정상적인 경우), 수신된 음원 데이터 내의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의 음원 데이터의 전송에 이상이 발생하기 십상인데, 이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한 음원 데이터의 수신이 가용하지(available) 않게 된 경우에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방송의 유지를 위해 다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제공할 수 있다:
- 방송 수신 장치(140)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그리고/또는
- 비상 방송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이었던 동안에 방송 수신 장치(140)에서 수신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한편, 예시적인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음성 인식 기법을 사용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를 다각화할 수 있다. 그러한 통지는, 예컨대, 자막 생성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재난 상황 접수 서비스, 재난 상황 분석 및 대책 활용 서비스 등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들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각각은 특정한 비상 상황 발화, 가령 "1층에 화재 발생. 옥상으로 대피하세요."라는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발화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몇몇은 일단의 정형화된(formatted)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정형화된 비상 상황 발화들은 동일한 포맷을 공유하지만, 각각은 고유하게, 곧 서로 상이하게 비상 상황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발화 단편(speech fragment)을 가진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몇몇은 "[A]에 [B] 발생. [C]으로 신속히 대피하세요."와 같은 포맷으로 사고 장소, 사고 유형 및 피난 장소를 서술하는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발화를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A]는 사고 장소(예컨대, 1층, 5층 전산실, 강당 등)를, [B]는 사고 유형(예컨대, 화재, 정전, 침수 등)을, 그리고 [C]는 피난 장소(예컨대, 옥상, 현관, 비상 계단 등)를 서술하여 비상 상황을 특징짓기 위한 단편적 요소 또는 서술자(descriptor)이다. 나아가,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다양한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낼 수 있는데, 각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는 상이한 수준의 상세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알리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에는, 앞서 언급된 포맷의 상세화된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외에도, 임의의 비상 상황을 위해 작성된 일반화된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예컨대, "건물에 사고 발생.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세요." 또는 "건물에 사고 발생."과 같은 기본적인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발화)를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및/또는 위의 상세화된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보다 덜 상세화된 다른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예컨대, "1층에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발화)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각각은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는, 그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가 정형화된 것인 경우, 그러한 비상 상황 발화 내의 발화된 서술자(spoken descriptor), 즉 비상 상황을 특징짓는 발화 단편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모든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A]에 [B] 발생. [C]으로 신속히 대피하세요." 또는 "[A]에 [B] 발생."과 같은 포맷의 발화된 비상 상황 안내 문구를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또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 세트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서, 제1 유형의 서술자 [A]는 "건물", "1층", "5층 전산실" 및 "강당" 중 하나이고, 제2 유형의 서술자 [B]는 "사고", "화재", "정전" 및 "침수" 중 하나이며, 제3 유형의 서술자 [C]가 만약 존재한다면 서술자 [C]는 "안전한 곳", "옥상", "현관" 및 "비상 계단" 중 하나이고, 이들 서술자는 언급된 순서대로 "A0", "A1", "A2", "A3", "B0", "B1", "B2", "B3", "C0", "C1", "C2" 및 "C3"라는 식별자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이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는 그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 내의 발화된 서술자들의 식별자들의 연접(concatenation), 가령 "A[x]B[y]C[z]" 또는 "A[x]B[y]"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x], [y] 및 [z] 각각은 각자의 유형의 식별자에 대한 인덱스(index)이다(위 예에서는 [x], [y] 및 [z] 모두 0, 1, 2, 또는 3임). 예를 들어, 아래의 표는 몇몇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에 대해서, 발화된 비상 상황 안내 문구 및 식별자를 보여준다:
Figure 112019065611610-pat00001
어떤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 내에 0의 인덱스를 갖는 서술자 식별자가 포함되거나 주어진 서술자 유형의 총 개수(위 예에서 3개) 미만의 서술자 식별자가 있는 경우(가령, 식별자가 A1B1, A0B1, A3B3C0, A0B0C0, 또는 A0B0인 경우), 그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그렇지 않은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령, 식별자가 A1B1C1, A3B3C3, A2B2C2인 경우)에 비해 덜 상세화된 수준의 것임이 위 표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장래의 비상 방송을 위해 미리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방송 모드 전에, 방송 송신 장치(120)의 마이크 상에서의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라이브(live) 발화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전송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비상 방송 모드 전에, 방송 송신 장치(120)의 TTS 합성기에 의해 비상 상황 안내 문구가 오디오 데이터세트로 변환될 수 있고, TTS 합성기로부터 출력된 그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전송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그것의 식별자와 더불어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자신의 식별자와 연관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각각은 이러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파일명(filename)을 갖는 파일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자신의 식별자와 연관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되되, 방송 송신 장치(120)에는 그 식별자만 저장될 수 있거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가령, 그 식별자와 연관되어) 방송 송신 장치(120) 및 방송 수신 장치(140) 양자 모두에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방송(일반 방송이든 또는 비상 방송이든)을 위한 음원 데이터의 전송 채널(가령, 송신 매체(130))을 통해, 또는 별도로 수립된 전송 채널(가령, 도시되지 않은 다른 송신 매체)을 통해,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송 송신 장치(120)는 어떤 음원과의 상호작용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획득하여 방송 수신 장치 내의 저장 및 장래의 비상 방송을 위해 이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서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될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방송 송신 장치(120)는 앞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방송 송신 장치(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비상 상황 안내 문구의 포맷과 함께, 가능한 서술자들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서술자(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송 송신 장치(120)의 TTS 합성기는 선택된 서술자(들)를 포함하는 비상 상황 안내 문구로부터 그 문구의 발화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송신 장치(120)는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송신 장치(120)는 선택된 서술자들의 식별자들로부터 그러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송신 장치(120)는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와 함께 그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송출할 수 있고, 방송 수신 장치(14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그것의 식별자와 연관시켜 방송 수신 장치(140) 내부에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원격인 방송 송신 장치(120)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작성되고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비상 방송 모드에서 수신되어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세트
실시예에서, 방송 송신 장치(120)는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비상 방송을 위해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방송 송신 장치(12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음원으로부터 방송 송신 장치(120)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가 제공되게 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상 방송을 위해, 방송 송신 장치(120)는 획득된 음원 데이터를 방송 수신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상 방송 모드 하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여 그러한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40)는 음원 데이터의 전송이 정상적인 동안에, 즉 음원 데이터의 수신이 가용한 동안에 수신된 적어도 부분적인 오디오 데이터를 비상 방송을 위해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하고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비상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한 비상 방송 음원 데이터의 수신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상 방송의 유지를 위해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방송 출력 장치(160)로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비상 방송을 위해 전송될 것으로 판정된 경우, 비상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이미 저장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예컨대, 일회성이든 또는 반복적으로든, 가령 특정 횟수만큼 또는 특정 시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과,
-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예컨대, 비상 방송을 위한 음원 데이터에 의해 지시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령, 사전정의된 디폴트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예컨대, 일회성이든 또는 반복적으로든, 가령 특정 횟수만큼 또는 특정 시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이미 저장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비상 방송을 위해 전송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 경우, 비상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은, 그러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대신에,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예컨대, 일회성이든 또는 반복적으로든, 가령 특정 횟수만큼 또는 특정 시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사용할 뿐이지만, 여하간 비상 방송이 지속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비상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은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예컨대, 일회성이든 또는 반복적으로든, 가령 특정 횟수만큼 또는 특정 시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하는 것과, 이후에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방송 출력 장치(160)로 (예컨대, 일회성이든 또는 반복적으로든, 가령 특정 횟수만큼 또는 특정 시간 동안에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에 의해 나타내어진 비상 상황 발화보다 비상 상황에 관해 덜 상세화된 다른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낸다. 예로서,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비상 상황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발화된 서술자를 포함하는 비상 상황 발화(예컨대, "1층에 화재 발생. 옥상으로 대피하세요.")를 나타내고,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비상 상황에 관해 그 비상 상황 발화보다 덜 상세화된 다른 비상 상황 발화(예컨대, "1층에 화재 발생.", "건물에 화재 발생.", 또는 "건물에 사고 발생.")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세화된 수준의 비상 상황 발화라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비상 상황의 세부사항이 바뀔 수 있어서 적절하지 않게 될 수 있다는 점(예컨대, 기존의 피난 장소에도 사고가 발생하여 그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음)에 비추어 볼 때, 방송 송신 장치(120)와 방송 수신 장치(140) 간의 음원 데이터 전송이 비정상적인 여건 하에서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차라리 덜 상세화된 비상 상황 발화가 오도를 방지하는 데에 적합할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이 유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기법을 사용하여 비상 상황 통지를 다각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할 수 있고,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160)는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하는데, 방송 수신 장치(140)는 비상 방송을 위해 방송 출력 장치(160)에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예를 들면, 비상 방송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는,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 아니면, 비상 방송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전송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는, 정상적인 음원 데이터 전송 동안에 수신되어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하거나, 그러한 수신된 부분이 아니라,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된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령, 정형화된 비상 상황 발화를 상이한 수준의 상세함으로써 나타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 상에는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구현되는바,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방송 출력 장치(160)의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기 위해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신경망 기반의 음성 인식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가령, 텐서플로우(TensorFlow), 칼디(Kaldi) 등등)나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통하여 텍스트 도출 장치(180) 상에 구현된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제3자(third party) 발화 대 텍스트(Speech-To-Text: STT) 서비스(가령, 클라우드 기반의 음성 인식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음성 인식/STT 모델(가령, 하나 이상의 음향 모델(acoustic model)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어 모델(language model))에 기반한 음성 인식을 통해 발화 신호를 문자 기호로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의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텍스트가 더 정확히 도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우선, 이 메커니즘은 입력 오디오 신호가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가령, 입력 오디오 신호가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들)인지 여부가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시그널링될 수 있음)에 따라,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들은 비교적 소수의 사람(가령, 단 한 명)에 의한 발화를 나타내거나, 인간의 통상적인 발화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 발화(가령, TTS 합성기로부터의 출력)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와는 상이할 것임을 감안한 것이다. 이러한 고려사항으로 인해 음성 인식의 결과는 더 높은 신뢰성을 지닐 것이다. 나아가,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된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와 동일한 훈련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을 갖고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이 모델을 사용하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 역시 음성 인식의 효율을 높일 것이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40)는,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송출되어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이 유래하는 음원의 유형에 대응하는 전처리(preprocessing)(예컨대, RM 상에서의 라이브 발화의 특성을 고려한 및/또는 그러한 발화에서 기인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를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에 대해 수행하고, 전처리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된 바와 같이,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및 음원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가 방송 송신 장치(12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전송될 수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140)는 음원의 유형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상이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전처리는 출력되는 소리의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음성 인식의 인식률을 제고할 것이다.
이제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송 시스템(100)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해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200)는 단지 예로서 제공될 뿐이며,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200)의 동작 중 일부가 생략되고/되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동작(210)에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의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트리거(trigger)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는 방송 송신 장치(120), 방송 수신 장치(140) 및/또는 방송 출력 장치(160)로부터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특정 단어, 문구 및/또는 문장의 발화, 특정 레벨보다 큰 소리 및/또는 다른 발화 또는 소리의 검출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동작(220)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에 수반될 음성 인식이 어떤 모델로써 모델링된 것인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반되는 음성 인식에 적용가능한 모델은 음향 모델, 언어 모델 및/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다른 모델, 예를 들면, 음성 인식에서의 사용을 위한 발음 모델, 음성 인식에 의해 타겟팅된(targeted) 발화 환경, 발화자, 문맥 등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적합한 모델, 그러한 요소에 독립적인 모델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의 활성화 직후에, 음성 인식을 위해 적용될 모델은 디폴트 모델(가령, 방송 시스템(100)이 설치된 지역에 적합한 언어에 따라 사전결정된 모델)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230)에서, 비상 방송을 위해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방송 출력 장치(160)로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가 방송 수신 장치(14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부분인지 또는 방송 수신 장치(140) 내에 저장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들)인지가 (가령,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및/또는 방송 출력 장치(160)를 통해)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시그널링되었는지가 체크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에 관한 시그널링이 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50)으로 이어진다. 입력 오디오 신호에 관해 시그널링된 경우, 동작(240)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에 수반될 음성 인식이 다른 모델로써 모델링된 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가 체크된다.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위한 모델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20)으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에서 음성 인식 모델이 새로 설정된다. 모델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50)으로 이어진다.
동작(250)에서, 방송 출력 장치(160)의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도록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동작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가 아니라, 방송 출력 장치(160)의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로부터 그러한 텍스트를 도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로서,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의해 마이크가 구동됨(actuated)에 응답하여 마이크 포착(microphone captured)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바,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마이크 포착 오디오 신호로부터 텍스트를 도출할 수 있다.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방송 출력 장치(160)와 이격되고/되거나 별개인 경우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텍스트를 도출할 수 있는데, 다만 본 개시가 이 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방송 출력 장치(160)에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가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도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스피커로부터의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방송 출력 장치(160)와 통합된 경우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텍스트를 도출할 수 있는데, 다만 본 개시가 이 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출된 텍스트를 사용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가 수행된다(동작(290)). 예를 들어, 도출된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비상 상황 통지가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러한 통지는 네트워크(19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191, 192, 193, 194)에 발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40), 방송 출력 장치(160) 및/또는 텍스트 도출 장치(180)가 설치된 건물 내의 컴퓨팅 장치(193),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안내 기기에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가 전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의 유형,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비상 상황에 대한 대책과 같은 정보가 (가령, 자막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막 생성 서비스는 음성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방식으로 비상 상황을 통지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서,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는 방송 수신 장치(140), 방송 출력 장치(160) 및/또는 텍스트 도출 장치(180)가 설치된 건물과 관련된 특정 인원(가령, 해당 건물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또는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192)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스피커를 통한 방송 선로와는 별개인 무선 통신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개개인의 안전을 확보하고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는 비상 상황에 관한 신고를 접수하기 위해 관계 당국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와 같은 컴퓨팅 장치(191)에 전송되어 국가 및/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상황 접수 서비스는 음성으로 비상 방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별도로 신고 행위가 없더라도, 비상 상황에 대처하여야 하는 당국에 비상 상황의 발생이 신속히 접수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로서,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는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하거나 분석하기 위해 관계 당국 또는 다른 주체(가령, 방송 시스템(100)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가령, 컴퓨팅 장치(191), 주행체내 컴퓨팅 장치(194), 기타 등등)에 전송되어 비상 상황에 대한 누적된 정보의 분석 및 이에 기반한 비상 상황 대처 방안의 마련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상황 분석 및 대책 활용 서비스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파악하고 추적하여 대피로를 확보하도록 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한 장소에 특화된 비상 방송 메시지를 통해 비상 상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그러한 통지에 기반하여 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차를 어떻게 배치할지, 헬기를 출동시킬지 여부, 어떤 구역을 드론으로 촬영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 등등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러한 통지 및/또는 결정이 소방차, 헬기, 드론 등의 주행체 내부의 컴퓨팅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동작(290)이 수행된 후, 프로세스(200)는 동작(230)으로 되돌아가는데, 여기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에 관해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시그널링되었는지가 다시 체크된다. 이후, 프로세스(2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진행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스(200) 동안에, 동작(260, 270, 280)이 동작(290)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260)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가령,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및/또는 방송 출력 장치(160)를 통해)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시그널링되었는지가 체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140)에 저장된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가 방송 수신 장치(140)로부터 (가령, 방송 출력 장치(160)를 거쳐 또는 직접적으로) 텍스트 도출 장치(180)에 전송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식별자는 그 데이터세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출된 텍스트로부터 직접적으로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판정은, 가령, 금번에 도출된 텍스트의 내용과 이전에 도출된 텍스트의 내용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함의 수준에 관한 시그널링이 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90)으로 이어진다. 상세함의 수준에 관해 시그널링된 경우, 동작(270)에서,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되었는지가 체크된다. 수준이 감소된 경우, 동작(280)에서, 추가 조치가 수행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된다는 것은 음원 데이터 전송이 비정상적일만큼 비상 상황이 심각하게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로는 비상 상황의 세부사항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칫 잘못된 비상 상황 발화로 인해 오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어떤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써 비상 방송이 진행되기 시작한 후에, 그 데이터세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보다 비상 상황에 관해 덜 상세화된 다른 비상 상황 발화를 나타내는 다른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비상 방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280)에서 수행될 추가 조치는 동작(290)에서 수행되는 통지에, 비상 상황이 위험을 끼칠 가능성, 즉, 비상 상황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표시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조치는 비상 상황의 심각한 전개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촉구하는 데에 이바지할 것이다.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200)는 동작(280)을 건너뛴다.
예시적인 텍스트 도출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예시적인 텍스트 도출 장치(18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10), 프로세서(310)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320) 및 주변기기(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프로세서 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다른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3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휘발성(volatile) 메모리,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착탈가능(removable) 메모리, 비착탈가능(non-removable)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flash)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디스크 저장 매체, 다른 저장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320)에는,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텍스트 도출 장치(180)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가령, 전술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적어도 몇몇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330)는 통신 인터페이스(가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 마이크 및/또는 다른 주변 기기(가령,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문서에 기술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이 체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명령어,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을 구현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가령, 컴파일형(compiled) 또는 해석형(interpreted)) 프로그래밍 언어, 예컨대, 어셈블리(assembly), 기계어(machine language), 프로시저형(procedural) 언어, 객체지향(object-oriented) 언어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구현과 조합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실행 시에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개시된 기법을 수행하게 함)를 저장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텍스트 도출 장치(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부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텍스트 도출 장치(180) 상에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경우, 텍스트 도출 장치(180)의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동작, 예컨대,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동작을 또한 수행하도록 될 수 있는데, 입력 오디오 신호는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다.
예 1은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인데, 위 시스템은,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내부에 저장되고, 위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위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장치와,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를 포함하되,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한다.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위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위 방송 출력 장치로 전송된다.
예 3은 예 1 또는 예 2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위 비상 상황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발화 단편을 포함하는 정형화된 비상 상황을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한다.
예 4는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가 아닌, 위 출력된 소리로부터 위 텍스트를 도출한다.
예 5는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마이크가 위 출력된 소리에 의해 구동됨에 응답하여 마이크 포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생성된 마이크 포착 오디오 신호로부터 위 텍스트를 도출한다.
예 6은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위 텍스트를 도출한다.
예 7은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또한 제공되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음에 응답하여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위 텍스트를 도출한다.
예 8은 예 1 내지 예 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에 따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 9는 예 1 내지 예 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가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시그널링되되,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위 시그널링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게 한다.
예 10은 예 1 내지 예 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전송되는 경우,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을 사용하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 11은 예 1 내지 예 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가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시그널링되되,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시그널링됨에 응답하여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을 사용하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게 한다.
예 12는 예 1 내지 예 11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수신된 부분을 위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기 전에, 위 방송 수신 장치는 위 음원의 유형에 대응하는 전처리를 위 수신된 부분에 대해 수행한다.
예 13은 예 1 내지 예 12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텍스트 도출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위 도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위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를 전송한다.
예 14는 예 1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된다고 판정된 경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비상 상황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표시를 위 통지에 추가한다.
예 15는 예 14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및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하고,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1 식별자 및 위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2 식별자를 수신하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위 수준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위 제1 식별자 및 위 제2 식별자에 기반하여 판정한다.
예 16은 예 13 내지 예 1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위 방송 수신 장치, 위 방송 출력 장치 또는 위 텍스트 도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건물 내에 위치된 컴퓨팅 장치; 위 건물에 관련된 사람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 위 비상 상황에 관한 신고를 접수하기 위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 및/또는 위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위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또는 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
예 17은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텍스트 도출 장치인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프로세서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 텍스트 도출 장치 상에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동작과, 위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 18은 예 17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내부에 저장되고, 위 오디오 데이터의 위 수신을 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위 오디오 스피커가 포함된 방송 출력 장치로 전송된다.
예 19는 예 17 또는 예 18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위 비상 상황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발화 단편을 포함하는 정형화된 비상 상황을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한다.
예 20은 예 17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가 아닌, 위 출력된 소리로부터 위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1은 예 17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텍스트 도출 장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마이크가 위 출력된 소리에 의해 구동됨에 응답하여 마이크 포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생성된 마이크 포착 오디오 신호로부터 위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2는 예 17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위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3은 예 17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또한 제공되며,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음에 응답하여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위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위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4는 예 17 내지 예 2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에 따라,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 25는 예 17 내지 예 2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가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시그널링되되,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위 시그널링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6은 예 17 내지 예 2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전송되는 경우,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을 사용하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예 27은 예 17 내지 예 25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위 수신된 부분이 전송되는지 또는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는지가 위 텍스트 도출 장치에 시그널링되되,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위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시그널링됨에 응답하여 위 음성 인식 메커니즘이 위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을 사용하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28은 예 17 내지 예 27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수신된 부분은 위 음원의 유형에 대응하는 전처리가 수행된 것이다.
예 29는 예 17 내지 예 28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텍스트 도출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위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위 도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위 통지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30은 예 29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된다고 판정된 경우,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비상 상황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표시를 위 통지에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31은 예 30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및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하고, 위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위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1 식별자 및 위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2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작과, 위 수준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위 제1 식별자 및 위 제2 식별자에 기반하여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 32는 예 29 내지 예 31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위 방송 수신 장치, 위 방송 출력 장치 또는 위 텍스트 도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건물 내에 위치된 컴퓨팅 장치; 위 건물에 관련된 사람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 위 비상 상황에 관한 신고를 접수하기 위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 및/또는 위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위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또는 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
이상에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제한적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의 세부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방송 시스템
120: 방송 송신 장치
140: 방송 수신 장치
160: 방송 출력 장치
180: 텍스트 도출 장치

Claims (16)

  1.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와,
    상기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장치와,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도출하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상기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수신된 부분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에 따라,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와 동일한 훈련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이 상기 음성 인식에서 사용되되,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발화자가 상기 음성 인식에 의해 타겟팅된 요소이고,
    상기 수신된 부분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요소에 독립적인 모델이 상기 음성 인식에서 사용되는,
    비상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가 아닌, 상기 출력된 소리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도출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텍스트를 도출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분을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음원의 유형에 대응하는 전처리를 상기 수신된 부분에 대해 수행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도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지에 포함시키는,
    비상 방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비상 상황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표시를 상기 통지에 추가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및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2 식별자를 수신하며,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수준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에 기반하여 판정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9.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텍스트 도출 장치로서,
    프로세서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 상에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동작과,
    상기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 방송을 위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 후에 음원에서 유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된 부분이거나,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상기 수신된 부분인지 또는 상기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인지에 따라,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은 상이한 모델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가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와 동일한 훈련 데이터세트로써 사전훈련된 모델이 상기 음성 인식에서 사용되되,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비상 상황 발화의 발화자가 상기 음성 인식에 의해 타겟팅된 요소이고,
    상기 수신된 부분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요소에 독립적인 모델이 상기 음성 인식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도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가 아닌, 상기 출력된 소리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상기 음성 인식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텍스트를 도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분은 상기 음원의 유형에 대응하는 전처리가 수행된 것인,
    텍스트 도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통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도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지에 포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나타내는 상기 비상 상황 발화의 상세함의 수준이 감소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상기 비상 상황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표시를 상기 통지에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는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 및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한,
    상기 제1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전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세트의 제2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텍스트 도출 장치는 상기 수준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제2 식별자에 기반하여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텍스트 도출 장치.
KR1020190076542A 2019-06-26 2019-06-26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KR10212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42A KR102121059B1 (ko) 2019-06-26 2019-06-26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42A KR102121059B1 (ko) 2019-06-26 2019-06-26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059B1 true KR102121059B1 (ko) 2020-06-09

Family

ID=7108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42A KR102121059B1 (ko) 2019-06-26 2019-06-26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7134A (zh) * 2020-11-09 2021-02-12 湖南芒果听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应急广播***及其运行方法
KR102535141B1 (ko) * 2022-10-05 2023-05-30 동광전자 주식회사 민방위 경보 또는 재난 경보를 방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보 방송 제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922A (ko) * 2005-02-03 2006-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한 데이터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778620B1 (ko) * 2017-04-05 2017-09-15 (주)파스컴 문자 전송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785640B1 (ko) * 2017-04-05 2017-10-17 (주)파스컴 청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출력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819457B1 (ko) * 2016-08-17 2018-01-17 주식회사 소리자바 음성 인식 장치 및 시스템
KR101868085B1 (ko) * 2017-12-19 2018-06-18 (주)아이엠피 비상 방송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기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922A (ko) * 2005-02-03 2006-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한 데이터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1819457B1 (ko) * 2016-08-17 2018-01-17 주식회사 소리자바 음성 인식 장치 및 시스템
KR101778620B1 (ko) * 2017-04-05 2017-09-15 (주)파스컴 문자 전송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785640B1 (ko) * 2017-04-05 2017-10-17 (주)파스컴 청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출력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868085B1 (ko) * 2017-12-19 2018-06-18 (주)아이엠피 비상 방송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7134A (zh) * 2020-11-09 2021-02-12 湖南芒果听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应急广播***及其运行方法
KR102535141B1 (ko) * 2022-10-05 2023-05-30 동광전자 주식회사 민방위 경보 또는 재난 경보를 방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보 방송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20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of a mobile device
EP3738120B1 (en) Portable radio and method for managing speech recognition
KR101868085B1 (ko) 비상 방송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기법
KR102121059B1 (ko) 비상 상황에 대한 음성 인식 기반의 다각화된 통지를 위한 비상 방송 시스템, 장치 및 기법
EP2991329A1 (en) Automated testing of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s
US20170169700A9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message preview and transmission
KR20140088836A (ko) 음향 문맥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CN104240438A (zh) 通过移动终端自动报警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0995938B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3365260A (zh) 无需双手的家庭自动化应用
KR102292333B1 (ko)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KR20170018140A (ko) 비언어적 음성 인식을 포함하는 응급 상황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105059B1 (ko) 보이스 피싱 방지 방법, 보이스 피싱 방지 서버,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0248133A (zh) 一种网约车安全监控方法、装置及数据库节点
KR10202558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지능형 재난 대응 출입통제 방법
CN108140299B (zh) 现场音频的历史存档及使用其的方法
EP2913822B1 (en) Speaker recognition
KR20170077381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677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20150115392A (ko)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832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203902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604129B1 (ko)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9797B1 (ko) 이벤트 검출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JP2017146702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