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31B1 -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 Google Patents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31B1
KR102120431B1 KR1020140102188A KR20140102188A KR102120431B1 KR 102120431 B1 KR102120431 B1 KR 102120431B1 KR 1020140102188 A KR1020140102188 A KR 1020140102188A KR 20140102188 A KR20140102188 A KR 20140102188A KR 102120431 B1 KR102120431 B1 KR 10212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data
base station
re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464A (en
Inventor
김은경
차재선
박재준
이현
임광재
장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455,399 priority Critical patent/US9319127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통해 또는,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과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Receiving a relay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and if accepting the relay request, through the step of relaying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or the firs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firs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method of relaying data is provided through determining a relay between the remaining terminals except for the first terminal and relaying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remaining terminals.

Figure R1020140102188
Figure R1020140102188

Description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Method of relaying data between devices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lay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간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방법이 IEEE 802.11(pre-association discovery, PAD), IEEE 802.15(TG8,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IEEE 802.16(GRIDMAN TG) 및 3GPP(D2D proximity-based service, ProSe) 등에서 논의 중이다.In order to support a neighbor-based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s for generat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re IEEE 802.11 (pre-association discovery, PAD), IEEE 802.15 (TG8, peer aware communication, PAC), IEEE 802.16 (GRIDMAN TG) And 3GPP (D2D proximity-based service, ProSe).

근래, 단말간 직접 링크 형성을 통한 서비스는 공공안전(public safety), 재난 통신(disaster relief), 비공공안전(non-public safety 또는 commercial) 등을 포함하는 인접성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LTE device to device proximity discovery)로 제공된다. In recent years, services through direct link formation between terminals are proximity-based services (LTE), including public safety, disaster relief, and non-public safety or commercial. device to device proximity discovery).

단말간 직접링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 인접 단말은 탐색을 통해 직접 링크 형성 가능성을 판단한다. 직접링크 형성이 가능하면, 각 단말은 인접 단말과 직접 링크를 형성하여 기지국의 도움(중계)없이 직접 데이터를 교환한다. 하지만, 단말이 직접 링크를 생성하고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중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직접 링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해지거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create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each adjacent terminal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direct link through discovery. When direct link formation is possible, each terminal forms a direct link with an adjacent terminal to exchange direct data without the help (relay) of the base station. However, if the terminal moves while the terminal creates a direct link and exchanges data through the direct link, data exchange through the direct link may be impossible or efficiency may be reduced.

이때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의 도움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직접 링크로 연결된 두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단말의 기지국과의 데이터 교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t this time,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help of a base station or another terminal. When one of the two terminals connected by the direct link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located in the service area may help exchange data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terminal outside the service area.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단말이 기지국과 다른 단말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고, 적어도 두 개의 단말과 직접 링크를 가진 단말이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cluded in a service area of a base station relays data exchang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nother terminal, and a terminal having at least two terminals and a direct link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erminals connected by a direct link. It provides a way to relay (or transfer data).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과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for a terminal to relay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located outside a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The data relay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a relaying request from a base station, and when accepting the relaying request, relaying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요청은, 기지국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을 바탕으로 결정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요청일 수 있다.In the data relay method, a relay request may be a request to be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to a terminal determined based on a selection condition of a relay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남은 전력량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 method, a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may include a condition regarding the amount of remaining power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품질 또는 단말과 외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품질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 method, the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may include a condition regarding channel quality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r channel quality of a direct link between a terminal and an external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대한 단말의 상대 위치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 method, a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may include a condition regard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단말의 이동성에 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 method, a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may include a condition regarding mobility of the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기지국으로 단말의 중계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orting the relay capability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prior to the receiving step.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중계 요청에 대한 수락 의사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ing method, the step of relaying may include transmitting an intention to accept a relay request to the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중계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 경우, 중계 요청에 대한 불수락 의사 또는 유보된 수락 의사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laying in the data relaying method may include, if the relaying request is not accepted, forwarding a non-acceptance of a relaying request or a pending acceptance to the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중계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을 탐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ing in the data relaying method may include searching f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generating a direct link with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relaying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Can be.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 중계 요청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questing a transfer request for a relay request to the base station, and a step of taking over a relay role to the newly selected relay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새롭게 선정한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의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중계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instruction to take over the relay role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newly selected relay terminal, and taking over the relay role to the relay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naging a list of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데이터는, 목적지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ata relaying method,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destin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중계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과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lay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s provided. The data relaying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relay between a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rminal other than the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relaying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remaining terminals. .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단말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in the data relay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relaying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에서 결정하는 단계는, 나머지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in the data relay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relaying data from the second terminal among the remaining terminals.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새로운 단말이 제1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한 후 제1 단말이 전송한 중계에 대한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takeover instruction for the relay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after the new terminal creates a direct link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aking over the relaying role to the new terminal. have.

상기 데이터 중계 방법은, 제1 단말로 중계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제1 단말이 선정한 새로운 단말로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relay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questing a relay to the first terminal, and a step of taking over the relaying role to the new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은 중계 단말 선정 조건(단말의 이동성, 단말의 위치, 채널 품질 및 단말의 남은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계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terminal may relay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and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selects a relay terminal selection condition (terminal mobility, terminal location, channel quality, and Consider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terminal, etc.), an optimal relay terminal can be se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단말의 중계 역할 인계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relay scenario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relay role takeover procedure of a re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장치(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AMS, HR-MS, SS, PSS, AT, UE,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MT), a mobile station (MS),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highly reliable mobile station (HR-MS). ), subscriber station (SS),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ccess terminal (access terminal, AT),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UE), device, etc. , Terminal, MT, MS, AMS, HR-MS, SS, PSS, AT, UE, device, etc.,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소형 기지국,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BS, ABS, HR-BS, 소형 기지국,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base station, BS) is an advanced base station (advanced base station, ABS), 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small base station, node B (node B), advanced node B (evolved) node B, eNodeB), access point (AP), radio access station (RAS),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 (mobile multihop relay)-BS, serving as a base station It may also refer to a relay station (RS), a 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that serves as a base station, BS, ABS, HR-BS, small base station, Node B, eNodeB, AP , RAS, BTS, MMR-BS, RS, HR-RS, etc. may include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part”, “…group”, “module”, and “block”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implemen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단말 1(121) 및 단말 2(122)는 기지국(120)과 다른 단말(단말 3 및 단말 4)(123, 124)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20)은 네트워크(110)를 통해 서버(101), 지시자(commander)(102) 또는 지휘부(command center)(103)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의 단말 1(121) 및 단말 2(122)는 유형1에 포함된다. 즉, 유형1에 포함된 단말은 기지국과 다른 하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In FIG. 1, terminal 1 121 and terminal 2 122 are terminals that relay data exchange between the base station 120 and other terminals (terminals 3 and 4) 123 and 124. Referring to FIG. 1, the base stat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01, a commander 102 or a command center 103 through the network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 121 and the terminal 2 122 of FIG. 1 are included in type 1. That is, the terminal included in type 1 can relay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nother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단말 1(211)은 기지국(200)과 다른 복수의 단말(단말 2 내지 단말 6)(212 내지 216)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2(212)는 최초 기지국(200)과 연결되어 있다가, 이동하여(212 -> 212') 단말 1(211)과 직접 링크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도 2의 단말 1(211)은 유형2에 포함된다. 즉, 유형2에 포함된 단말은 기지국과 다른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In FIG. 2, the terminal 1 211 is a terminal relaying data exchange between the base station 200 and a plurality of other terminals (terminals 2 to 6) 212 to 216. 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2 212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200 and then moves (212 -> 212') to form a direct link with the terminal 1 2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 211 of FIG. 2 is included in type 2. That is, the terminal included in type 2 can relay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other terminal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단말 8(308)은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두 개의 단말(단말 1 및 단말 9)(301, 309)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단말이다. 또한, 도 3의 단말 2(302)는 하나의 단말(단말 1)(301)과 복수의 단말(단말 3 내지 단말 7)(303 내지 307)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3의 단말 8(308)은 유형3에 포함되고, 도 3의 단말 2(302)는 유형4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유형3에 포함된 단말은 단말간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두 개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유형4에 포함된 단말은 단말간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하나의 단말 및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The terminal 8 308 of FIG. 3 is a terminal relaying data exchange between two terminals (terminal 1 and terminal 9) 301 and 309 exchanging data through a direct link. In addition, terminal 2 302 of FIG. 3 may relay data exchange between one terminal (terminal 1) 301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terminals 3 to 7) 303 to 307.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l 8 308 of FIG. 3 may be included in type 3, and terminal 2 302 of FIG. 3 may be included in type 4. 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cluded in type 3 can relay data between two terminals exchanging data through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and the terminal included in type 4 establishes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Through this, data can be relayed between on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exchanging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relay scenario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중계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는 단말간 직접 링크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단말에 의해 중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may be relay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t this time, all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be relayed by a terminal capable of exchanging data by creat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시나리오1은, 하나의 단말(단말 1)(411)이 기지국(41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 이상의 단말(단말 2)(412)이 기지국(410)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 1(411)이 기지국(410)과 단말 2(412)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In scenario 1, when one terminal (terminal 1) 411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410, and another one or more terminals (terminal 2) 412 is located outside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410, A situation in which terminal 1 411 relays data between base station 410 and terminal 2 412 will be described.

시나리오2는, 모든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더라도 기지국이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됨), 단말 4(424)가 두 개의 단말(단말 3 및 단말 5)(423, 425)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In scenario 2, when all the terminals are located outside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case where the base station is not involved even if it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area), the terminal 4 424 has two terminals (terminals 3 and 5) (423, 425) will be described.

시나리오3은,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7(437)이, 기지국(430)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단말(단말 6 및 단말 8)(436, 438)과 기지국(4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고, 또한 두 개의 단말(단말 6 및 단말 8)(436, 438)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In scenario 3, the terminal 7 437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relays data between the terminals (terminals 6 and 8) 436 and 438 located outside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430 and the base station 430. Also, a situation in which data is relayed between two terminals (terminal 6 and terminal 8) 436 and 438 is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때,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에 관한 조건과,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 절차가 고려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relays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conditions regarding selection and re-selection of a relay role terminal and selection and re-selection procedures of a relay role terminal may be considered. .

먼저,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에 관한 조건을 설명한다.First, the conditions for selection and reselection of a relay ro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통상의 단말은 기지국과의 연결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이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등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유지할 수 없을 때, 다른 단말의 중계를 통해 특정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더라도, 다른 단말의 데이터 중계로 인해 전송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특정 단말과 기지국 사이 또는 특정 단말과 다른 특정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특정 단말이 주변의 복수의 단말에게 그룹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특정 단말과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단말이 복수의 단말과 그룹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한 서비스 영역 이탈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norma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through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can then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base station, such as when a specific terminal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a service for a specific terminal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relaying of another terminal. In addition, even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ecific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maintained, if the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ue to data relay of the other terminal,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a specific terminal and a base station or between a specific terminal and another specific terminal Can send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a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specific terminal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even when a specific terminal provides group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nearby terminals.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terminal performs group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departure of a service area due to mobility of terminals included in a group.

먼저 단말의 전력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이 한정된 전력으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전력이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중계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중계 가능 단말)에게 현재 전력량을 보고할 것을 요청하고, 보고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보고 요청을 전송한 기지국으로 현재 잔여 전력량을 보고한다. 이후, 기지국은 보고 받은 전력량을 참고하여 중계 가능 단말 중 중계 단말을 선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남은 전력량이 가장 큰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기준 전력의 크기를 미리 정하여, 특정 단말의 전력이 기준 전력보다 많이 남아 있는 경우 전력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잔여 전력량을 보고하는 대신 기준 전력보다 많이 남아있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만 전송하여, 기지국이 단말을 선정 시 보고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 전력보다 많은 단말 중 임의로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은 기준 전력보다 적은 전력량인 경우 기지국에 해당하는 정보 1)기준전력보다 전력량이 감소하였다는 사실 또는 2)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기지국이 중계 단말을 재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irst, the power of the terminal may be considered. In order for the terminal to relay data with limited power, the terminal's pow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requests a terminal (relayab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relaying role to report the current power amount, and the terminal receiving the report request receives the current remaining power amount to the base station that transmitted the report request. report. Thereafter, the base station selects a relay terminal from the relay capable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reported amount of power.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select a terminal having the largest amount of power remaining as a relay terminal.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reference power in advance to satisfy the power condition when the power of a specific terminal remain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In addition, instead of reporting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the terminal transmits only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re is more power than the reference power, and the base station can randomly select a terminal among the terminals having more power than the reference pow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ported when the terminal is selected. In addition, the relay terminal can help the base station to reselect the relay terminal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is 1) the amount of power is reduced than the reference power, or 2) the amount of power when the relay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have.

또한, 중계 역할 단말과의 송수신 채널의 품질이 고려될 수 있다. 특정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경우, 특정 단말과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다른 단말과 사이에 형성된 직접 링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중계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중계될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채널 상태의 기준 양호도를 미리 정하여, 기준 양호도 이상의 채널 상태를 갖는 단말은 채널 품질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게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채널 품질 정보 보고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 중계를 위해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단말은 기준 채널상태 이하로 채널상태가 품질이 안 좋아지는 경우 기지국에 해당하는 정보 1)기준 채널 상태 이하의 채널 품질 상태 또는 2) 채널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기지국이 중계 단말을 재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 with the relay role terminal may be considered. When a specific terminal relays data, at least one link among two or more links connected to the specific terminal is a direct link formed between the other terminals. Therefore,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 relay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a channel state of a direct link between the terminals.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select a terminal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with the terminal to be relayed as a relay terminal.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predetermine a channel quality criterion, and a terminal having a channel state of the criterion goodness or higher may determine that the channel quality condition is satisfied. To this end, the terminal may report channel quality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is may use an existing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may report it at the request of a base station for data relay. In addition,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if the channel state is not good quality under the reference channel state 1) the channel quality state below the reference channel state or 2) the channel quality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restarts the relay terminal It can help you choose.

또한, 중계 단말 선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외곽에 위치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중계 단말의 기지국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 및 목적 단말과 중계 단말 사이의 채널 상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과 목적 단말 사이에 위치한 중계 단말의 위치가 중계 단말 선정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selecting a relay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may b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o a terminal located outside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at least on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plays a relaying role. Since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terminal and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arget terminal and the relay termin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elay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e position of the relay terminal loc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arget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relay terminal. It needs to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또한, 중계 단말 선정에 있어서, 단말의 이동성(또는 이동 속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중계 단말이 이동하게 되면 링크의 채널 상태가 변하므로, 기지국은 정지된 단말 또는 이동성이 적은 단말을 중계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의 이동성(빠름, 보통, 느림 등의 단계 또는 구체적인 속도 크기)을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기지국이 단말의 이동성을 유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electing a relay terminal, mobility (or movement speed) of the terminal may also be considered. Since the channel state of the link changes when the relay terminal moves, the base station can select a stationary terminal or a terminal with little mobility as a relay terminal. To this end, the base station needs to determine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To this end,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steps such as fast, normal, slow or specific speed size) can be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or the base station can infer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한편 데이터 중계를 위한 단말 선정을 위한 조건(전력량, 채널상태, 이동성 등)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데이터 중계를 위한 단말로 선정/재선정할 수 있다.Meanwhile, conditions for selecting a terminal for relaying data (power amount, channel state, mobility, etc.) may be selected/reselected as a terminal for relaying data by combining one or more conditions.

또한, 기지국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 중 중계 역할에 적합한 단말을 미리 지정하여 그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의 단말 1 또는 도 3의 단말 2가 기지국이 미리 중계 단말로 지정한 단말이 될 수 있다.Further, the base station may designate a terminal suitable for a relay role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located in a service area in advance and request relaying from the terminal. The terminal 1 of FIG. 2 or the terminal 2 of FIG. 3 may be a terminal designated by the base station as a relay terminal in advance.

다음, 중계역할 단말의 선정 및 재선정 절차를 설명한다.Next, the procedure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a relay ro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위와 같은 조건을 바탕으로 중계 단말을 선정하면, 기지국은 중계 단말로 선정된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한다.When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relay terminal based on the above conditions, the base station requests relaying to the terminal selected as the relay terminal.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요청을 수락하여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수락 의사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또는, 단말은 중계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중계 요청의 불수락(또는 유보된 수락) 의사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Upon receiving the relay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ccepts the request, performs a relay function, and transmits an intention to accept to the base station. Alternatively, the terminal does not perform a relaying role, and transmits a request for non-acceptance (or reserved acceptance) of the relay request to the base station.

중계 단말로부터 수락 의사를 수신한 기지국은 중계 단말의 단말간 장치 탐색 이후, 중계 단말의 데이터 중계를 통해 서비스 영역 외곽의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계 단말은 이미 생성된 직접 링크를 통해 외곽의 단말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또는 데이터 중계가 필요한 외곽의 단말을 탐색하고 탐색된 외곽의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intention to accept from the relay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outside the service area through data relay of the relay terminal after searching for the device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relay terminal. At this time, the relay terminal may relay data to the outer terminal through the already generated direct link, or may search the outer terminal requiring data relay and generate a direct link with the discovered outer terminal to relay the data.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단말의 중계 역할 인계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relay role takeover procedure of a relay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처음에, 단말 1(511)은 기지국(500)에 의해 중계 단말로 선정되어 단말 3(513), 단말 4(514) 및 단말 5(515)와, 기지국(5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후, 단말 1(511)은 단말 2(512)에게 중계 역할을 인계(role over) 할 수 있다. 이때, 기존 중계 단말인 단말 1(511)은, 새로운 중계 단말인 단말 2(512)에게 중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역할 인계는 기지국(500)에서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1(511)이 요청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중계 단말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 2(512)가 새로운 중계 단말이 되고, 기지국(50)과 단말 3 내지 단말 5(513 내지 515)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5, initially, the terminal 1 511 is selected as a relay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terminal 3 513, the terminal 4 514, and the terminal 5 515 and the base station 500 Relay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ereafter, the terminal 1 511 may take over the role of a relay to the terminal 2 512. At this time, the existing relay terminal, terminal 1 (511) may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relay to the new relay terminal, terminal 2 (512). At this time, the relay role takeover may be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500, or the terminal 1 511 may request. In add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relaying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terminal that is provided with a service by the relay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2 512 becomes a new relay terminal, and performs a relay role between the base station 50 and the terminals 3 to 5 (513 to 515).

도 6을 참조하면, 처음에 단말 3(603)은 단말 1(601)과, 단말 4(604) 및 단말 5(605)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 2(602 -> 602')가 단말 1(601)로 근접하게 되고 단말 3(603)이 단말 2(602')에게 중계 역할을 인계하면, 단말 2(602')가 새로운 중계 단말이 되어 단말 4 내지 단말 7(604 내지 607)에게 단말 1(601)의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itially, the terminal 3 603 serves as a relay between the terminal 1 601 and the terminal 4 604 and the terminal 5 605. Thereafter, when terminal 2 (602 -> 602') approaches terminal 1 (601) and terminal 3 (603) takes over the relay role to terminal 2 (602'), terminal 2 (602') is a new relay terminal. As a result, data of the terminal 1 601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s 4 to 7 (604 to 607).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중계 단말은 아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terminal ma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 중계 단말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다른 단말과 직접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relay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exchange data through a direct link with other terminals.

- 중계 단말이 기지국에 초기 접속(attach 또는 entry)할 때, 중계 단말은 기지국으로 중계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중계 능력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의 중계 능력으로 유형을 구분하여 중계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중계 능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단말이 이웃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으로 단말의 중계 능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웃 기지국으로 중계 능력을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relay terminal makes initial access (attach or entry) to the base station, the relay terminal may report the relay capability to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report the relay capability by classifying the type into a relay capability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a relay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manages information on the relay capability reported by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moves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by handover or the lik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relay capabilit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not report the relay capability to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 중계 단말은 중계되는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 중계 단말은 중계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어떤 단말이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경우, 그 단말은 단말간의 직접 링크를 통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중계 가능한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중계 가능한 단말이 직접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면, 단말은 중계 가능 단말에게 중계를 요청하고, 중계 가능 단말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lay terminal can manage the list of relayed terminals. When the relay terminal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relay terminal may manage a list of terminals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lay. Meanwhile, when a terminal can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a base station,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a terminal capable of relaying in a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through a direct link between the terminals. If a relayable terminal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can be connected via a direct link, the terminal requests a relay from the relayable terminal, and the relayable terminal can perform a relaying rol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중계 단말과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중계 단말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영역 외곽의 단말과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송신되는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도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데이터의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헤더에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전송하는 경로를 구분하여 데이터의 목적지를 구별시킬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relay terminal,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 terminal outside the service area connected through the relay terminal. At this time, when transmitting data, the base station can also transmit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stination of the transmitted data in the data.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stination of the data in a media access control (MAC) header of the data.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can distinguish the destination of data by classifying the transmission path.

또한, 단말간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소스(source) 단말이 타겟(target) 단말을 향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타겟 단말은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말(중계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중계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스 단말은 데이터의 목적지를 중계 단말 및 최종 단말 사이에서 구분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Further, even when data is transmitted/received using a direct link between terminals, information regarding the destination of the data may be included in the data. When a source terminal transmits/receives data toward a target terminal, the target terminal may be a terminal relaying data (relay terminal) or a final terminal receiving relayed data. Therefore, the source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stination of the data in the data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estination of the data between the relay terminal and the final terminal.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 단말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은 중계 단말 선정 조건(단말의 이동성, 단말의 위치, 채널 품질 및 단말의 남은 전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계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terminal may relay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wherein the base station selects a relay terminal selection condition (terminal mobility, location of the terminal, channel quality and Consider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terminal, etc.), an optimal relay terminal can be sele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20)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인계를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새롭게 선택된 중계 단말에게 중계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A method for relay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located outside a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a relay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When accepting the relay request, relaying the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Requesting the base station to take over the relay request; and
Taking over the relay role to the newly selected relay terminal by the base station
Data relay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중계 요청은,
상기 기지국에서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을 바탕으로 결정한 단말에게 전송하는 요청인,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The relay request,
Data transmission method, which is a request to b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a terminal determined based on a selection condition of a relay terminal.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남은 전력량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2,
The relay terminal selection condition includes a condition related to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data relay method.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품질 또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의 직접 링크의 채널 품질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2,
The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includes a condition regarding a channel qual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or a channel quality of a direct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대 위치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2,
The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includes a condition regard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제2항에서,
상기 중계 단말 선정 조건은, 상기 단말의 이동성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2,
The condition for selecting a relay terminal includes a condition regarding mobility of the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중계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Prior to the receiving step, reporting the relay capability of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Data relay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수락 의사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relaying,
Transmitting an intention to accept the relay request to the base station
Including, data relay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을 탐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과 직접 링크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relaying,
Searching for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generating a direct link with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and
Relaying the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Data relaying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Managing the list of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Data relay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는, 목적지 단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
The data, the data relay method comprising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terminal.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중계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새로운 단말 사이에 직접 링크가 생성된 이후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중계에 대한 인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새로운 단말에게 상기 중계를 인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A method of relay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by a relay terminal,
Determining a relay between a firs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rminal other than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laying th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remaining terminals,
Receiving a takeover instruction for the relay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after a direct link is crea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new terminal, and
Taking over the relay to the new terminal
Data relaying method comprising a.
제15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5,
The determining step,
Receiving a relay request for the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data relay method.
제15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단말 중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In claim 15,
The determining step,
Receiving a relay request for the data from a second terminal among the remaining terminals
Including, data relay method.
삭제delete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중계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중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나머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게 상기 중계에 대한 인계를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새로운 단말에게 상기 중계를 인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A method of relay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by a relay terminal,
Determining a relay between a firs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rminal other than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laying th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remaining terminals,
Requesting the first terminal to take over the relay; and
Taking over the relay to a new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Data relaying method comprising a.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새롭게 선택된 중계 단말에게 중계기 역할을 인계할 것을 지시하는 인계 지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새롭게 선택된 중계 단말에게 상기 중계기 역할을 인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A method for relay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located outside a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a relay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When accepting the relay request, relaying the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Receiving a handover instruction from the base station instructing the relay terminal newly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to take over the role of a relay, and
Taking over the role of the relay to the newly selected relay terminal.
Data relay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140102188A 2013-08-09 2014-08-08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KR102120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5,399 US9319127B2 (en) 2013-08-09 2014-08-08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994 2013-08-09
KR1020130094994 2013-08-09
KR1020130115300 2013-09-27
KR20130115300 201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64A KR20150018464A (en) 2015-02-23
KR102120431B1 true KR102120431B1 (en) 2020-06-09

Family

ID=5304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188A KR102120431B1 (en) 2013-08-09 2014-08-08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1025B (en) 2015-03-18 2021-07-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Method and equipment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WO2016148543A1 (en) * 2015-03-18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relay connections in d2d broadcast communication-based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312A1 (en) 2008-07-24 2011-05-26 Kwon Il W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US20110319013A1 (en) 2008-12-23 2011-12-29 Jung In Uk Method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WO2013025166A1 (en) 2011-08-16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state aware mobile relay operation
WO2013076933A1 (en) 2011-11-24 2013-05-30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239A (en) * 2010-12-27 2012-07-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KR102012245B1 (en) * 2011-07-11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312A1 (en) 2008-07-24 2011-05-26 Kwon Il W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US20110319013A1 (en) 2008-12-23 2011-12-29 Jung In Uk Method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WO2013025166A1 (en) 2011-08-16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state aware mobile relay operation
WO2013076933A1 (en) 2011-11-24 2013-05-30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64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9127B2 (en)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CN11204225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67783B2 (en) Facilitating group handover
US10652725B2 (en) Obtaining and using D2D related information to perform mobility operation(s)
KR102020350B1 (en) A mobility support for D2D enabled UE in a wireless system
US101877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of CSG in dual-connection architecture
EP2986051B1 (en) Group membership assessment for a proximity-based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7202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group switching
JP20205045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4856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onnection setup and communication for power conscious devices
JP6077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590684B (en) Method of updating network detection and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ffic routing information
CN105075386A (en) Network-assisted D2D communication using D2D capability information
JP2016513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handover
EP2770798B1 (en) Multi-network terminal-proximity discovery using joint spectrum
US20140295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6188360A1 (en) Switching method and system of dual-connection system supporting closed subscriber group
CN102378313A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selecting method and relay node
KR101973948B1 (en) Terminal and basestation, dual connectivity operating method and dual connectivit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0431B1 (en)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JP6854779B2 (en)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for that purpose
US20220312178A1 (en) Sidelink relay selection
US20220303749A1 (en) User Equipment Operating as Relay via a Sidelink Connection
KR20140129970A (en) dual mode user equipment in HetNets,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1160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