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818B1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818B1
KR102119818B1 KR1020130113525A KR20130113525A KR102119818B1 KR 102119818 B1 KR102119818 B1 KR 102119818B1 KR 1020130113525 A KR1020130113525 A KR 1020130113525A KR 20130113525 A KR20130113525 A KR 20130113525A KR 102119818 B1 KR102119818 B1 KR 10211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iring electrode
disposed
wir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467A (ko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818B1/ko
Priority to US14/469,239 priority patent/US9454275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감지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실시예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터치 패널은 감지 전극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한 타입(type)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 커버 윈도우 상에 직접 감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베젤 영역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인쇄층 상에는 배선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감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는 상기 배선 전극을 통해 상기 배선 전극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동칩이 상기 신호를 인식하여 터치 패널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층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면서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이러한 단차를 가지는 인쇄층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배선 전극은 인쇄층의 단차부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단차부에서 배선 전극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끊어짐에 따라 배선 전극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과 상기 배선 전극이 서로 다른 공정에 의해 각각 배치됨에 따라, 공정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패널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저항이 감소된 배선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감지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서로 적층구조로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감지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을 배치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전극을 따로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은 감지 전극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 중 하나의 배선 전극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등 배선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배선 전극이 배선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 상에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을 병렬 구조 즉, 일정한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배선 전극으로 사용하여도 종래 금속 물질을 배선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저항만이 발생하므로, 터치 패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00),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200),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300) 및 인쇄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라스틱, 연성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이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 또는 타면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위치하는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 등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감지 전극 패턴과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감지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교차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모두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에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이 모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커버 윈도우(100)를 뒤집거나 세척하는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AA) 상에는 제 1 감지 전극(210), 제 2 감지 전극(220), 브리지 전극(230) 및 제 1 절연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23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23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23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감지 전극들 및 브리지 전극은 구리 및 은 등의 금속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브리지 전극(23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절연층(24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절연층(24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 전극(230)은 상기 제 1 절연층(240)에 의해 덮이는 클로즈 영역과 상기 제 1 절연층(24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과 접촉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의 오픈 영역과 접촉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은 상기 제 1 절연층(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의 클로즈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제 1 감지 전극들과 제 2 감지 전극들이 각각 서로 연결되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윈도우의 유효 영역 상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이 절연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이 먼저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상에 절연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제 2 감지 전극을 덮는 절연층 상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브리지 전극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선 설명에서는, 커버 윈도우 상에만 감지 전극들이 배치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기판(50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감지 전극, 상기 브리지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5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40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400)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인쇄층(400)이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인쇄층(400)은 블랙 잉크 또는 화이트 잉크를 1도 내지 4도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400)은 상기 배선 전극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300)은 상기 인쇄층(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제 1 배선 전극(310)과 제 2 배선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서로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300)은 상기 감지 전극(200) 또는 브리지 전극(2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은 상기 브리지 전극(23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210) 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22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투명 전도성 물질 일례로, 인듐주석산화물(IT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제 2 절연층(3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상기 제 2 절연층(330)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분리되고, 부분적으로는 합쳐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을 감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상기 제 2 절연층(3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절연층(330)에는 통전 영역(EC)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2 절연층(33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310) 및 제 2 배선 전극(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통전 영역(E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영역(EC)에 의해,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 중 하나의 배선 전극에 크랙 등이 발생하여 손상이 되었을 때, 통전 영역(EC)을 통해 다른 배선 전극이 배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은 약 200Å 내지 4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의 두께가 약 200Å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선 전극의 저항이 높아져서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배선 전극의 두께가 약 400Å을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비유효 영역의 두께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이 약 200Å 내지 40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선 전극은 약 50Ω 내지 60Ω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즉, 메탈 배선이 적용되는 경우와 유사한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은 각각 약 100Å 내지 약 200Å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상기 제 1 절연층(240)과 동일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240)과 상기 제 2 절연층(330)은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은 상기 감지 전극(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제 2 배선 전극(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배선 전극(310)이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손상되어 배선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감지 전극(200)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배선 전극(310)이 배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5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은 상기 배선 전극(3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상기 배선 전극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에 실장되는 구동칩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3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00)은 접합부에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도포함으로써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서로 적층구조로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감지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을 배치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감지 전극과 배선 전극은 서로 다른 공정 및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하였다. 즉, 감지 전극은 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였고, 배선 전극은 은(Ag) 또는 구리(Cu) 등의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전극 형성 공정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감지 전극과 배선 전극을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선 전극을 따로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공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전극은 감지 전극과 연결된다.
종래에는,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은 인쇄층의 단차부로 인해 단차부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배선 전극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 중 하나의 배선 전극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등 배선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배선 전극이 배선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비유효 영역 상에 제 1 배선 전극 및 제 2 배선 전극을 병렬 구조 즉, 일정한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배선 전극으로 사용하여도 종래 금속 물질을 배선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저항만이 발생하므로, 터치 패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커버 윈도우(100),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200) 및 배선 전극(300),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700) 및 상기 구동부(700) 상에 배치되는 광원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기 감지 전극(200) 및 상기 배선 전극(300)은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0)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0)는 접착층(600)을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100)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은 하부기판과 접합되어 하부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용 노트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노트북은 터치 패널(1000), 터치 시트(3000) 및 회로 기판(2000)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1000)의 상면에는 터치 시트(300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 시트(300)는 상기 터치 영역(TA)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시트(3000)는 사용자의 터치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터치 패널(1000)의 하면에 상기 터치 패널(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2000)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2000)은 인쇄 회로 기판으로써, 휴대용 노트북을 구성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노트북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배선 전극과 인쇄회로기판의 접합 영역이 증가될 수 있도록 패드부와 접합부의 형상 및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 전극과 인쇄회로기판 접합시 접합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1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 또는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들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전극 패턴들의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 사이에는 제 2 절연층이 배치되는 터치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터치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층은 상기 제 1 배선 전극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이 통전되는 오픈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주석산화물(ITO)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영역 상에는,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브리지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 1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은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브리지 전극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터치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층과 상기 제 2 절연층은 동일한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의 두께는 100Å 내지 200Å인 터치 패널.
  12. 삭제
  13.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1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 또는 상기 제 2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 패턴들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전극 패턴들의 감지 전극 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 사이에는 제 2 절연층이 배치되는 터치 패널.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의 두께는 100Å 내지 200Å인 터치 패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영역 상에는,
    상기 유효 영역 상에 형성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브리지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 1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 패턴들은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제 2 감지 전극 패턴은 상기 브리지 전극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터치 패널.
  17. 삭제
KR1020130113525A 2013-09-24 2013-09-24 터치 패널 KR10211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25A KR102119818B1 (ko) 2013-09-24 2013-09-24 터치 패널
US14/469,239 US9454275B2 (en) 2013-09-24 2014-08-26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25A KR102119818B1 (ko) 2013-09-24 2013-09-24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67A KR20150033467A (ko) 2015-04-01
KR102119818B1 true KR102119818B1 (ko) 2020-06-05

Family

ID=5269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525A KR102119818B1 (ko) 2013-09-24 2013-09-24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4275B2 (ko)
KR (1) KR102119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4200B (zh) * 2012-02-15 2017-02-22 刘兴商 形成有白色涂层的触摸屏面板及触摸屏面板的白色涂膜真空涂覆方法
KR101926602B1 (ko) * 2012-05-31 2018-1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386B1 (ko) * 2013-10-24 202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187911B1 (ko) * 2013-11-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250847B1 (ko) * 2014-11-13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EP3264235A4 (en) * 2015-02-27 2018-11-07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substrate, touch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wiring bod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1408A1 (en) 2012-04-17 2013-10-17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662B2 (ja) * 2006-01-12 2012-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60670A (ja) *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198009A (ja) * 2010-03-19 2011-10-06 Sony Corp 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KR20120032734A (ko) * 2010-09-29 2012-04-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652089B2 (en) * 2010-11-09 2017-05-16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nel stackup
KR101241469B1 (ko) * 2011-01-13 2013-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2681712B (zh) * 2011-03-18 2016-08-24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846380B1 (ko) * 2011-06-14 2018-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019429A (zh) * 2011-09-23 2013-04-03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20130035696A (ko) * 2011-09-30 2013-04-09 (주)멜파스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6510B1 (ko) * 2011-10-31 2014-02-24 (주)태양기전 다층의 금속 배선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3186273B (zh) * 2011-12-29 2016-10-0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TW201340181A (zh) * 2012-03-30 2013-10-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面板及其觸碰感應層的製造方法
US8952911B2 (en) * 2012-08-08 2015-02-10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ensitive panel,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TW201421332A (zh) * 2012-11-30 2014-06-01 Wintek Corp 觸控面板
KR102107576B1 (ko) * 2012-12-21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4008131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102029715B1 (ko) * 2012-12-21 2019-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008739B1 (ko) * 2012-12-21 2019-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598249B1 (ko) * 2013-01-29 2016-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2014222483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部品
KR102302811B1 (ko) * 2013-12-16 2021-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1408A1 (en) 2012-04-17 2013-10-17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4917A1 (en) 2015-03-26
KR20150033467A (ko) 2015-04-01
US9454275B2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11B1 (ko) 터치 패널
KR102119818B1 (ko) 터치 패널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KR102098386B1 (ko) 터치 패널
US9626019B2 (en) Touch panel
KR20150069950A (ko) 터치 패널
KR102119827B1 (ko) 터치 패널
KR102098385B1 (ko) 터치 패널
US9946411B2 (en) Touch panel having double routing scheme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102187925B1 (ko) 터치 패널
KR102187648B1 (ko) 터치 패널
KR102175769B1 (ko) 터치 패널
KR102212879B1 (ko) 터치 패널
KR102119753B1 (ko) 터치 패널
KR20150026620A (ko) 터치 패널
KR102153009B1 (ko) 터치 패널
KR102237819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838B1 (ko) 터치 패널
KR102237920B1 (ko) 표시장치
KR102187672B1 (ko) 터치 패널
KR102187659B1 (ko) 터치 패널
KR20150084545A (ko) 터치 패널
KR20160034054A (ko) 터치 윈도우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