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316B1 -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316B1
KR102119316B1 KR1020180115133A KR20180115133A KR102119316B1 KR 102119316 B1 KR102119316 B1 KR 102119316B1 KR 1020180115133 A KR1020180115133 A KR 1020180115133A KR 20180115133 A KR20180115133 A KR 20180115133A KR 102119316 B1 KR102119316 B1 KR 10211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eony
cosmetic composition
complex extract
mother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00A (ko
Inventor
김민정
백승원
박서연
하서은
최재환
양문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헤난 상얜 바이오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헤난 상얜 바이오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1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3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의 복합추출물은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부작용과 피부 자극성이 적으며 우수한 항산, 항염,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aeonia suffruticosa complex extract}
본 발명은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항염, 주름개선 및 미백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연물 유래의 화장품에 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각종 화학성분들로 인하여 오히려 피부의 보호능력이나 재생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킨, 로션을 비롯해 색조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천연물 소재의 화장품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기도 하다.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개선활성이 우수한 천연물 유래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모란(Paeonia suffruticos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목단(牧丹)이라고도 하며, 높이는 2m 정도 자라며 가지가 굵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다시 두세 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표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5월에 피고 양성이며 지름은 15㎝ 이상이고, 홍자색이지만 백색, 홍색, 담홍색, 주홍색, 농홍색, 자색 및 황색이 있다. 꽃잎은 5∼7개인데 많은 꽃잎이 달리는 품종이 개발되어 있다. 꽃이 피는 기간은 2∼3일이지만 꽃잎이 많은 종류는 7∼10일간 피기도 한다. 뿌리의 껍질은 해열, 진통, 진경(鎭痙), 구어혈(驅瘀血), 통경(通經), 양혈(凉血), 소염(消炎)의 효능이 있어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양(凉)하고 신고(辛苦)하다. 각종 열성병의 항진기(亢進期), 골증노열(骨蒸勞熱), 경간이나 각종 혈행장애, 월경불순, 폐경, 질타손상(跌打損傷), 옹종(癰腫) 등에 탕(湯), 환(丸) 또는 산제(散劑)로 하여 복용한다.
종래 모란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인 목단피(牧丹皮)나 모란꽃은 그 피부개선활성으로 인해, 항산화, 주름개선, 항염, 미백용 화장품 등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1538호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모란꽃을 포함하는 꽃 혼합추출물이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85104호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목단피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개선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천연물들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모란꽃을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와의 복합추출물로 이용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항산화, 항염, 주름개선 및 미백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항염, 주름개선 및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거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각각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된 것이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포함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항염용, 주름개선용 또는 미백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 복합추출물은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져 부작용과 피부 자극이 적으며 우수한 항산화, 항염, 주름개선 및 미백활성을 나타내므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Cell viability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NO assay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MMP-1 assay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Procollagen assay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Melanogenesis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란꽃을 포함하는 8가지의 천연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구성하는 원료 중 하나인 설련화(Adonis amurensis)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일초, 복수초라고도 한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는 잎몸이 없고 밑부분뿐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깃꼴로 두 번 잘게 갈라진다. 꽃은 4월 초순에 피고 노란색이며 지름 3∼4cm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짙은 녹색으로 여러 개이고 꽃잎은 20∼30개가 수평으로 퍼지며 수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 1∼2mm이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cm 정도의 꽃턱에 모여 달리며, 공 모양으로 가는 털이 있다. 한방과 민간에서 진통제, 창종, 강심제(强心劑), 이뇨제(利尿劑)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련화의 전초 또는 꽃을 사용한다.
진주(Pearl)는 연체동물 부족류 조개의 체내에 생긴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슬 모양 또는 반구상의 광택이 나는 이상분비물을 말한다. 진주는 해독, 진정작용과 피부병, 중풍, 손발경련 등에도 효과가 있어 건강보조식품이나 피부미용재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진주가루는 성인에게 유용한 칼슘 공급원으로 나노화한 진주가루를 섭취하면 체내로 빠르게 흡수되어 이용되고, 피부에 사용하였을 때 노화를 억제하고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피부 면역력을 증가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
감태(Ecklonia cav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여러해살이 해조이다. 점심대(漸深帶)의 깊은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밑동은 뿌리 모양이다. 가운뎃부분은 굵고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다 자란 뒤에는 속이 비기도 한다. 해조류를 구성하는 중요한 조류식물이며 주로 전복과 소라 등의 먹이가 된다. 알긴산이나 요오드, 칼륨을 만드는 주요 원료가 되고, 채취하여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갈조식물 모자반목 모자반과의 바닷말이다. 조간대 하부에서 자란다. 흔히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 갈조류를 통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몸은 외견상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고, 뿌리는 가반상(假盤狀)이며 1개의 중심 가지를 내어 1∼3m 이상 크게 자란다. 줄기는 세모진 기둥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비틀린다. 잎은 줄기에서 기부 쪽으로 향하여 나며 휘어지고, 주걱 모양 또는 타원형을 하고 잎 중앙부까지 중륵(中肋)이 생긴다. 상부의 잎은 바소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돌기가 나며, 온몸에는 줄기로부터 기포(氣胞)가 생긴다. 모자반속의 많은 종류가 식용되기도 하며, 알긴산 등 해조 공업의 원료로 이용되거나 비료로도 쓰인다.
선복화(旋覆花)는 국화과의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japonica(Thunb.) Franch. & Sav)의 꽃을 말린 약재이다. 약리작용으로 기관지의 항경련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편구형 또는 구형이며 여러 개의 총포로 이루어져 기와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포의 조각은 작은 비늘 모양으로 회황색이다. 총포의 밑부분에는 꽃받침의 흔적이 있고 포의 조각과 꽃받침의 바깥 면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씨방의 끝부분에는 백색 털이 많고 그 길이는 약 5mm이다. 여기에 타원형의 작은 씨가 있다.
율무(Coix lachrymajobi var. mayuen)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1∼1.5m까지 자라며, 속이 딱딱하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나비 약 2.5cm로서 밑부분은 잎집으로 된다. 꽃은 7∼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삭 끝에 길이 3cm 정도의 수꽃이삭이 달린다. 밑부분에 타원형의 잎집에 싸여 있는 암꽃이삭이 있다. 포는 딱딱하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1.2cm로서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씨방이 성숙하면 잎집은 딱딱해지고 검은 갈색으로 된다.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약료작물로 재배한다. 종자를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하는데,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 진통, 진경, 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 신경통, 류머티즘, 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쓴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본 발명에서는 율무의 열매를 사용한다.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두해살이풀이다. 들에서 자라며 높이 약 1m이다. 가지가 갈라지고 줄기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며 흰 털이 나서 흰빛을 띤 녹색으로 보인다. 잎은 마주나는데,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원형이며 둔하게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깃꼴로서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길이 6∼7mm이며 마디에 층층으로 달린다. 매는 작은 견과로서 넓은 달걀 모양이고 9∼10월에 익으며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종자는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2∼2.5mm이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익모초의 전초, 줄기 또는 잎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 복합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먼저, 세척 건조된 모란꽃, 설련화, 진주분말,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열수추출하거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추출물은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각각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되거나,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각각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 : 2 : 1 : 2 : 1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포함된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 복합추출물은 모란꽃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 볼 때,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더욱 우수한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주름개선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항염용, 주름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 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모란꽃 추출물의 제조
모란꽃을 세척 건조한 후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5일간 상온에서 추출 및 여과를 총 3회 반복 실시 후, 이를 모두 모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 약 12g을 얻었다.
제조예 2: 설련화 추출물의 제조
설련화 꽃을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설련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진주 추출물의 제조
진주 알갱이를 분쇄 후 200메쉬로 거른 파우더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진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감태 추출물의 제조
감태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감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모자반을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선복화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선복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율무 추출물의 제조
율무 열매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율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 익모초 추출물의 제조
익모초 전초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익모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모란 복합추출물의 제조
모란꽃 10g, 설련화 10g, 진주분말 20g, 감태 10g, 모자반 20g, 선복화 10g, 율무 10g 및 익모초 20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5일간 상온에서 추출 및 여과를 총 3회 반복 실시 후 이를 모두 모아 감압 농축하여 모란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모란 복합추출물의 제조
모란꽃, 설련화, 진주분말,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하기 표 1의 중량으로 변경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란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중량비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익모초
실시예 2 1 1 1 1 1 1 1 1
실시예 3 1 2 1 2 2 1 2 1
실시예 4 2 2 1 2 2 1 2 2
비교예 1: 모란 제외 복합추출물의 제조
설련화 10g, 진주 20g, 감태 10g, 모자반 20g, 선복화 10g, 율무 10g 및 익모초 20g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5일간 상온에서 추출 및 여과를 총 3회 반복 실시 후 이를 모두 모아 감압 농축하여 모란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활성 시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비교예 및 실시예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시험(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ssay)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400 ㎛ 농도의 표준 DPPH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를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 ㎍/㎖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구하고, 50%의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는 EC50 값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Ascorbic acid(100ppm)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로 모란 오일(모란씨를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을 사용하였다.
자유라디칼소거율(%)=100 - (시료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 × 100
구분 EC50
제조예 1 4.364
제조예 2 6890
제조예 3 7173
제조예 4 8942
제조예 5 6236
제조예 6 5569
제조예 7 1055
제조예 8 8842
비교예 1 8674
비교예 2 9.449
실시예 1 1.288
실시예 2 12.36
실시예 3 15.88
실시예 4 18.32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모란꽃 추출물, 비교예 2의 모란오일, 실시예의 모란 복합추출물에서 항산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내지 8의 추출물이나, 모란꽃을 제외한 비교예 1의 복합추출물에서는 항산화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란꽃을 포함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복합추출물에서는 우수한 항산화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복합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이 나타났다.
시험예 2: 세포증식확인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들에 대해 Cell viability assay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웰 플레이트(96 well plate, Corning사)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제조예 1을 각 농도별로 2일간 적용하고, MTT 시험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증식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100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에서 농도별 세포증식(Cell proliferation)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항염 활성 확인(NO assay)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들에 대해 항염 활성 평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대식세포주인 RAW 246.7 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P/S)이 함유된 Dulveccos'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의 항온 배양기에서 배양을 하였다. 세포를 48well culture plate에 well 당 6 × 104 세포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농도별(5, 100, 200μg/mL)로 희석한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을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ipo poly saccharide(LPS)를 1μg/mL의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한 후 2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세포배양액 100μL와 Griess 시약[1%(w/v) sulfanilamide, 0.1% N-1-napthylethylene diamine in 2.5% (w/v) phosphoric acid] 100μL을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나트륨(Sodium nitrate)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구하고 이를 이용해 생성된 아질산염 값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모란추출물, 비교예 1의 모란 제외 복합추출물에서도 항염 활성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본 발명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에서 더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MMP-1 Assay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들에 대해 주름개선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세포)를 5 × 104cells/well 농도로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안정화시켰다. 그 후, 세포를 PBS로 2번 헹구어 제거하고 0.2% FBS가 첨가된 배양배지로 교환하였으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을 각 세포에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상층액만을 수득하였으며 human total MMP-1 ELISA kit (human total MMP-1 Cat.no. DY901, R&D systems)'를 이용해 분광광도계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모란 추출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MMP-1 발현이 감소됨을 알 수 있지만,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에서 그 발현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의 우수한 주름개선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Procollagen Assay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들에 대해 주름개선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을 각각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를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시료에서와 달리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의 경우 1%의 농도에서 Procollagen 발현이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미백활성 확인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들에 대해 미백 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추출물에 하이드로퀴논 수용액과 함께 각각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들을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N농도) 1ml을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을 3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모란 추출물은 melanogenesis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비교예 1의 모란 제외 복합추출물에서는 오히려 농도 의존적으로 melanogenesis가 증가하여 색이 진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다른 시료에서와 달리 실시예 1의 모란 복합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melanogenesis가 감소하였다.
제형 실시예 1: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제조
모란 복합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세럼을 하기의 표 3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모란 복합추출물(실시예 1) 1.0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미네랄 오일 1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스테아린산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1
페녹시에탄올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 실시예 2: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모란 복합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하는 크림을 하기의 표 4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모란 복합추출물(실시예 1) 1.0
시어버터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미네랄 오일 10.0
디메치콘 3.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세테아릴알코올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폴리머 0.25
트리에탄올아민 0.25
페녹시에탄올 적량
정제수 To 100
시험예 7: 제형안정도 확인
상기 제형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온(25℃), 냉장(4℃) 및 항온(50℃)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인큐베이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및 관찰(변색, 변취 및 분리)하며,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온도조건 안정성 확인(변색, 변취 및 분리)
제형 실시예 1 제형 실시예 2
실온(25℃) 0 0
냉장(4℃) 0 0
항온(50℃) 0 0
< 제형 안정 등급 >
0: 변화 없음 1: 미세한 변화 2: 변화 3: 극심한 변화
상기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 실시예 1, 2 제형 모두 25℃, 4℃ 및 50℃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Claims (7)

  1.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를 각각 1 : 1 : 2 : 1 : 2 : 1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한 모란꽃, 설련화, 진주, 감태, 모자반, 선복화, 율무 및 익모초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15133A 2018-09-27 2018-09-27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33A KR102119316B1 (ko) 2018-09-27 2018-09-27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33A KR102119316B1 (ko) 2018-09-27 2018-09-27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00A KR20200035700A (ko) 2020-04-06
KR102119316B1 true KR102119316B1 (ko) 2020-06-04

Family

ID=7028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133A KR102119316B1 (ko) 2018-09-27 2018-09-27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16A (ko) 2020-12-10 2022-06-20 주식회사 소윌로 모란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44B1 (ko) * 2002-11-07 2010-07-16 코세 코퍼레이션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966A (ko) * 2015-12-24 2017-07-05 주식회사 제닉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616A (ko) 2020-12-10 2022-06-20 주식회사 소윌로 모란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00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2510B1 (ko)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9223B1 (ko)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100512690B1 (ko) 자란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27A (ko)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981959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6188B1 (ko)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3B1 (ko) 가새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0881B1 (ko) 두메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77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