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302B1 -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302B1
KR102118302B1 KR1020200054830A KR20200054830A KR102118302B1 KR 102118302 B1 KR102118302 B1 KR 102118302B1 KR 1020200054830 A KR1020200054830 A KR 1020200054830A KR 20200054830 A KR20200054830 A KR 20200054830A KR 102118302 B1 KR102118302 B1 KR 10211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tion
protrusion
resin
depress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Priority to KR102020005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02B1/ko
Priority to US17/064,827 priority patent/US11452582B2/en
Priority to TW109134980A priority patent/TWI733598B/zh
Priority to CN202011088261.5A priority patent/CN113616361B/zh
Priority to JP2020174403A priority patent/JP6983435B2/ja
Priority to EP20202495.6A priority patent/EP3906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가 결절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개시된다. 이 브래킷 조립체의 베이스(110)의 저면은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외곽에 형성되어 중앙 함몰부(112)와 함께 이중 단차 구조를 형성하는 외곽 함몰부(113)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들은 4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3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T형 접합 돌부(115)와, 2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L형 접합 돌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레진 중 중앙 영역 레진이 외곽 영역 레진보다 덜 압축되도록,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함몰 깊이보다 크다.

Description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Self liga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결찰이 용이하고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 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체 블록의 베이스와 치아 표면 사이에 최적량의 레진이 균일한 분포로 모자람 없이 개재되어,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래 위 턱의 치아가 가지런하지 못하거나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를 부정 교합이라 한다. 부정 교합인 경우 외관상 보기가 안 좋을 뿐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는 것을 방해하고 발음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더 나아가, 부정 교합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 질환을 발생시키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악영향을 끼쳐 여러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부정 교합의 치료를 위해 치열 교정술이 이용된다. 치열 교정술은, 치열 교정기를 이용하여 규칙하게 배열된 치아들에 지속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들을 원하는 위치로 조금씩 움직여줌으로써 치아들의 배열을 바로 잡는 교정 방법을 말한다. 치열 교정기는 치아들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브래킷(bracket)들과, 브래킷들에 결합되어 치아에 소정의 압력 또는 장력을 제공하는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치열 교정을 위하여, 상기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는 압력과 장력 및 그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그 조절하여 제공된 압력과 장력 및 그 방향에 따라 상기 목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치열 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치아의 교정 방식을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여,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치열 교정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 교정의 대상이 되는 목적 치아(10)를 중심으로 하여, 목적 치아(10)의 표면에는 브래킷(2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0)들은 아치 와이어(3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목적 치아(10)에 대해 지속적인 장력을 주기 위해서 아치 와이어(30)에 탄성부(32)를 형성하거나, 고무줄(40)을 이용하여 장력의 방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32)는 아치 와이어(30)의 일부를 U-자형, P-자형, R-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리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원(fixed point)과 치아(10) 사이에 미세한 장력 또는 뒤틀림(torsion)을 형성함으로써 치아(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치아(10)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활용된다.
한편, 치열 교정을 진행하는 동안, 아치 와이어(30)는 고정원(fixed point)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의 압력과 장력을 제공하는 아치 와이어(30)에 의해 상기 브래킷(20) 및 치아(10)가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치아(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치아(10)를 둘러싸고 있는 뼈의 골조직은 점차 흡수되고, 반대쪽에서는 새로운 골조직이 형성되어 빈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골 세포들의 소멸과 생성 과정이 반복되어지고, 그 과정에서 상기 목적 치아(10)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만큼, 치아의 교정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교정방식으로 진행되는 치열 교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를 수반하는 것이므로, 그 치료기간이 대체로 장시간을 요하게 되고, 대체로 2년 전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치열 교정이 장시간을 요하게 되는 반면에, 타인과의 대화시 목적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브래킷(20)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종래의 금속 브래킷은 점차 사라지게 되고, 투명한 재질의 브래킷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들어서면서는, 치열 교정과정에서 아치 와이어를 위에서 덮어서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브래킷은 외부에서 아치 와이어가 잘 관찰되지 않아서 미적 만족감을 부여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치아의 교정 상태에 따라, 상기 아치 와이어의 위치를 달리하거나, 아치 와이어의 인장력을 달리 해주거나, 또 다른 필요에 의해서 상기 아치 와이어를 손 보아야할 경우에, 쉽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아치 와이어의 결찰이 용이함과 동시에 아치 와이어의 최초 결찰이나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치열 교정 치료 및 시술에 대한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가 결찰 치열 교정용 브래킷 조립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치열 교정을 수행하는 동안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치열 교정이 완료된 후에는,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치아 표면을 손상시킴 없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 치열 교정 중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치아 표면에 잘 붙어 있기 위해서는, 최적량의 접착용 레진이 균일한 분포로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본체 블록의 베이스와 치아 표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야 한다. 베이스와 치아 표면 사이의 충분한 접합력을 얻기 위해, 베이스의 저면에 규칙적인 일정 패턴의 돌출부들을 형성한 기술이 종래에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돌출부들은 치아 표면에 상응하는 접합 표면들을 갖는다. 그리고, 돌출부 아래의 함몰부는 치아와의 사이에 더 큰 두께로 레진이 개재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런데, 돌출부들은 위치에 따라 치아 표면에 대한 다른 접합 조건을 갖는데 형상이 모두 일정하여 다양한 접합 조건이나 다양한 접합 환경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때 치아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런데, 종래에는 베이스의 저면 외곽은 치아 표면 손상 없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는데, 베이스의 중앙 영역에서는 강하게 압축된 레진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아 억지로 떼어내면서 치아 표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110982호 2012.10.10.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106403호 2015.09.21.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8708호 2019.01.25.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결찰이 용이하고 또한 본체 블록의 베이스와 치아 표면 사이에 최적량의 레진이 균일한 분포로 모자람 없이 개재되어,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치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치아 표면 손상 없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는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레진에 의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아치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결찰 또는 결찰 해지시키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조립체는,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 함몰형 슬라이딩부(131)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벽(130, 130)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31)를 마감하는 스토퍼벽(120)을 일체로 포함하는 본체블록(100); 상기 안착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안착된 상기 아치 와이어(W)를 안착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결찰하거나 또는 결찰 해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저면으로부터 상향 함몰된 끼움 홈(250)과 상기 끼움 홈(25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단이 지게 상향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260)을 갖는, 결찰블록(200); 및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조립 돌기(135) 및 완전 조립 돌기(137)와, 상기 가조립 돌기(135) 및 상기 완전 조립 돌기(137)와 협력하여 상기 아치 와이어(W)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찰, 결찰해지가 되도록 하는 리테이너(300)를 포함하는 결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300)는 중앙에 고정홈(330)이 형성된 중공의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30) 일측의 스토퍼편(350)이 상기 끼움 홈(25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330) 타측 걸림유동편(310)은 중앙의 분할공(320)에 의해 한 쌍으로 분할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전진할 때, 상기 걸림유동편(310)은 상기 가이드 홈(260) 측으로 탄성 변형,복귀되면서 상기 가조립 돌기(135)와 완전 조립 돌기(137)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으며,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외곽에 형성되어 중앙 함몰부(112)와 함께 이중 단차 구조를 형성하는 외곽 함몰부(113)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들은 4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3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T형 접합 돌부(115)와, 2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L형 접합 돌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레진 중 중앙 영역 레진이 외곽 영역 레진보다 덜 압축되도록,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함몰 깊이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300)를 덮은 상태로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때까지, 상기 리테이너(300)를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 유지시키는 접착필름(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131)에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조립된 상기 결착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접착필름(2)을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는 커팅 에지(3)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상기 T형 접합 돌부(115)와, 상기 L형 접합 돌부(116) 각각은 두 직선부가 만나는 영역에 내측 교차 모서리와 외측 교차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십자형 접합 돌부(114), 상기 T형 접합 돌부(115) 및 상기 L형 접합 돌부(116) 각각은 저면에 형성된 채 상기 내측 교차 모서리(7)와 상기 중앙 함볼부(112)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이 만나는 점 부근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레진 배출구(9)까지 이어진 레진 유입홀(8)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111)에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까지 이어지도록 레진 유출입 통로(6)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아치 와이어의 결찰이 용이하고 또한 본체 블록의 베이스와 치아 표면 사이에 최적량의 레진이 균일한 분포로 모자람 없이 개재되어,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치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치아 표면 손상 없이 치아 표면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통상적인 치열 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자가 결찰 중인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자가 결찰 완료된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결찰블록과 리테이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베이스의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자가 결찰 중인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자가 결찰 완료된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결찰블록과 리테이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베이스의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치열 교정시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아치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결찰 또는 결찰 해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블록(100)과, 결찰블록(200)과 결찰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블록(100)은 접착성 레진(또는, 접착제)에 의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치아 배열방향으로 아치 와이어(W)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하나의 함몰형 슬라이딩부(131)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에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벽(130; 하나만이 도시됨)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31)를 마감하는 스토퍼벽(120)을 일체로 포함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130, 130) 의 내부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130, 130) 및 상기 슬라이딩부(131)를 포함하는 상측 전방 구조물과 상기 스토퍼벽(120) 사이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찰블록(200)은, 상기 안착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안착된 상기 아치 와이어(W)를 안착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결찰하거나 또는 결찰 해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착블록(200)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벽(130)의 상단 내측 모서리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130, 130) 안쪽의 슬라이딩부(131)에 완전히 형합하여 아치 와이어(W)를 결찰시켰을 때에는, 상기 결찰블록(200)의 상부 구면과 상기 본체블록(100)의 외측 구면이 합치되어 좀 더 큰 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찰블록(200)의 양 측면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13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는 평면들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찰수단은 상기 결찰블록(200)의 슬라이딩 결합시 순차적인 가조립과 완조립 및 완조립 해지 과정을 통해 상기 본체블록(10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결찰블록(200)을 상기 아치 와이어(W)를 결찰 또는 결찰 해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찰수단은 가조립 돌기(135)와 완전 조립 돌기(137)와 리테이너(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조립 돌기(135)와 상기 완전 조립 돌기(137)는 상기 본체블록(100)의 슬라이딩부(131)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300)는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로부터 상향 끼움 고정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상하 변형, 복귀되면서 상기 가조립 돌기(135)와 완전 조립 돌기(137)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 걸림 지지된 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완전 조립 돌기(137)를 타고 넘어 가조립 돌기(135)에 걸림지지되어, 상기 아치 와이어(W)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찰, 결찰해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서, 특히 상기 결찰블록(200)은 상기 본체블록(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리테이너(300)가 하부로부터 상향 끼움 고정되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탄성을 가지고 상하 변형,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찰블록(200)은 저면으로부터 상향 함몰되어 끼움 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홈(25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단이 지게 가이드 홈(260)이 상향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300)는 중앙에 고정홈(330)이 형성되는 중공의 사각 판으로 제공되어, 상기 고정홈(330) 일 측 스토퍼편(350)이 상기 끼움 홈(250)의 단이진 측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고정홈(330) 타 측 걸림유동편(310)은 상기 끼움 홈(250)의 단이진 반대 측에 끼움고정되며, 이러한 끼움고정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움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고정홈(33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기 스토퍼편(350)과 걸림유동편(310)이 구비되는 리테이너(300)는 상기 걸림유동편(310)이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홈(260) 측으로 탄성 변형,복귀되면서 상기 가조립 돌기(135)와 완전 조립돌기(137)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300)가 상기 끼움 홈(25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되지만, 상기 리테이너(300)가 조립된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본체블록(100)의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전까지는 상기 리테이너(300)의 이탈 우려가 있다.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벽(130)에 형성된 레일홈에 상기 결찰불록(200)의 측면의 레일 돌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이탈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때까지, 상기 리테이너(300)를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 유지시키는 접착필름(2)이 구비된다. 상기 접착필름(2)은 상기 리테이너(300)를 덮은 상태로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리테이너(300)를 상기 결찰블록(200)의 끼움 홈(250)에 더 신뢰성 있게 유지시킨다. 한편, 슬라이딩부(131)에는 커팅 에지(3)이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2)가 조립된 상기 결착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접착필름(2)을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여, 상기 리테이너(300)가 전술한 것과 같은 리테이너(300)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두 조각으로 잘라진 접착필름(2)은 쉽게 제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서, 특히 상기 가조립 돌기(135)는 상기 본체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결찰블록(200)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한 아치 와이어(W)의 결찰을 위한 슬라이딩시 상기 리테이너(300)의 걸림유동편(310)이 타고 넘어가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결찰블록(200)을 결찰해지를 위해 역으로 슬라이딩시킬 경우에 상기 리테이너(300)의 걸림유동편(310)이 걸림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가조립 돌기(135)는 일 측에 경사면부(135a)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수직면부(135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완전 조립 돌기(137)는 상기 본체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결찰블록(200)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한 아치 와이어(W)의 결찰 및 결찰해지를 위한 슬라이딩시 상기 리테이너(300)의 걸림유동편(310)이 타고 넘어가도록 안내되도록 양측에 경사면부(137a, 137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완전 조립 돌기(137)는 특히, 상기 걸림유동편(310)이 타고 넘어간 후 걸림지지되는 측의 상기 경사면부(137a)가 이와 반대편의 경사면부(137b)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걸림유동편(310)이 타고 넘어간 후의 상기 경사면부(137a)를 통해 걸림지지되는 걸림유동편(310)은 일정 하중 이상의 힘을 가할 시에만 역 방향으로 상기 걸림유동편(310)이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서의 상기 리테이너(300)의 걸림유동편(310)은 중앙 일정길이에 걸쳐 분할공(320)이 형성되어 한 쌍으로 분할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유동편(310)이 중앙 일정길이에 걸쳐 분할공(320)이 형성되어 한 쌍으로 분할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조립돌기(135)와 완조립돌기(137)에 대하여 상기 리테이너(300)의 걸림유동편(310)이 타고넘는 과정에서 작은 힘만으로도 탄성 변형과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슬라이딩시, 상기 분할공(320)으로 인해 상기 커팅 에지(3)와 상기 리테이너(300) 사이에는 충돌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본체블록(100)에 대한 치아 표면에 부착시 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블록(100)은 치아 표면에 부착시 부착면적이 증대되도록, 상기 본체블록(100)의 치아 표면에 대한 접합면, 즉,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한편, 접착성을 갖는 레진(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본체블록(100)이 치아 표면에 부착된다. 본체블록(100)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10)의 저면은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외곽, 즉, 상기 테두리부(111)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 사이에 형성된 외곽 함몰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외곽 함몰부(113)가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에 이중 단차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외곽 함몰부(114)의 함몰 깊이보다 크다.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 레진을 개재시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레진은 압축되는데, 함몰 깊이가 가장 큰 중앙 함몰부(112)에서 레진이 가장 작게 압축된다.
이중 단차 구조를 적용하지 않는다면 베이스의 외곽 영역에서 치아 표면과의 부착 강도가 작아 이 부분에서 치아 표면에서 떨어질 우려가 많아지고 반면 중앙 영역에서는 치아 표면과의 부착 강도가 불필요하게 커져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치아 표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함몰부(112)에서는 레진이 덜 압축되어 부착 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반면에 외곽 함몰부(113)에서는 레진이 더 압축되어 부착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베이스(110)의 저면 전 영역에 걸쳐 치아 표면에 대한 부착 강도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에 위치한 채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 각각은 치아 표면에 상응하는 접합 표면을 포함하며, 접합 돌부들(114, 115, 116, 117, 118)의 접합 표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 레진이 개재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테두리부(111)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도 레진이 개재된다.
기존에는 치아 표면의 곡면 형태와 관계없이 동일 형태(패턴)을 갖는 접합 돌부들이 베이스의 저면에 일정 패턴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므로, 오히려 균일한 부착 강도를 얻기 어려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표면의 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균일한 부착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패턴)을 갖는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이 여러 다양한 조건에 따라 비규칙적으로 베이스(110)의 저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들은 4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3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T형 접합 돌부(115)와, 2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L형 접합 돌부(116)와, 1개의 직선부로만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I형 접합 돌부(117)과, 원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도트형 접합 돌부(118)로 구성된다. 십자형 접합 돌부(114)는 4개의 직선부들에 의해 동일 면적으로 4분할된 영역들에 레진이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부착 조건이 상대적으로 균일한 영역에서 레진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직선부들이 90도가 아닌 다른 각도로 만나는 접합 돌부도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 두 직선부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초과한 영역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두 직선부 사이의 각도가 90도 미만인 영역이 발생하고, 이 영역에서는 레진의 표면 장력에 의해 직선부들이 만나는 코너 부근까지 레진이 잘 공급되기 어려우므로 불리하다. T형 접합 돌부(115)와 L형 접합 돌부(116)는 십자형 접합돌부(114)이 적용되기 어려운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T형 접합 돌부(115)와 L형 접합 돌부(116) 또한 직선부가 만나는 각도가 90도로 정해지며, 이 또한 레진이 코너까지 균일가능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형 접합 돌부(117)와 도트형 접합 돌부(118)는 보완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생략될 수 있다.
십자형 접합 돌부(114), T형 접합 돌부(115) 및 L형 접합 돌부(116)와 같은 직교형 접합 돌부들은 두 직선부가 만나는 영역에 내측 교차 모서리(7)와 외측 교차 모서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교차 모서리(7)가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과 만나는 코너 영역까지 레진이 원할하게 공급되기 어렵다. 따라서, 십자형 접합 돌부(114), T형 접합 돌부(115) 및 L형 접합 돌부(116)와 같은 직교형 접합 돌부들의 저면, 즉, 접합 영역에는, 레진 유입홀(8)들이 형성되고, 상기 레진 유입홀(8)들은 상기 내측 교차 모서리(7)와 상기 중앙 또는 외곽 함몰부(112 및/또는 113)의 바닥이 만나는 점 부근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레진 배출구(9)까지 이어져 있다. 상기 본체블록(100)의 베이스(110)가 레진에 의해 치아 표면에 부착될 때, 십자형 접합 돌부(114), T형 접합 돌부(115) 및 L형 접합 돌부(116)의 바닥면, 즉, 접합 표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레진이 상기 레진 유입홀(8)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레진 배출구(9)를 통해 상기 내측 교차 모서리(7)와 상기 중앙 및/또는 외곽 함몰부(112 및/또는 113)의 바닥이 만나는 코너 부근에 공급됨으로써, 형상에 의해 레진 공급이 쉽지 않았던 코너 영역에까지 레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진 유입홀(8)은 베이스(110)와 치아 표면 사이의 부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까지 이어진 레진 유출입 통로(6)이 더 형성된다.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는 상기 본체블록(100)의 베이스(110)를 치아 표면에 부착할 때,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를 통해 레진의 유출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레진 유출이 있는 경우, 레진 공급량의 충분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 레진 유출이 없는 경우, 레진량이 충분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를 통해 레진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영역을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와 인접해 있는 영역과 그 반대편 영역으로 나눠볼 때,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와 인접해 있는 영역에서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들의 밀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레진이 원할하게 보충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와 가장 외곽 함몰부(113)의 깊이가 나머지 외곽 함몰부(113)의 깊이보다 크고 상기 레진 유출입 통로(6) 반대측 외곽 함몰부(113)의 깊이가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본체블록 110: 베이스
111: 테두리부 112: 중앙 함몰부
113: 외곽 함몰부
114, 115, 116, 117, 118: 접합 돌부
300: 리테이너 310: 걸림유동편
320: 분할공 330: 고정홈
350: 스토퍼편 W: 아치 와이어
2: 접착 필름 3: 커팅 에지
8: 레진 유입홀 9: 레진 배출구
6: 레진 입출입 통로

Claims (3)

  1. 레진에 의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아치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결찰 또는 결찰 해지시키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 있어서,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된 함몰형 슬라이딩부(131)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에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전방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벽(130, 130)과,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131)를 마감하는 스토퍼벽(120)을 일체로 포함하는 본체블록(100);
    상기 안착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안착된 상기 아치 와이어(W)를 안착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결찰하거나 또는 결찰 해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저면으로부터 상향 함몰된 끼움 홈(250)과 상기 끼움 홈(250)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단이 지게 상향 함몰 형성된 가이드 홈(260)을 갖는, 결찰블록(200); 및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조립 돌기(135) 및 완전 조립 돌기(137)와, 상기 가조립 돌기(135) 및 상기 완전 조립 돌기(137)와 협력하여 상기 아치 와이어(W)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찰, 결찰해지가 되도록 하는 리테이너(300)를 포함하는 결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300)는 중앙에 고정홈(330)이 형성된 중공의 사각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30) 일측의 스토퍼편(350)이 상기 끼움 홈(25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330) 타측 걸림유동편(310)은 중앙의 분할공(320)에 의해 한 쌍으로 분할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전진할 때, 상기 걸림유동편(310)은 상기 가이드 홈(260) 측으로 탄성 변형,복귀되면서 상기 가조립 돌기(135)와 완전 조립돌기(137)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으며,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외곽에 형성되어 중앙 함몰부(112)와 함께 이중 단차 구조를 형성하는 외곽 함몰부(113)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4, 115, 116, 117, 118)들은 4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3개의 직선부들이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T형 접합 돌부(115)와, 2개의 직선부들이 대략 90도로 만나는 하나 이상의 L형 접합 돌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레진 중 중앙 영역 레진이 외곽 영역 레진보다 덜 압축되도록,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함몰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300)를 덮은 상태로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때까지, 상기 리테이너(300)를 상기 결찰블록(200)의 하부면에 부착 유지시키는 접착필름(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131)에는, 상기 리테이너(300)가 조립된 상기 결찰블록(200)이 상기 슬라이딩부(131)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접착필름(2)을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는 커팅 에지(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접합 돌부(114)와, 상기 T형 접합 돌부(115)와, 상기 L형 접합 돌부(116) 각각은 두 직선부가 만나는 영역에 내측 교차 모서리와 외측 교차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십자형 접합 돌부(114), 상기 T형 접합 돌부(115) 및 상기 L형 접합 돌부(116) 각각은 저면에 형성된 채 상기 내측 교차 모서리(7)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이 만나는 점 부근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레진 배출구(9)까지 이어진 레진 유입홀(8)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111)에는 상기 테두리부(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11)의 내측면까지 이어지도록 레진 유출입 통로(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0200054830A 2020-05-08 2020-05-08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11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30A KR10211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17/064,827 US11452582B2 (en) 2020-05-08 2020-10-07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TW109134980A TWI733598B (zh) 2020-05-08 2020-10-08 自鎖式齒列矯正器組合件
CN202011088261.5A CN113616361B (zh) 2020-05-08 2020-10-13 自结扎齿列矫正支架组装体
JP2020174403A JP6983435B2 (ja) 2020-05-08 2020-10-16 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組立体
EP20202495.6A EP3906887B1 (en) 2020-05-08 2020-10-19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30A KR10211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02B1 true KR102118302B1 (ko) 2020-06-02

Family

ID=7109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30A KR102118302B1 (ko) 2020-05-08 2020-05-08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2582B2 (ko)
EP (1) EP3906887B1 (ko)
JP (1) JP6983435B2 (ko)
KR (1) KR102118302B1 (ko)
CN (1) CN113616361B (ko)
TW (1) TWI733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9903A (zh) * 2022-10-14 2022-11-29 杭州西湖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弧形金属自锁矫治器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660A (ko) * 2009-04-16 2011-10-27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20120003694U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10982A (ko)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JP5123570B2 (ja) * 2006-06-02 2013-01-23 ベルンハルト フォース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歯列矯正術用自己結紮式ブラケット及び当該ブラケットを含んでなるキット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20150031948A (ko) * 2013-09-17 2015-03-25 (주)Sy이노베이션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CN104902842A (zh) * 2013-01-11 2015-09-09 邓特斯普里国际公司 可与用于制造物件,尤其用于制造正畸托架的注塑机一起使用的装置和方法
KR20150106403A (ko)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KR101701256B1 (ko) *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KR101728904B1 (ko) * 2017-03-06 2017-04-20 김기섭 치아교정 브라켓용 상처방지 밴드
US9770310B2 (en) * 2016-02-25 2017-09-26 Pbd, Patent & Business Development Ag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KR2018010746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 교정 브래킷
KR20190008708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923B1 (en) * 2000-05-24 2001-06-19 Nikhil Shankarlal Vashi Self-locking orthodontic bracket
CN1575153A (zh) * 2001-02-15 2005-02-02 诺贝特·阿贝尔斯 包括向打开或关闭位置偏压的结扎盖的自结扎畸齿矫正托架
US7419375B2 (en) * 2002-08-19 2008-09-02 Ormco Corporation Aesthe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959437B2 (en) * 2002-10-29 2011-06-14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6846178B2 (en) * 2002-10-29 2005-01-25 Rmo, Inc. Orthodontic bracket bas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621743B2 (en) * 2002-11-26 2009-11-24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Orthodontic bracket
US7704072B2 (en) * 2006-04-19 2010-04-27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US20090017413A1 (en) * 2007-06-19 2009-01-15 Patrick Rom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O2009057937A2 (en) * 2007-11-01 2009-05-07 Hubit Co., Ltd. Self-ligating brackets
MX2010008061A (es) * 2008-08-13 2010-11-22 Ormco Corp Soporte de ortodoncia estetico y metodo para elaborar el mismo.
US8992214B2 (en) * 2012-11-13 2015-03-31 Mem Dental Technology Co., Ltd.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s
MX2015010991A (es) * 2013-02-22 2016-10-03 World Class Tech Corp Configuracion basica para bracket de ortodoncia.
CN204971650U (zh) * 2015-09-11 2016-01-20 拓美株式会社 齿列矫正用结扎线
US10182885B2 (en) * 2015-10-29 2019-01-22 Mem Dental Technology Co., Ltd Self-ligating bracket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09310486B (zh) * 2016-11-24 2021-07-02 雾岛精工株式会社 齿列矫正器和齿列矫正器的安装方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570B2 (ja) * 2006-06-02 2013-01-23 ベルンハルト フォース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歯列矯正術用自己結紮式ブラケット及び当該ブラケットを含んでなるキット
KR20110117660A (ko) * 2009-04-16 2011-10-27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20120003694U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10982A (ko)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KR20150106403A (ko)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CN104902842A (zh) * 2013-01-11 2015-09-09 邓特斯普里国际公司 可与用于制造物件,尤其用于制造正畸托架的注塑机一起使用的装置和方法
KR20150031948A (ko) * 2013-09-17 2015-03-25 (주)Sy이노베이션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101701256B1 (ko) *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US9770310B2 (en) * 2016-02-25 2017-09-26 Pbd, Patent & Business Development Ag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KR101728904B1 (ko) * 2017-03-06 2017-04-20 김기섭 치아교정 브라켓용 상처방지 밴드
KR2018010746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 교정 브래킷
KR20190008708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6887A1 (en) 2021-11-10
CN113616361A (zh) 2021-11-09
EP3906887B1 (en) 2023-09-06
JP6983435B2 (ja) 2021-12-17
TWI733598B (zh) 2021-07-11
JP2021176473A (ja) 2021-11-11
TW202142195A (zh) 2021-11-16
US11452582B2 (en) 2022-09-27
US20210346129A1 (en) 2021-11-11
CN113616361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3013B2 (en) Orthodontic appliance providing enhanced adhesive cure
KR102118302B1 (ko)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9867680B2 (en) Orthodontic bracket
CN1997326B (zh) 正牙托架和夹子
EP2737871B1 (en)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US7214057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8128166B2 (en) Seat cover covering structure
MXPA04000426A (es) Freno ortodontico autoligante estetico.
KR20190008708A (ko)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US20160106522A1 (en) Orthodontic clip device
US20200383756A1 (en)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LU100374B1 (en) orthodontic bracket
US20060263736A1 (en) Orthodontic bracket base and bracket using the base
EP1480814A2 (en) Method of moulding soles on shoe uppers, a shoe welt and a mou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EP3618755B1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fixed ligating tabs
JP2003503084A (ja) 自己−結紮する歯列矯正ブラケット
US20060040234A1 (en) Denture device
CN111727020B (zh) 用于治疗咬合不正的正畸托架设备和方法
KR102237979B1 (ko)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212661977U (zh) 一种舌侧拉钩
KR101894872B1 (ko) 의자
WO2024052788A1 (en) Dental aligner and relevant dental alig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