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287B1 -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287B1
KR102118287B1 KR1020190057388A KR20190057388A KR102118287B1 KR 102118287 B1 KR102118287 B1 KR 102118287B1 KR 1020190057388 A KR1020190057388 A KR 1020190057388A KR 20190057388 A KR20190057388 A KR 20190057388A KR 102118287 B1 KR102118287 B1 KR 10211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ata concentrator
ground transformer
couple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장성현
정영호
조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타이드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5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2Arrangements provided on the transformer facilitating it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일면에 결합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에 결합하여, 데이터집중장치의 하측 모서리를 감싸는 제3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상측을 감싸는 제4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상기 제4브라켓을 지상변압기에 고정시키는 제5브라켓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데이터집중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데이터집중장치의 설치 및 철거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CRADLE FOR DATA CONCENTRATION UNIT IN TRANSFORMER}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 내부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전력량계 통신 인프라 환경(AMI)에서 지상변압기 내부에는 데이터집중장치(DCU)가 설치된다. 데이터집중장치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지상변압기 바닥면에 데이터집중장치의 전면 및 측면을 감싸는 거치대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데이터집중장치를 하단에만 설치할 수 있을 뿐 데이터집중장치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여, 지상변압기 내 다른 도선과의 접촉에 따른 손상 및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 재질의 거치대에 자석을 부착하여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고정하는 결합 방식을 채택하여 설치 및 철거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데이터집중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집중장치의 설치 및 철거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일면에 결합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에 결합하여, 데이터집중장치의 하측 모서리를 감싸는 제3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상측을 감싸는 제4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상기 제4브라켓을 지상변압기에 고정시키는 제5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제1브라켓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높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3브라켓은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기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3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전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4브라켓을 향하여 돌출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 및 상기 결합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들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가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제4브라켓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5브라켓은 지상변압기 내부의 상단바에 결합하며, 하측에서 상기 제5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상기 제5브라켓이 상기 상단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브라켓이 상기 상단바에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탄성 재질의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의 양 측면에는 벤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로,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맞닿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데이터집중장치가 장착되는 제3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제3브라켓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를 고정시키는 제4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상단에 결합하며, 지상변압기 내부의 구조물을 클램핑함으로써 장착되는 제5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의 길이 방향은 중력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하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 상면의 중심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는, 데이터집중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데이터집중장치의 설치 및 철거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제1브라켓의 다양한 설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a은 도 2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보조브라켓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에서 보조브라켓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가 지상변압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데이터집중장치가 지상변압기 상측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데이터집중장치가 지상변압기 하측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a에 도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제1브라켓의 다양한 설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a은 도 2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보조브라켓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b는 도 8a에서 보조브라켓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가 지상변압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데이터집중장치가 지상변압기 상측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데이터집중장치가 지상변압기 하측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는, 제1브라켓 내지 제5브라켓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제5브라켓, 그리고 각각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브라켓(100)은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수직부(104)와, 상기 수직부(104)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평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104)의 길이는 데이터집중장치(이하 DCU로 지칭함)가 위치할 높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지상변압기 내벽의 높이를 초과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부(102)의 길이는 DCU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지상변압기 모서리의 길이를 초과하지는 않는다. 상기 수직부(104)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DCU가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2브라켓(110)은 상기 수직부(104)의 일면에 결합한다. 상기 제2브라켓(110)은 복수의 돌출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12)는 고리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104)에 형성되는 개구에 삽입되어 걸쳐짐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110)이 상기 제1브라켓(1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제2브라켓(110)에 용접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2)를 상기 수직부(104)의 어느 개구에 삽입하냐에 따라 상기 제2브라켓(1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2브라켓(110)의 상부에는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절곡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2브라켓(110)과 제4브라켓(220)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브라켓(100) 및 제2브라켓(110)은 양 측면에 벤딩을 형성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0, 110)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므로 DCU의 무게에 따른 벤딩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같은 설계가 효과적이다.
제3브라켓(200)은 상기 제2브라켓(110)의 하부에 결합하며, DCU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DCU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상기 제3브라켓(200)은 상기 DCU의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DCU를 상기 제3브라켓(200)에 끼워넣을 수 있다.
상기 제3브라켓(200)의 하면 중심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DCU의 하면에는 케이블 연결 단자가 위치하므로, 상기 제3브라켓(2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케이블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제3브라켓(200)의 일측 모서리에는 보조브라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브라켓(210)은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 개구(212)가 상기 제3브라켓(200)에서 돌출된 힌지 핀(202)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힌지 개구(2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조브라켓(210)을 개방하면 상기 제3브라켓(200)의 일측 모서리가 열리게 되어 상기 DCU에 연결된 케이블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DCU를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다.
상기 제3브라켓(200)의 후면에는, DCU가 고정 설치되었을 때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DCU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240)는 복수개가 상기 제2브라켓(110)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240)는 상기 제1브라켓(100)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브라켓(200) 및 DCU가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재(240)는 큰 마찰력을 갖고 있으므로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3브라켓(200)이 쉽게 흔들리지 않게 한다.
제4브라켓(220)은 상기 제2브라켓(110)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DCU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4브라켓(220)은 상기 제3브라켓(200)과 대향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DCU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다. 상기 제4브라켓(220)의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DCU의 전면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DCU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4브라켓(220)의 설치 길이를 조정하고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4브라켓(220)의 측면에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110)의 제1절곡부와 맞닿는다.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제1체결부재가 상기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110)과 상기 제4브라켓(220)이 결합한다. 만약 상기 제4브라켓(22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를 제거한 후 상기 제4브라켓(220)의 위치를 상기 DCU의 규격에 맞게 조절하고, 다시 상기 제1체결부재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재는 조작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는 핸드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드볼트란 드라이버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릴 수 있는 체결부재이다.
제5브라켓(300)은 상기 제1브라켓(100)의 수평부(102)에 결합한다. 상기 제5브라켓(300)은 상기 수평부(102)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구와 대응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볼트 결합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제5브라켓(300)의 위치는 상기 수평부(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5브라켓(300)과 상기 수평부(102)를 결합하는 볼트(B)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볼트(B)를 상기 수평부(102)의 최우측에 위치시켜 체결하면 상기 제5브라켓(300)은 좌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같은 구조에 따르면 DCU의 좌우 이동 설치가 가능하므로 협소한 지상변압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브라켓(300)은 지상변압기 내부에 위치하는 상단바에 클램핑 결합한다. 즉 상기 제5브라켓(300)은 상기 상단바보다 큰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5브라켓(300)을 상단바에 걸친 후 하측에 구비된 제2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5브라켓(300)을 상단바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부재와 마찬가지로 핸드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체결부재는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좌우 양측에 하나씩 한 쌍이 위치한다. 상기 제5브라켓(300)이 상단바의 상면과 닿는 부위는 상기 제2체결부재가 체결되면서 큰 압력을 받는다. 그리고 이 부위에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아야 상기 제5브라켓(300)을 포함한 거치대 전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 부위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310)가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면서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5브라켓(300)이 상단바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가 지상변압기에 장착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10은 DCU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고, 도 11 및 도 12는 DCU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처럼 DCU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는, 상하 및 좌우로 설치 위치 조정이 가능하므로 지상변압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DCU를 지상변압기 내 상부에 거치함으로써 침수나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DCU가 반드시 상부에 위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지상변압기에 맞는 적절한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지상변압기에 별도의 장치를 하지 않고 기존에 있는 상단바를 활용하여 고정시키므로 높은 범용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보조브라켓(210)을 개방할 수 있어 다른 부품을 해체한다거나 DCU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편리하게 DCU를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다.
또한, DCU의 위치 이동을 위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핸드볼트를 제1체결부재(230) 및 제2체결부재(320)로 사용하므로 DCU 이동 작업이 편리하다.
100: 제1브라켓 102: 수평부
104: 수직부 110: 제2브라켓
112: 돌출부 200: 제3브라켓
202: 힌지 핀 210: 보조브라켓
212: 힌지 개구 220: 제4브라켓
230: 제1체결부재 240: 충격완화부재
300: 제5브라켓 310: 패드
320: 제2체결부재 B: 볼트
DCU: 데이터집중장치

Claims (13)

  1.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일면에 결합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에 결합하여, 데이터집중장치의 하측 모서리를 감싸는 제3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상측을 감싸는 제4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상기 제4브라켓을 지상변압기에 고정시키는 제5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브라켓에 결합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높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라켓은 일측 모서리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기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3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전면 일부를 덮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4브라켓을 향하여 돌출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 및 상기 결합부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들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가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제4브라켓을 결합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에 결합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브라켓은 지상변압기 내부의 상단바에 결합하며, 하측에서 상기 제5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상기 제5브라켓이 상기 상단바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브라켓이 상기 상단바에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탄성 재질의 패드가 구비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양 측면에는 벤딩이 형성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11.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데이터집중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로,
    지상변압기 내부 벽면에 맞닿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데이터집중장치가 장착되는 제3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제3브라켓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집중장치를 고정시키는 제4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상단에 결합하며, 지상변압기 내부의 구조물을 클램핑함으로써 장착되는 제5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길이 방향은 중력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집중장치의 하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브라켓은 상기 데이터집중장치 상면의 중심을 덮도록 배치되는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KR1020190057388A 2019-05-16 2019-05-16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KR10211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88A KR102118287B1 (ko) 2019-05-16 2019-05-16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88A KR102118287B1 (ko) 2019-05-16 2019-05-16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287B1 true KR102118287B1 (ko) 2020-06-02

Family

ID=7109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88A KR102118287B1 (ko) 2019-05-16 2019-05-16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2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562A (en) * 1998-10-06 2000-11-07 Daktronics, Inc. Component mounting bracket system
KR20130034396A (ko) * 2011-09-28 2013-04-05 한국전력공사 원격 검침용 데이터 집중 장치
US20130206944A1 (en) * 2010-03-22 2013-08-15 Ambient Corporation Bracket
US20170204615A1 (en) * 2015-02-10 2017-07-20 James Reid Gulnick Attachment brackets for panel mounting
KR20180085280A (ko) * 2017-01-18 2018-07-26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562A (en) * 1998-10-06 2000-11-07 Daktronics, Inc. Component mounting bracket system
US20130206944A1 (en) * 2010-03-22 2013-08-15 Ambient Corporation Bracket
KR20130034396A (ko) * 2011-09-28 2013-04-05 한국전력공사 원격 검침용 데이터 집중 장치
US20170204615A1 (en) * 2015-02-10 2017-07-20 James Reid Gulnick Attachment brackets for panel mounting
KR20180085280A (ko) * 2017-01-18 2018-07-26 오건희 서브랙이 구비된 ami용 wi-sun 방식 dcu 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287B1 (ko) 지상변압기용 데이터집중장치 거치대
KR101488422B1 (ko)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CN215340896U (zh) 一种便携式海量数据处理设备
US5312002A (en) Utility tray
CN111853504B (zh) 一种电力设备箱固定机构
CN211981417U (zh) 一种电力电缆架设用支撑架
US10633226B2 (en) Flange cover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CN210179784U (zh) 一种盖体、外壳装置及电器设备
CN210003215U (zh) 钻机固定装置
CN107543358B (zh) 一种用于冰箱底端的过线结构及具有其的冰箱
JP2007329145A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0420613B1 (ko) 하드디스크의 저장장치
CN111338432B (zh) 一种粉尘车间用控制平台***
JP724617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CN212383111U (zh) 一种便于安装的消防器材箱
CN214013558U (zh) 一种便于安装的电气电源
CN215635425U (zh) 一种易安装的减震结构
CN212727383U (zh) 一种一体式线性阵列音箱
CN218867817U (zh) 一种基于建筑工程用机电安装用埋地电缆支护装置
JP4202635B2 (ja) 免震装置及びカバーユニット
JP2509085Y2 (ja) 分電盤
CN217589772U (zh) 一种起重机用地导电机构
CN215408054U (zh) 一种建筑地面地弹簧预埋构件
JP3341862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据付装置
KR101027372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