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703B1 -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 Google Patents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703B1
KR102117703B1 KR1020160156139A KR20160156139A KR102117703B1 KR 102117703 B1 KR102117703 B1 KR 102117703B1 KR 1020160156139 A KR1020160156139 A KR 1020160156139A KR 20160156139 A KR20160156139 A KR 20160156139A KR 102117703 B1 KR102117703 B1 KR 10211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cap
contents
pump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827A (ko
Inventor
강민지
현창환
이정래
오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5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7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단에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 및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커버하는 용기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캡은, 하강에 의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수용하되, 뒤집어지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천공부가 상부 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핑 용기 및 용기 캡{Pumping container and container cap}
본 발명은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캡을 세탁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은 물 및 세제와 함께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하여 강제로 물살을 일으킴으로써, 물 및 세제의 세척 작용으로 세탁물로부터 이물질 등을 이탈시키는 원리로 세탁을 하는 것이다.
이때, 세탁기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계량컵 등을 사용하는데, 직접 세제를 일정량 덜어서 투입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세제 용기를 들어서 세제를 덜어야 하기 때문에 세제가 많이 남아있는 경우 세제 용기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제 용기가 펌프식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계량컵 또는 세탁기의 세제통에 정확하게 조준 및 사용이 어렵다. 이와 더불어, 물과 세제만으로는 세탁물의 이물질 등을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어렵다.
이에 의해 세탁물의 엉킴을 방지하고 세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세제와 함께 세탁볼을 세탁기에 투입하여 세탁한다. 이 경우, 세탁볼에 세제를 담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동이 많아지게 된다. 즉, 세탁볼을 열어서 세제를 토출한 뒤 세탁볼에 담고, 다시 세탁볼을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캡이 용기 본체에 올려진 채로 펌핑됨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캡 내부로 분사되어 용기 캡을 세탁볼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토출을 위한 펌핑 시 용기 캡 상단을 손가락이 아닌 손바닥으로 펌핑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손쉽게 펌핑할 수 있는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캡에 내용물의 계량을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용기 캡으로 분사되는 내용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용기 캡이 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을 펌핑함에 의해 한 손으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는,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단에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 및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커버하는 용기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캡은, 하강에 의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수용하되, 뒤집어지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천공부가 상부 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며, 내부가 관통된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재는,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 캡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캡은,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관통된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는, 입구 측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와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의 끝단에 토출구가 구비된 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승강부재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는 영역의 상부면이, 상기 팁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토출구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재는, 내부에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의 끝단에 토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유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승강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된 토출구 이동부 및 상기 토출구 이동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구비된 토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홀은, 상기 용기 캡이 상기 펌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의 높이에 해당되는 상기 토출구 이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토출구가 상기 토출홀 또는 상기 토출구 이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분사하거나, 상기 용기 캡을 상기 펌프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캡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부면에 상기 용기 캡을 하부로 가압 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단차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가 이동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되는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는, 내측 하부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 캡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은,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단에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커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측에 마련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하강에 의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수용하며, 상기 천공부는, 상기 몸체가 뒤집어지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후 뒤집어지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상기 펌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부가 관통된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는, 외면에 상기 내용물의 계량을 위한 눈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용기 캡이 용기 본체에 올려진 채로 펌핑됨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캡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용기 본체를 들어서 따르는 작업 없이 펌핑 후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캡을 분리하여 바로 세탁기에 넣어서 세탁볼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내용물의 토출을 위해 용기 캡 상단을 손바닥으로 펌핑이 가능함으로써, 무거운 용기 본체를 들지 않으면서도 보다 손쉽게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용기 캡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용기 캡으로 분사된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적정량의 내용물을 분사하여 불필요한 세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용기 캡에 내용물을 계량한 후 세탁볼로 사용함으로써, 용기 캡에 잔여물이 남아있지 않게 되어 용기 캡을 용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 시 용기 캡으로부터 잔여물이 세제 용기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용기 및 용기 캡은, 용기 본체에 용기 캡이 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을 펌핑함에 의해 한 손으로도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로부터 팁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상단에 팁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에 용기 캡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캡 내부로 내용물이 토출되어 세탁볼로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을 가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을 승강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100)는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10)와, 펌프를 커버하는 용기 캡(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프는 개폐부재(20) 및 승강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펌프는 승강부재(40)의 상단에 결합되는 팁부재(50)와, 용기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는 실린더(60) 및 실린더(60) 하단에 연결되는 튜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펌프는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영역으로, 상단에 개구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1)에는 용기 본체(10)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재(20)는 개구부(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중앙 영역에 관통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0)와 개폐부재(20)의 결합을 위하여 용기 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12)가 구비되고, 개폐부재(20)의 하부에는 제1 결합부(1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체결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2) 및 제1 체결부(24)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2) 및 제1 체결부(24)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나사산 외에 상호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강부재(40)는 내부가 관통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20)의 관통홀(21)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40)의 하단에는 탄성 재질의 밀폐부(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승강부재(40)의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걸림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41)는 이후 설명하는 용기 캡(30)의 하부면(36)과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20)의 상부면에는 승강부재(40)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될 시 걸림부(41)를 수용하는 단차부(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22)는 걸림부(41)와 동일한 형상으로 개폐부재(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 형태일 수 있으며, 걸림부(41)는 관통홀(2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부재(40)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부(41)가 단차부(22)에 안착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부(41)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20)의 관통홀(21)에는 걸림부(41) 하부의 승강부재(40)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41) 및 단차부(22)는 수평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 외에 상호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용기 캡(30)을 세탁볼로 사용 시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걸림부(41) 및 단차부(22)를 꽃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펌핑 용기(1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캡(30)은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캡(30)은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31)가 형성되도록 펌프를 커버하는 몸체(37)와, 몸체(37)의 상부 측에 마련되는 천공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몸체(37)는 승강부재(40)와의 사이에 공간부(31)가 형성되도록 승강부재(4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평평한 하부면(3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캡(30)은 몸체(37)의 하부면(36)으로부터 공간부(31)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32)는 승강부재(40)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게다가, 용기 캡(30)의 몸체(37)에는 상부 측이 관통된 복수개의 천공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부(3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30)이 세탁볼로 사용될 시에 물이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용기 캡(30) 내부의 내용물이 세탁조로 배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천공부(33)는 용기 캡(30)의 상부 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기 캡(30)이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후 뒤집어지면 공간부(31)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캡(30)의 외면에는 내용물의 계량을 위한 눈금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캡(30)은 평상 시에 개폐부재(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개폐부재(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결합부(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 캡(30)의 하부면(36) 둘레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23)와 대응되는 형태의 제2 체결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23) 및 제2 체결부(35)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개폐부재(20)와 용기 캡(30)의 결합이 나사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 돌기 및 홈 구조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팁부재(50)는 용기 본체(10)의 내용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승강부재(40)의 상단을 둘러싸며 결합될 수 있다. 팁부재(50)는 승강부재(50)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40) 상단 외주면(43) 및 팁부재(50)의 내주면(미도시)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재(40)의 상단은 다른 영역에 비해 외경이 가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승강부재(40)의 상단에 결합된 팁부재(50)의 외경과, 승강부재(40)의 상단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0)에 결합된 팁부재(50)는 승강부재(40)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41)는, 승강부재(40)의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었지만, 걸림부(41)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팁부재(50)의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돌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걸림부(41)는 팁부재(50)의 하부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팁부재(50)는 승강부재(40)의 관통된 내부와 연결되는 유로(미도시) 및 유로의 끝단에 토출구(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는 팁부재(5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실린더(60)는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승강부재(40)의 하부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60)의 상단은 개폐부재(20)의 하측에서 관통홀(21) 둘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개폐부재(20)의 하측 관통홀(21) 둘레에는 제3 결합부(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린더(60) 상단의 내주면에는 제3 체결부(61)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60)의 하단에는 튜브(70)가 연결되며, 실린더(60)의 내측 하부에는 탄성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부재(40)는 하부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100)는 펌프식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 캡(30)이 개폐부재(20)로부터 분리되어, 승강부재(40)의 상부에 용기 캡(30)이 끼워진 상태에서 용기 캡(30)의 상부를 가압함에 의해 용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용기 캡(30)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별도의 세탁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기 캡(30) 자체를 승강부재(4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펌프를 구비하지 않는 세제 용기에서, 용기 캡을 세탁볼로 이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노출된 상태로 용기 캡을 세탁기 내로 투입하여 세탁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세탁 중에는 용기 본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용기 본체를 폐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별도의 마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내용물이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100)는 개폐부재(20) 및 상부면이 폐쇄된 팁부재(50)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용기 캡(30)을 세탁볼로 이용하더라도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100)는 용기 캡(30)이 승강부재(40)에 올려진 채로 용기 캡(30)을 펌핑(pumping)함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 캡(30)의 공간부(31)로 일정량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량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캡(30)을 승강부재(4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기에 투입함에 의해 세탁볼 겸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로부터 팁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상단에 팁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30)의 상단에는 팁부재(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팁부재(50)는 승강부재(30) 상부 측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팁부재(50)가 결합되는 승강부재(30)의 상부 측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얇은 굵기로 형성되고, 외주면(43)에 팁부재(5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팁부재(50)의 외경은 승강부재(30)의 다른 영역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팁부재(50)의 내주면에는 승강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부재(30)의 상부 측에서 팁부재(50)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팁부재(50)를 승강부재(3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30)의 상단 외의 다른 영역의 외경과, 팁부재(50)의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승강부재(30)에 팁부재(50)가 결합된 상태는 돌출된 부분 없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30)와 팁부재(50)가 결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 및 홈 구조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강부재(30)의 걸림부(41)는 승강부재(30)의 상부 측에서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 개폐부재(20)의 단차부(22)에 안착되지 않고, 그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실린더(60, 도 2 참조) 내측 하부에 위치된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30)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용기 캡(30, 도 1 참조)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 캡(30)이 팁부재(50) 및 승강부재(40)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용기 캡(30)을 손바닥으로 펌핑함에 의해 용기 본체(10, 도 1 참조)로부터 내용물이 토출구(51)로 분사될 수 있다.
내용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내용물은 용기 본체(10)의 내용물이 실린더(60, 도 2 참조) 내부에 위치된 승강부재(40) 하단으로부터 관통된 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40) 상단에 결합된 팁부재(50)의 유로(52)를 따라 내용물이 이동되어 유로(52)의 끝단에 위치된 토출구(51)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팁부재(50)의 상부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직 방향의 유로(52)가 형성되고, 토출구(51)가 팁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물이 승강부재(4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팁부재(50)가 승강부재(4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의 승강부재(4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내용물이 분사될 수 있다. 용기 캡(30)의 상부 측에는 복수개의 천공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팁부재(50)가 없으면 내용물이 천공부(33)를 통해 분출되어 손에 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부재(50)가 내용물의 분사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용기 캡(30)의 공간부(31, 도 1 참조)로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팁부재(50)의 유로(52)는 내용물이 승강부재(4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는 영역의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유로(52)의 상부면은 팁부재(5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물이 승강부재(4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아닌 일정 각도 하부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유로(52)의 상부면은 완만한 경사면을 갖도록 곡면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피라미드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에 용기 캡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용기 캡(30)의 제2 체결부(35)가 개폐부재(20)의 제2 결합부(23)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부재(4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로 상승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 캡(30)이 세탁볼로 이용되는 경우, 개폐부재(20)로부터 용기 캡(30)이 분리된 후, 승강부재(40)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0)의 내부가 개폐부재(20) 및 승강부재(4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캡(30)을 살펴보면, 하부면(36)으로부터 공간부(31)를 향하여 내부가 관통된 삽입부(32)가 돌출 형성되어, 팁부재(50) 및 승강부재(40)만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부(32)의 입구 측에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3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재(38)는 승강부재(40)가 관통되도록 도넛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38) 중앙의 관통된 홀은 승강부재(4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캡(30)이 승강부재(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부(32) 입구 측의 실링부재(38)와 승강부재(40) 사이가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링부재(38)는 공간부(31)를 향하여 내용물이 분사된 후 용기 캡(30)을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로부터 분리할 때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내용물의 잔여물을 쓸어올릴 수 있다.
또한,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이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와 접촉되며 승강부재(40)에 끼워질 수 있다. 즉, 걸림부(41)가 용기 캡(30)의 하부면(36)과 접촉되어 용기 캡(30)의 하부 이동을 제한함에 의해 팁부재(50)의 상단과 용기 캡(30)의 내측 상단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로부터 용기 캡 내부로 내용물이 토출되어 세탁볼로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핑 용기(100)의 최초 포장 상태로,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 개폐부재(20)가 결합되며, 개폐부재(20)의 상부에 용기 캡(30)이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재(20)와 용기 캡(3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이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를 가압하면서 걸림부(41)가 개폐부재(20)의 단차부(22)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b를 참조하면, 용기 캡(30)의 사용을 위하여 개폐부재(20)로부터 용기 캡(30)의 결합을 해제하면, 실린더(60) 내부에 위치된 탄성부재(80)가 승강부재(40)를 상부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의해 개폐부재(20)로부터 용기 캡(30)이 분리됨과 동시에 승강부재(40) 및 용기 캡(30)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후, 펌핑을 통하여 용기 캡(30)의 공간부(31)로 내용물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도 9c와 같이, 손바닥을 이용하여 용기 캡(30) 상단을 가압하면 용기 캡(30) 및 승강부재(4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가 개폐부재(20)의 단차부(22)에 안착되면서 승강부재(4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40)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용기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튜브(70), 실린더(60) 및 승강부재(40)를 통하여 팁부재(50)의 토출구(51)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캡(30)을 하부로 가압하지 않으면 탄성부재(80)에 의해 다시 승강부재(40) 및 용기 캡(30)이 상승될 수 있다. 용기 캡(30)의 상부에서 1회 가압 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므로, 반복적으로 상하로 펌핑함에 의해 원하는 내용물의 양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 캡(30) 외면에 내용물의 계량을 위한 눈금부(34)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9d와 같이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캡(30)을 상부를 향하여 뽑아서 승강부재(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캡(30)을 분리하여 그대로 세탁기에 넣어서 세탁볼로 이용할 수 있다. 용기 캡(30)에는 복수개의 천공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천공부(33)를 통하여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공간부(31)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이 용기 캡(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캡(30)이 용기 본체(10)에 위치된 상태로 용 기 캡(30) 내부에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으므로, 무거운 용기 본체(10)를 들지 않으면서도 용기 캡(30)을 세탁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을 가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용기 캡(30)이 개폐부재(20)로부터 분리되어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40)가 최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이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에 접촉된 상태로 용기 캡(30)이 승강부재(4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b 및 도 10c에서와 같이 용기 캡(30)의 상부에서 하부로 힘이 작용되면, 실린더(60) 내측 하부에 위치된 탄성부재(80)가 눌리면서 승강부재(40)가 점차적으로 실린더(60)의 내측 하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40)의 하단에는 실린더(60)의 내경과 동일한 밀폐부(42)가 구비되어, 승강부재(4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압축된 공기만큼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삽입부(32)에 팁부재(50) 및 승강부재(4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팁부재(50)의 토출구(51)는 삽입부(32)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승강부재(40)가 하강되면서 걸림부(41)가 개폐부재(20)의 단차부(22)에 안착되면 승강부재(40)는 하강을 멈추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을 승강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용기 캡(30)을 하부 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용기 캡(30)의 공간부(31)로 원하는 양만큼의 내용물이 분사되면 승강부재(40)로부터 용기 캡(30)을 분리하여 세탁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60) 내측에 위치된 탄성부재(80)는 최대로 탄성력이 구현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강부재(40) 역시 최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캡(30)의 상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은 승강부재(40)의 걸림부(41)와 접촉될 수 있으며, 용기 캡(30)의 삽입부(32)에는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부(41)로부터 토출구(11) 하단까지의 길이(L1)는 삽입부(32)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구(11)가 항상 승강부재(4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부재(4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내용물이 용기 캡(30)의 공간부(31)를 향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1)로부터 팁부재(50) 상단까지의 길이(L3)는 용기 캡(30)의 높이(L4)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팁부재(50)의 상단이 용기 캡(30)의 내측 상부면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이 걸림부(41)와 접촉될 수 있다. 즉, 걸림부(41) 및 용기 캡(30)의 하부면(36)이 각각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부재(40)가 용기 캡(30)의 삽입부(3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40)로부터 용기 캡(30)을 상부를 향하여 뽑아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 캡(30)의 삽입부(32)의 입구 측에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38, 도 8b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38)는 도넛 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된 홀은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실링부재(38)는 용기 캡(30)을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승강부재(40) 및 팁부재(50)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내용물을 끌어올릴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물이 토출구(5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0)로부터 용기 캡(30)을 분리한 이후에 내용물이 팁부재(50) 및 승강부재(40)의 외주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 용기(200)는, 내용물이 수납된 용기 본체(10, 도 1 참조)의 상단에 개폐부재(20, 도 1 참조) 및 승강부재(250)가 구비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펌핑 용기(200)에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승강부재(250)는 내부에 유로(2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로(252)는 승강부재(25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로(252)의 끝단에는 토출구(25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출구(251)는 승강부재(25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캡(230)은 승강부재(250)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관통된 삽입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32)는 용기 캡(230)의 하부면으로부터 공간부(231) 내측으로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32)는 토출구 이동부(234) 및 토출홀(2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토출구 이동부(234)는 삽입부(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부(232)의 일 영역으로부터 공간부(231)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토출구 이동부(234)는 토출구(251)를 감쌀 수 있는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홀(235)은 토출구 이동부(234)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홀(235)은 용기 캡(230)이 펌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토출구(251)의 높이에 해당되는 토출구 이동부(234)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부(23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관통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용기 캡(230)이 펌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캡(23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토출구(251)가 토출구 이동부(234) 또는 토출홀(235)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관 시에는 토출구(251)를 토출구 이동부(234)에 대응하도록 위치시켜서 토출구(251)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토출할 시에는 용기 캡(230)을 일 방향으로 살짝 회전시켜서 토출구(251)가 토출홀(235)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뒤 내용물을 공간부(231)로 분사하여 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공간부(231)로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다시 용기 캡(23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토출구(251)가 토출구 이동부(234)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뒤 용기 캡(230)을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토출구 이동부(234)는 토출구(251)가 상하 이동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캡(230)의 삽입부(232)에 토출구 이동부(234) 및 토출홀(235)이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공간부(231)로 분사하거나, 용기 캡(230)을 펌프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캡(230)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237)는 용기 캡(230)이 세탁볼로 사용될 시 세탁물에 묻은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캡(230)에는 상부 측이 개구된 천공부(2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부(233)를 통하여 용기 캡(230)이 세탁볼로 이용될 시 공간부(231)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부(23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천공부와 같이 복수개의 홀로 형성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용기 본체 11 : 개구부
12 : 제1 결합부 20 : 개폐부재
21 : 관통홀 22 : 단차부
23 : 제2 결합부 24 : 제1 체결부
30 : 용기 캡 31 : 공간부
32 : 삽입부 34 : 눈금부
35 : 제2 체결부 36 : 하부면
40 : 승강부재 41 : 걸림부
42 : 밀폐부 50 : 팁부재
51 : 토출구 60 : 실린더
70 : 튜브 80 : 탄성부재
100: 세제 용기

Claims (24)

  1.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단에 펌프가 구비된 용기 본체; 및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커버하는 용기 캡;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마련되며, 일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캡은,
    하강에 의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수용하되, 뒤집어지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천공부가 상부 측에 마련되고, 상기 용기 캡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관통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와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의 끝단에 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토출구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내부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 캡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입구 측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유로 및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팁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승강부재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되는 영역의 상부면이, 상기 팁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승강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된 토출구 이동부 및 상기 토출구 이동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구비된 토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은,
    상기 용기 캡이 상기 펌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의 높이에 해당되는 상기 토출구 이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토출구가 상기 토출홀 또는 상기 토출구 이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분사하거나, 상기 용기 캡을 상기 펌프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캡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부면에 상기 용기 캡을 하부로 가압 시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단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가 이동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측 하부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 캡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용기.
  21. 외측 일 영역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관통홀에서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면서 상단에 마련되는 펌프가 구비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펌프를 커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측에 마련되는 천공부; 및
    상기 펌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용기 캡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내부와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의 끝단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하강에 의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내용물을 상기 공간부로 수용하며,
    상기 천공부는, 상기 몸체가 뒤집어지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고,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토출구 하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후 뒤집어지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23. 삭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면에 상기 내용물의 계량을 위한 눈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KR1020160156139A 2016-11-23 2016-11-23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KR10211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39A KR102117703B1 (ko) 2016-11-23 2016-11-23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39A KR102117703B1 (ko) 2016-11-23 2016-11-23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27A KR20180057827A (ko) 2018-05-31
KR102117703B1 true KR102117703B1 (ko) 2020-06-09

Family

ID=6245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139A KR102117703B1 (ko) 2016-11-23 2016-11-23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7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400A (ko) * 1991-05-04 1992-12-18 김병열 유연성이 있는 용기로 부터 액체를 따르기 위한 장치
KR20060032416A (ko) * 2004-10-12 2006-04-17 백상열 유동체 수납용기
KR20100011490U (ko) * 2010-11-07 2010-11-25 임지훈 조명장치가 설치된 세탁볼/목욕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27A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8923B2 (ja)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20150052855A1 (en) Vacuum apparatus
JP5614775B2 (ja) 計量振出キャップ
US4122980A (en) Container top with integral stopper
KR200473940Y1 (ko) 펌핑수단을 갖는 염모제 용기
KR102117703B1 (ko)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CN212100205U (zh) 混合容器
KR200424791Y1 (ko)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US11014106B2 (en) Dispenser device for liquids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CN111902219B (zh) 抽吸容器及容器盖
JP6359407B2 (ja) 吐出容器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20130141758A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101817337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0444043Y1 (ko) 점안제 케이스
JP2005271924A (ja) 液吐出器
KR20120000495U (ko) 화장품 용기
KR101182829B1 (ko) 안약 용기
JP2005247336A (ja) 噴出器
KR200477054Y1 (ko) 화장품 용기용 펌핑캡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