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19B1 -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 Google Patents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19B1
KR102117119B1 KR1020190103825A KR20190103825A KR102117119B1 KR 102117119 B1 KR102117119 B1 KR 102117119B1 KR 1020190103825 A KR1020190103825 A KR 1020190103825A KR 20190103825 A KR20190103825 A KR 20190103825A KR 102117119 B1 KR102117119 B1 KR 10211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shape
capture
attractant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혜림
Original Assignee
길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혜림 filed Critical 길혜림
Priority to KR102019010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부(110), 포획망 형성부(120),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며, 커버부(110)가 개폐가 가능하며,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상단에 위치하여 포획망 형성부(120)로 유입되는 하단의 내측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원형의 테두리면의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말벌 유인부(130)가 형성되는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에 있어서, 포획망 형성부(120)에서 격자 무늬 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망인 포획 타워(121)는, 망을 형성하는 단위 격자의 크기가 꿀벌이 통과가 가능하고 말벌이 통과가 가능하지 않은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부에 유인제를 담은 통을 스테인레스 망 등과 같은 금속망이 있는 상단부에 올려서 금속망의 내부로 말벌을 유도하고 꿀벌은 나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벌의 포집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벌 유인부를 포획망 형성부의 내측으로 형성하면서도 내부로 포획망 형성부의 하단에 형성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형 유인제 함체를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포획망 형성부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도 다른 구성요소의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체결을 나사나 못 등의 체결도구인 몇 개 안되는 고정핀만으로도 현장에서 쉽게 제작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WASP CAPTURING DEVICE WITH BEE EXCLUSION TYPE}
본 발명은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유인제를 담은 통을 스테인레스 망 등과 같은 금속망이 있는 상단부에 올려서 금속망의 내부로 말벌을 유도하고 꿀벌은 나가도록 하기 위한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말벌은 7월경부터 꿀벌 벌통에 출현하여 꿀벌을 말벌들의 유충 먹이로 사용하는데, 8월경이 되면 상기 말벌의 유충들이 성장하여 집단을 이루게 되면, 꿀벌통에 침입하여 대량 교살시켜 양봉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말벌의 꿀벌통으로의 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부를 구비하여 말벌이 벌출입구를 통하여 벌통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부의 설치시 말벌뿐만 아니라, 꿀벌도 벌통내로 진입하지 못하여 꿀 생산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벌통 앞에 설치함으로써, 말벌에 대해서만 포집을 수행하고 꿀벌에 대해서는 자유로이 출입이 자유로운 말벌 포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07346(2017.08.24)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유인제를 담은 통을 스테인레스 망 등과 같은 금속망이 있는 상단부에 올려서 금속망의 내부로 말벌을 유도하고 꿀벌은 나가도록 하기 위한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말벌의 포집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벌 유인부를 포획망 형성부의 내측으로 형성하면서도 내부로 포획망 형성부의 하단에 형성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형 유인제 함체를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포획망 형성부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도 다른 구성요소의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체결을 나사나 못 등의 체결도구인 몇 개 안되는 고정핀만으로도 현장에서 쉽게 제작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는, 커버부(110), 포획망 형성부(120),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며, 커버부(110)가 개폐가 가능하며,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상단에 위치하여 포획망 형성부(120)로 유입되는 하단의 내측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원형의 테두리면의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말벌 유인부(130)가 형성되는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에 있어서, 포획망 형성부(120)에서 격자 무늬 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망인 포획 타워(121)는, 망을 형성하는 단위 격자의 크기가 꿀벌이 통과가 가능하고 말벌이 통과가 가능하지 않은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커버부(1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원판 형상의 하부에 포획망 형성부(1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단(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결단(111)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포획망 형성부(120)의 상부로 삽입되기 위해 원판 형상의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포획망 형성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상단 외주면과 직경이 같거나 3 내지 5mm 크게 내주면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ㄱ자" 형상의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110)는,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말벌 유인홈(142), 포획망 형성부(120)를 거쳐 포획망 형성부(120)로 유입된 말벌이 상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획망 형성부(120) 내부로 포집된 말벌을 처리하기 위해 포획망 형성부(120)과 분리하여 내부의 말벌을 외부로 제거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획망 형성부(120)는, 직사각 형태의 금속망을 원형으로 말아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포획 타워(121), 그리고 포획 타워(121)의 상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 포획 타워(121)의 하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벌의 포집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벌 유인부(130)를 포획망 형성부(120)의 내측으로 형성하면서도 내부로 포획망 형성부(120)의 하단에 형성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내부로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를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포획망 형성부(120)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도 다른 구성요소의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는, 하부에 유인제를 담은 통을 스테인레스 망 등과 같은 금속망이 있는 상단부에 올려서 금속망의 내부로 말벌을 유도하고 꿀벌은 나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는, 말벌의 포집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벌 유인부를 포획망 형성부의 내측으로 형성하면서도 내부로 포획망 형성부의 하단에 형성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형 유인제 함체를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포획망 형성부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도 다른 구성요소의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는, 각 구성요소의 체결을 나사나 못 등의 체결도구인 몇 개 안되는 고정핀만으로도 현장에서 쉽게 제작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저면도(도 3a) 및 평면도(도 3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 중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를 나타내는 저면도(도 3a) 및 평면도(도 3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 중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100)는 커버부(110), 포획망 형성부(120), 말벌 유인부(130),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 그리고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포획망 형성부(120)의 상부로 삽입되기 위해 원판 형상의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포획망 형성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상단 외주면과 직경이 같거나 3 내지 5mm 크게 내주면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ㄱ자" 형상의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체결되는 체결단(11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말벌 유인홈(142), 포획망 형성부(120)를 거쳐 포획망 형성부(120)로 유입된 말벌이 상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포획망 형성부(120) 내부로 포집된 말벌을 처리하기 위해 포획망 형성부(120)과 분리하여 내부의 말벌을 외부로 제거하는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포획망 형성부(120)는 직사각 형태의 금속망을 원형으로 말아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포획 타워(121), 그리고 포획 타워(121)의 상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 포획 타워(121)의 하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획 타워(121)는 격자 무늬 망 형상으로 형성되며, 망을 형성하는 단위 격자의 크기가 꿀벌이 통과가 가능하고 말벌이 통과가 가능하지 않은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획 타워(121)의 격자 무늬 직경이 5mm 내지 10mm 사이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말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꿀벌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말벌만 포획 타워(121) 내부로 가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은 포획 타워(121)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포획 타워(121)의 내경과 동일한 길이의 외경을 갖는 림(rim) 형태로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단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은 상단의 외주면으로 커버부(110)의 체결단(111)의 내부면이 맞닿는 형태로 커버부(110)를 삽입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하단의 외주면으로 포획 타워(121)의 상단부가 제 1 고정핀(1a)을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무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고정핀(1a)은 포획 타워(121)의 격자 무늬를 구성하는 하나의 격자를 활용하여 포획 타워(121)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하단부를 관통함으로써, 포획 타워(121)와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 사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은 포획 타워(121)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포획 타워(121)의 내경과 동일한 길이의 외경을 갖는 림(rim) 형태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내측의 격벽을 활용하여 말벌 유인부(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은 환형의 림의 단면이"
Figure 112019086951362-pat00001
자" 형태로 외측 수직단, 중앙 수평단, 내측 수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측의 하단으로는 제 2 고정핀(1b)이 외부에서 내부로 체결되며, 내측의 상단으로는 제 3 고정핀(1c)이 내부에서 외부로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고정핀(1b)은 포획망 형성부(120) 중 포획 타워(121)의 하단을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의 외측 수직단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3 고정핀(1c)은 말벌 유인부(130)의 하단을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의 내측 수직단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말벌 유인부(130)는 주둥이에 해당하는 상부는 폭이 좁고 개방되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폭이 넓은 형태로 수직단면이 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에서 말벌이 유입하여 상부 끝단의 개구부를 통해 포획망 형성부(120)로 말벌들을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말벌 유인부(130)의 최상단의 높이는 포획망 형성부(120)의 최상단에 비해 1/5 내지 1/3의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포획망 형성부(120)로 유입되는 말벌의 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말벌 유인부(130)는 포획 타워(121)와 동일하게 격자 무늬 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격자 무늬의 직경이 5mm 내지 10mm 사이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말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꿀벌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말벌만 포획 타워(121) 내부로 가두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꿀벌은 말벌 유인부(130) 형성된 영역과 포획 타워(121)가 형성된 영역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는 하단부 본체(141), 말벌 유인홈(142), 하단지지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 본체(141)는 말벌 유인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말벌 유인부(130)와 같이 주둥이에 해당하는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는 폭이 넓은 형태의 수직단면이 원 형태로 형성되되, 말벌 유인부(130)의 상향으로 진행하는 폭의 좁아짐 각도에 비해 작은 각도로 상향으로 진행하는 폭의 좁아짐 각도를 가짐으로써, 측부의 말벌 유인홈(142)으로부터 말벌이 유입되는 양을 많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에 연결된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의 내측으로 연결된 말벌 유인부(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말벌이 유도되도록 하는 사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말벌 유인홈(142)은 하단부 본체(141)의 수평면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네 곳이 형성되되, 하단부 본체(141)의 측부를 따라서 동일 높이 또는 다른 높이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4곳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 2, 3 곳, 또는 5곳 이상에 형성되는 말벌 유인홈(142)이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말벌 유인홈(142)의 높이는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가 하단부 본체(141)의 개구된 하부로 체결된 상태의 말벌 유인홈(142)의 최상단의 높이와 촤하단의 높이 사이에 함체부(151)의 최상단의 높이가 위치하여야 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말벌이 유입할 수 있는 높이와 폭이 설정되도록 함체부(151)의 최상단의 높이와 말벌 유인홈(142)의 최상단의 높이 사이에는 1cm 내지 1.5cm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지지부(143)는 하단부 본체(141)의 최하단부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를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이동되거나 엎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함체부(151), 체결력 향상단(152), 중앙 돌기단(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151)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향으로 오른 형상의 중앙 돌기단(153)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면을 구성하는 함체부(151)와 중앙 돌기단(153) 사이에 말벌 유인제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체부(151)가 깔때기 형상이라면 그 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돌기단(153)은 수직 방향에서 깔때기 형상이 뒤집힌 형태인 말벌 유인부(130), 하단부 본체(14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면이 막히고 하부면이 개구되면서 하부면의 테두리와 함체부(151)의 하단이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유인제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력 향상단(152)은 가압단(152a), 외측 함몰단(152b), 하부 함몰단(15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단(152a)은 양측의 외측 함몰단(152b)을 중심으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력 향상단(152)은 함체부(151)의 최상단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하단부 본체(141)와 미리 맞닿아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접촉면을 높이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가압단(152a)은 체결력 향상단(152)의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음각 형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외측 함몰단(152b)의 중앙에 형성되며, 함체부(151)의 수평면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네 곳이 형성되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단(152a)이 형성된 체결력 향상단(15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부(151)에는 가압단(152a)과 2개의 외측 함몰단(152b)의 전체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의 하부 함몰단(152c)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가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 내부로 삽입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내측 접촉 지점과 맞닿아 하부의 하부 함몰단(152c)과 측부의 외측 함몰단(152b)의 구조에 의해 양측의 외측 함몰단(152b)의 중심인 가압단(152a)으로 압력이 집중되며, 압력이 집중된 상태에서 하부의 하부 함몰단(152c)으로 가압단(152a)의 하단부가 밀려들어 가게 됨으로써,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에서 함체부(151)에 비해 직경이 큰 체결력 향상단(152)이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과 맞닿는 면과 향상된 접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110 : 커버부
120 : 포획망 형성부
130 : 말벌 유인부
140 :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
150 : 삽입형 유인제 함체

Claims (6)

  1.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포획망 형성부
    (120)의 상부로 삽입되기 위해 원판 형상의 하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포획망 형성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상단 외주면과 직경이 같거나 3 내지 5mm 크게 내주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ㄱ자" 형상의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2)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체결되는 체결단(111)이 형성되는 커버부(110);
    직사각 형태의 금속망을 원형으로 말아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꿀벌이 통과가 가능하고 말벌이통과되지 못하도록 격자 무늬 직경이 5mm 내지 10mm 사이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말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꿀벌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말벌만 내부로 가두는 역할을수행하는 "포획 타워(121)"와,
    포획 타워(121)의 상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단 형태 유지 및 고
    정단(122)"와,
    포획 타워(121)의 하단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포획 타워(121)의 하단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해 포획 타워(121)의 내경과 동일한 길이의 외경을 갖는림(rim) 형태로 형성되며,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인제수용형 하단부(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내측의 격벽을 활용하여말벌 유인부(1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며, 환형의 림의 단면이 "
    Figure 112020030853005-pat00008
    자" 형태로 외측 수직단, 중앙 수평단, 내측 수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 수직단의 하단 위치에서 제 2 고정핀(1b)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포획망 형성부(120) 중 포획 타워(121)의 하단을 외측 수직단으로 고정시키며, 내측 수직단의 상단 위치에서, 제 3 고정핀(1c)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말벌 유인부(130)의 하단을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의 내측 수직단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획망 형성부(120);
    최상단의 높이는 포획망 형성부(120)의 최상단에 비해 1/5 내지 1/3의 높이로 형성되며, 포획 타워(121)와 동일하게 격자 무늬 망 형상으로 격자 무늬의 직경이 5mm 내지 10mm 사이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말벌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꿀벌은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말벌만 포획 타워(121) 내부로 가두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꿀벌은 말벌 유인부(130) 형성된 영역과 포획 타워(121)가 형성된 영역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말벌 유인부(130); 및 말벌 유인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말벌 유인부(130)와 같이 주둥이에 해당하는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는 폭이 넓은 형태의 수직단면이 원 형태로 형성되되, 말벌 유인부(130)의 상향으로 진행하는 폭의 좁아짐 각도에 비해 작은 각도로 상향으로 진행하는 폭의 좁아짐 각도를 가짐으로써, 측부의 말벌 유인홈(142)으로부터 말벌이 유입되는 양을 많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에 연결된 하단 형태 유지 및 고정단(123)의 내측으로 연결된 말벌 유인부(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말벌이 유도되도록 하는 사전 과정을 수행하는 "하단부 본체(141)"와,
    하단부 본체(141)의 수평면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단부 본체(141)의 측부를따라서 동일 높이 또는 다른 높이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높이가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가 하단부 본체(141)의 개구된 하부로 체결된 상태에서 말벌유인홈(142)의 최상단의 높이와 촤하단의 높이 사이에 함체부(151)의 최상단의 높이가 위치하여야 하되, 말벌이 유입할 수 있는 높이와 폭이 설정되도록 함체부(151)의 최상단의 높이와 말벌 유인홈(142)의 최상단의 높이 사이에는 1cm 내지 1.5cm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말벌 유인홈(142)"와,
    하단부 본체(141)의 최하단부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삽입형 유인제함체(150)를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도 유인제 수용형하단부(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단지지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 및
    "중앙 돌기단(153)"과,
    깔때기 형상으로 외부면을 구성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향으로 오른 형상의중앙 돌기단(153)이 형성됨으로써, 구성된 외부면와 중앙 돌기단(153) 사이에 말벌유인제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는 "함체부(151)"와,
    함체부(151)의 최상단에 함체부(151)의 테두리면을 형성하며, 가압단(152a),외측 함몰단(152b), 2개의 하부 함몰단(152c), 하부 함몰단(152c)이 하나의 단위로 함체부(151)의 수평면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네 곳이 형성되되, 상호간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가압단(152a)이 음각 형상에 해당하는 두 개의 외측 함몰단(152b)의 중앙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가압단(152a)이 형성된 체결력 향상단(15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부(151) 상에 가압단(152a)과 2개의 외측 함몰단(152b)의 전체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의 하부 함몰단(152c)이 상하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력 향상단(152)"으로 이루어지며, 함체부(151)가 깔때기 형상이며 함체부(151) 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돌기단(153)이 수직 방향에서 깔때기 형상이 뒤집힌 형태인 말벌 유인부(130), 하단부 본체(14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면이 막히고 하부면이 개구되면서 하부면의 테두리와 함체부(151)의 하단이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유인제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 를 포함하며,
    말벌의 포집양을 극대화하기 위해 말벌 유인부(130)를 포획망 형성부(120)의 내측으로 형성하면서도 내부로 포획망 형성부(120)의 하단에 형성된 유인제 수용형 하단부(140)의 내부로 삽입형 유인제 함체(150)를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포획망 형성부(120)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면서도 다른 구성요소의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03825A 2019-08-23 2019-08-23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KR10211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5A KR102117119B1 (ko) 2019-08-23 2019-08-23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5A KR102117119B1 (ko) 2019-08-23 2019-08-23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119B1 true KR102117119B1 (ko) 2020-05-29

Family

ID=7091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25A KR102117119B1 (ko) 2019-08-23 2019-08-23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165A (ko) 2020-09-23 2022-03-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봉용 꿀벌통의 말벌 퇴치 장치
WO2022129662A1 (es) * 2020-12-16 2022-06-23 Menendez Garcia Juan Carlos Trampa para avispas velutinas
KR102574481B1 (ko) 2022-09-15 2023-09-01 길혜림 하이브리드 말벌 포집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797B1 (en) * 2004-05-25 2008-08-19 Hiscox William C Free-standing flying insect trap with removable cartridge
KR101557265B1 (ko)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20160000802U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20170135154A (ko)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825819B1 (ko) * 2016-07-18 2018-03-22 김평우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797B1 (en) * 2004-05-25 2008-08-19 Hiscox William C Free-standing flying insect trap with removable cartridge
KR20160000802U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대동금속 말벌 포획기
KR101557265B1 (ko) * 2015-06-04 2015-10-02 이철호 말벌 수집 장치
KR20170135154A (ko) * 2016-05-30 2017-12-08 오승재 말벌 포획장치
KR101825819B1 (ko) * 2016-07-18 2018-03-22 김평우 해충 트랩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07346(2017.08.24)호 "벌통에 구비되는 말벌 차단 기구(A Hornet Blocking Device Of Beehi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165A (ko) 2020-09-23 2022-03-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봉용 꿀벌통의 말벌 퇴치 장치
WO2022129662A1 (es) * 2020-12-16 2022-06-23 Menendez Garcia Juan Carlos Trampa para avispas velutinas
KR102574481B1 (ko) 2022-09-15 2023-09-01 길혜림 하이브리드 말벌 포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119B1 (ko) 꿀벌 선별 제외형 말벌 포집기
KR101845239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799771B1 (ko) 말벌 포획장치
KR101723346B1 (ko) 말벌 수집 장치
JP4856267B1 (ja) ミツバチ巣箱用底板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101287354B1 (ko) 로얄제리 채취용 이충벌집광
KR101794477B1 (ko) 양봉용 화분 채분기
EP3360412A1 (en) Wasp catching device
CN207692787U (zh) 一种甜菜夜蛾诱捕器
CN110113939A (zh) 用于养蜂的蜂巢脾以及使用该蜂巢脾的蜂箱
EP2415346A2 (en) Trap for insects
US20210386048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KR101758637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KR101174425B1 (ko) 사봉 수집 장치
KR102574481B1 (ko) 하이브리드 말벌 포집기
KR102526023B1 (ko) 다목적 멀티 포획트랩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CN211932173U (zh) 一种昆虫诱捕器
EP3878276A1 (en) Wasp catching device provided on beehive
AU2017254942C1 (en) Stingless Bee Keeping Frame and Assembly
RU91255U1 (ru) Кассета для медогонки с проволочным каркасом рам
TWI828380B (zh) 黃蜂捕捉器
CN218389479U (zh) 一种昆虫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