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261B1 - 송전철탑 - Google Patents

송전철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261B1
KR102116261B1 KR1020140102178A KR20140102178A KR102116261B1 KR 102116261 B1 KR102116261 B1 KR 102116261B1 KR 1020140102178 A KR1020140102178 A KR 1020140102178A KR 20140102178 A KR20140102178 A KR 20140102178A KR 102116261 B1 KR102116261 B1 KR 10211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riction
frame member
deform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100A (ko
Inventor
배춘희
양경현
장용희
김성민
김두영
김성진
황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0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2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04H12/14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송전철탑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송전철탑은, 프레임부재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댐퍼부재와, 제1댐퍼부재와 이격되어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며,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댐퍼부재를 포함하고, 제2댐퍼부재는, 프레임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댐퍼고정부와, 프레임부재와 제2댐퍼고정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는 변형부와, 변형부와, 프레임부재 또는 제2댐퍼고정부를 연결하며, 변형부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철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댐퍼부재가 구비되어 프레임부재에 장착이 용이하고, 풍하중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철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송전철탑은 4개의 주프레임부(주주재)와, 주프레임부 등을 연결하는 서브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가 구비되어 암, 애자 및 전선 등을 지지한다.
일반적인 송전철탑은 풍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송전철탑의 주프레임부의 기초 및 주프레임부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풍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
다만, 주프레임부의 기초 및 주프레임부 자체를 보강하는 방식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고, 송전철탑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재료의 원거리 운반이 어렵고,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3993호(2013.01.09 공개, 발명의 명칭: 철탑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풍하중 등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철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댐퍼부재; 및 상기 제1댐퍼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댐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댐퍼고정부;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댐퍼고정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와, 상기 프레임부재 또는 상기 제2댐퍼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댐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1댐퍼고정부;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제1댐퍼이동부; 및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제1댐퍼이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제1댐퍼이동부 사이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제1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댐퍼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댐퍼이동부에 형성된 장홀에 결합되는 중간연결판; 및 상기 중간연결판과 상기 제1댐퍼이동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중간연결판과 상기 제1댐퍼이동부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댐퍼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연결판과 마찰되는 제1마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중간연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중간연결판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간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형부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변형부;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변형부; 및 상기 제1변형부와 상기 제2변형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변형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댐퍼부는, 일단부가 상기 변형부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댐퍼1연결부;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고정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2댐퍼2연결부; 및 상기 제2댐퍼1연결부와 상기 제2댐퍼2연결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댐퍼1연결부와 상기 제2댐퍼2연결부 사이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제2댐퍼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댐퍼마찰부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제2댐퍼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마찰조절봉; 상기 마찰조절봉이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마찰조절부; 상기 마찰조절봉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쐐기이탈방지부; 상기 마찰조절부와 상기 쐐기이탈방지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마찰조절부가 상기 마찰조절봉에 결합된 위치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며 경사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쐐기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쐐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쐐기부 사이 간격의 변동에 따라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을 가압하는 제2댐퍼마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은 다각형 형상이며, 상기 쐐기부 및 상기 제2댐퍼마찰재는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은 구성 및 장착이 용이하며, 이종(異種), 복수 개의 댐퍼부재를 이용하여 풍하중에 대한 프레임부재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연결판과 제1댐퍼이동부 사이에 마찰재를 구비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주프레임부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연결판과 제1댐퍼고정부 사이에 간극부를 구비하여 중간연결판과 제1댐퍼고정부 사이의 간극 발생을 줄임으로써 중간연결판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댐퍼부재에 구비되는 쐐기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2댐퍼마찰재와 제2댐퍼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이 다각형으로 구비되고, 쐐기부 및 제2댐퍼마찰재가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균일한 마찰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장착된 제1댐퍼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제1댐퍼고정부 및 제1댐퍼이동부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고정부 및 제1댐퍼이동부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조절부, 쐐기부 및 제2댐퍼마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부 및 제2댐퍼마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마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1)은 프레임부재(100), 제1댐퍼부재(200) 및 제2댐퍼부재(3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100)는 송전철탑(1)의 골격을 형성하며 전선, 애자 등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100)는 주프레임부(110)와, 서브프레임부(130)를 포함한다.
주프레임부(110)는 프레임부재(100)의 외곽에 위치하여 지면(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프레임부(110)는 4개가 구비되며, 하단부가 콘크리트 타설 방식에 의하여 지면(10)에 고정된다.
서브프레임부(130)는 주프레임부(110) 또는 서브프레임부(130) 상호 간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서브프레임부(130) 자체 또는 주프레임부(110)의 강성을 보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장착된 제1댐퍼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댐퍼부재(200)는 프레임부재(100), 특히 주프레임부(110)에 결합되고, 프레임부재(100)의 변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며, 길이가 가변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프레임부재(100)의 변형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부재(200)는 제1댐퍼고정부(210), 제1댐퍼이동부(230) 및 제1댐퍼부(25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에 제1댐퍼고정부 및 제1댐퍼이동부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고정부 및 제1댐퍼이동부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댐퍼고정부(210)는 프레임부재(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고정부(2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ㄴ" 자 단면으로 구비되며 역시 "ㄴ" 자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댐퍼연결부(211)와 함께 주프레임부(110)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댐퍼이동부(230)는 제1댐퍼고정부(210)와 이격되어 프레임부재(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이동부(230)는 제1댐퍼고정부(210)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1댐퍼고정부(210)에서 이격되어, 제1댐퍼연결부(211)와 함께 주프레임부(1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이동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장홀(231)이 형성되며, 제1댐퍼부(250)가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댐퍼부(250)는 제1댐퍼고정부(210)에 결합되고, 제1댐퍼이동부(2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댐퍼부(250)는 프레임부재(100), 특히 주프레임부(110)의 변형에 따라 제1댐퍼이동부(230)에 대하여 이동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제1댐퍼이동부(23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프레임부재(100)의 변형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부(250)는 중간연결판(251) 및 제1마찰재(255)를 포함한다.
중간연결판(251)은 제1댐퍼고정부(210)에 고정되고, 제1댐퍼이동부(230)에 형성된 장홀(231)의 길이 방향으로 제1댐퍼이동부(230)와 상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연결판(251)은 제1댐퍼고정부(210) 및 제1댐퍼이동부(2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댐퍼고정부(210) 및 제1댐퍼이동부(230)에 접하며, 제1댐퍼고정부(210) 및 제2댐퍼고정부(310)에 볼팅 결합된다.
제1마찰재(255)는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에 개재되며, 중간연결판(251)의 이동에 따라 제1댐퍼이동부(230)와 마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마찰재(255)는 유기질 마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간연결판(251)을 제1댐퍼이동부(230)에 볼팅 결합할 때, 볼트로 예시되는 체결부재(b)가 제1마찰재(255)를 관통하도록 하여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사이에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부(250)는 간극부(257)를 더 포함한다. 간극부(257)는 제1댐퍼고정부(210)와 중간연결판(251) 사이에 개재되어, 제1댐퍼고정부(210)와 중간연결판(251) 사이의 간극을 줄인다.
즉, 간극부(257)는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에 제1마찰재(255)가 개재되는 것에 대응하여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고정부(21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1마찰재(255)가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고정부(21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극을 줄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댐퍼부재(300)는 제1댐퍼부재(200)와 이격되어 프레임부재(10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재(100)의 변형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부재(300)는 제2댐퍼고정부(310), 변형부(330) 및 제2댐퍼부(350)를 포함한다.
제2댐퍼고정부(310)는 프레임부재(100), 특히 주프레임부(11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고정부(3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프레임부(110)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변형부(330)는 프레임부재(100)와 제2댐퍼고정부(310)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프레임부재(100)의 변형에 따라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부(330)는 제1변형부(331), 제2변형부(333) 및 변형부연결부(335)를 포함한다.
제1변형부(331)는 일단부가 프레임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변형부(331)는 프레임부재(1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변형부연결부(335)에 의하여 제2변형부(3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변형부(333)는 일단부가 제1변형부(331)의 타단부에 변형부연결부(35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댐퍼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변형부(330)는 주프레임부(110)이 변형될 때, 제1변형부(331)와 제2변형부(333)가 이루는 각도가 변하게 되며, 제1변형부(331)와 제2변형부(333)의 연결부위인 변형부연결부(335)의 변위는 주프레임부(110)의 길이 변화에 비하여 큰 값에 해당하므로 제2댐퍼부(350)에 의하여 운동에너지가 마찰에너지로 변환되는 양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댐퍼부(350)는 변형부(330)와, 프레임부재(100) 또는 제2댐퍼고정부(310)의 타단부를 연결하며, 변형부(330)의 변형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부(350)는 제2댐퍼1연결부(351), 제2댐퍼2연결부(352) 및 제2댐퍼마찰부(353)를 포함한다.
제2댐퍼1연결부(351)는 일단부가 변형부(330), 특히 변형부연결부(3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댐퍼2연결부(352)는 일단부가 제2댐퍼고정부(310) 또는 프레임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부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조절부, 쐐기부 및 제2댐퍼마찰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쐐기부 및 제2댐퍼마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퍼마찰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2댐퍼마찰부(353)는 제2댐퍼1연결부(351)와 제2댐퍼2연결부(352)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댐퍼1연결부(351)와 제2댐퍼2연결부(352) 사이의 이동을 제한하는 마찰력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마찰부(353)는 제2댐퍼하우징(354), 마찰조절봉(355), 마찰조절부(356), 쐐기이탈방지부(357), 쐐기부(358) 및 제2댐퍼마찰재(359)를 포함한다.
제2댐퍼하우징(354)은 일측에 개구부(354a)가 구비되며, 내측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하우징(354)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측면에 제2댐퍼마찰재(359)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마찰됨으로써 제2댐퍼1연결부(351)와 제2댐퍼2연결부(35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마찰조절봉(355)은 개구부(354a)를 통하여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으로 진입하며 마찰조절부(356)와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조절봉(355)은 일단부가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에 위치하고, 너트 등으로 예시되는 쐐기이탈방지부(357)가 결합된다.
마찰조절봉(355)의 타단부는 제2댐퍼하우징(354)의 외측에 위치하며, 마찰조절봉(355)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인 마찰조절판(355a)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마찰조절판(355a)을 이용하여 마찰조절봉(35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찰조절부(356)는 마찰조절봉(355)에 결합되며, 마찰조절봉(355)의 회전에 따라 마찰조절봉(355)에 대한 결합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마찰조절부(356)와 쐐기이탈방지부(357)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쐐기부(358)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쐐기부(358)는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구체적으로 쐐기이탈방지부(357)와 마찰조절부(356)의 사이에 위치하고, 마찰조절부(356)가 마찰조절봉(355)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쐐기부(358)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쐐기부(358)는 경사면(358a)이 형성되고, 쐐기부(358)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때, 제2댐퍼마찰재(359)를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단면으로 가압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쐐기부(358)는 마찰조절봉(355)이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복수 개 구비된다.
제2댐퍼마찰재(359)는 쐐기부(358) 사이에 위치하며, 쐐기부(358)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때, 쐐기부(358)의 경사면(358a)을 타고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2댐퍼하우징(354)과의 마찰력이 증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며, 쐐기부(358) 및 제2댐퍼마찰재(359)는 제2댐퍼하우징(35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2댐퍼마찰재(359)는 한 쌍의 쐐기부(358)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2댐퍼마찰재(359)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의 제2댐퍼마찰판(359a)을 포함하여,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면에 각각 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제1댐퍼부재(200)와 제2댐퍼부재(300)는 각각 주프레임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주프레임부(110)에 결합된다. 제1댐퍼부재(200)와 제2댐퍼부재(300)는 볼팅 등의 방식으로 주프레임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프레임부재(100)에 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프레임부재(100)의 좌우 유동 등에 의하여 주프레임부(110)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제1댐퍼부재(200)의 경우 제1댐퍼고정부(210)와 제1댐퍼이동부(230)는 주프레임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주프레임부(110)의 길이가 신축되는 경우 제1댐퍼이동부(230)가 중간연결판(251)에 대하여 장홀(2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마찰재(255)는 중간연결판(251)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체결부재(b)에 의하여 제1댐퍼이동부(230) 측으로 가압된 상태이므로 마찰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마찰력은 제1댐퍼이동부(230)가 이동하는 힘을 상쇄시키거나, 열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제1마찰재(255)와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1댐퍼이동부(230) 및 제1댐퍼이동부(230)가 결합된 부위의 주프레임부(11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결국 주프레임부(110) 전체의 길이 변형 등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주프레임부(110)는 제1댐퍼부재(20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풍하중에 대한 저항강성이 보강된다.
또한, 제2댐퍼부재의 경우 주프레임부(110)의 변형에 의하여 주프레임부(110)와 제2댐퍼고정부(310)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주프레임부(110)와 제2댐퍼고정부(310)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면, 제1변형부(331)와 제2변형부(333)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는데, 이러한 변경에 의하여 변형부연결부(335)에 연결된 제2댐퍼부(350)에 제2댐퍼부(350)의 길이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제2댐퍼1연결부(351)와 제2댐퍼2연결부(352)의 상대 위치가 변하게 된다.
제2댐퍼1연결부(351)와 제2댐퍼2연결부(35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제2댐퍼마찰판(359a)이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고, 제2댐퍼마찰판(359a)과 제2댐퍼하우징(35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해당 힘이 상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송전철탑(1)은 구성 및 장착이 용이하며, 이종(異種), 복수 개의 제1댐퍼부재(200) 및 제2댐퍼부재(300)를 이용하여 풍하중에 대한 프레임부재(1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전철탑(1)은 제1댐퍼부재(200)가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이동부(230) 사이에 제1마찰재(255)를 구비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주프레임부(110)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전철탑(1)은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고정부(210) 사이에 간극부(257)를 구비하여, 중간연결판(251)과 제1댐퍼고정부(210) 사이의 간극 발생을 줄임으로써 중간연결판(251)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전철탑(1)은 제2댐퍼부재(300)에 구비되는 쐐기부(358)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2댐퍼마찰재(359)와 제2댐퍼하우징(354)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전철탑(1)은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단면이 다각형으로 구비되고, 쐐기부(358) 및 제2댐퍼마찰재(359)가 제2댐퍼하우징(354)의 내측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제2댐퍼마찰재(359)와 제2댐퍼하우징(354)의 안정적인 면접촉이 가능하여 균일한 마찰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송전철탑 10: 지면
100: 프레임부재 110: 주프레임부
130: 서브프레임부 200: 제1댐퍼부재
210: 제1댐퍼고정부 211: 제1댐퍼연결부
230: 제1댐퍼이동부 250: 제1댐퍼부
251: 중간연결판 255: 제1마찰재
257: 간극부 300: 제2댐퍼부재
310: 제2댐퍼고정부 330: 변형부
331: 제1변형부 333: 제2변형부
335: 변형부연결부 350: 제2댐퍼부
351: 제2댐퍼1연결부 352: 제2댐퍼2연결부
353: 제2댐퍼마찰부 354: 제2댐퍼하우징
354a: 개구부 355: 마찰조절봉
355a: 마찰조절판 356: 마찰조절부
357; 쐐기이탈방지부 358: 쐐기부
358a: 경사면 359: 제2댐퍼마찰재
359a: 제2댐퍼마찰판

Claims (8)

  1.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1댐퍼부재; 및
    상기 제1댐퍼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댐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댐퍼고정부;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댐퍼고정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부재의 변형에 따라 형상이 변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와, 상기 프레임부재 또는 상기 제2댐퍼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변형부의 변형을 감소시키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변형부;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변형부; 및
    상기 제1변형부와 상기 제2변형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변형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부는,
    일단부가 상기 변형부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댐퍼1연결부;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고정부 또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2댐퍼2연결부; 및
    상기 제2댐퍼1연결부와 상기 제2댐퍼2연결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댐퍼1연결부와 상기 제2댐퍼2연결부 사이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제2댐퍼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댐퍼마찰부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제2댐퍼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마찰조절봉;
    상기 마찰조절봉이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마찰조절부;
    상기 마찰조절봉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쐐기이탈방지부;
    상기 마찰조절부와 상기 쐐기이탈방지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마찰조절부가 상기 마찰조절봉에 결합된 위치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며 경사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쐐기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쐐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쐐기부 사이 간격의 변동에 따라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을 가압하는 제2댐퍼마찰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조절봉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찰조절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찰조절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조절부는 상기 마찰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찰조절봉에 대한 결합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마찰조절부와 상기 쐐기이탈방지부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상기 쐐기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제1댐퍼고정부;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제1댐퍼이동부; 및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제1댐퍼이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제1댐퍼이동부 사이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제1댐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댐퍼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댐퍼이동부에 형성된 장홀에 결합되는 중간연결판; 및
    상기 중간연결판과 상기 제1댐퍼이동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중간연결판과 상기 제1댐퍼이동부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댐퍼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연결판과 마찰되는 제1마찰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중간연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댐퍼고정부와 상기 중간연결판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간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은 다각형 형상이며, 상기 쐐기부 및 상기 제2댐퍼마찰재는 상기 제2댐퍼하우징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KR1020140102178A 2014-08-08 2014-08-08 송전철탑 KR10211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178A KR102116261B1 (ko) 2014-08-08 2014-08-08 송전철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178A KR102116261B1 (ko) 2014-08-08 2014-08-08 송전철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00A KR20160018100A (ko) 2016-02-17
KR102116261B1 true KR102116261B1 (ko) 2020-05-29

Family

ID=5545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178A KR102116261B1 (ko) 2014-08-08 2014-08-08 송전철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410A (zh) * 2018-08-29 2019-01-01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 铁塔辅助支撑补强装置
KR102518119B1 (ko) * 2020-12-31 2023-04-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674A (ja) * 2005-03-15 2006-09-28 Tokai Rubber Ind Ltd 建物の制震構造
JP2012007451A (ja) * 2010-06-28 2012-01-12 Tatsuji Ishimaru 制振装置、鉄塔及び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6532A (ja) * 1988-06-15 1989-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ダンパ
KR101022286B1 (ko) * 2008-11-12 2011-03-21 씨엠알기술연구원(주) 왕복식 마찰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674A (ja) * 2005-03-15 2006-09-28 Tokai Rubber Ind Ltd 建物の制震構造
JP2012007451A (ja) * 2010-06-28 2012-01-12 Tatsuji Ishimaru 制振装置、鉄塔及び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00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934B2 (en) Wind turbine, a wind turbine blade, and a method of reinforcing a wind turbine blade
KR102116261B1 (ko) 송전철탑
EP3354894B1 (en) Guiding device for assembling wind turbine towers
KR200462861Y1 (ko) 조작이 용이한 수동식 태양전지판 지지장치
CN110337529A (zh) “用于生产混凝土产品的模板”
CN106437184A (zh) 一种用于混凝土叠合板的浇筑支撑架及其安装使用方法
KR101354864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지지장치
CN211873906U (zh) 一种基于计算机控制的装配式建筑结构
DE102010039316A1 (de) Turm für eine Windturbine
EP2633125B1 (en) Column shoe
JP3192289U (ja) ソーラーパネル太陽追跡システムの牽引装置固定構造
CN102069783A (zh) 汽车起重机及其支腿操纵装置
JP2015163045A (ja) ソーラーパネル太陽追跡システムの牽引装置固定構造
CN102787545A (zh) 熨平板和摊铺机
CN210596978U (zh) 聚氨酯填充式斜拉索外置阻尼器
WO2011095729A2 (fr) Eolienne montee sur un massif d'ancrage
CN110939211B (zh) 一种高耗能复合阻尼器及其耗能方法
KR101539371B1 (ko) 모멘트 저감 산형 골조
KR200414107Y1 (ko) 프리로딩 잭
CN218346465U (zh) 一种装配式x型耗能支撑装置
CN203701069U (zh) 一种挡绳装置、臂头结构及强夯机
CN105406168B (zh) 一种雷达天线阵面抗风稳定装置
CN204590486U (zh) 一种柔性连接装置、外墙板及外墙板安装节点
CN219491823U (zh) 一种钢结构可调节支撑架
CN209723605U (zh) 一种装配式建筑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