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386B1 -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 Google Patents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386B1
KR102109386B1 KR1020200018315A KR20200018315A KR102109386B1 KR 102109386 B1 KR102109386 B1 KR 102109386B1 KR 1020200018315 A KR1020200018315 A KR 1020200018315A KR 20200018315 A KR20200018315 A KR 20200018315A KR 102109386 B1 KR102109386 B1 KR 10210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nsert
room mirror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관휘
공용진
Original Assignee
(주)경덕산업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덕산업,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경덕산업
Priority to KR102020001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3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for a bracket for fixing a vehicle room mirror, and a bracket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thermal deformation and suppress deformation against external shocks. The inser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erted into a bracket for fixing a room mirro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hicle window glass, includes: a center support part (210) of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pair or more of connection parts (220) of a flat plate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support part (210); a side support part (230) of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each one end of the pair or more of connection parts (220); and an auxiliary support part (24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 part (230).

Description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브라켓{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본 발명은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유리창 내면에 설치되는 룸미러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브라켓용 인써트 및 인써트가 내장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and a bracket for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having a built-in insert and an insert for a bracket used for fixing a room mirror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vehicle glass window.

모든 차량 내부에는 후방의 차량 흐름이나 뒷자석의 탑승자를 확인할 용도로 룸미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룸미러는 통상 전면 유리창 내부 가운데에 위치하는데, 유리창에 룸미러를 바로 연결하지 않고 통상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다.All vehicles are equipped with room mirr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vehicle flow in the rear or occupants in the rear seats. Such a room mirror is usu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front windshield, but instead of directly connecting the room mirror to the glass window, a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is usually us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룸미러 고정 브라켓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 유리의 전면에 고정된 후 룸미러 홀더와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hown in Figure 1,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is generally fix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glass and then fastened with the room mirror holder.

한편, 룸미러 홀더와 체결 시에는 홀더와 긴밀하게 밀착해야 하며, 온도나 외력에 의해 변형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fastening with the room mirror holder, it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and deformation should be minimized by temperature or external force.

하지만 도 1에 도시한 선행기술에 의한 경우,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룸미러 홀더와의 슬라이딩 체결시 측면 마모로 인해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since it is composed of a single part, deformation is easy to occur,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play may occur due to side wear when sliding with the room mirror holder.

한국등록디자인 제0883585호Korean Registered Design No. 088358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름철과 같은 차량 실내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인써트가 내장된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ket with an insert that can minimize thermal deformation and suppress deformation from external impact even 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s high, such as in summer. .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룸미러 홀더와의 슬라이딩 체결시 측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써트가 내장된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with an insert that can prevent wear on the side when sliding fastening with a room mirror holde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창 내면에 설치되는 룸미러를 고정하는 브라켓 내부에 삽입되는 인써트는,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중앙 지지부(210);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면서 연결된 한 쌍 이상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20); 상기 한 쌍 이상의 연결부(220) 일측 끝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측면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 지지부(230)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된 보조 지지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sert inserted into a bracket for fixing a room mirror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vehicle windsh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entral support portion 210 of a fla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connection portion 220 formed of a pair of flat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A pair of flat side-side supports 230 each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connection parts 22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240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ide support 23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에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 85~95°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sert provided in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maintain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85-95 ° angle of the central support (2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에서, 상기 연결부(220)는 소정 거리 이격된 2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sert provided in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two pair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에서, 상기 평판 형상의 측면 지지부(230)는,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 2~10°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 또는 하부 평면과는 92~100°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sert provided inside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of the flat plate shape maintai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ngle of 2 to 10 ° of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n angle of 92 to 100 ° with the upper or lower plane of 2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240)는 평판 형상의 절곡부(241), 및 평판 형상의 수평부(2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241)는 상기 측면 지지부(230)에서 소정 길이 상향 연장된 후 중앙 지지부(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지게 절곡되고, 상기 수평부(242)는 상기 절곡부(241)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지지부(210)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sert provided inside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upport 240 is made of a flat plate-shaped bent portion 241, and a flat-shaped horizontal portion 242, the bent portion ( 241) is extended upward from the side support 23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support 210 is located, and the horizontal part 242 is one end of the bending part 241 Located on the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arallel to the central support 2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에서, 한 쌍의 측면 지지부(230)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sert provided inside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ide supports 23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인써트가 구비된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은 상면부(110), 하면부(120), 정면부(130), 후면부(140) 및 한 쌍의 측면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130)와 후면부(140)에는 인써트(200)의 중앙 지지부(210) 양측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provided with the ins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110, a lower surface portion 120, a front surface portion 130, a rear surface portion 140 and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150 , The front portion 130 and the rear portion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entral support 210 of the insert 200 are exp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가 구비된 브라켓에서,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120)에는 인써트(200)의 수평부(242)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racket provided with the ins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of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242 of the insert 200 is exp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써트가 구비된 브라켓에서, 상기 브라켓의 한 쌍의 측면부(150)에는 인써트(200)의 측면 지지부(230)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racket provided with the ins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of the insert 200 is exposed on a pair of side portions 150 of the brack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인써트가 구비된 브라켓의 제조방법은, 2개 이상의 인써트(200)가 연결된 상태의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성형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브라켓(100)의 외형을 갖는 하부금형(410)에 상기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장착하는 제2 단계; 상기 하부금형(410) 상부에 상부금형(42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하부금형(410)의 원료 주입관(415)으로 원료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acket provided with the ins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olding and preparing the insert assembly 300 in which two or more inserts 200 are connected; A second step of mounting the insert assembly 300 to the lower mold 410 having the outer shape of the bracket 100; A third step of seating the upper mold 420 on the lower mold 410; And a fourth step of forming the raw material by supplying the raw material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pipe 415 of the lower mold 410.

본 발명의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브라켓에 의하면, 소정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인써트가 브라켓에 내장되어 있어 열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물리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sert for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cket including the s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etal inser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embedded in the bracket to minimize physical deformation due to thermal deformation and external shock.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브라켓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인써트 측면 지지부가 브라켓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어 있어 브라켓의 측면 마모를 최소화하고, 따라서 룸미러 홀더와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ert for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cket including the same, the metal insert side support portion is ex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side to minimize side wear of the bracket, and thus, with the room mirror holde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lay.

게다가 본 발명의 인써트에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보조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브라켓 성형시 인써트가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e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defect rate because the insert can be accurately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bracket is form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를 위 및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인써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금형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금형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브라켓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 for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of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insert of FIG. 3 viewed from above and from the fro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assembly.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mol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pper mold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ssembly.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hav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dictionary used in general,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 및 이를 포함하는 브라켓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insert for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racket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의 외형도이다.2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은 상면부(110), 하면부(120), 정면부(130), 후면부(140) 그리고 한 쌍의 측면부(150)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후술할 인써트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2,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110, a lower surface portion 120, a front portion 130, a rear portion 140, and a pair of side portions 150. , Inside, it is fixed with an insert to be described later inserted.

구체적으로, 상면부(110)와 하면부(120)는 대략 편평한 평면으로, 하면부(120)에는 소정 모양의 홈부(121)와 함께 후술할 인써트(200)의 수평부(24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are substantially flat planes, and the horizontal portion 242 of the insert 20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groove portion 1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external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Exposed.

정면부(130)는 가운데 일부는 수직 평면을 이루어지만, 가장 자리는 다소 굴곡져 있고, 후술할 인써트(200)의 중앙 지지부(210) 일측 말단부가 노출된 상태이다. 후면부(140)는 대체적으로 수직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에는 후술할 인써트(200)의 중앙 지지부(210) 타측 말단부가 노출된다. The front portion 130 is a part of the vertical plane, but the edges are slightly curved, and the end portion of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of the inser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The rear portion 140 is generally formed in a vertical plane, and in the cente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210 of the inse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그리고 한 쌍의 측면부(150)는 약간 경사진 상태의 평면으로, 정면부(130)에서부터 후면부(140) 방향으로 인써트(200)의 측면 지지부(230)가 노출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side parts 150 is a plane in a slightly inclined state, and the side support parts 230 of the insert 200 are exposed from the front part 130 to the rear part 140.

여기서, 정면부(130)에서부터 후면부(140)로 갈수록 상면부(110)와 하면부(120)의 폭이 점차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할 룸미러 본체와의 체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portion 130 to the rear portion 140, to facilitate the fastening with the room mirror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 110을 상면부, 120을 하면부로 정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20이 상면부, 110이 하면부일 수 있으며, 정면부와 후면부 역시 서로 반대로 표현할 수도 있다.Al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 110 is defined as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120 as a lower surface por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120 may be an upper surface portion, 110 may be a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ay also be expressed in revers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라켓은 먼저 차량 전면유리에 고정된 후, 룸미러 본체의 홀더에 체결되는데 이때, 브라켓의 측면부(150)를 따라 홀더가 삽입되거나 탈착되기 때문에 측면부(150)는 특히 내구성과 함께 매끄럽게 가공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first fixed to the vehicle windshield, and then fastened to the holder of the room mirror body. At this time, since the holder is inserted or detached along the side portion 150 of the bracket, the side portion 150 is particularly useful. It must be processed smoothly with durability.

본 발명의 브라켓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인써트(200)의 측면 지지부(230)가 측면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술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Since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of the insert 20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ex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150,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can be satisfied.

물론 인써트(200)의 측면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브라켓의 상면부(110), 하면부(120), 정면부(130) 및 후면부(140)로 노출된 인써트(200)의 수평부(242)와 중앙 지지부(210) 양측 말단부 모두는 외부로 튀어 나오거나 함몰되지 않고,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Of course, including the side support 230 of the insert 200,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 200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the front portion 130 and the rear portion 140 of the bracket ( 242) and both ends of the central support 210 are not protruded or dent out, and are configured to form a smooth surfa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 룸미러 고정 브라켓용 인써트를 위 및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 for a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of the insert for the vehicle room mirror fixing bracket of FIG. 3 as viewed from above and from the front.

도 3 및 4를 참조하면서 브라켓에 내장되는 인써트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인써트는 브라켓이 휘거나 부러지는 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지지부(210), 연결부(220), 측면 지지부(230) 및 보조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sert embedded in the bracket. The insert is intended to prevent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r breaking of the bracke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support 210, a connection 220, a side support 230 and an auxiliary support 24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 지지부(210)는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말단부는 브라켓의 정면부(130), 타측 말단부는 브라켓의 후면부(140)에 노출됨으로써 길이방향, 즉 정면부(130)에서 후면부(140)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한다. Specifically, the central support 210 is made of a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nd one end is exposed by the front portion 130 of the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by the rear portion 140 of the bracket.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that is, from the front portion 130 to the rear portion 140 is suppressed.

연결부(220)는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면서 연결된 한 쌍, 보다 바람직하게는 2쌍 이상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20)는 브라켓의 폭 방향, 즉 한 쌍의 측면부(150)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함과 동시에 측면 지지부(230)를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composed of a pair, more preferably two or more flat plates, connected while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210. The connecting portion 220 functions to hold the side support 230 while simultaneously suppressing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acket, that is, a pair of side portions 150.

여기서, 상기 연결부(220)는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 85~95°,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측면 지지부(2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장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220 forms a 85-95 °, more preferably right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part 210, because it can support the most stabl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support part 230. to be.

한편, 도면들에서는 중앙 지지부(2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된 채 각각 2개씩의 연결부(22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각각 1 또는 3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측면 지지부(230)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고려할 때 최소 2개씩의 연결부(2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the two connecting portions 22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on both sides with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therebetwee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provided with one or three or more each. Can be. However, considering the solid coupling force with the side support 23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connection parts 220 are provided.

다음은 측면 지지부(23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side support 230 will be described.

측면 지지부(230)는 상기 한 쌍 이상의 연결부(220) 일측 끝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 길이, 상세하게는 브라켓 측면부(150) 길이의 약 2/3정도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ide supports 2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ne or mor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220, and in a flat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bout 2/3 of the length of the bracket side portion 150. consist of.

여기서, 측면 지지부(230)는 브라켓에 내장될 시, 측면부(150)를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는 대략 2~10°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또 연결부(22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과는 92~100°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또한 브라켓의 측면 지지부(230)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함몰되지 않고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side support 230 is slightly inclined to maintain an angle of approximately 2 to 10 °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210 so that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the side 150 when embedded in the bracke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n angle of 92 to 100 °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is is also to form a smooth surface without protruding or depressing outward from the side support 230 of the bracket.

물론 브라켓의 측면 지지부(230) 각도에 따라 조금씩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hanged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side support 230 of the bracket.

보조 지지부(240)는 측면 지지부(230)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평판 형상의 절곡부(241)와 평판 형상의 수평부(242)로 이루어진다. The auxiliary support 240 is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ide support 230, and consists of a flat-shaped bent portion 241 and a flat-shaped horizontal portion 242.

절곡부(241)는 측면 지지부(230)에서 소정 길이 위로 연장된 후, 다시 중앙 지지부(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지게 절곡되어 있다. The bent portion 241 extends ove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and then is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is located.

수평부(242)는 절곡부(241) 일측 끝단부에서 중앙 지지부(210)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 지지부(210)의 상면 또는 하면과는 평행하다.The horizontal portion 242 is position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ne end of the bent portion 241 toward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and is parallel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절곡부(241)와 수평부(242)로 이루어진 보조 지지부(240)는 금형틀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성형할 시, 인써트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인써트의 측면 지지부(230)가 브라켓의 측면부(150)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 주며, 이와 관련하여서 후술하기로 한다.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40 made of the bent portion 241 and the horizontal portion 242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prevents the insert from being lifted when the bracket is formed using the mold frame,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of the insert is It helps to accurately position the side portion 150 of the bracket,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regard.

이어서, 브라켓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인써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하부금형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상부금형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브라켓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racket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assembly,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lower mol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mold,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ssembly.

이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제조방법은 2개 이상의 인써트(200)가 연결된 상태의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성형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브라켓(100)의 외형을 갖는 하부금형(410)에 상기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장착하는 제2 단계, 상기 하부금형(410) 상부에 상부금형(42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하부금형(410)의 원료 주입관(415)으로 원료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5 to 8,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ep of preparing and preparing the insert assembly 300 in which two or more inserts 200 are connected, the appearance of the bracket 100 A second step of mounting the insert assembly 300 to the lower mold 410 having, a third step of seating the upper mold 420 on top of the lower mold 410, and raw material injection of the lower mold 410 It comprises a fourth step of molding by supplying raw materials to the tube (415).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도 2 및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인써트(200)가 복수개 연결된 상태인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미리 준비하는 단계이다. 각 인써트(200)는 하나의 긴 연결부(31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310)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부금형(410)의 체결구(413)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321)이 형성된 고정부(320)가 마련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the insert assembly 30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ed inserts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s prepared in advance. Each insert 200 is connected through one long connecting portion 310, and fixed holes 321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connecting portion 310 to be fixed to the fastener 413 of the lower mold 410. Government 320 is in place.

여기서, 인써트(200)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레스성형 등 공지의 성형 가공 방법을 통해 준비할 수 있다.Here, the insert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can be prepared through a known molding processing method such as press molding.

한편, 도면에서는 4개의 인써트(20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시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개수의 조절이 가능함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shows that the four inserts 200 are connect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adjustments is possible.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서 준비된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하부금형(410)에 안착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 고정부(320)의 고정홀(321)이 하부금형(410)의 체결구(413)에 체결된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seating and fixing the insert assembly 300 prepared in the first step to the lower mold 410,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holes 321 of both fixing parts 320 have a lower mold 410. It is fastened to the fastener 413.

여기서, 각 인써트(200)는 보조 지지부(240)의 수평부(242)가 위를 향하도록 놓여지고, 측면 지지부(230)는 성형홈(411)의 측면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데, 원료 토출구(412)로부터 브라켓을 구성하기 위한 원료가 고압으로 유입되더라도 상부금형(420)이 수평부(242)를 눌러주기 때문에 인써트(200)가 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형홈(411)의 측면에 인써트의 측면 지지부(23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Here, each insert 200 is placed such that the horizontal portion 242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40 faces upward,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is position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orming groove 411, the raw material outlet 412 ) Even if the raw material for constructing the bracket flows at high pressure, the upper mold 420 presses the horizontal portion 242, so that the insert 200 is not bent,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of the insert on the side of the forming groove 411 ( 230) keeps the contact state.

제3 단계는 하부금형(410) 상부에 상부금형(420)을 안착시키는 단계이고, 제4 단계는 원료 주입관(415)으로 원료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is a step of seating the upper mold 420 on top of the lower mold 410, and the fourth step is a step of supplying and molding the raw material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ipe 415.

여기서, 원료는 경화 후 소정의 강도,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고강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Here, the raw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after curing, but may be, for example, a high-rigidity plastic.

상기 단계들을 통해 복수개의 브라켓이 연결된 브라켓 어셈블리(500)의 성형이 가능하며, 브라켓 어셈블리(500)에서 연결부(310)를 절단함으로써 브라켓(100)을 얻을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steps, it is possible to form the bracket assembly 500 to which a plurality of brackets are connected, and the bracket 100 can be obtained by cutting the connection portion 310 in the bracket assembly 50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Since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scope and technical thought,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브라켓
110 : 상면부
120 : 하면부 121 : 홈부
130 : 정면부
140 : 후면부
150 : 측면부
200 : 인써트
210 : 중앙 지지부
220 : 연결부
230 : 측면 지지부
240 : 보조 지지부
241 : 절곡부 242 : 수평부
300 : 인써트 어셈블리
310 : 연결부
320 : 고정부 321 : 고정홀
400 : 금형
410 : 하부금형
411 : 성형홈 412 : 원료 토출구
413 : 체결구 414 : 유로
415 : 원료 주입관
420 : 상부금형
500 : 브라켓 어셈블리
100: bracket
110: upper surface
120: bottom portion 121: groove portion
130: front part
140: rear part
150: side part
200: insert
210: central support
220: connection
230: side support
240: auxiliary support
241: bent portion 242: horizontal portion
300: insert assembly
310: connection
320: fixing portion 321: fixing hole
400: mold
410: lower mold
411: forming groove 412: raw material outlet
413: fastener 414: Euro
415: raw material injection tube
420: upper mold
500: bracket assembly

Claims (10)

차량 유리창 내면에 설치되는 룸미러를 고정하는 브라켓 내부에 삽입되는 인써트로서,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중앙 지지부(210);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면서 연결된 한 쌍 이상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20);
상기 한 쌍 이상의 연결부(220) 일측 끝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소정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측면 지지부(230); 및
상기 측면 지지부(230)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된 보조 지지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 85~95°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
As an insert inserted into the bracket that fixes the room mirro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hicle window,
A flat plate-shaped central support portion 2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connection portion 220 formed of a pair of flat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A pair of flat side-side supports 230 each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connection parts 22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ing the auxiliary support 24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pport 230,
The connection part 220 is an insert provided in the room mirror fix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maintain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85 ~ 95 ° angle of the central support (2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0)는 소정 거리 이격된 2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pair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형상의 측면 지지부(230)는, 상기 중앙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과 2~10°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부(220)의 상부 또는 하부 평면과는 92~100°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lat side support 230 maintains a 2-10 °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support 210, and a 92-100 ° angle to the upper or lower plane of the connection part 220. The insert provided in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240)는 평판 형상의 절곡부(241), 및 평판 형상의 수평부(2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241)는 상기 측면 지지부(230)에서 소정 길이 상향 연장된 후 중앙 지지부(210)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지게 절곡되고,
상기 수평부(242)는 상기 절곡부(241) 일측 끝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지지부(210)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
The method of claim 4,
The auxiliary support 240 is made of a flat plate-shaped bent portion 241, and a flat-shaped horizontal portion 242,
The bent portion 241 is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support portion 210 is located aft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The horizontal portion 242 is located in one end of the bent portion 241, the insert provided in the room mirror fix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parallel to the central support 210.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지지부(230)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 고정용 브라켓 내부에 구비되는 인써트.
The method of claim 4,
A pair of side supports 230 are inserted in the bracket for fixing th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not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써트가 구비된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은 상면부(110), 하면부(120), 정면부(130), 후면부(140) 및 한 쌍의 측면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130)와 후면부(140)에는 인써트(200)의 중앙 지지부(210) 양측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A bracket provided with the inse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6,
The bracket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110, a lower surface portion 120, a front portion 130, a rear portion 140, and a pair of side portions 150,
The front portion 130 and the rear portion 140 is a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enter support 210 of the insert 200 are exposed.
제7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면부(120)에는 인써트(200)의 수평부(242)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7,
A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242 of the insert 200 is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of the bracket.
제8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한 쌍의 측면부(150)에는 인써트(200)의 측면 지지부(230)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8,
A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pport portion 230 of the insert 200 is exposed on the side portion 150 of the pair of brackets.
제9항에 기재된 브라켓의 제조방법으로서,
2개 이상의 인써트(200)가 연결된 상태의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성형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브라켓(100)의 외형을 갖는 하부금형(410)에 상기 인써트 어셈블리(300)를 장착하는 제2 단계;
상기 하부금형(410) 상부에 상부금형(42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하부금형(410)의 원료 주입관(415)으로 원료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의 제조방법.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racket according to claim 9,
A first step of molding and preparing the insert assembly 300 in which two or more inserts 200 are connected;
A second step of mounting the insert assembly 300 to the lower mold 410 having the outer shape of the bracket 100;
A third step of seating the upper mold 420 on the lower mold 410;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cket comprising the step of supplying the raw material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pipe 415 of the lower mold 410 and forming it.
KR1020200018315A 2020-02-14 2020-02-14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KR102109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15A KR102109386B1 (en) 2020-02-14 2020-02-14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15A KR102109386B1 (en) 2020-02-14 2020-02-14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386B1 true KR102109386B1 (en) 2020-05-12

Family

ID=7067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15A KR102109386B1 (en) 2020-02-14 2020-02-14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38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396Y1 (en) * 1994-04-14 1996-06-28 풍정산업 주식회사 Structure of inside back mirror for a vehicle
KR19980013078U (en) * 1996-08-30 1998-06-05 김재석 Room mirror dropout structure of car
KR100194507B1 (en) * 1992-02-25 1999-06-15 프레데릭 티. 바우어 Detachable Rear View Mirror Mounting Bracket
WO2018168265A1 (en) *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Attachment structure with removal mechanism for on-vehic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507B1 (en) * 1992-02-25 1999-06-15 프레데릭 티. 바우어 Detachable Rear View Mirror Mounting Bracket
KR960005396Y1 (en) * 1994-04-14 1996-06-28 풍정산업 주식회사 Structure of inside back mirror for a vehicle
KR19980013078U (en) * 1996-08-30 1998-06-05 김재석 Room mirror dropout structure of car
WO2018168265A1 (en) *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Attachment structure with removal mechanism for on-vehicle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디자인 제0883585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6366B (en) Vehicle seat, cushion spring retaining structure and seat
CN101405165B (en) Seat back frame for a vehicle
CN101153622B (en) Garnish attachment structure of vehicle body
ES2819974T3 (en) Method of producing a die cast product, die cast product and press device
CN103502047A (en) Vehicle seat and seat back board
JP4704067B2 (en) Vehicle glass guide structure
CN104228703B (en) attachment assembly
US10399520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2019535616A (en) Sliding laminated glazing unit with inner protruding edge
CN107131249A (en) Antihunting device
JP7117297B2 (en) Sliding laminated glazing unit with inwardly protruding edges
US8312688B2 (en) Glazing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KR102109386B1 (en) Bracket and Insert For Fixing of Vehicle Room Mirror
KR101591728B1 (en) Headrest support structure
KR101382832B1 (en) Hybrid combination structure of roof frame
CN101284502B (en) Automotive vehicle seat back and method of making same
JP5071075B2 (en) Glass plate holder for vehicle and glass plate for vehicle with holder
KR101635561B1 (en) Side Bar
CN212529551U (en) Sliding assembly structure and bumper assembly
US20170312806A1 (en) Seat frame manufacturing method
WO2018105086A1 (en)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with said door
US20170015223A1 (en) Vehicle Armrest Structure with Organic Fibers
JP7063676B2 (en) Vehicle spoiler
CN219467508U (en) Bracket structure for sunroof glass of vehicle and vehicle
KR102376941B1 (en) Seat frame applied with an insert type upper cross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