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104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104B1
KR102109104B1 KR1020180149885A KR20180149885A KR102109104B1 KR 102109104 B1 KR102109104 B1 KR 102109104B1 KR 1020180149885 A KR1020180149885 A KR 1020180149885A KR 20180149885 A KR20180149885 A KR 20180149885A KR 102109104 B1 KR102109104 B1 KR 10210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predetermined space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1998A (en
Inventor
조인귀
윤재훈
김성민
문정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104B1/en
Publication of KR2018013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체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면서 공진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정 공간 내 어느 한 측벽에 설치되고,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피딩 루프를 구비하며, 송신 피딩 루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신 공진기와, 소정 공간 내 다른 한 측벽에 설치되고,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송신 공진기와의 공진 특성을 통해 상호 공명 현상을 발생시켜 소정 공간 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중계 공진기와, 소정 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소정 공간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esonance size while reduc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To this e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y one side wall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has a transmission feeding loop for transmitting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using a transmitting feeding loop. A transmission resonator that receives and transmits,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in a predetermined space, has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generates a resonance between each other through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to store energy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reson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resonator installed inside a predetermined space,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receiving energy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설치된 송신 공진기와 중계 공진기 사이에 스파이럴 코일 구조에 포터 정합 및 공진 정합 회로가 부가된 전송 공진기를 설치하여 임의의 공간 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3차원 임의의 공간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transmission resonator in which a porter matching and resonance matching circuit is added to a spiral coil structure between a transmission resonator and a relay resonator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ower in an arbitrary space is provided. It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 any three-dimensional space that can supply.

에너지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등을 나타내는 어휘로, 열, 전기, 힘 등의 물리적학적인 용어이다. 현대에 이러한 에너지의 대표적인 예로 전기 에너지와 화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 열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가 존재한다. Energy is a vocabulary that describes the ability to do work, and is a physical term such as heat, electricity, and power. Examples of such energy in modern times include various types of energy such as electric energy, thermal energy, hydro energy, and thermal energy.

이러한 에너지들 중 전기 에너지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전력의 전달 방법이다.Of these energies, electrical energy is transmitted through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can flow.

전기 에너지 전달의 다른 방법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자기장과 전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에 의해 전력을 한 측에서 다른 한 측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발전소 등에서 이용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었다.As another method of electric energy transfer, there is a method of using an electric field to generate electric power. This is a technique that transmits pow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by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by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ic field. Basically, the technique used in power plants and the like was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또 다른 방법으로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방식은 일정한 전력의 신호를 무선상(air)으로 전송하는 전파 기술이 있다. 이러한 전파 기술은 무선 통신 방식에서는 널리 사용되기는 하지만, 실제로 효율적인 에너지 전송방식은 아니다.Another method of transmitting energy wirelessly is a radio wave technology that transmits a signal of constant power over the air. Although this radio wave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t is not actually an efficient energy transmission method.

한편, 2007년 MIT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 새로운 방식에서는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 기존 안테나와는 다르게 2개의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자기 공진체를 이용하여 자기장 공진을 주로하여 상호 공명으로 무선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MIT에서 발표한 이 방법은 헤리칼 구조를 가지며, 공진 주파수는 10MHz이며, 공진체의 구조적 헤리칼 공진체 사이즈는 직경이 600 mm, 헤리칼은 5.25 턴, 선두께 직경 6mm, 헤리컬 전체 두께 200 mm 신호의 피딩 단일 루프는 250 mm이다.Meanwhile, a new method for delivering power at MIT was developed in 2007. In the new method, energy is transmitted wirelessly, and unlike conventional antennas, magnetic resonance is mainly performed using two magnetic resonators having the same frequency to transmit wireless energy by mutual resonance. This method, published by MIT, has a helical structure, the resonant frequency is 10 MHz, and the structural helical resonator size of the resonator is 600 mm in diameter, the helical is 5.25 turns, the line thickness is 6 mm, and the total helical thickness is 200. The single loop of feeding of the mm signal is 250 mm.

그런데, MIT에서 개발된 위의 방식은 사이즈와 공진주파수가 실제 제품에 응용하기 위해서 적절치 못한 크기와 공진주파수를 갖는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전력의 무선 전송을 위한 공진체가 너무 크고, 공진주파수는 인체 영향에 가장 민감한 주파수라는 점이다. 실제 제품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공진주파수가 10 MHz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공진 구조의 크기(size)는 공진주파수의 함수이다. 즉, MIT에서 개발된 공진주파수보다 낮게 하기 위해서 즉, 공진주파수를 낮추려면, 공진 구조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method developed by MIT has a problem that the siz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have an inappropriate siz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n order to be applied to a real product. That is, the resonance body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is too larg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the frequency most sensitive to human influence. In order to transmit wireless power in a real product, it is desirable to use a resonance frequency of 10 MHz or less. However, the size of the resonance structure is a func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That is, in order to lower the resonance frequency developed by MIT, that is, to lower the resonance frequenc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resonance structure increases.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공개번호 2012-0010652호)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는 공진체의 공진주파수를 낮추면서 공진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진체의 공진주파수를 낮추면서 공진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다양한 설계 및 제작 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The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ublic Publication No. 2012-0010652) provi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resonance size while reduc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for various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resonance size while reduc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is describ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체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면서 공진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esonance size while reduc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 공진체를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이 초소형 공진체의 직경보다 더 먼 거리에서 자유로이 무선전력을 전송함으로써, 공진기의 사이즈의 문제와 전송거리 효율 문제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power capable of satisfying both the problem of the size of the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distance efficiency problem by freely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ltra-small resonator at any place using the ultra-small resona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정 공간 내 어느 한 측벽에 설치되고,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피딩 루프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 피딩 루프를 이용하여 상기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소정 공간 내 다른 한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상기 송신 공진기와의 공진 특성을 통해 상호 공명 현상을 발생시켜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중계 공진기와, 상기 소정 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has a transmission feeding loop for transmitting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is provided. A transmission resonator that receives and transmits the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is installed on another sidewall in the predetermined space, has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mutual resonance phenomenon through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a relay resonator that generates energy to store energy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t least one reception resonator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receiving energy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can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직접 급전 방식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resonator has a structure of a direct feed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공진 주파수는, 1.7MHz-1.8M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is 1.7 MHz-1.8 MHz.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소정 공간 내 로봇 또는 이동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resonator is attached to a robot or a moving object in the predetermined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송신 피딩 루프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 또는 차폐 시트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are characterized by being sealed by a shield or shielding sheet for shield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therefro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중계 공진기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 또는 차폐 시트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resonator is characterized by being sealed by a shield or shielding sheet for shield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itsel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직경이 50mm-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reson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50mm-70m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바퀴를 구비하는 이동체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바퀴의 어느 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자에 설치되고,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피딩 루프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 피딩 루프를 이용하여 상기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신 공진기와, 상기 바퀴의 다른 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자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상기 송신 공진기와의 공진 특성을 통해 상호 공명 현상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 사이 공간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중계 공진기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a mobile body having a wheel, and a first stator for fixing a part of the wheel It is installed, and has a transmission feeding loop for transmitting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a transmission resonator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using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and for fixing the other part of the wheel. A repeater resonator installed in a stator,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generating mutual resonance through resonance characteristics with the transmission resonator to store energy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ors,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에 의해 고정되는 바퀴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자 사이 공간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on the wheel fixed by the first and second stators, has at least one reception resonator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receiving energy stor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ors.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소형화를 통해 소형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존 MIT 구조의 헤리칼 구조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체적을 대폭적으로 감소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무선 전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small device through miniaturization, and thereby has a cost reduction effect. In addition, it has a resonance frequency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IT structure helical structure, the volu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o provide a commercially available wireless power device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송신 공진기에만 송신 피딩 루프를 설치하기 때문에 특정 공간 내에 에너지를 골고루 분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내에 수신 공진기를 설치함으로써, 공간 내 다수의 무선 기기와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distribute the energy evenly in a specific space because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is installed only in the transmission resonator, but also by installing the reception resonator in the space, a number of wireless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space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진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자기 공진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공진기의 제작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제 구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사용 가능한가를 시험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여준 도면,
도 6은 실제 구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사용이 가능한가를 다른 작은 공진기로 시험한 것을 보여준 도면,
도 7은 도 5에서 소형 공진기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정 영역 내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경우 인체 보호 및 기기 보호를 위해 무선전력의 차폐에 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a general magnetic resonance,
3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anufacturing a small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ested in an actual structure by using it,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us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al structure is tested with another small resonator
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using a small resonator in Figure 5 with a network analyzer (Network Analyzer),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to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 of shielding wireless power for human body protection and device protection when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초소형 공진체를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이 초소형 공진체의 직경보다 더 먼 거리에서 자유로이 무선전력을 전송함으로써, 공진기의 사이즈의 문제와 전송거리 효율 문제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using the ultra-small resonator freely transmits wireless power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is ultra-small resonator, both the size of the resonator and the problem of transmission distance efficiency can be satisfie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진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신 피딩 루프(101)를 구비하는 송신 공진기(102), 중계 공진기(103), 수신 공진기(1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ay include a transmission resonator 102 having a transmission feeding loop 101, a relay resonator 103, a reception resonator 104,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구조와 일반적인 무선 전력 전송의 구조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인 자기 공진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the general magnetic resona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일반적인 자기 공진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의 구조로서, 2개의 송수신 공진기(202, 203) 및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 전송을 위한 두 개의 피딩 루프(201, 204)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structur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a general magnetic resonance, and may include two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onators 202 and 203 and two feeding loops 201 and 204 for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transmission.

이와 같이, 일반적인 자기 공명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공진기와 임피던스 정합 및 전력의 송수신을 위한 2개의 피딩 루프 구조를 갖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송신 공진기(102)에만 송신 피딩 루프(101)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공진기측에 피딩 루프 없이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며, 실제로 전력을 수신하는 공진기는 송신 공진기(102)와 중계 공진기(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general magnetic resonance has two feeding loop structures for impedance match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ower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onators as shown in FIG. 2, but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device has a transmitting feeding loop 101 only in the transmitting resonator 102. That i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repeater without a feeding loop on the receiving resonator side, and a resonator that actually receives pow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ansmitting resonator 102 and the relay resonator 103. ha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공진기(102)는 임의의 공간(105) 내 어느 한 측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피딩 루프(101)를 구비하며, 송신 피딩 루프(101)는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신 공진기(102)에 전달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ny one side wall in an arbitrary space 105, and has a transmission feeding loop 101 for transmitting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a transmission feeding loop The 101 can stably transmit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송신 공진기(102)는 중계 공진기(103)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공진 주파수를 이용한 상호 공진 특성에 따라 상호 공명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호 공명 현상에 의해 송신 공진기(102)와 중계 공진기(103) 사이의 공간(105) 내부에는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는 공간(105) 내부에 설치된 수신 공진기(104)에 전달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has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relay resonator 103, and may generate a mutual resonanc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mutual resonance characteristics using the resonance frequency. Due to the mutual resonance phenomenon, energy may be stored in the space 105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nd the relay resonator 103. This energy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resonator 104 installed inside the space 105.

중계 공진기(103)는 송신 공진기(10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예컨대 공간(105) 내 반대편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공진기(103)는 송신 공진기(102)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으며, 송신 공진기(102)와의 공진 특성을 통해 상호 공명 현상을 발생시켜 공간(105) 내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는 공간(105) 내 설치된 수신 공진기(104)에 전달될 수 있다.The relay resonator 103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wall in the space 105. The relay resonator 103 has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nd may generate mutual resonance through resonance characteristics with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to store energy in the space 105. The energy thus stored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esonator 104 installed in the space 105.

수신 공진기(104)는 송신 공진기(102)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를 갖으며, 송신 공진기(102)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공진 주파수는 1.7MHz-1.8MHz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ption resonator 104 has a very small size compared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nd may have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has 1.7 MHz-1.8 MHz.

또한, 수신 공진기(104)는 송신 공진기(102)와 중계 공진기(103) 사이, 즉 공간(105)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간(105)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ption resonator 10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102 and the relay resonator 103, that is, inside the space 105, and may receive energy stored in the space 105.

이러한 수신 공진기(104)는 직접 급전 방식의 구조를 갖을 수 있는데, 예컨대 C-C 매칭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eption resonator 104 may have a direct feeding method structure, for example, a C-C matching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소형 수신 공진기(104)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structure of the small reception resonator 104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공진기의 제작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C-C 매칭을 통해 소형화 시킨 구조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의 LC적인 관점에서 보면, 공진이 되려면 인덕턴스(L), 캐패시턴스(C)가 존재하면서도 임피던스의 허수부가 0가 되어야 한다. 먼저, 복소 임피던스는 아래의 수학식1과 같다.3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anufacturing a small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tructure miniaturized through C-C matching. That is, as shown in FIG. 3, from the LC point of view of resonance, in order to be resonant, the imaginary part of the impedance must be zero while the inductance L and the capacitance C are present. First, the complex impedance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1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1

상기의 수학식 1에서 허수 임피던스(X)가 0이 되어 없어지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이며, 허수 임피던스(X)는 아래의 수학식2와 같다.In Equation 1, the frequency at which the imaginary impedance X becomes 0 and disappears is a resonance frequency, and the imaginary impedance X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2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2

상기의 수학식 2를 주파수(f)로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3과 같이 공진 주파수가 정해질 수 있다.If the above equation (2) is summarized as the frequency (f), the resonance frequency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3
Figure 112018119051707-pat00003

상기의 수학식 3에서 자기 공진기를 제작할 경우 높은 Q 값을 갖는 공진기 제작을 위해 충분한 인덕턴스(L) 값을 갖도록 하고 기생 캐패시턴스(C)를 이용하여 공진기를 제작하게 된다. 일 예로 높은 Q 값을 갖는 공진기를 구현하기 위해 코일의 자체 인덕턴스(L) 값이 많이 나오게 하는 구조의 코일 제작이 중요한 설계 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1의 복소 임피던스 식에서 허수 임피던스를 0으로 만들면, 공진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만약, 소형 수신 공진기(104)가 인덕턴스(L)로 구성된 소자라면, 원하는 주파수에서 공진을 얻기 위해 추가 캐패시턴스(C)를 확보하여 공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소 임피던스 Z가 R+jX인 경우 포터를 R-jX로 구성해 줌으로써,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공진 주파수가 1.8MHz이며, 소형 수신 공진기(104)의 직경은 50mm에서 70mm 사이로 매우 소형이면, 그 Q 값은 100 이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magnetic resonator in Equation 3 above, a resonator is manufactured using a parasitic capacitance C and having a sufficient inductance L value for manufacturing a resonator having a high Q value. For example, in order to implement a resonator having a high Q value, a coil desig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il's own inductance (L) value is large may be an important design factor. If the imaginary impedance is set to 0 in the complex impedance equation of Equation 1 above, a resonance condition can be created. If the small-sized receiving resonator 104 is a device composed of inductance L,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resonance by securing additional capacitance C to obtain resonance at a desired frequency. When the complex impedance Z is R + jX, resonance can be generated by configuring the porter as R-jX. If the resonance frequency is 1.8 MHz and the diameter of the small receiving resonator 104 is very small between 50 mm and 70 mm, the Q value may have 100 or m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소형 수신 공진기(104)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달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공간(105) 내부에 다수의 소형 수신 공진기(104)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중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공진기(102)와 중계 공진기(103) 사이에 다수의 소형 수신 공진기(304, 305, 306)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형 수신 공진기(1304, 305, 306)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자유로이 전력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소형 수신 공진기(304, 305, 306)는 병행으로 전력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energy is transmitted using one small reception resonator 104, a plurality of small reception resonators 10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pace 105, thereby allowing multiple Can transfer power. That is,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small receiving resonators 304, 305, and 306 may exist between the transmitting resonator 102 and the relay resonator 103, and these small receiving resonators 1304, 305, and 306 ) May be able to receive power freely at different locations. Also, the small reception resonators 304, 305, and 306 may receive power in parallel.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실제 적용되는 예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ctually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는 실제 구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사용 가능한가를 시험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여준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experimentally evaluating wheth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actual structur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공진기(402)는 실제 직경이 300mm이며, 중계 공진기(403)도 직경이 300mm이다. 이때 사용된 어느 하나의 소형 수신 공진기(404)는 직경이 130mm이며, 다른 소형 수신 공진기(405)는 직경이 70mm이다. 이러한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은 점선의 박스구조 내 어디에나 60%이상이 전달됨을 확인하였다. 이때, 송신 공진기(403)과 중계 공진기(404)를 직경 2m 혹은 4m로 키우면, 집 내부 방 하나 혹은 사무실 하나의 양측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방 혹은 사무실 내 어디에서나 작은 수신 공진기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transmission resonator 402 has an actual diameter of 300 mm, and the relay resonator 403 also has a diameter of 300 mm. At this time, any one small receiving resonator 404 used has a diameter of 130 mm, and the other small receiving resonator 405 has a diameter of 70 mm.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60% of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transmitted anywhere within the dotted box structure. At this time, wh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403 and the relay resonator 404 are raised to a diameter of 2 m or 4 m, they are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one room in the house or one of the offices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to a small reception resonator anywhere in the room or office. Can receive

도 6은 실제 구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사용이 가능한가를 다른 작은 공진기로 시험한 것을 보여준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at the us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ctual structure is tested with another small resonato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공진기(502)는 실제 직경이 300mm이며, 중계 공진기(503)도 직경이 300mm이다. 이때 사용된 소형 공진기(504)는 직경이 50mm이며, 다른 소형 공진기(505)는 직경이 70mm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 전송 효율은 점선의 박스 구조 내 어디에나 60%이상이 전달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6, the transmission resonator 502 has an actual diameter of 300 mm, and the relay resonator 503 also has a diameter of 300 mm. At this time, the small resonator 504 used has a diameter of 50 mm, and the other small resonator 505 has a diameter of 70 mm. Even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60% of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transmitted anywhere within the dotted box structure.

도 7은 도 5에서 소형 공진기(404)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공진 주파수가 1.758MHz 근처에서 발생하고 그 삽입손실 S21이 -0.8752dB일 때, 82%의 전력전송 효율을 갖는다.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using a small resonator 404 in FIG. 5 with a network analyzer, a resonance frequency occurs near 1.758 MHz and its insertion loss S21 is -0.8752 When it is dB, it has a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of 82%.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적용된 예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송신 공진기(602)를 사무실 혹은 방(room)의 벽면에 설치하고, 반대편 벽면에 중계 공진기(603)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무실 또는 방 내부에 위치한 로봇과 같은 이동체(604)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진기(605)를 장착한 경우 이동체(604)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체(604)에 장착되는 공진기(605)는 송신 공진기(602)에 비해 매우 작은 특징을 갖고 있으며, 송신 공진기(602)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transmission resonator 602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of an office or room, and the relay resonator 603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wall surface. When the resonator 6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a mobile body 604 such as a robot located inside an office or room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body 604 may be wirelessly supplied with power. At this time, the resonator 605 mounted on the mobile body 604 has a very small feature compared to the transmission resonator 602, and is the same a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60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적용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전거의 무선 전력 전송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a bicycl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가 자전거 주차장에 주차된다면, 자전거의 주차장에는 자전거 바퀴(704)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2 고정자(701, 705)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 1 고정자(701)의 한쪽 면에 송신 공진기(702)를 설치하고, 제 2 고정자(705)에 중계 공진기(703)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자전거 바퀴(704)에 소형 공진기(704a)를 장착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받을 수 있다.9, if the bicycle is parked in a bicycle parking lot, first and second stators 701 and 705 for fixing the bicycle wheels 704 are installed in the bicycle parking lot. Using this, a transmission resonator 70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ator 701, a relay resonator 703 is installed on the second stator 705, and a small resonator 704a is installed on the bicycle wheel 704 therebetween. ), You can receive power wirelessly.

도 10은 일정 영역 내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경우 인체 보호 및 기기 보호를 위해 무선전력의 차폐에 관한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송신 공진기(803)과 송신 피딩 루프(802)의 뒤 부분을 차폐체 또는 차폐 시트(sheet)(806)를 이용하여 후방 및 측방으로 노출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게 된다. FIG. 10 illustrates content of shielding wireless power for human body protection and device protection when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area. The rear portions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803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802 are shielded with electromagnetic fields exposed to the rear and side by using a shield or a shield sheet 806.

또한, 중계 공진기(804)의 경우도 뒤 쪽으로 차폐체 혹은 차폐 시트(806)를 설치하여 후방 및 측방으로 노출되는 전자기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신 공진기(805)는 동일하게 공간(801)내 설치되어 공간(801) 내 어디에서나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 받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lay resonator 804, it is possible to reduce electromagnetic waves exposed to the rear and side by installing a shield or a shielding sheet 806 toward the rear. The reception resonator 805 is installed in the same space 801, and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nywhere in the space 80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101, 201, 802 : 송신 피딩 루프
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3 : 송신 공진기
103, 303, 403, 503, 603, 703, 804 : 중계 공진기
104, 304, 305, 306, 404, 504, 605, 704a, 805 : 수신 공진기
806 : 차폐 시트
101, 201, 802: transmit feeding loop
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3: transmission resonator
103, 303, 403, 503, 603, 703, 804: relay resonator
104, 304, 305, 306, 404, 504, 605, 704a, 805: receive resonator
806: shielding sheet

Claims (7)

삭제delete 소정 공간 내 어느 한 측벽에 설치되고, 임피던스 정합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피딩 루프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 피딩 루프를 통해 제공받은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소정 공간 내 송신 공진기가 설치된 어느 한 측벽과 반대쪽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 공진기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짐으로써 송신 공진기와의 공진 특성을 통해 발생된 상호 공명 현상을 통해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중계 공진기 -상기 중계 공진기와 송신 공진기의 직경은 동일함-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공간에서 송신 공진기와 중계 공진기 사이에 수신 공진기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고,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송신 공진기와 중계 공진기 사이에 송신 공진기와 중계 공진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It is installed on any one side wall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has a transmission feeding loop for transmitting impedance matching and power, and a transmission resonator for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through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It is installed on a side wall opposite to any one side wall where the transmission resonator is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has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the transmission resonator, thereby storing energy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rough a mutual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through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Relay resonator -the diameter of the relay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resonator are the same-
Including,
When a reception resonator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lay resonator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reception resonator receives energy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reception resonator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lay resonator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lay reson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공진기는, 상기 송신 공진기와 중계 공진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reception resonator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relay reson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송신 피딩 루프는, 상기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송신 피딩 루프의 뒤 부분으로 차폐제 또는 차폐 시트에 의해 밀봉되어, 자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이 상기 송신 공진기와 상기 송신 피딩 루프의 후방 및 측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차폐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are sealed by a shielding agent or a shielding sheet to the rea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so that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itself is transmitted to the rear and side of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feeding loop.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is shielded from being expo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공진기가 복수이고 상기 소정 공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공간 내에서 병렬적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plurality of the reception resonator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receives power in parallel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KR1020180149885A 2018-11-28 2018-11-28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KR102109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85A KR102109104B1 (en) 2018-11-28 2018-11-28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85A KR102109104B1 (en) 2018-11-28 2018-11-28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89A Division KR102121919B1 (en) 2012-02-29 2012-02-29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98A KR20180131998A (en) 2018-12-11
KR102109104B1 true KR102109104B1 (en) 2020-05-12

Family

ID=6467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85A KR102109104B1 (en) 2018-11-28 2018-11-28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1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486B1 (en) * 2019-11-15 2022-03-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imultaneous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 between satellite and payload using repea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1340A1 (en) * 2008-09-27 2010-09-16 Ron Fiorello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enclosures
JP2010263690A (en) * 2009-05-01 2010-11-1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Transmission system
JP2011147281A (en) * 2010-01-15 2011-07-28 Sony Corp Wireless power supplying rack
JP2012023878A (en) * 2010-07-15 2012-02-02 Sony Corp Power transmission relay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transmission relay apparatus
US20120049643A1 (en) 2010-08-24 2012-03-01 Young Ho Ryu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US20120248884A1 (en) 2005-07-12 2012-10-04 Aristeidis Karal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51B1 (en) * 2013-10-21 2018-10-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of improving spectrum efficiency and space efficiency based on impedance matching and realy reson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8884A1 (en) 2005-07-12 2012-10-04 Aristeidis Karal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100231340A1 (en) * 2008-09-27 2010-09-16 Ron Fiorello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enclosures
JP2010263690A (en) * 2009-05-01 2010-11-1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Transmission system
JP2011147281A (en) * 2010-01-15 2011-07-28 Sony Corp Wireless power supplying rack
JP2012023878A (en) * 2010-07-15 2012-02-02 Sony Corp Power transmission relay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transmission relay apparatus
US20120049643A1 (en) 2010-08-24 2012-03-01 Young Ho Ryu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998A (en)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1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KR101168619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methods
KR101646305B1 (en) Parasitic device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197579B1 (en) Space-adap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Resonance of Evanescent Waves
US8766482B2 (en) High efficiency and power transfer in wireless power magnetic resonators
JP5531500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P3588790B1 (en) Near-field electromagnetic induction (nfemi) antenna and devices
KR20100042292A (en) Long range low frequency resonator and materials
KR20120019219A (en)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ic field and radiation field in magnetic resonant coupling coils or magnetic induction device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EP3567673A1 (en) Combination antenna
KR10210910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wer
KR101853491B1 (en) Coil Structur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1222137B1 (en) 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magnetic resonance induction
JP615687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olani et al. A novel plana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strong coupled magnetic resonances
KR102041988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CN108599394B (en) Wireless charging system capable of realizing energy funnel effect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of
KR102040330B1 (en) Wireless Power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40059722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CN218336020U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200350784A1 (en) Wireless near-field self-resonant impulse receiver
WO2019210503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capable of achieving energy funnel effect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of
KR101512996B1 (en) Magnetic resonanc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Zhang et al. A high-efficienc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using coaxial resonators welded on a substrate
KR20120116799A (en) A coi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