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920B1 -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920B1
KR102108920B1 KR1020170144625A KR20170144625A KR102108920B1 KR 102108920 B1 KR102108920 B1 KR 102108920B1 KR 1020170144625 A KR1020170144625 A KR 1020170144625A KR 20170144625 A KR20170144625 A KR 20170144625A KR 102108920 B1 KR102108920 B1 KR 10210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pressure band
pad
engag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9118A (en
Inventor
장성호
곽소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2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가락 바닥면 관절 부위에 위치한 돌기부와 발가락 상측 관절 부위를 둘러싸고 있는 가압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발가락 관절 부위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어 강직으로 인한 갈퀴 발가락을 가지는 뇌졸중 환자가 착용 시 우수한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toe corrector and a corr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ressure band surrounding a toe upper joint region and a protrusion located at a joint region of a toe bottom surface, to the toe joint region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power, so that a stroke patient with a toe due to stiffness can achieve excellent orthodontic effect when worn.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Toe straightener and straighten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toe corrector and a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의 특성상 일상 생활은 대부분 선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기초는 정상적이고 튼튼한 발이 기본이다. 기본적으로, 발가락 부위는 걷는 행위나 뛰는 행위와 같은 이동 동작시 부드러운 체중 분산을 통해 몸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가락이 비정상적인 형태가 되면 체중 분산의 리듬이 깨져 인체 골격의 여러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은 물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지는 발가락 부위를 교정하기 위한 발가락 교정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Normally, due to the nature of humans who walk upright, most of their daily life is done in a standing state, and the basis is a normal and strong foot. Basically, the “toe” part acts to balance the entire body through smooth weight distribution during movement such as walking or running. When these toes become an abnormal shape, the rhythm of weight distribution is broken, which adversely affects various parts of the human skeleton, as well as causing various side effect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toe corrector for correcting a toe region having an abnormal shape.

특히, 종래 발가락 교정기는 보통 인대의 문제로 생기는 발가락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왔다. 도 1은 예시적인 종래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 발가락 교정기로는 토우 링, 토우 골무 또는 토우 패드 등이 있다.In particular, conventional toe braces have been manufactured for toes that are usually caused by ligament problems.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emplary conventional toe corrector.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toe corrector includes a tow ring, a tow thimble, or a tow pad.

한편, 뇌졸중환자의 경우, 발가락 관절 부위에 강직(Spasticity)이 진행됨에 따라, 발가락이 발바닥쪽으로 말리는 증상으로 인해 발가락이 갈퀴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갈퀴 발가락을 가지는 환자는 발가락이 말리면서(Curly) 보행 시 자연스러운 무게 중심의 이동이 어렵고, 이런 증상들은 쉬고 있을 때보다 앉아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보다는 서 있을 때, 서있을 때 보다는 걷기 시작했을 때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roke patient, as the spasticity progresses in the toe joint area, the toe has a rake shape due to the symptom that the toe dries toward the sole of the foot. Patients with these rake toes have difficulty moving the natural center of gravity when walking while the toes are curled, and these symptoms are when sitting rather than resting, when standing rather than sitting, when walking begins rather than standing. It tends to get worse.

종래 발가락 교정기는 발에 캘러스(Callus)가 생기는 것은 막아줄 수 있으나, 발가락 관절 부위에 힘이 집중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뇌졸중 환자와 같이, 강직이 동반되어 발가락이 말리는 경우, 이를 상쇄시키기 힘이 부족하여 갈퀴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toe braces can prevent the formation of callus on the foot,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orce is hard to concentrate on the toe joint, so, like a stroke patient, when the toe dries due to stiffness, it compensates for th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ack of power is insufficient to correct the rake toe.

또한, 종래 발가락 교정기는 대체적으로 발가락 전체에 일괄 착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발가락 마다 강직의 진행 정도가 다르게 진행되어, 발가락 마다 개별적인 교정력이 적용되어야 하는 뇌졸중 환자용 발가락 적용기로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강직으로 인해 발가락이 말리는 힘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도록, 발가락 관절 부위에 전달되는 힘을 집중시키면서 동시에 힘의 강약 조절도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e straightener has a structure that is generally worn on the entire toe. This structure is unsuitable as a toe applicator for stroke patients in which the degree of stiffness progresses differently for each toe and individual orthodontic power must be applied to each toe. Therefore, in order to fully compensate for the toe curling force due to stiffnes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toe corrector that can concentrate strength transmitted to the toe joint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strength and weaknes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673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1673 등록특허공보 제10-1588651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88651

본 출원은 발가락 관절 부위에 힘을 집중적으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힘의 강약 조절도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toe corrector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which is capable of intensively transmitting force to the toe joint site and simultaneously adjusting strength and weakness.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가락에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발가락 교정기에 있어서, 발가락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발가락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밴드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 toe corrector worn individually on a toe, a pad and a pad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upper surface are provid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to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he toe corrector is provided with a pressure band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lower surfac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와 발가락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발가락 관절 부위에 힘을 집중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가압밴드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합이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발가락 관절 부위에 전달되는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어, 뇌졸중 환자의 발가락 교정기로 적용 시 우수한 교정력을 나타낼 수 있다.Toe braces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including a projection band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to the upper surface side and a pressure band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 the lower surface side, to the toe joint site The force can be intensively transmitted, and in particular, the pressure band can control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oe joint site as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the engaging joint are selectively combined, and thus, when applied as a toe corrector of a stroke patient It can show excellent correction power.

도 1은 예시적인 종래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emplary conventional toe corrector.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ser wears an exemplary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view showing a side of an exemplary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은 발가락에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엄지 발가락, 검지발가락, 중지 발가락, 약지 발가락 또는 새끼 발가락에 개별적으로 착용하는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패드 및 발가락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바닥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밴드가 마련됨으로써, 발가락 관절 부위에 힘을 집중적으로 전달하고, 또한, 상기 가압밴드는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측으로 가압하는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어, 뇌졸중 환자의 발가락 교정기로 적용 시 우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toe braces that are individually worn on the toes. For example, it relates to a toe brace worn individually on the big toe, index toe, middle toe, ring finger toe, or little toe. An exemplary toe corrector is provided with a pad formed with a protrusion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a pressure band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bottom surface, thereby intensively transmitting force to the toe joint site. In addition, the pressure band can control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force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 the lower side, and thus can exhibit excellent orthodontic effect when applied as a toe brace of a stroke pati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상부면', '바닥면' 또는 '측면'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이하 정의된 설명에 따라 사용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surface', 'bottom surface' or 'side surface' are us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and the description defined below.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limiting, as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ser wears an exemplary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가락 교정기는 패드(10) 및 가압 밴드(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oe corrector includes a pad 10 and a pressure band 20.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발가락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10a)가 형성된 패드(10) 및 상기 패드(1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밴드(20)를 포함한다. 상기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의 상 하부면 부위를 가압하는가압하는 패드(10)및 가압밴드(20)가 마련됨으로써, 교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해 우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and the pad 10 formed with a protrusion 10a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the It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pad 1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and includes a pressure band 20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toe correcto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ad 10 and a pressure band 20 to pres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oe, thereby exhibiting an excellent correction effect on the portion to be corrected.

상기에서 용어 「가압하다」는 특정 부위에 압력과 같은 외력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압 밴드(20)에 의해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면, 발가락이 전체적으로 패드에 밀착하게 되면서 돌기부(10a)는 간접적으로 발가락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본 출원에서는 상기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특정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현상을 모두 가압한다고 지칭한다.In the above, the term "pressurize" means that an external force such as pressure is directly or indirectly applied to a specific site. For example, when pressure is directly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by the pressure band 20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to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d as a whole, and the protrusion 10a indirectly at least amo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toe. Some of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side. In the present application,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site is referred to as pressing.

또한, 본 출원에서는 용어 「압력」과 「힘」은 모두 외력을 나타내는 동일한 의미이다.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pressure" and "force" both have the same meaning indicating external forc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패드(10)의 크기와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착용하는 발가락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절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10)의 재질은 쿠션감을 제공하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10)는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맞게 크기와 모양을 가지면서도, 착용된 상태에서 장시간으로 보행하더라도 쿠션감으로 인해 발가락 전체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ize and shape of the pad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have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toe worn.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ad 10 may be a soft silicone material that provides a cushion feeling. Accordingly, the pad 10 may have a size and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a user's toes, but may not impair the entire toe due to a cushion feeling even when walking for a long time in a worn state.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패드(10)는 발가락과 접촉되는 면에 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압 돌기는 발가락의 바닥면을 가볍게 지압함으로써, 건망증, 치매, 중풍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ad 10 may have acupressure projection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es. The acupressure protrusions can lightly acupressu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s,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preventing diseases such as forgetfulness, dementia, and paralysi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돌기부(10a)는 발가락의 바닥면 측 관절 부위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0a)는 발가락의 바닥면 측 관절 부위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발가락의 바닥면 측 관절 부위를 과신전(Hyperextension)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뇌졸증 환자와 같이 강직이 동반되어 발가락이 말리는 힘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는 교정력에 기여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otrusion 10a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joint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toe. The protrusion (10a) is provided in a position facing the joint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toe, thereby allowing hyperextension of the joint reg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and accordingly, the toe is accompanied by stiffness like a stroke patient It can contribute to a corrective force that can sufficiently counteract the drying force.

또한, 일반적으로 발가락의 관절 부위는 아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발가락의 바닥면 관절 부위와 패드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공간은 가압 밴드에 의해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에서 하부면 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는 힘의 집중이 요구되는 발가락 교정 장치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 portion of the toe generally has an arch shape, a small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join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and the pad. In particular, such a space may act as a factor for dispersing the force applied from the join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to the lower surface side by the pressure band, which may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toe correction device requiring concentration of force.

한편, 본 출원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는 돌기부(10a)가 발가락의 바닥면 측 관절 부위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10a)는 가압 밴드(20)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온전히 발가락 관절 부위에 집중되도록 발가락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by being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10a faces the joint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toe. That is, the protrusion (10a) may act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s so tha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band 20 is not dispersed, and is concentrated on the toe joint site.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압밴드(20)는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밴드(20)는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부(10a)와 함께 발가락 관절 부위에 집중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의 발가락 교정기는 뇌졸중 환자와 같이 강직이 동반되어 발가락이 말리는 힘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는 교정력이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 band 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The pressure band 20 is formed to surround the joint area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so that the force can be intensively transmitted to the joint area of the toe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0a, and accordingly, the toe correc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troke patient As with the stiffness, a corrective force capable of sufficiently canceling the force of drying of the toes can be implemented.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A는 제1 측면을 나타내고, B는 제2 측면을 나타낸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 FIG. 3, A represents the first side, and B represents the second side.

도 3을 참조하면, 가압 밴드는 패드(10)의 제1 측면(A)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제1 가압 밴드(21) 및 패드의 제2 측면(B)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에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된 제2 가압 밴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복수는 적어도 2 이상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essure band extends from the first side (A) of the pad 10, and the first pressure band 21 and the second side B of the p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t an extended end. It may extend from, and may include a second pressure band 2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t one e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plural means at least two or more.

상기에서 용어 「측면」은 발가락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본 출원에서 용어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왼쪽 또는 오른쪽의 특정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패드(10)의 마주보는 방향의 측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The term "side" in the above refer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first side" and "second side" do not mean a specific posi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ide in the facing direction of the pad 10.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가압 밴드(21)는 패드의 제1 측면(A)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21a)와 패드의 제1 측면(A)과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제2 결합돌기(21b)가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ressure band 21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A) of the pad and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provided in a position distant from the second side provided on the first side (A) of the pad Coupling projections (21b) may be provided.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 「제1 결합돌기」는 임의의 두 개의 결합 돌기 중 패드의 제1 측면(A)과의 상대적 거리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패드의 측면과 먼 거리에 위치한 결합돌기를 의미하고, 「제2 결합돌기」는 임의의 두 개의 결합 돌기 중 상대적으로 패드의 제1 측면(A)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결합돌기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first coupling protrusion" means a coupling protrusion located at a far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ad by comparing the relative distance with the first side (A) of the pad among any two coupling protrusions, "Second coupling protrusion" means a coupling protrusion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side (A) of the pad among any two coupling protrusions.

예를 들어, 제1 가압 밴드(21)에 3 개 이상의 결합 돌기가 마련될 경우, 패드의 제1 측면(A)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한 개의 결합돌기가 제1 결합돌기(21a)이고, 제1 결합돌기(21a) 이외 제1 가압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돌기는 모두 제2 결합돌기(21b)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engaging projections are provided on the first pressure band 21, one engaging projection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side A of the pad is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first pressure band other tha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a may be all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b.

상기 가압 밴드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로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The pressure b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engaging groov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 reg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압 밴드(21)와 제2 가압밴드(22)의 결속 위치에 따라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ding position of the first pressure band 21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22.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가압밴드(21)와 제2 가압밴드(22)는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밴드(21)와 제2 가압밴드(22)가 탈착 가능하게 결속됨으로써, 발가락 관절 부위로 전달되는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에 쉽게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pressure band 21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22 may be detachably coupled. As the first pressure band 21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22 are detachably attach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oe joint site can be adjusted, and the toe corrector can be easily worn on the user's toe area. Can be.

하나의 예시에서, 패드의 제1 측면(A)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21a)가 패드의 제2 측면(B)과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홈(22b)과 결합되는 경우 발가락의 상부면 측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In one example, whe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provided in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side (A) of the pad is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22b) provid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side (B) of the pad The pressure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may be increased.

또 하나의 예시에서, 패드의 제1 측면(A)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21a)가 패드의 제2 측면(B)에서 먼 위치에 마련된 제2 결합홈(22a)과 결합하는 경우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발가락 상부면 측 관절 부위일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side (A) of the pad engages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22a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second side (B) of the pad. In this case, pressure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lower surface may be lowere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may be, for example, a joint si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일반적으로 뇌졸증 환자의 경우, 발가락의 관절 부위에 서 진행되는 강직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가락마다 개별적으로 교정 강도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 전체에 일괄적으로 착용되기 때문에 교정력 조절 기능이 요구되는 뇌졸중 환자의 발가락 교정 장치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stroke patient, since the stiffness strength progressing in the joint region of the toe is different, the correction strength must be applied to each toe individually.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oe brace is worn collectively on the entire toe. It is not suitable as a toe correction device for stroke patients who require orthodontic function.

이와 달리, 본 출원의 발가락 교정기는 상기와 같이 제1 결합돌기(21a)와 제1 또는 제2 결합홈(22a, 22b)이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뇌졸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 장치에서 요구되는 교정력의 조절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e correc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and the first or second engaging grooves 22a and 22b are selectively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reby adjusting the correction force required in the toe correcting device for stroke patients. Functionality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강직 진행 정도가 심한 발가락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결합돌기(21a)를 제1 결합홈(22b)과 결합시킴으로써 교정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강직 진행 정도가 약한 발가락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결합돌기(21a)를 제2 결합홈(22a)과 결합시킴으로써, 교정 강도를 낮출 수 있다. Specifically, for the toe having a high degree of stiffness progress, the correction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22b. In addition, for the toe having a weak degree of stiffness, the correction strength can be lowered by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22a.

상기 용어 「제1 결합홈」은 임의의 두 개의 결합홈 중 패드의 제2 측면(B)과의 상대적 거리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패드의 측면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결합홈을 의미하고, 「제2 결합홈」은 임의의 두 개의 결합홈 중 상대적으로 패드의 제2 측면(B)과 먼 거리에 위치한 제2 결합홈을 의미한다. The term "first coupling groove" means a coupling groove located at a distance closer to the side surface of the pad by comparing the relative distance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B) of the pad among any two coupling grooves. Coupling grooves " means a second coupling groove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B of the pad among any two coupling grooves.

예를 들어, 제2 가압 밴드(22)에 3 개 이상의 결합홈이 마련될 경우, 패드의 제2 측면(B)과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한 개의 결합홈이 제1 결합홈(22a)이고, 제1 결합홈(22a) 이외 제2 가압 밴드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홈들은 모두 제2 결합홈(22b)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engaging grooves are provided in the second pressure band 22, one engaging groove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ide B of the pad is the first engaging groove 22a,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provided in the second pressure band other than the first coupling groove 22a may all be the second coupling groove 22b.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21a)는 주 결합돌기이고, 제2 결합돌기(21b)는 보조 결합돌기일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a may be a main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b may be an auxiliary coupling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 돌기(21a)는 제2 가압 밴드(22)에 마련된 주 결합홈과 결합하여 발가락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일부는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1a) is coupled to the main engag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pressing band 22 can adjust the force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lower surface, for example,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toe on the upper side may be a joint site.

또한, 상기 제2 결합돌기(21b)는 제2 가압 밴드(22)에 마련된 보조 결합홈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21b)는 보조 결합홈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하더라도 발가락이 발가락 교정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1 가압 밴드(21)와 제2 가압밴드(22)의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1b)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pressure band (22).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1b) is coupled to the secondary engaging groove, so that the user does not fall out of the toe corrector even if the user walks while wearing a toe corrector, the first pressure band (21)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22) It can play a role to increase the cohesion of the.

본 출원에서 용어 「주 결합홈」은 제1 결합 돌기(21a)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보조 결합홈」은 제2 결합 돌기(21b)와 결합 가능한 결합홈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주 결합홈 보다 제2 측면(B)과 먼 거리의 위치에 마련된 결합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main coupling groove" means a coupling groove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a. In addition, the term "secondary coupling groove" means a coupling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b, and specifically, refers to a coupling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farther away from the second side B than the main coupling groove. .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압 밴드(21, 22)의 내측면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은 발가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가압 밴드(21, 22)는 내측면이 쿠션감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발가락의 상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높게 유지되더라도, 발가락의 외형에 물리적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발가락 교정기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쿠션감으로 인해 발가락의 상측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inner surfaces of the pressure bands 21 and 22 may be formed of silicone material. The inner surface means a surface that directly contacts the toe. The pressure bands 21 and 22 ar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cushioned inner surface, so that even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e is maintained, physical damage to the appearance of the toe can be reduced, and even if the toe corrector is worn for a long time Due to the feeling of cushioning, the upper part of the toe may not be stressed.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ide of the to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Y는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X는 발가락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며, C는 높이가 증가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D는 높이가 낮아지는 영역을 나타낸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Y represents a height direction, X represents a length direction of the toe, C represents a region in which height is increased, and D represents a region in which height is decreas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부(10a)는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rotrusion 10a may have a wedge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10a)는 발가락의 길이 방향(X)를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영역 (C) 및 높이가 낮아지는 영역 (D) 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rusion 10a may include a region (C)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and a region (D)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toe.

상기 돌기부(10a)는 정점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가 증가하는 영역(C)과 높이가 낮아지는 영역(D)는 서로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10a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oe based on the apex. Specifically, the region C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and the region D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may have symmetrical shapes with each other.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돌기부(10a)는 정점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부(10a)는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따라, 정점을 기준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10a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toe based on the apex. The protrusion 10a may have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shape based on a vertex according to a user's toe shape.

일 구체예에서, 상기 돌기부(10a)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과 가압 밴드(20)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은 동축 상에서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10a)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과 가압밴드(20)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이 동축 상에 마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발가락 관절 부위에 집중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의 발가락 교정기는 뇌졸중 환자와 같이 강직이 동반되어 발가락이 말리는 힘을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는 교정력이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ojection 10a and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band 20 may be provided to face on the coaxial.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otrusion 10a and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band 20 are provided to face on the coaxial axis, so that the force can be intensively transmitted to the toe joint sit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oe braces of the stroke can be implemented with a stiffness, such as a stroke patient, to compensate for the toe curling force.

본 출원은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상기 교정 장치는 뇌졸중 환자의 갈퀴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술한 발가락 교정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발가락 교정기는, 돌기부의 위치, 높이, 가압밴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다. 따라서, 전술한 발가락 교정기에 대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calibration device. The exemplary orthodontic device is a device for correcting the toe of a rake in a stroke pati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toe braces, wherein at least two toe braces differ i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the height, and the length of the pressure band. Do. Therefore, the duplicat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toe corrector will be omitted below.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교정 장치는 엄지 발가락, 검지발가락, 중지 발가락, 약지 발가락 및 새끼 발가락용 발가락 교정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orthodontic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g toe, index toe, middle toe, ring finger toe, and toe corrector for the little toe,

본 출원의 교정 장치는 뇌졸중 환자의 갈퀴 발가락에 개별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전술한 발가락 교정기를 하나 이상 포함함으로써, 뇌졸증 환자의 강직 진행 정도, 예를 들어, 발가락마다 강직이 진행된 정도를 고려하여, 발가락마다 필요한 교정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toe correctors that can be individually worn on the toe of a stroke patient, taking into account the degree of stiffness progression of a stroke patient, for example, the degree of stiffness progressed for each toe, to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necessary correction force for each.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10: 패드
10a: 돌기부
20: 가압 밴드
21: 제1 가압밴드
21a: 제1 결합 돌기
21b: 제2 결합돌기
22: 제2 가압밴드
22a: 제2 결합홈
22b: 제1 결합홈
10: pad
10a: protrusion
20: pressure band
21: first pressure band
21a: first engaging projection
21b: second engaging projection
22: second pressure band
22a: second coupling groove
22b: first coupling groove

Claims (16)

뇌졸증 환자의 갈퀴 발가락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발가락에 개별적으로 착용되는 발가락 교정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발가락 교정기는 발가락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발가락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를 상부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발가락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하부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밴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발가락 교정기는, 돌기부의 위치, 높이, 가압밴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발가락 교정 장치.
A device for correcting the toe of a rake in a stroke patient, and includes one or more toe braces individually worn on the toes,
The toe corrector is provid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a pad formed with a projection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I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pa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and includes a pressure band for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toward the lower surface,
At least two toe straighteners, toe straightening device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the height, the length of the pressure band is diffe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발가락의 바닥면 측 관절 부위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joint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to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밴드는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correc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band is formed to surround a joint portion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밴드는 패드의 제1 측면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제1 가압 밴드; 및
패드의 제2 측면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에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된 제2 가압 밴드를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band is extended from the first side of the pad, the first pressure b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n one end extended; And
Toe straighten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pressure b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of the pad,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provided at one e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밴드는 복수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로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되도록 마련된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correct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band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by selectively engag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engaging grooves. 제 4 항에 있어서, 제1 가압밴드와 제2 가압밴드의 결속 위치에 따라 발가락의 상부면 측 관절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되는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correct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o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inding position of the first pressure band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제 4 항에 있어서, 제1 가압밴드와 제2 가압밴드는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stra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pressure band and the second pressure band are detachably bound. 제 4 항에 있어서, 패드의 제1 측면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가 패드의 제2 측면과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홈과 결합되는 경우 발가락의 상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는 발가락 교정 장치.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side of the pad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side of the pad, the toe cor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e increases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패드의 제1 측면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가 패드의 제2 측면과 먼 위치에 마련된 제2 결합홈과 결합되는 경우 발가락의 상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지는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of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e is lowered when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side of the pad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provid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second side of the pad. Orthodontic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 밴드의 내측면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발가락 교정 장치.The toe straighten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band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쐐기 형상을 갖는 발가락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oe correction device having a wedge-shaped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발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영역 및 높이가 낮아지는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발가락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e correction device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and a region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제 12 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정점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 형상을 갖는 발가락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toe correction device having a symmet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based on the vertex.
제 12 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정점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대칭 형상을 갖는 발가락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toe correction device having an asymmetric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e, based on the vertex.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부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과 가압밴드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은 동축 상에서 마주하도록 마련된 발가락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e correction device provided to face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otrusion and the pressing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band on the coaxial side.
삭제delete
KR1020170144625A 2017-11-01 2017-11-01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108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25A KR102108920B1 (en) 2017-11-01 2017-11-01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25A KR102108920B1 (en) 2017-11-01 2017-11-01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18A KR20190049118A (en) 2019-05-09
KR102108920B1 true KR102108920B1 (en) 2020-05-11

Family

ID=6654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25A KR102108920B1 (en) 2017-11-01 2017-11-01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2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648A (en)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KR20230117866A (en)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KR20240015888A (en)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08B1 (en) * 2018-12-14 2020-09-01 (주)에이투지커머스 Apparatus for correcting of toe
KR102415941B1 (en) * 2020-11-03 2022-07-05 주식회사 모비유 Hallux valgus orthotic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046A (en) 1981-01-19 1990-07-10 Jacoby Richard P Post-operative bunion splint
KR200461673Y1 (en) * 2012-02-02 2012-07-30 이정훈 Acupressure tool
KR101588651B1 (en) * 2014-07-29 2016-01-27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615U (en) * 2007-04-05 2007-06-14 彰 齊藤 Toe b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046A (en) 1981-01-19 1990-07-10 Jacoby Richard P Post-operative bunion splint
KR200461673Y1 (en) * 2012-02-02 2012-07-30 이정훈 Acupressure tool
KR101588651B1 (en) * 2014-07-29 2016-01-27 손태석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32615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648A (en)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KR20230117866A (en)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KR20240015888A (en)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어원트 Toe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18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20B1 (en)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927205B2 (en) Footwear with orthodontic midsole
US7980008B2 (en) Footwear for three-beat rhythm walking
US10617172B2 (en) Footwear having pressure equalization and optimization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KR102007740B1 (en) Shoes upper for orthoptic and reform of hallus valgus
US20160270942A1 (en) Interdigital pad
KR200491978Y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ressure implement
KR102140044B1 (en) Calibration area customized foot orthotics
KR20160000703U (en) A correcting apparatus for the toe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KR101697904B1 (en) Device for correcting toes
CN209518960U (en) A kind of pollex valgus correction appliance wearing shoes and using
WO2014061110A1 (en) Shoe insole
CN209285870U (en) It is a kind of to wear the double toe rectifiers of intoe that shoes use
KR101861912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2164054B1 (en) Toe corrector and correcting apparatus
KR20160050595A (en) Shoes insole
KR200490584Y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pressure implement
KR200384323Y1 (en) Insole for remedy of feet
JP2006132037A (en) Corrective pantyhose and corrective tights
KR20160002087U (en) Shoes insole
KR20170003364U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2324811B1 (en) Shoes for gips
KR102109499B1 (en) Body balancing tool, and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