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29B1 -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29B1
KR102108829B1 KR1020190071203A KR20190071203A KR102108829B1 KR 102108829 B1 KR102108829 B1 KR 102108829B1 KR 1020190071203 A KR1020190071203 A KR 1020190071203A KR 20190071203 A KR20190071203 A KR 20190071203A KR 102108829 B1 KR102108829 B1 KR 10210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isease
information
predic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운
전형일
Original Assignee
최동운
주식회사 씨알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운, 주식회사 씨알콤 filed Critical 최동운
Priority to KR102019007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가축의 이상 예측시, 가축에 대한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와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질병명을 진단 예측하고 이상 알림하는 분석서버,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축사별 및 가축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수신시 원격진료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에 따라 담당 수의사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진료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System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domestic stock diseases}
본 발명은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가축의 이상 예측시, 가축에 대한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와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질병명을 진단 예측하고 이상 알림하는 분석서버,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축사별 및 가축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수신시 원격진료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에 따라 담당 수의사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진료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질병 관리는 축사에 사육중인 소, 돼지 등의 가축의 건강상태를 농장주 또는 관리인이 개체별로 일일이 가축의 발육상태, 체온, 맥박 및 호흡수 등을 직접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함으로써, 가축에 대한 질병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측정된 정보가 전염병, 예컨대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인 경우에는 초기 진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른 농가로 급속도록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럴 경우, 축산 농가에는 많은 재산적 피해를 입힐 수 있고, 예방을 위한 방역 활동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가축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왔다.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13252호(이하, 선행특허1)가 있다.
선행특허1은 가축 온도 감지 장치를 이용한 가축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지된 온도의 결과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여 기준온도 이상으로 가축의 체온이 상승시에 관리자용 단말기로 질병 정보를 전송함으로서 원거리에 떨어진 관리자가 가축의 건강상태를 파악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가축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가축의 체온정보만으로 진단하므로 정확한 진단 및 가축 주위의 환경에 따른 가축의 질병 발생을 예측하거나 예방하기 어렵다.
이에, 질병의 발병 전에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예측된 가축을 모니터링하고,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와 원격진료를 통해 이상예측된 가축의 정확한 질병진단 및 진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황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질병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213252호(2012.12.18.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질병의 발병 전에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예측된 가축을 모니터링하고,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와 원격진료를 통해 이상예측된 가축의 정확한 질병진단 및 진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황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질병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는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은,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가축의 이상 예측시, 가축에 대한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와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질병명을 진단 예측하고 이상 알림하는 분석서버,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축사별 및 가축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수신시 원격진료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에 따라 담당 수의사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진료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서버는,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를 요청하는 메시지 및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을 포함하는 이상 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해당 가축의 분변을 촬영한 분변이미지를 상기 분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분변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진료 스케줄, 진료정보 및 처방정보를 등록하는 수의사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서버는, 예측된 진단 질병명에 따라 혈액검사가 요구되면 상기 진료서버를 통해 상기 결정된 담당 수의사의 수의사단말기로 알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의사단말기는, 원격진료를 통해 해당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등록된 진료스케줄, 진료정보 및 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서버는, 상기 혈액검사의 결과에 따라 질병명을 확진하고, 이상 예측된 가축의 생체정보, 분변상태, 확진된 질병명 및 진료정보를 상기 온톨로지의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서버는, 농장별로 정상 센싱값 누적횟수 대비 이상수치 센싱값 누적횟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농장의 이상수치 센싱값 분포현황을 제공하고, 인근지역의 농장에 대한 이상수치 센싱값 비율 및 이상수치 센싱값에 의한 질병발생률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은 질병의 발병 전에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예측된 가축을 모니터링하고,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통해 이상예측된 가축의 질병증상으로부터 병명을 추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진료를 통해 이상예측된 가축의 정확한 질병진단 및 진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앱을 통해 가축별 농장별 관리를 할 수 있고, 가축의 이상예측시 관리자단말기 및 수의사단말기에 알림하고, 인근지역 질병확산 및 대처방안을 제공하여 질병확산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진료정보를 온톨로지에 업데이트하여 온톨로지기반 질병진단예측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은 농장별 가축별
도 2는 도 1의 분석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이하, 시스템)은 축사(10)내 가축마다 구비된 건강정보 센서(100a), 축사(10)내에 설치된 축사환경 센서(100b), 통신모듈(200), 분석서버(300), 온톨로지(400), 관리자 단말기(500), 진료서버(600) 및 수의사 단말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100a, 100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농장/축사/가축별로 식별자에 의해 구분 및 관리될 수 있다. 농장에는 복수의 축사가 구비될 수 있고, 축사에서는 복수의 가축이 사육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 센서(100a)는 가축의 생체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이며, 생체정보는 체온, 심장박동수, 호흡수, 활동량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축사환경정보 센서(100b)는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량 등을 센싱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통신모듈(200)은 축사(10) 인근에 구비되어 해당 생체정보 센서(100a) 및 축사환경 센서(100b)에서 센싱되는 센싱값들을 수집하여 분석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분석서버(300)는 각 축사별 또는 각 농장별 통신모듈(200)로부터 수집되는 센싱값과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수집되는 가축별 분변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가축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예측시 온톨로지(400)를 기반으로 질병을 진단예측하고, 관리자 단말기(500) 및 수의사 단말기(7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분석서버(300)의 기능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석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분석서버(300)는 DB(310), 데이터 분석부(320), 관리부(330) 및 모니터링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부(330)는 개체/농장 관리부(331), 조사관리부(332) 및 진료관리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DB(310)는 통신모듈(200)로부터 수집되는 센싱값,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분변정보, 진료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혈액정보 등을 가축별/농장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310)는 농장정보(주소, 전화, 농장주, 담당관리자 등에 대한 정보) 및 가축정보(관리번호, 사육형태, 품종, 성별, 출생일, 체중, 백신접종여부, 모우산차, 수정방법, 질병이력, 진료이력 등에 대한 정보)가 매칭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DB(310)에 저장된 센싱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특정 가축 또는 집단 가축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에 대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면, 이상(비정상)가축으로 판단하여 해당 이상가축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320)는 기설정 임계치에 따른 정상수치인 센싱값의 누적횟수와 기설정 임계치를 벗어난 이상수치인 센싱값의 누적횟수, 이에 따른 정상 대비 이상 비율을 산출하여 이상수치인 센싱값들의 분포 상황을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320)는 이상(비정상) 가축으로 판단시, 농장주 단말기(500a)로부터 수신된 분변정보(분변이미지 또는 설명텍스트 등)를 온톨리지(400)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분변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분변상태는 설사유무, 분변색, 변내 혈액유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온톨로지(400)는 가축에 대한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질병데이터는 통신모듈(200)로부터 수집 누적된 센싱값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온톨로지(400)는 개체를 나타내는 특정 개념을 형식화하고 개체 간의 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FaCT++ 추론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추론 규칙을 정의한다. 규칙은 질병의 증상으로부터 병명을 추론하는 생성 규칙 또는 추론 규칙으로, 이 규칙은 온톨로지를 만들고 진단을 위한 과정에서 가축의 질병 증상으로부터 질병명을 형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증상으로부터 질병명을 추론할 수 있다. 생성 규칙의 조건부는 증상을 결론부에서 가능성이 있는 질병명을 서술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축의 배변색은 Red이고, 배변의 수분함량은 80이고, 체온이 하강하며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때, 가축 질병의 증상으로 삼출성 설사병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모든 규칙을 적용하고 가장 많은 증상을 포함하는 병명으로 결론을 예측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온톨로지(400)를 기반으로 센싱값, 분변상태를 분석하여 질병명을 진단예측하고, 진단예측된 질병명 및 해당정보(해당 가축의 센싱값, 분변상태)를 해당 관리자단말기(500) 및 진료서버(600)로 전송하여 알림할 수 있다.
이때, 알림에는 질병명에 따라 가축의 혈액 검사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진료서버(600)는 담당 수의사 단말기(700)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분석부(320)에서 직접 기설정된 담당 수의사 단말기(700)로 알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진료서버(600)는 관리자 단말기(500)와 수의사 단말기(700) 간의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고, 데이터 분석부(320)로부터 이상알림 수신시, 담당 수의사를 결정하여 해당 수의사 단말기(700)로 알림할 수 있다.
이때, 진료서버(600)의 예측된 질병명에 따라 해당 질병 전문인 수의사를 매칭시키거나, 수의사 진료스케줄에 따라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수의사를 매칭시켜, 담당 수의사로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320)의 알림을 수신한 관리자 단말기(500) 및 수의사 단말기(700)는 진료서버(600)의 원격진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500)에서 이상예측된 가축을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여 수의사 단말기(700)에서 진료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수의사 단말기(700)에서 방문이 필요시 방문일시 등을 설정하여 제공하고, 진료내역, 처방내용 등을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혈액검사를 통한 확진이 요구된 경우, 데이터 분석부(320)는 진료서버(600)를 통해 담당 수의사 단말기(700)로부터 질병 예측된 가축의 혈액 검사정보(생화학, 면역 및 염증 인자 등) 및 진료내역를 수신하여 예측된 질병명을 확진할 수 있다.
이때, 가축의 질병명을 예측하는데 이용된 정보(가축의 생체정보, 분변정보, 축사환경정보, 혈액 검사정보 및 진료정보)를 온톨로지(400)의 지식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부(330)는 DB(31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개체/농장 관리, 조사관리 및 진료관리에 따른 서비스를 관리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관리서비스는 관리자 단말기(500)가 농장주단말기(500a)인지 기관 담당 관리자 단말기(500b)인지에 따라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개체/농장 관리부(331)는, 개체별/농장별로 분류하여 등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장별 농장(농장)명, 주소, 전화, 위치 등을 관리하고, 농장별 개체에 대한 개체별 과거병력기록, 기본정보, 생체정보, 혈액정보 등을 관리하며, 기관 담당 관리자 단말기(500b)의 요청에 따라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농장주단말기(500a)의 권한에 따라 해당 개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사관리부(332)는, 축사 및 가축 환경요인 관리를 위해 현장평가가 수행될 때 조사평가를 위해, 기관 담당 관리자 단말기(500b)로 조사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관 담당 관리자 단말기(500b)는 평가 요청시, 조사관리부(332)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조사 농장에 대한 점검일, 점검자명, 점검항목, 점검상태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진료관리부(333)는 관리자단말기(500)와 수의사단말기(700) 간의 원격진료 내역을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40)는 가축(개체)별 생체정보 변화, 축사 환경정보 변화, 이상수치인 센싱값들의 분포, 전국 농장 분포 등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모니터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전국 농장별 이상수치 센싱값 비율(정상 센싱값 누적횟수 대비 이상수치 센싱값 누적횟수의 비율)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인근지역의 농장의 이상수치 센싱값 비율 및 질병발생률을 부각시켜(하이라이트) 제공함으로써 질병확산여부를 한눈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농장주 및 관리자는 자신이 담당하는 농장의 이상수치 센싱값 분포현황도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500)는 정보관리부(510), 질병검색부(520) 및 원격진료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500)는 농장주의 단말기(500a)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500b)가 될 수 있고, 인증된 농장주 또는 관리자에 따라 해당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정보관리부(510)는 분석서버(300)의 관리부(330)의 제공서비스에 따라 농장주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농장주 단말기(500a)는 개체/농장 관리부(331)의 제공서비스에 따라 농장별 정보 및 자신이 관리하는 농장의 개체별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고, 진료관리부(333)의 진료내역 관리서비스에 따라 자신이 관리하는 농장의 개체별 진료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500b)는 관리부(330)의 제공서비스에 따른 모든 정보를 관람할 수 있으며, 조사관리부(332)의 조사평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질병검색부(520)는 온톨로지(400)를 기반으로 분석서버(300)에서 분석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질병검색은 키워드(텍스트), 이미지 등의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농장주 및 관리자는 이상이 예측될 때 검색 등을 통해 가축이상에 대한 진단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500)는 이상가축에 대한 진료를 위해, 진료서버(600)를 통해 수의사 단말기(700)와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원격진료부(530)는 분석서버(300)로부터 알림수신시, 진료서버(600)로 원격진료를 요청할 수 있다. 진료서버(600)는 원격진료 요청 수신시 기설정된 담당 수의사 단말기(700) 또는 요건에 따라 선택(결정)된 수의사 단말기(700)를 연결하여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수의사 단말기(700)는 원격진료 요청 수신시, 등록된 영상, 분변 이미지, 가축의 생체신호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진료한 진료내역 또는 방문이 필요한 경우 방문일정을 등록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되는 진료내역 및 수의사 스케줄 등은 진료관리부(333)에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3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축사 100a : 생체정보 센서
100b : 축사환경 센서 200 : 통신모듈
300 : 분석서버 400 : 온톨로지
500 : 관리자 단말기 500a : 기관담당자 단말기
500b : 농장주 단말기 600 : 진료서버
700 : 수의사 단말기

Claims (5)

  1. 가축의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
    상기 생체정보 및 축사환경정보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가축의 이상 예측 후, 가축에 대한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을 기반으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센싱된 가축들 중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와 이상 예측된 가축의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질병명을 진단 예측하고 이상 알림한 후, 상기 예측된 진단 질병명에 따라 요구된 상기 가축의 혈액검사의 결과에 따라 질병명을 확진하는 분석서버;
    상기 분석서버로부터 축사별 및 가축별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 수신시 원격진료를 제공받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에 따라 담당 수의사를 결정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진료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서버는, 상기 이상 예측된 가축의 분변상태를 요청하는 메시지 및 상기 진단 예측된 질병명을 포함하는 이상 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이상 알림 수신시 해당 가축의 분변을 촬영한 분변이미지를 상기 분석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분변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분석서버는, 이상 예측된 가축의 생체정보, 분변상태, 확진된 질병명 및 진료정보를 상기 온톨로지의 질병데이터 및 질병지식으로 업데이트하고,
    진료 스케줄, 진료정보 및 처방정보를 등록하는 수의사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서버는, 상기 혈액검사가 요구되면 상기 진료서버를 통해 상기 결정된 담당 수의사의 수의사단말기로 알림하고, 상기 수의사단말기는, 원격진료를 통해 해당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등록된 진료스케줄, 진료정보 및 처방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분석서버는, 농장별로 정상 센싱값 누적횟수 대비 이상수치 센싱값 누적횟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농장의 이상수치 센싱값 분포현황을 제공하고, 인근지역의 농장에 대한 이상수치 센싱값 비율 및 이상수치 센싱값에 의한 질병발생률을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진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1203A 2019-06-17 2019-06-17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KR10210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03A KR102108829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03A KR102108829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829B1 true KR102108829B1 (ko) 2020-05-11

Family

ID=7072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03A KR102108829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75A (ko) 2021-02-18 2022-08-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혈청 예찰용 대상 개체 선정 방법
KR20230025553A (ko) 2021-08-12 2023-02-22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가축질병통제시스템 및 가축질병통제방법
KR20230053038A (ko) *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11830627B2 (en) 2021-04-13 2023-1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ease based on biosignal data and medical knowledge base convergence
KR102607895B1 (ko) * 2023-05-15 2023-11-30 주식회사 이엔비 스마트 축우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252B1 (ko) 2011-07-27 2012-12-18 빈창범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130042771A (ko) * 2011-10-19 2013-04-29 남궁성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8883A (ko) * 2012-11-07 2014-05-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방법
KR20150053465A (ko) * 2013-11-08 2015-05-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구제역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41342B1 (ko) * 2014-06-27 2016-07-20 주식회사 피엔브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252B1 (ko) 2011-07-27 2012-12-18 빈창범 가축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가축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130042771A (ko) * 2011-10-19 2013-04-29 남궁성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8883A (ko) * 2012-11-07 2014-05-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구축 방법
KR20150053465A (ko) * 2013-11-08 2015-05-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구제역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41342B1 (ko) * 2014-06-27 2016-07-20 주식회사 피엔브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75A (ko) 2021-02-18 2022-08-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혈청 예찰용 대상 개체 선정 방법
US11830627B2 (en) 2021-04-13 2023-1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ease based on biosignal data and medical knowledge base convergence
KR20230025553A (ko) 2021-08-12 2023-02-22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가축질병통제시스템 및 가축질병통제방법
KR20230053038A (ko) * 2021-10-13 2023-04-21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657144B1 (ko) 2021-10-13 2024-04-16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607895B1 (ko) * 2023-05-15 2023-11-30 주식회사 이엔비 스마트 축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829B1 (ko) 가축질병 예찰 및 원격 진료시스템
KR101961311B1 (ko) 가축용 질병 예측 및 알림 시스템
JP6392475B1 (ja) 猫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猫用トイレ
Duthie et al. Feeding behaviour and activity as early indicators of disease in pre-weaned dairy calves
US8775127B2 (en) Trustworthiness assessment of sensor data processing
US20150088463A1 (en) Measureme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00606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US20220248641A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574593B1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KR20130042771A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519B1 (ko) 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2418883B1 (ko) 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150098024A (ko) 영상정보 및 생체신호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사육환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4741A (ko) 스마트 고독사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drion et al. Identifying anomalous decreases in feeding time of grow-finish pigs
KR101851464B1 (ko) 센싱 패드를 이용한 동물의 분만 예측 및 알림 시스템과 분만 예측 및 알림 방법
KR20230078348A (ko) 스마트 양식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2019012457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동물의 질병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ang et al. Prediction of livestock diseases using ontology
Aunindita et al. Use of machine learning and IoT for monitoring and tracking of livestock
KR20220091653A (ko)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질병 종류 및 확률 분석 시스템
KR102478340B1 (ko) 배변시트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건강 관리시스템
Owens et al. A review of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veterinary medicine
WO2023113009A1 (ja) 健康状態把握装置、健康状態把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69755B1 (ko)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