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502B1 -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502B1
KR102108502B1 KR1020190057402A KR20190057402A KR102108502B1 KR 102108502 B1 KR102108502 B1 KR 102108502B1 KR 1020190057402 A KR1020190057402 A KR 1020190057402A KR 20190057402 A KR20190057402 A KR 20190057402A KR 102108502 B1 KR102108502 B1 KR 10210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receiv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7227A (en
Inventor
정우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5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방법은 연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는 단계; 및 협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ransmits power to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ncludes: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signal; Negotiating for power transmission with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Description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etho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a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a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Wireless power transmission or wireless energy transfer technology that wirelessly transfers electric energy to a desired device has already begun to use electric motors or transformers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in the 1800s. A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by radiating the same electromagnetic wave has also been attempted. Electric toothbrushes and some wireless shavers that we commonly use are actually charged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To date, the energy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wireless method includes magnetic induction, magnetic resonance, and long-distance transmission technology using short-wavelength radio frequencies.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중 자기 공진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mong thes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an energy transmission method using magnetic resonance has been widely used.

자기 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과 수신측에 형성된 전기신호가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agnetic resonance, since an electric signal formed o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s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a coil, a user can easily charg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devices.

종래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송신 측이 수신 측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전력전송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자기공진 방식을 통해 송신 측이 수신 측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전력전송을 수행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the transmission side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receiving side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performs power transmission. However, the technique of performing the power transmission by receiving side status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side through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Development is still insignificant.

또한, 자기공진의 방식으로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에 무선전력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측에서도 송신 측의 상태정보를 알면, 보다 효율적인 전력전송이 가능하므로 송신 측과 수신 측 간 서로의 상태정보를 공유하는 양방향 통신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power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in a self-resonant manner, the receiving side also know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so more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so that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s share statu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t requires two-way communication.

이와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841호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62841 is related to the prior patent literature.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간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여 능동적으로 전력전송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information that actively transmits powe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t aims at providing a recep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방법은 연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는 단계; 및 협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power to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includes: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signal; Negotiating for power transmission with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 방법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연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는 단계; 및 상기 협상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in which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mprises: receiving a conn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Negotiating power transmiss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복수의 상태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태 리스트들 중 하나 이상의 상태 리스트를 요구하는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formation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tatus lis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Receiving a request signal requesting one or more status lists among the plurality of status lists;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복수의 상태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태 리스트들 중 하나 이상의 상태 리스트를 요구하는 요청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in which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information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plurality of status lis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requesting one or more status lists among the plurality of status lists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연결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는 협상부; 및 협상된 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ower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 identif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and identifie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 negotiating unit negotiating power transmission with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연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하는 응답신호 전송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는 협상부; 및 협상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power from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respons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negotiation unit negotiating power transmiss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 상태정보를 공유하여 능동적인 전력전송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e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by sha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와 송신부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공진 코일, 수신 유도 코일, 평활 회로 및 부하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천이도이다.
1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transmission induction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power source and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receiving resonant coil, a receiving induction coil, a smoothing circuit, and a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ransition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1 sh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력 소스(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자기 공진 현상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공진을 이루는 즉, 공진 주파수 값이 동일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source 10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nd the resonance power valu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value is achieved by resonating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by a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력 소스(10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력 소스이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ource 100 is an AC power source that provides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로 구성된다. 송신 유도 코일(210)은 전력 소스(100)와 연결되며, 교류 전류가 흐른다. 송신 유도 코일(210)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송신 공진 코일(22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 송신 공진 코일(220)로 전달된 전력은 자기 공진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달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and a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0. The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00, and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When an AC current flows through the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an AC current is also induced to the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0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by magnetic resonance.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사이는 자기 공진에 의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에 비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 간의 위치 및 거리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Power may be transmitted between two LC circuits having impedance matching by magnetic resonance. The power transmission by self-resonanc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posi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회로(330) 및 부하(340)로 구성된다. 송신 공진 코일(220)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수신 공진 코일(310)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 공진 코일(310)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수신 공진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된다.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 회로(33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340)로 전달된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composed of a receiving resonant coil 310, a receiving induction coil 320, a rectifying circuit 330, and a load 340.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220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resonant coil 310 so that an AC current flows through the reception resonant coil 310.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0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induction coil 320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ceiving induction coil 320 is rectified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330 and transmitted to the load 34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가변 캐패시터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의 등가 회로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may be composed of an inductor L1 and a capacitor C1, thereby forming a circuit having appropriate inductance and capacitance values. The capacitor C1 may be a variable capacitor, and impedance matching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variable capacitor. The equivalent circuits of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220, the reception resonant coil 310, and the reception induction coil 320 may b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0)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등가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 L2)와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될 수 있다.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power source 10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and the transmission resonant coil 220 may be composed of inductors L1 and L2 and capacitors C1 and C2 having predetermined inductance values and capacitance values,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평활 회로(330) 및 부하(340)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of a receiving resonant coil 310, a receiving induction coil 320, a smoothing circuit 330, and a load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공진 코일(310)과 수신 유도 코일(320)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 L4)와 캐패시터(C3, C4)로 구성될 수 있다. 평활 회로(330)는 다이오드(D1)와 평활 캐패시터(C5)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부하(340)는 1.3V의 직류 전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receiving resonant coil 310 and the receiving induction coil 320 may be composed of inductors L3 and L4 and capacitors C3 and C4 having predetermined inductance values and capacitance values, respectively. The smoothing circuit 330 may be composed of a diode D1 and a smoothing capacitor C5, and converts and outputs AC power to DC power. The load 340 is indicated by a DC power of 1.3 V, but may be any rechargeable battery or device requiring DC pow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부(230), 식별부(240), 협상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송신 유도 코일(210), 송신 공진 코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230, an identification unit 240, a negotiation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Also, the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10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transmission resonance coil 220 may be further included.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부(350), 응답신호 전송부(360), 협상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수신 공진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회로(330), 부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may include a receiver 350, a response signal transmitter 360, a negotiator 370, and a controller 380. In addition, the reception resonant coil 310, the reception induction coil 320, the rectifying circuit 330, and the load 340 shown in Figure 1 may be further included.

송신부(230)는 수신부(350)에 연결신호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고, 식별하기 위한 전력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연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230 transmits a connection signal to the receiver 350.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signal may refer to a power signal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transmitter 230 may periodically transmit a connection signal to detec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식별부(240)는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식별한다. 식별부(240)가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연결신호의 송신을 중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부(240)가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란, 전력전송이 가능한 물체가 아닌 다른 물체 예를 들면, 키, 동전 등과 같은 물체에 연결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240 identifie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24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the transmission of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topped. In on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identification unit 24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means that it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by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to an object other than an object capable of power transmission, for example, an object such as a key or coin. Can be.

협상부(250)는 전력전송을 위해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협상하고, 제어부(260)는 협상된 결과에 따라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The negotiating unit 250 negotiates with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for power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unit 260 transmits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협상부(25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 내에서 특정한 상태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결정된 특정한 상태정보를 수신한다.The negotiating unit 25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o that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ha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specific state information is determined within the receiver, and the specific state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received.

일 실시예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에 대한 정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information on the maximum amount of power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can suppl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일 실시예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현재 충전량 또는 충전량 추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current charging amount or a trend of the charging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협상부(25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 내에서 특정한 상태정보를 결정하고, 제어부(260)는 특정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하도록 한다.The negotiation unit 250 determines the specific status information with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by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controller 260 determines the specific status information. To transmit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로 협상부(25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가용 전력량을 전송하여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가용 전력량 범위 내에서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 후,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면, 협상부(250)는 요구 전력량을 수신한다. 제어부(260)는 요구 전력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gotiating unit 250 transmits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o that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determines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within the range of available power. Thereafter,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determines the required power amount, the negotiation unit 250 receives the required power amount. The control unit 260 transmits power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power amoun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ate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o actively transmit power.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부(350), 응답신호 전송부(360), 협상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수신 공진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회로(330), 부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may include a receiver 350, a response signal transmitter 360, a negotiator 370, and a controller 380. In addition, the reception resonant coil 310, the reception induction coil 320, the rectifying circuit 330, and the load 340 shown in Figure 1 may be further included.

수신부(35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식별하기 위한 연결신호를 수신한다.The receiver 350 receives a connection signal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응답신호 전송부(360)는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전송한다.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r 36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협상부(37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전력전송을 위해 협상하고, 제어부(380)는 협상된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한다.The negotiating unit 370 negotiates for power transmission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control unit 380 receive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ccording to the negotiated result.

일 실시예로 협상부(37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 내에서 특정한 상태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상기 결정된 특정한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380)는 특정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을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gotiation unit 37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nd determines specific status information withi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The specific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 unit 380 receiv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atus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를 파악하여 능동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ate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o actively transmit pow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자기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전력 전송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resonance, but is also applicable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양방향 통신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류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가변저항 또는 스위치에 의한 In band 통신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two-way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amount of current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for example, in-band communication by a variable resistor or a switch. Do.

일 실시예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는 블루투스, NFC, 지그비 등의 별도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추가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NFC, and ZigBee may be add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o perform commun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연결신호를 전송한다(S101). 일 실시예에서 연결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고, 식별하기 위한 전력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연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a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101).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signal may refer to a power signal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periodically transmit a connection signal to detec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연결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300)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그 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식별한다(S103).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receives a connection sig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300. 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and identifies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S103).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연결신호의 송신을 중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란, 전력전송이 가능한 물체가 아닌 다른 물체 예를 들면, 키, 동전 등과 같은 물체에 연결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I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the transmission of the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topped. In one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it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by transmitting a connection signal to an object other than an object capable of power transmission, for example, an object such as a key or coin. It may be the case.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식별한 경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협상단계에 들어간다(S105).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dentifie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t enters a negoti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105).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협상이 성공하면 (S107),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한다(S109).If the negoti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uccessful (S107),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109). ).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협상단계(S105)는,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300)의 상태정보 내에서 특정한 상태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상기 특정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negotiating step (S105) of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the identification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200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Allow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to determine specific state information with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300 and receiving the specific state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t may include.

단계(S105) 내지 단계(S109)의 일 실시 예는 다음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가용 전력량을 전송하여 상기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상기 가용 전력량 범위 내에서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 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상기 요구 전력량을 수신한다. 그 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요구 전력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한다.An embodiment of steps S105 to S109 ma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o that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determines the required power amount within the range of the available power. Then, when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determines the required power amoun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the required power amount. 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power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power amount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단계(S105) 내지 단계(S109)의 일 실시 예는 다음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steps S105 to S109 ma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 내에서 정해진 우선순위를 받아들일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그 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정해진 우선순위를 받아들이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전력을 전송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priorities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provides power to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es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and identifies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The receiving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a predetermined priority within the priority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accepts the predetermined priorit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200 transmits power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riority.

단계(S105) 내지 단계(S109)의 일 실시 예는 다음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steps S105 to S109 ma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들은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복수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도록 한다. 그 후,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특정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를 선택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선택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선택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00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nd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have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One of the transmission devices 200 is determined. Then, when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elects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a selection request signal. Thereafter, the selected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에서 협상단계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의 상태정보를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gotiation step may mean reques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일 실시예에서 협상단계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에 서로 가지고 있는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gotiation step may mean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power using state information hel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한 개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mea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that on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providing power.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마다 각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경우,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that provides a power by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when eac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each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300 ( It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하고 있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mea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rovides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and information about priorities for providing power to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Can mean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하고 있는 차등적인 전력 제공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3개의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50%, 30%, 20%의 비율로 차등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정보를 말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providing power to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Can mea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rovides power to thre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300,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differentially at a ratio of 50%, 30%, 20% (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현재 충전량 또는 충전량 추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may be information on the current charging amount or the charging amount trend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어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력을 제공받는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may mean information about which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receiving power. That is, it may me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receives power.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협상이 성공하면 (S107),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식별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한다(S109).If the negoti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uccessful (S107),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pow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109). ).

전력전송 과정에서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가 변경되면(S111), 협상단계(S105)로 돌아가거나, 전력전송을 중단한다.In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if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changed (S111), the process returns to the negotiation step (S105), or the power transmission is stopped.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요인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량이 감소하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전력의 제공을 중단하고, 협상단계(S105)로 들어가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 전송량을 조정하는 협상을 수행한다. 그 후, 조정된 전력 전송량에 따라 협상이 성공되면, 전력전송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협상단계(S105)로 들어간다.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력공급이 끊어지거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전력전송을 종료한다.In an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is changed, it may mean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he amount of power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can supply.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power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can provide decreases due to external factor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stops providing power and enters a negotiation step (S105) to transmit wireless power. Negotiations for adjusting the power transmission amount between the device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re performed. Thereafter, if the negotiation i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adjusted power transmission amount, the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and if not, the negotiation step S105 is entered again. If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cut off or the charging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completed, the power transmission is terminated.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한 개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가 변경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200 is changed, it mean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300 in which on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200 is providing power. Can be.

전력전송 과정에서 만약,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되면(S113), 협상단계(S105)로 돌아가거나, 전력전송을 중단한다.In the process of power transmission, if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changed (S113), the process returns to the negotiation step (S105), or the power transmission is stopped.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changed, it may mean a case where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detec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리스트를 전송한다(S201).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의 상태 리스트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공급전력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가용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firs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a status lis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S201). The status lis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ndicat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maximum amount of power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number of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300 provided and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s 200 may be included. Table 1 explains this in more detail.

무선전력 송신장치
(식별기호)
Wireless power transmitter
(Identification symbol)
무선전력 송신장치
상태정보
Wireless power transmitter
Status information
최대공급 전력량Maximum power supply 무선전력
수신장치
개수
Wireless power
Receiver
Count
가용 전력량Available power
무선전력 송신장치(A)Wireless power transmitter (A) 100W100 W 4개4 20W20W 무선전력 송신장치(B)Wireless power transmitter (B) 200W200 W 5개5 15W15W 무선전력 송신장치(C)Wireless power transmitter (C) 300W300W 6개6 30W30W

[표 1]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A)의 최대 공급 전력량은 100W 이고, 4개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각 무선전력 송신장치(A)는 20W의 가용 전력량이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용 전력량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다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 외에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전력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C)가 제공하고 있는 6개 각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요구 전력량은 일정한 전력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를 수 있다.In Table 1, the maximum power supply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is 100 W,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four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In addition, eac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means that 20W of available power remains. Here,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may mean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provided to other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currently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of each of the six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is not limited to a constant amount of power and may be different.

각 무선전력 송신장치(300)의 가용 전력량은 개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대한 가용 전력량에 대한 상태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of each wireless power transmitter 300 may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in this cas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for each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be transmitted.

무선전력 송신장치(B)의 최대 공급 전력량은 200W 이고, 5개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B)의 가용 전력량은 15W이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C)가 제공하고 있는 6개 각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요구 전력량은 일정한 전력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를 수 있다.The maximum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 is 200 W,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fiv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In addition,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 is 15 W. In addition,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of each of the six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is not limited to a constant amount of power and may be different.

무선전력 송신장치(C)의 최대 공급 전력량은 300W 이고, 6개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장치(C)의 가용 전력량은 30W이다. 무선전력 송신장치(C)가 제공하고 있는 6개 각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요구 전력량은 일정한 전력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를 수 있다.The maximum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is 300 W,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six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In addition,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is 30 W.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of each of the six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300 provid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C is not limited to a constant power, and may be different.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상기 표 1과 같은 상태 리스트를 전송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이를 수신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a status list as shown in Table 1 above,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receives it.

그 후,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에 전송한다(S203). 이 때,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무선전력 송신장치(A)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무선전력 송신장치(A)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B)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무선전력 송신장치(A)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C)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receiving a list of one or more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00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S203).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may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a lis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and request a lis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a signal requesting a lis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may be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응답신호는 요청신호를 거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무선전력 송신장치(A)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B)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 경우, 응답신호는 무선전력 송신장치(C)에 대한 리스트만을 제공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one embodiment, the response signal may be a signal that rejects the request signal. In one embodiment,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a lis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 the response signal is sent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 It may mean a signal that provides only a list for.

상기와 같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각자의 상태에 맞는 능동적인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active power transmission suitable for each stat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법의 천이도이다.8 is a transition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모드(선택)-First mode (optional)

먼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제1 모드(M1)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M1)은 선택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M1)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수신 유도 코일에 전송되는 자기장을 의미할 수 있다.Firs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re in a first mode (M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mode M1 may be a selection mod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mode M1 may be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oes not generate a power signal. Here, the power signal may mean a magnetic field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induct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M1)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신호를 제거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M1)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들의 존재여부 및 배치를 모니터하는 상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ode M1 may be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moves the power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first mode M1 may be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onitors the existence and arrangeme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200.

-제2 모드(연결)-2nd mode (connection)

제1 모드(M1)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한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제2 모드(M2)로 천이한다. 즉,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존재를 인식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전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2 모드(M2)로 천이한다.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etect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the first mode M1, it transitions to the second mode M2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at is,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generates a power signal and transitions to the second mode M2.

일 실시예에서, 제2 모드(M2)는 연결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모드(M2)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인 준비가 된 상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mode M2 may be a connected mod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mode M2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basic prepa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제2 모드(M2)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연결신호를 송신한다. 연결신호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고, 식별하기 위한 전력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연결신호의 송신을 중단하고,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 만약,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부하(또는 배터리)(340)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다고 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는 전력전송을 종료한다.In the second mode (M2),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ransmits a connection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connection signal may mean a power signal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f,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oes not receive a response signal for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transmission of the connection signal is stopped, and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If,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at the load (or battery) 34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ufficiently charg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device 300 ends the power transmission.

제2 모드(M2)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전력전송을 요청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는 추가적인 연결신호를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연결신호는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M2),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requesting power transmiss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300 transmits an additional connection signal to the new wireless power.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device 300. The additional connection signal may mean a signal for detecting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er 300.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추가적인 연결신호에 대응한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하는 동작을 멈춘다.If there is no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connection signa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topped.

-제3 모드(식별 및 설정)-3rd mode (identification and setting)

제2 모드(M2)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검출한 경우, 검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제3 모드(M3)로 천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모드(M3)는 식별 및 설정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종류, 기종, 모델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부하(또는 배터리)(340)에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또는 최대 충전량), 부하(또는 배터리)(340)에 남아있는 현재 전력량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와 전력전송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이용한다. 전력전송 조건이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의 전력전송을 특성화하기 위한 변수들의 조건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detect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the second mode M2, a third mode (M3) for coll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det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 In one embodiment, the third mode M3 may be an identification and setting mode.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may mea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model, and mode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remains in the maximum amount of power (or maximum charge) and load (or battery) 340 that can be provided to the load (or battery) 34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t may mean the current amount of pow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u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o generat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refer to a set of conditions of variables for characterizing power transmission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제3 모드(M3)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면,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전력전송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예상치 못한 데이터 패킷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에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시간초과와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초과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제거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전송을 중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a constraint occurs i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the third mode M3, the process transitions to the first mode M1.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cas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that an unexpected data packet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situation such as timeout. The timeou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is stopp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receiving power is removed.

제3 모드(M3)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제약이 발생함에 따라 제1 모드(M1)로 천이된 상태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과 관련한 상태정보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하고, 다시 제3 모드(M3)로 천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한 개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occurs due to a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the third mode M3,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wirelessly transmits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Transmitting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300, and may transition back to the third mode (M3). 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mea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that on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providing power.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마다 각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경우,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that provides a power by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when eac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each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300 ( It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하고 있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mea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fers to information on priorities for providing power to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when provid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can do.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하고 있는 차등적인 전력 제공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3개의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50%, 30%, 20%의 비율로 차등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정보를 말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providing power to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Can mea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rovides power to thre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300,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differentially at a ratio of 50%, 30%, 20% ( 300).

제 3모드(M3)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가 특정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다시 제1 모드(M1)로 천이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5개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되면, 새롭게 검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지 못하도록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the third mode M3, when the numb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exceeds a certain number, it may transition back to the first mode M1. That is, when the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rovides power to the fiv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when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detected, the newly det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power.

-제4 모드(전력전송)-4th mode (power transmission)

제3 모드(M3)에서 전력전송 조건이 성립된 경우, 제4 모드(M4)로 천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모드(M4)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모드(M4)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대응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면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in the third mode M3, the user may transition to the fourth mode M4. In one embodiment, the fourth mode M4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is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one embodiment, the fourth mode M4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in response t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t may be a transmitting mode.

제4 모드(M4)에서 전력전송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의 전력 전송을 중단시키고,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전력전송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예상치 못한 데이터 패킷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에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시간초과와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초과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제거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전송을 중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If any one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in the fourth mode (M4) is not satisfi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stops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nd the first mode (M1) Transitions to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cas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that an unexpected data packet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situation such as timeout. The timeou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is stopp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receiving power is removed.

제4 모드(M4)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부하(또는 배터리)(340)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다고 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는 전력전송을 종료하고,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the fourth mode (M4),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at the load (or battery) 34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ufficiently charged.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ends the power transmission and transitions to the first mode M1.

제4 모드(M4)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3 모드(M3)로 천이할 수 있다.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changed in the fourth mode M4, the device may transition to the third mode M3.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과정에서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은 제4 모드(M4)에서 제3 모드(M3)로 천이한다. 그 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무선전력 전송 조건이 성립된 경우, 다시 제4 모드(M4)로 천이한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조건에 제약이 발생한 경우,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changed,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transmitted whi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is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t may mean the case where it was detected.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itions from the fourth mode (M4) to the third mode (M3). 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erforms a task for coll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n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established, returns to the fourth mode (M4). Transition.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restricted, the process transitions to the first mode M1.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를 초과하여 새로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제4 모드(M4)에서 제3 모드(M3)로 천이한다. 그 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는 범위의 개수를 초과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있어서는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chang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exceeds the number of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s 300 capable of providing power, and at least one new wireless power It may mean that the receiving device 300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itions from the fourth mode (M4) to the third mode (M3). 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erforms a task for coll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and exceeds the number of ranges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can provide. In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the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제5 모드(전력전송 및 양방향 통신)-5th mode (power transmission and two-way communication)

제4 모드(M4)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제5 모드(M5)로 천이할 수 있다.In the fourth mode (M4),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may transition to the fifth mode (M5)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제5 모드(M5)는 전력전송 및 양방향통신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 모드(M5)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 전력전송을 수행하면서 각자의 변경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모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fth mode M5 may be a power transmission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e. In one embodiment, the fifth mode M5 may be a mode in which information about each changed state is shared while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일 실시예에서 변경되는 상태에 대한 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개수가 변경되거나,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 변경되는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tate may mean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00 being changed or the amount of powe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can supply is changed.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변경되는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송신장치(200) 한 개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수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nged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may mean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he number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in which on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is providing power. .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변경되는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마다 각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경우,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change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provided by the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when eac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each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It may mean changing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devices 300.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변경되는 상태정보는 앞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nged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may mea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provid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the future.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변경되는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nged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and information about priorities for providing power to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Can mean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변경되는 상태정보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제공하고 있는 차등적인 전력 제공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3개의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50%, 30%, 20%의 비율로 차등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에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에서 각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충전량에 따라 비율을 30%, 50%, 20%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anged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provide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es 300,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ial power supply ratio provided to each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300.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provides power to thre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300,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differentially at a ratio of 50%, 30%, 20% ( In a situation in which power is provided to 300), it may mean information about changing the ratio to 30%, 50%, or 20%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 of each wireless power receiver 300.

제5 모드(M5)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면,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전력전송 조건이 불성립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예상치 못한 패킷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간에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대한 제약은 시간초과와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간초과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제거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력전송을 중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restricted in the fifth mode M5, the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occurs.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cas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that an unexpected packet is transmitt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t o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may mean a situation such as timeout. The timeou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is stopp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receiving power is removed.

제5 모드(M1)에서 전력전송 조건에 제약이 발생해 제1 모드(M1)로 천이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들과 관련한 상태정보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송하고, 다시 제5 모드(M5)로 천이할 수 있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restricted in the fifth mode (M1) and the transition to the first mode (M1) occur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st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s 300. It may transmit to the device 300, and may transition back to the fifth mode M5.

제5 모드(M5)에서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부하(또는 배터리)(340)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다고 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전력 송신장치(300)는 전력전송을 종료하고,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the fifth mode (M5),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that the load (or battery) 34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sufficiently charged.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ends the power transmission and transitions to the first mode M1.

제5 모드(M5)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4 모드(M4)로 천이할 수 있다.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300 is changed in the fifth mode M5, the device may transition to the fourth mode M4.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에 전력을 전송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에서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검출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is chang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200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and performs new two-way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mean that the receiving device 300 is detected.

이 경우,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은 제5 모드(M5)에서 제4 모드(M4)로 천이하고, 그 후,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새로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무선전력 전송 조건이 성립된 경우, 다시 제5 모드(M5)로 천이한다. 만약, 무선전력 전송조건에 제약이 발생한 경우, 제1 모드(M1)로 천이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ransitions from the fifth mode (M5) to the fourth mode (M4), and t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00 identifies and statuses information of the new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300 To perform the operation for collecting, an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are established, the transition to the fifth mode (M5) again.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s restricted, the process transitions to the first mode M1.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공진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방법, 무선전력 수신방법 및 전력제어방법은 전자기유도, RF방식 등을 이용한 다른 무선전력전송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resonan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and the power control method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th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RF method, etc. It is also applicable to.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carried out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력 소스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송신 유도 코일
220: 송신 공진 코일
230: 송신부
240: 식별부
250: 협상부
260: 제어부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10: 수신 공진 코일
320: 수신 유도 코일
330: 정류회로
340: 부하
350: 수신부
360: 응답신호 전송부
370: 협상부
380: 제어부
100: power source
2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210: transmission induction coil
220: transmit resonant coil
230: transmitter
240: identification unit
250: negotiation department
260: control unit
300: wireless power receiver
310: receiving resonant coil
320: receive induction coil
330: rectifier circuit
340: load
350: receiver
360: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unit
370: negotiation department
380: control unit

Claims (16)

무선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력 전송 조건을 협상하기 위해 무선전력 수신기와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이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의 가용 전력보다 작거나 같으면, 협상된 상기 전력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상 절차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가 상기 가용 전력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캐퍼빌러티를 획득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가용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캐퍼빌러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로부터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로 다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는 외부 요소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양이 줄어든 상태 변화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Performing a negotiation procedure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to negotiat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And
If the required pow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based on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The negotiation proces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receiving a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obtain the capabilit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the available pow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ransmitting the capability to determine the requested power based on the available power; And
Receiving the requested power for setting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Further comprising re-entering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ord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ile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comprising a state change in which the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reduced by an external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로 다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d re-entering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ile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method.
무선전력 수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 전송 조건을 협상하기 위해 무선전력 송신기와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이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의 가용 전력보다 작거나 같으면, 협상된 상기 전력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상 절차는,
가용 전력량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의 캐퍼빌러티를 획득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가용 전력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요구 전력량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로 다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는 외부 요소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양이 줄어든 상태 변화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 방법.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Performing a negotiation procedure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negotiat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And
If the required pow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The negotiation process,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or acquiring the capabilit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ceiving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Determining a required power amount based on the available power amount; And
Transmitting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to se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Further comprising re-entering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ord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ile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he stat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state change in which the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reduced by an external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로 다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nd re-entering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ile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How to receive power.
전력 전송 조건을 협상하기 위하여 무선전력 송신기와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협상부;
협상된 상기 전력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정류 회로; 및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에 따라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협상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가용 전력량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캐퍼빌러티를 획득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하고, 상기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상기 가용 전력량을 수신하고, 상기 가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요구 전력량을 결정하고,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요구 전력량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기 요구 전력량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기 가용 전력량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를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는 외부 요소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양이 줄어든 상태 변화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A negotiation unit performing a negotiation procedure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negotiat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A coil that receives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based on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A rectifying circuit that converts the wireless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to DC power and delivers it to a load;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reception according to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Including,
The negotiation department
A request signal for acquiring the capabilit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the amount of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available power amount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And determines the required power amount based on the available power amount, and transmits the required power amount for setting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required power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vailable power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enter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ord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stat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ile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he stat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state change in which the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reduced by an external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를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re-enter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stat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ile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부;
전력 전송 조건을 협상하기 위해 무선전력 수신기와 협상 절차를 수행하는 협상부;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이 무선전력 송신기의 가용 전력보다 작거나 같으면, 협상된 상기 전력 전송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협상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가 상기 가용 전력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캐퍼빌러티를 획득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상기 가용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캐퍼빌러티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 전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를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 변화는 외부 요소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양이 줄어든 상태 변화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 negotiation unit performing a negotiation procedure with a wireless power receiver to negotiate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And
If the required pow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vailabl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based on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s
Including,
The negotiation uni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obtaining the capabilit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ing the availabl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he wireless power receiver receives the available power Transmitting the capability for determining the requested power based on the received power, and receiving the requested power for setting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enter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ile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The state chang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a state change in which the amount of th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reduced by an external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협상된 전력 전송 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와 상기 협상 절차를 다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ontrolling to re-enter the negotiation procedure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 order to adjust the negotiated power transmission condition in response to a change i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while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KR1020190057402A 2019-05-16 2019-05-16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2108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02A KR102108502B1 (en) 2019-05-16 2019-05-16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402A KR102108502B1 (en) 2019-05-16 2019-05-16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21A Division KR101981721B1 (en) 2018-07-18 2018-07-18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676A Division KR102220864B1 (en) 2020-04-29 2020-04-29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27A KR20190057227A (en) 2019-05-28
KR102108502B1 true KR102108502B1 (en) 2020-05-08

Family

ID=6665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402A KR102108502B1 (en) 2019-05-16 2019-05-16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5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6A (en) 2008-04-17 2009-11-05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457A (en) *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transmission network system
US8497658B2 (en) *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KR101377301B1 (en) * 2009-02-11 2014-04-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48751B1 (en) * 2010-04-02 201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ireless Power Trans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156A (en) 2008-04-17 2009-11-05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 supply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27A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732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1490732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1749999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2220864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1601909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1981721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2108502B1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101667926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KR20170072851A (en) Apparatus for transmmiting wireless power and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