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208B1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 Google Patents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208B1
KR102108208B1 KR1020150107916A KR20150107916A KR102108208B1 KR 102108208 B1 KR102108208 B1 KR 102108208B1 KR 1020150107916 A KR1020150107916 A KR 1020150107916A KR 20150107916 A KR20150107916 A KR 20150107916A KR 102108208 B1 KR102108208 B1 KR 10210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condary battery
cylindrical secondary
circular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4476A (en
Inventor
송인경
김효진
김동명
윤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0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208B1/en
Publication of KR2017001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01M2/022
    • H01M2/1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상으로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셀이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단위셀을 구성하는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이 전지케이스의 원형 바닥에 평행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절연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n a planar shape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a unit cell.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r positive electrode and a circular negative electrode constituting a stack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ircular bottom of the battery case,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to provide.

Description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본 발명은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ircular electrode.

최근, 전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슬림 타입(slim type) 구조 또는 곡면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인하여 이차전지의 새로운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emand for electric device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and new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are due to the emergence of devices of various designs including slim type structures or curved structures. Is required.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이차전지는 단순한 육면체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곡면구조 또는 원형 구조의 디바이스에 대해 형상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바, 평면상 곡면 또는 원형 구조의 디바이스에 평면상 사각형 형상의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손실되는 부피만큼 용량면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is regard, in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since a simple hexahedral structure is predominant, a discrepancy in shape occurs for a device having a curved structure or a circular structure, and a secondary having a planar square shape in a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a circular structure In the case of using a battery, there is a problem that a loss occurs in terms of capacity as much as a lost volume.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is a cylindrical battery or a rectangular battery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square metal can,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a pouch-shaped battery embedded i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t is classified as.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바이셀, 풀셀 등의 스택형 유닛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막 시트를 사용하여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및 스택형 유닛셀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한 라미네이션/스택형으로 분류된다.The electrode assembly embedded in the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or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consisting of a stacked structure of anode / separator / cathode, and a jelly-roll type wound through a separator between a long sheet-type anode and a cath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Stack / folding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acked unit cells such as stacked, bi-cell, and full-cell stacked sequentially, with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of a predetermined size interposed therebetween, using a long-length separator sheet, and The stacked unit cells are classified as lamination / stack types in which a separator is stacked with an intervening membrane.

전기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다양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파우치형 전지는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작다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다.Due to the recent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electrical devic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in-walled square-shaped batteries and pouch-shaped batteries, and in particular, pouch-shaped batteries are easy to deform and have low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It is preferred in that it is small.

그러나,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금속 캔을 전지케이스로 사용하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전지를 내장한 디바이스의 사용 중에, 형태 변형의 위험 및 이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pouch-type battery is mad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durability is inferior to that of a cylindrical battery and a square battery using a metal can as a battery case. Therefore, during the use of a device incorporating a pouch-shaped battery, the risk of shape deformation and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resulting therefrom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개발되는 추세를 반영하면서, 안전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high need for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satisfying the demand for safety while reflecting the trend in which various types of devices are develop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평면상으로 원형의 양극 및 원형의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금속 소재의 원통형 전지케이스 내에 내장된 구조의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에, 평면상 원형의 디바이스에 적용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다기능 소형화 제품에 대해서도 고용량의 전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undergone in-depth studies and various experiments, and the electrode assembly of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n a planar shape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battery case made of metal.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hen applied to a flat circular devi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wasted unnecessarily, discovering that a high-capacity battery can be provided even for a multi-functional miniaturized product, and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Reached.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를 금속 소재의 원통형 캔에 내장 후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에 의한 화재 및 발화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용량 증가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used after being embedded in a cylindrical can made of a metallic material, durability is improv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fire or ignition due to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평면상으로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셀이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단위셀을 구성하는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이 전지케이스의 원형 바닥에 평행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절연부재가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of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n a planar shape is cylindrical with an electrolyte Built in a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r positive electrode and a circular negative electrode constituting a unit cell are stacked so as to be parallel to a circular bottom of the battery case, an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n insulating member is loc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형 전극으로 이루어진 구조인 바, 종래의 육면체 구조의 이차전지를 평면상 원통형 구조의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의 외형과 이차전지 형상의 불일치로 인해 사장(死藏)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버려졌던 면적만큼 전지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Device) 또는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등에서 요구하는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made of a circular electrode, when a conventional hexahedral secondary battery is used for a device having a flat cylindrical structure, due to a mismatch between the external shape of the device and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Since the dead space can be minimized,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increased as much as the discarded are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y required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wearable device, which is in a trend of miniaturization of multifunctionality.

또한, 원형의 전극들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금속 소재의 원통형 캔에 삽입하는 구조인 바, 종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지케이스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made of circular electrodes is inserted into a cylindrical can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durability of a laminate sheet used as a battery case of a conventional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an be solv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는, 원형의 전극들이 전지케이스의 원형 바닥에 평행하도록 적층되는 구조인 바, 전극판들과 전지케이스 내부의 접촉이 발생하여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circular electrodes are stack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ircular bottom of the battery case, so that the electrode plates ar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to prevent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원형의 양극 및 원형의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구조의 단위셀들이 복수 개 적층된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세하게는, 상기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위에 위치시킨 후, 분리필름을 권취하여 형성되는 스택/폴딩형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추가적인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반대 극성의 전극들이 대면하면서 단위셀들이 적층된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s stacked, but in detail, the unit cells are separated from the film. After being placed on top, it may be a stack / folding structure formed by winding a separation film, or a lamination / stack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are stacked while electrodes of opposite polarities face each other with an additional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therebetween. .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는 전극들의 일측면과 만나는 분리필름이 전극조립체의 내부에 개재된 상태로 권취되는 구조인 바, 분리필름의 두께만큼 전극조립체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전지의 용량 측면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부피 증가의 문제가 없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가 더욱 바람직한 구조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ack / folding electrode assembly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ion film meeting one side of the electrodes is wound in an interposed state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reases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film.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 lamination / stack electrode assembly having no problem of volume increase may be a more preferable structure.

한편,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소재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내전해액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틸,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니켈 등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materi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can exhibit electrolytic solution resistance. Preferably, it can be formed of any one of stainless steel, steel, aluminum or alloys thereof. Therefore, a plating layer such as nickel may be formed.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들 각각에는 전극 본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 탭으로부터 이격된 외주변의 다른 부위에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도입된 형상의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 탭과 만입홈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전극들 간의 쇼트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전극의 구조는 양극 및 음극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In one specific example, electrode tabs of a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electrode body are formed on each of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re introduce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at other parts of the outer periphery spaced from the electrode tab. An indentation groove having an old shap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tabs and the indentation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prevent shorts between different electrodes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tructure of such an electrode is equally applied to both the anode and the cathode.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과 만입홈은 전극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상기 전극 탭과 만입홈이 180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양극 탭 및 음극 탭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전극조립체의 제조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electrode tab and the indentation groove may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electrode tab and the indentation groove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180 degrees. In the case of forming a stack / folding electrode assembly, the anode tab and the cathode tab can be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more efficient electrode assemblies.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의 양측 하단 단부가 전극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극 탭의 양 측면들이 전극 본체의 외주변과 접하는 부위들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격용 슬릿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exten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from portions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body, such that both lower ends of the electrode tab are located inside the electrode body. Spaced apart slits may be formed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전극조립체에서 전극 본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전극 탭들이 전기적인 연결이 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의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경우, 겹쳐진 전극 탭들의 상하 방향 위치 형성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탭들은 하단부가 전극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극 본체를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When form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electrode tabs of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electrode body in the electrode assembly are extend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ase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verlapped electrode tabs Flexibility can be imparted to positioning. Accordingly, the electrode tabs may extend upward or downward relative to the electrode body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body.

상기 이격용 슬릿의 형상은 전극 탭들의 상하방향 이동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용 슬릿은 집전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가 원형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점 및 전극 탭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이격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lit for the sepa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flexibility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ctrode tabs. . Specifically, the slit for separa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narrowing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ircular electrode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ab is uniform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and the like, preferably, a slit for spacing may be formed in a narrower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상기 이격용 슬릿에서 집전체의 외주변에 접하는 단부는 동그스름하게 처리한 모따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nd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separation slit may be formed in a rounded chamfered shap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서로 다른 전극이 대면하도록 적층된 구조인 바, 상기 만입홈에는 상이한 전극의 일부가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입홈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세하게는 상기 만입홈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10% 내지 180%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120% 내지 160%일 수 있다. 상기 만입홈의 폭이 전극 탭 너비의 110%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정되지 않은 전극의 이동이 발생함으로써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180%보다 클 경우에는, 전극의 용량 저하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is a structure stacked so that different electrodes face each other, and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different electrodes is located in the indentation groove. Therefore, the width of the indenta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indentation groove may be 110% to 180%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and more specifically 120 % To 160%. When the width of the indentation groove is less than 110% of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there is a fear that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the movement of the unfixed electrode, and when it is greater than 180%,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

한편, 상기 이격용 슬릿의 폭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전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이격용 슬릿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 내지 30%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5% 내지 25%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본체의 중심부에서 이격용 슬릿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에 가까우며, 집전체의 외주변 단부에서 이격용 슬릿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3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용 슬릿의 폭이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 보다 작을 경우에는 전극 탭이 다른 전극과 접촉하여 단락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고, 30%보다 클 경우에는 집전체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용량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slit for the separation can be formed not only constant as described above, but also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for example, the separation The width of the slit may be formed in a size of 1% to 30%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and may be formed in detail of 5% to 25%.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lit for separation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is close to 1%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width of the slit for separation at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is close to 30%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Can be formed. When the width of the slit for separation is less than 1%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the risk of short-circuiting occurs due to the electrode tab coming into contact with other electrodes, and when it is greater than 30%, the capacity of the current collector becomes smaller.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ccurs.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이격용 슬릿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전극 탭은 전극 리드 또는 전극 탭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된 전극 탭들이 집전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경우 단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탭 상에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electrode tab bounded by the separation slit may be formed wit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ode leads or electrode tabs, and short circuits when the combined electrode tabs exten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current collector In order to prevent occur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on the electrode tab.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본체의 외주변으로부터 돌출된 부위에서, 양극 탭이 양극 리드에 연결되고 음극 탭이 음극 리드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는 전지케이스의 상부 및/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극 리드는 음극에 형성된 만입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리드는 양극에 형성된 만입홈 상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at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body.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top and / or bottom of the battery case. 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lead may be positioned on the indentation groov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positioned on the indentation groove formed in the positive electrode.

이 때, 상기 만입홈에 위치한 다른 전극의 전극 리드들의 두께가 만입홈의 깊이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전지 케이스 내에 삽입된 전극조립체의 외주변 둘레가 커지기 때문에 원형 전극의 반지름이 작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지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양극 리드의 외면은 음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에 접하거나 또는 그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리드의 외면은 양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에 접하거나 또는 그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eads of the other electrode located in the indentation groove is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indentation groove, the radius of the circular electrode becomes smaller because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inserted in the battery case becomes large. Due to this, the capacity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is in contact with or around the virtual outer periphery of the nega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of the posi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or around the virtual outer periphery.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측 최외곽 전극들을 제외한 양극 탭들 간 또는 음극 탭들 간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있으며, 최외곽 양극의 양극 탭에 양극 리드가 부착되어 있고, 최외곽 음극의 음극 탭에 음극 리드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 리드를 최외곽 전극에만 부착하는 경우에는, 전극리드로 인한 전극조립체의 부피 증가의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specific example,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etween anode tabs or cathode tabs except for the outermost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 anode lead is attached to the anode tab of the outermost anode, and a cathode tab of the outermost cathode A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attached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de lead is attached only to the outermost electr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less concern that a problem of volume increase of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the electrode lead is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전극조립체는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구조인 바, 원형의 양극 및 원형의 음극의 면적을 초과하는 분리막 또는 분리필름은 전극조립체의 부피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삽입되기 전에, 분리막 또는 분리필름은 평면상으로 원형 전극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embedded in a cylindrical battery case, a separator or a separation film exceeding the area of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electrode assembly. Becom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efore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or or the separator film is pro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a circular electrode in a planar shape.

한편, 서로 다른 전극들이 대면하여 적층된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와 접촉하는 경우 단락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재는 전극리드의 용접 부위를 제외하고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거나, 또는, 상기 절연부재가 전극리드들의 단부들이 돌출된 상태로 전극조립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구성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stacked with different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may cause a short circuit, for example, an insula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used to weld the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or,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a configura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 the ends of the electrode leads protruding.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and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battery pack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devices requiring high temperature safety, long cycle characteristics, high rate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and detailed examples of such devices include mobi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 A power tool that is moved by power by an all-electric motor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including electric bicycles (E-bikes) and electric scooters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An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Energy Storage System)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se devic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와 같이 원형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원형의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장(死藏)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이차전지의 전지케이스를 금속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지의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ircular electrode, such as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a circular device, can minimize the space that is dead (수), so the spac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resul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capacity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case of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s used as a metal material,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from external impact.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전극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전극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전극리드가 연결된 원형 전극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전극리드가 부착된 전극들을 적층하여 형성된 전극조립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전극 탭끼리 연결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및
도 8은 내측면에 절연부재가 부착된 전지케이스의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ircular electr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ircular electr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ircular electrode to which an electrode lead is connected;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lamination / stack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electrodes to which an electrode lead is attached;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 tab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8 is a plan view of the battery case with an insulating memb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전극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은 원형의 집전체(111, 1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의 집전체(111, 121)는 외주변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전극 탭(112, 122)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 중심을 기준으로 전극 탭(112, 122)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 만입홈(113, 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 탭(112, 122)의 하단부(116, 126)가 전극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극 탭(112, 122)의 양 측면에는 이격용 슬릿(114, 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용 슬릿(114, 124)은 외주변으로부터 전극의 중심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 이격용 슬릿(114)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격용 슬릿(124)은 집전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격용 슬릿(114, 124)에서 집전체의 외주변에 접하는 단부(117, 127)는 모서리를 라운딩처리 한 모따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a plan view of a circular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electrode is composed of a circular current collector (111, 121), the circular current collector (111, 121) has an electrode tab (112, 122) of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It is formed, and indentation grooves 113 and 123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the electrode tabs 112 and 122 based on the center of the electrode. In addition, the lower ends 116 and 126 of the electrode tabs 112 and 122 are located inside the electrode, and separation slits 114 and 1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s 112 and 122. The spacing slits 114 and 124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y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nd the spacing slits 11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pacing slits 124 are electro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It consists of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In addition, since the ends 117 and 127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spaced apart slits 114 and 124 are formed in a chamfered shape with rounded edges, damage to the separator can be prevented.

집전체(111, 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전극 활물질(115, 125)이 도포되어 있으나, 전극 탭(112, 122) 상에는 전극 활물질(115, 125)이 도포되어 있지 않다.Althoug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s 115 and 125 are co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s 111 and 121,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s 115 and 125 are not coated on the electrode tabs 112 and 122.

만입홈(113, 123)은 다른 전극의 전극 탭(112, 122) 및 이에 연결된 전극리드가 위치하게 되는 바, 서로 다른 전극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만입홈(113, 123)의 폭(b)은 전극 탭의 너비(a)를 기준으로 110% 내지 180%에 해당한다.The indentation grooves 113 and 123 are positioned with electrode tabs 112 and 122 of different electrodes and electrode leads connected thereto, so that the widths of the indentation grooves 113 and 123 are prevented by short circuits due to contact between different electrodes (b) corresponds to 110% to 180% based on the width (a) of the electrode tab.

도 3은 원형 전극에 형성된 전극 탭에 전극리드가 부착된 상태의 평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3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an electrode lead attached to an electrode tab formed on a circular electrode.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원형 전극으로서, 집전체(121)에는 전극 활물질(125)이 도포되어 있고, 집전체 외주변으로 돌출된 전극 탭(122)의 말단부에는 전극리드(151)가 용접(15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s the circular electrode illustrated in FIG. 2,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125 is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121, and an electrode lead 151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electrode tab 122 protruding around the current collector. ) Is attached by welding 15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측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4 and 5 schematically show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로서, 양극(201), 음극(202) 사이에 분리막(203)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단위셀들(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을 분리필름(290) 상에 위치시킨 후 권취하여 전극조립체(200)를 형성하였다. 전극조립체(200)는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의 순서대로 적층되거나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바이셀(bi-cell) 구조의 단위셀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단위셀들은 풀셀들(full-cell) 또는 바이셀들(bi-cell)로만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셀 및 바이셀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a stack / 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unit cells 210 and 220 stacked with a separator 203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201 and the cathode 202. 230, 240, 250, 260, 270, 280) was placed on the separation film 290 and then wound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200.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composed of unit cells of a bi-cell structure formed by laminating in the order of cathode / separator / anode / separator / cathode or lamination in order of an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In addition, the unit cells may not only be composed of full-cells or bi-cells, but also full-cells and bi-cells may be mixed.

도 5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0)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로서, 양극(301) 및 음극(302) 사이에 분리막(303)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된 단위셀들이, 단위셀들 사이에 분리막(303)을 추가로 개재하며 적층되어 전극조립체(300)를 형성하였다. 단위셀 내부에 개재되는 분리막과 단위셀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은 서로 동일한 것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크기 및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상이한 분리막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de assembly 300 is a lamination / stack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unit cells stacked with a separator 303 between the anode 301 and the cathode 302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The separation membrane 303 was further interposed and stacked to form the electrode assembly 300. Of course, the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unit cell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and different separation membranes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afety of the device used.

도 6은 전극 리드가 부착된 원형 전극이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6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circular electrode with an electrode lead is stacked.

도 6을 참조하면, 양극(311) 및 음극(321) 사이에 분리막(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한 상태로 형성된 풀셀들(320) 5개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풀셀들(320) 사이에도 분리막(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five full cells 320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311 and the cathode 321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separator (not shown) is also interposed between 320.

양극(311)은 집전체 외주변으로 돌출된 양극 탭(312)의 말단에 양극 리드(361)가 부착되어 있고, 음극(321)은 집전체 외주변으로 돌출된 음극 탭(322)의 말단에 음극 리드(362)가 부착되어 있다. 양극 리드(361)는 음극(321)에 형성된 만입부에 위치하며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음극 리드(362)는 양극(311)에 형성된 만입부에 위치하며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311 has a positive electrode lead 361 attached to an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312 protruding around th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321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322 protruding around the current collector outer periphery. The negative electrode lead 362 is attache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361 is located in the indentation formed in the cathode 321 and extends upwar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362 is located in the indentation formed in the anode 311 and extends upward.

양극 리드(361) 및 음극 리드(362)는 상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극 리드(361)는 상향으로 연장되고 음극 리드(362)는 하향으로 연장되어 전지케이스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lead 361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362 are shown extending upward, but the positive electrode lead 361 may be extended upwar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362 may extend downward and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ase. have.

또한, 전극 리드에 의해 전극조립체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양극 리드(361)의 외면은 음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음극 리드(362)의 외면은 양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보다 내측에 위치한다.In addition, in order not to unnecessarily increase the volume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the electrode leads,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361 is located inside the virtual outer periphery of the nega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362 is the posi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It is located inside the virtual outer periphery of.

도 7은 전극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해 양극들 및 음극들이 배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7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odes and cathodes are disposed to complete an electrode assembly.

도 7은 서로 다른 전극인 양극(221) 및 음극(231)이 교대로 적층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서, 양극들(221) 및 음극들(231)은 서로 완전히 포개지도록 이동된 후 전극조립체를 완성하며, 양극들(221) 및 음극들(231)의 사이사이에는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리막(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양극들(221)은 양극 탭들(222) 간의 용접(252)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며, 음극들(231)은 음극 탭들(232) 간의 용접(252)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양극 탭들(222) 간의 연결 및 음극 탭들(232) 간의 연결에 의해 완성된 전극조립체는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이며, 별도의 분리필름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용량 면에서도 더욱 바람직하다.7 is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2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231, which are different electrode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the positive electrodes 221 and the negative electrodes 231 are moved to completely overlap each other, thereby completing the electrode assembly. , A separator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s 221 and the cathodes 231 to secure insulation. The positive electrodes 2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welding 252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s 222, and the negative electrodes 2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welding 252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tabs 232. The electrode assembly comple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s 222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tabs 232 is a lamination / stack type structure, and is economical because it does not include components such as a separate separation film, and also in terms of capacity. It is more preferable.

또한, 최외곽에 위치한 양극(231) 및 음극(221)의 전극 탭에는 전극 리드를 부착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완성한다.In addition, an electrode lead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tabs of the anodes 231 and the cathodes 221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to complete a structure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도 8은 원형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8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circular electrode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battery case.

도 8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는 양극(221) 및 음극(231)이 분리막(도시하지 않음)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양극(221)의 양극 탭들(222) 및 음극(231)의 음극 탭(232)들은 각각 용접(252)에 의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최외곽 양극(221)의 양극 탭(222)에는 양극 리드(251)가 용접(252)에 의해 연결되고, 최외곽 음극의 음극 탭에는 음극 리드가 용접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지케이스(261)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기적인 연결이 완성되며, 전지케이스(261)의 내측면에는 절연부재(271)를 부착하여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stacking the anode 221 and the cathode 231 with a separator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node tabs 222 and the cathode of the anode 221 ( The negative electrode tabs 232 of 2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welding 25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251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2 of the outermost positive electrode 221 by welding 252,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of the outermost negative electrode by welding, thereby providing a battery case 261.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completed, and an insulating member 271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261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laims (21)

평면상으로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셀이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단위셀을 구성하는 원형의 양극과 원형의 음극이 전지케이스의 원형 바닥에 평행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면과 전극조립체 사이에 절연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들 각각에는 전극 본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 탭으로부터 이격된 외주변의 다른 부위에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도입된 형상의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탭의 양측 하단 단부가 전극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극 탭의 양 측면들이 전극 본체의 외주변과 접하는 부위들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격용 슬릿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circular anode and a circular cathode in a planar shape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The electrode assembly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r positive electrode and a circular negative electrode constituting a unit cell are stacked so as to be parallel to a circular bottom of a battery case;
In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
Each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with an electrode tab having a shape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end of the electrode body, and an indentation groove having a shape introduce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at other parts of the outer periphery spaced from the electrode tab. Is formed,
Spaced apart slits extending from the portions where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body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are formed so that the bottom ends of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are located inside the electrode body.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단위셀들을 분리필름 위에 위치시킨 후, 상기 분리필름을 권취하여 형성되는 스택/폴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a stack / folding type structure formed by winding the separation film after positioning the unit cells on the separation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추가적인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반대 극성의 전극들이 대면하면서 단위셀들이 적층된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a lamination / stack type structure in which unit cells are stacked while electrodes of opposite polarities face each other with an additional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틸,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is made of any one of stainless steel, steel,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삭제delete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과 만입홈은 전극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electrode tab and the indentation groove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삭제delete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용 슬릿은 집전체의 외주변 단부로부터 전극 본체의 중심 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lit for separation is formed to be narrowe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body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urrent collector.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용 슬릿에서 집전체의 외주변에 접하는 단부는 모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separation slit has a chamfer shape.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홈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10% 내지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width of the indentation groove is 110% to 180%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용 슬릿의 폭은 전극 탭의 너비를 기준으로 1% 내지 30%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width of the slit for separation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1% to 30% based on the width of the electrode tab.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용 슬릿에 의해 경계가 형성하는 전극 탭 상에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coated on an electrode tab defined by a boundary by the separation slit.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본체의 외주변으로부터 돌출된 부위에서, 양극 탭이 양극 리드에 연결되고 음극 탭이 음극 리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of claim 1 , wherein th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at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bod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리드는 음극에 형성된 만입홈 상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리드는 양극에 형성된 만입홈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14.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lead is positioned on an indentation groove form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located on an indentation groove formed in the positive electrod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리드의 외면은 음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에 접하거나 또는 그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리드의 외면은 양극 만입홈의 가상 외주변에 접하거나 또는 그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lead is in contact with the virtual outer periphery of the nega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or is located inside thereof,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in contact with the virtual outer periphery of the positive electrode indentation groove or inward thereof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측 최외곽 전극들을 제외한 양극 탭들 간 또는 음극 탭들 간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있으며, 최외곽 양극의 양극 탭에 양극 리드가 부착되어 있고, 최외곽 음극의 음극 탭에 음극 리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n anode lead is attached to an anode tab of the outermost anode, and an anode lead is attached to the anode tab of the outermost anode, except for the outermost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att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삽입되기 전에, 분리막 또는 분리필름은 평면상으로 원형 전극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efore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the separator or the separation film is pro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a circular electrode in a plan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전극리드의 용접 부위를 제외하고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ase except for the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전극리드들의 단부들이 돌출된 상태로 전극조립체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 the ends of the electrode leads protruding. 제 1 항 내지 제 4항, 제 6 항, 및 제 8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and 8 to 19 as a unit cell. 제 20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20 as a power source.
KR1020150107916A 2015-07-30 2015-07-30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KR1021082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16A KR102108208B1 (en) 2015-07-30 2015-07-30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16A KR102108208B1 (en) 2015-07-30 2015-07-30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76A KR20170014476A (en) 2017-02-08
KR102108208B1 true KR102108208B1 (en) 2020-05-07

Family

ID=5815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916A KR102108208B1 (en) 2015-07-30 2015-07-30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2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006B1 (en) * 2018-09-04 2023-05-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Case with Groove
KR102281113B1 (en) * 2018-10-11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698A (en) * 2011-09-21 2013-05-02 Institute Of Energy Engineering Inc Laminate battery and laminate batt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433B1 (en) * 2012-12-14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Stack type battery
KR101606442B1 (en) * 2014-01-14 2016-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Comprising Unit Cells Having Different Electrode 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698A (en) * 2011-09-21 2013-05-02 Institute Of Energy Engineering Inc Laminate battery and laminate batt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76A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1571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energy density
EP3091593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ealing part having recess
JP5564278B2 (en) Secondary battery
US10062871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tabs
EP2587566B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KR102014840B1 (en) The lithium ion prismatic cell comprising multiple jelly rolls with additional material between jelly rolls
KR102411957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stack for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KR20130132231A (en) A stepwise electrode assembly, and a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10105737A (en) Pouch cas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2013009788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KR102107000B1 (en) Electrode Assembly Employed with Recess Portion on Electrod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00030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KR101302075B1 (en) Couple structure of electrode tab and termin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080016047A (en) Rechargeable battery
US10991985B2 (en) Secondary battery
KR102086036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Cylindrical Can Having Screw-typed Fastening Portion
KR101486623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321942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20520074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welding columns
KR102108208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US20200203700A1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Plastic Member Applied to Electrode Tabs-Lead Coupling Portion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9012059B2 (en) Secondary battery
KR102468048B1 (en)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Low Resistance
KR101867650B1 (en) Battery Cell Employed with Battery Case Having Depressed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