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02B1 - 냉난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02B1
KR102105802B1 KR1020190147175A KR20190147175A KR102105802B1 KR 102105802 B1 KR102105802 B1 KR 102105802B1 KR 1020190147175 A KR1020190147175 A KR 1020190147175A KR 20190147175 A KR20190147175 A KR 20190147175A KR 102105802 B1 KR102105802 B1 KR 10210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frame
suppor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충열
Original Assignee
(주)유티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즌 filed Critical (주)유티즌
Priority to KR102019014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한편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냉난방 공조기; 상기 냉난방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실외에 설치된 상기 공조기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바닥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바닥덕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덕트의 공간에서 상기 실내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난방 공조 시스템{HEATING AND COOLING AIR 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냉난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한편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조방식에는 종래부터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모두 쾌적공간, 즉 온도적으로 균일한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취출구의 위치라든가, 취출구의 부착 방식, 또는 취출구로부터의 기류를 어떻게 제어하는가 등의 관점에서 여러가지 연구를 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면에 체류하고 있는 냉기는 저온에서 비중이 커서 바닥면에 안정되어 있으므로, 난방시에는 이것을 불어 날리도록 바닥위 취출을 채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즉, 상기한 냉기를 제거하려면 바닥면 취출로 하거나, 또는 바닥면 가열방식(바닥난방)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카페트를 전기열로 가열하는 이른바 핫카페트방식도 그 의미에서는 유효한 방법으로 되어 있다.
또, 주택 등에 있어서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는 히이트 펌프식의 냉난방기기에 있어서는 공조기본체를 방의 상부 벽면에 부착하고 있고, 난방시에는 난기를 기기 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바닥면에 체류하는 냉기를 불어 날릴 수는 없고, 공조의 정도에 관해서도 불만이 많았다. 특히, 외기에 접하는 창이나 벽면으로부터의 차가운 외풍 또는 샤시의 설치에 기인한 틈새 바람 등에 의하여 공기가 저온이 되면, 그에 따라 비중이 커지므로 그 냉기가 바닥면에 체류하기 쉬워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취급도 불편하다는 등의 결점을 피할 수 없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1479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842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보다 바르게 실내를 냉난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바닥 공조 방식의 냉난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덕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실내기가 설치된 바닥덕트의 상측면이 충격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실내기 자체의 체결 부분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실내기가 낙하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실내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냉난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공조 시스템은,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냉난방 공조기; 상기 냉난방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실외에 설치된 상기 공조기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바닥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바닥덕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덕트의 공간에서 상기 실내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실내기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높이 조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상기 바닥덕트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 공조 방식을 통해 보다 바르게 실내를 냉난방시킴으로써, 냉난방 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덕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실내기가 설치된 바닥덕트의 상측면이 충격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실내기 자체의 체결 부분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실내기가 낙하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실내기를 지지함은 물론,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바닥덕트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실내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공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와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에 의한 충격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8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공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공조 시스템(10)은, 냉난방 공조기(100), 제어부(200), 덕트(300), 실내기(400) 및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냉난방 공조기(100)는, 건물 외측에 설치되며, 제어부(200)에 제어에 따라 냉기 또는 온기를 생성하여 연결덕트(310)와 바닥덕트(320)를 통해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400)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냉난방 공조기(100)의 냉기 또는 온기의 생성,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 실내기(400)의 구동 등에 관련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덕트(300)는, 냉난방 공조기(100)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받아 전달하는 연결덕트(310)와, 연결덕트(310)로부터 건물의 실내로 연장 설치되어 냉난방 공조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기(400)로 전달하는 바닥덕트(320)로 이루어진다.
실내기(400)는, 바닥덕트(3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바닥덕트(320)로부터 전달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준다.
지지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4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덕트(320)의 공간에서 실내기(400)를 지지하여 실내기(400)가 바닥덕트(320)에서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공조 시스템(10)은, 바닥 공조 방식을 통해 보다 바르게 실내를 냉난방시킴으로써, 냉난방 공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500)는, 안착 플레이트(510), 베이스 플레이트(520), 높이 조절 프레임(60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5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실내기(400)가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각 모서리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안착 플레이트(510)의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 플레이트(510)가 안착되고, 하측이 높이 조절 프레임(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52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탄성 지지대(700)는,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상측에서 안착 플레이트(510)의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5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부(500)는, 바닥덕트(3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실내기(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실내기(400)가 설치된 바닥덕트(320)의 상측면이 충격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실내기(400) 자체의 체결 부분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실내기(400)가 낙하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실내기(400)를 지지함은 물론,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바닥덕트(320)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실내기(4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제1 상부 지지판(710), 제2 상부 지지판(720), 제1 하부 지지판(730), 제2 하부 지지판(740), 제1 링크(750), 제2 링크(760), 제1 탄성체(770) 및 제2 탄성체(78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지지판(710)은, 안착 플레이트(510)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제1 링크(75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상부 지지판(72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이격되어 안착 플레이트(510)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제2 링크(7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대향하며 베이스 플레이트(520)에 안착되며, 제2 링크(76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하부 지지판(740)은, 제2 상부 지지판(720)과 대향하며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이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20)에 안착되며, 제1 링크(75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링크(750)는, 상부가 제1 상부 지지판(7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7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7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5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링크(7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허리(751)가 형성되고, 제2 링크(760)는 제1 링크(750)와의 교차 위치에 제1 링크(750)의 허리(75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76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체(770)는,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을 지지한다.
제2 탄성체(780)는,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안착 플레이트(51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도 7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510)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510)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안착 플레이트(510)로부터 전달되거나 안착 플레이트(510)로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761) 및 두 개의 돌출부(761)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762)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7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구조는, 다른 지지판과 링크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연결 관계의 설명은 이후의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관계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지지 플레이트(731), 슬라이딩홀(732), 체결부(733) 및 수평 탄성체(73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홀(7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32)은, 지지 플레이트(73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체결부(733)는, 슬라이딩홀(732)에 안착된 제2 링크(760)의 연장 바아(762)를 체결하고, 슬라이딩홀(732)의 공간에서 수평 탄성체(7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장 바아(762)를 지지한다.
수평 탄성체(734)는, 체결부(733)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홀(732)에서 체결부(733)를 지지한다.
도 8은 도 3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 및 하부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610)은,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2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520)를 전체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거나,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전체적인 수평을 맞춰준다.
하부 프레임(620)은, 바닥덕트(320)의 바닥면에 안착에 안착되며,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다른 높이 조절 프레임(600)들과의 신장 또는 수축 정도를 달리하여 기울어진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수평을 유지시키 주는 승하강 지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 프레임(611) 및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12)은, 지지 프레임(611)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612)과의 일 대향면에는 피니언 기어(6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렉 기어(6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6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덕트(320)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홈(622)은,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62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피니언 기어(62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628)이 형성된다(도 11 참조).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4 개의 슬라이딩홈(622)의 각 일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6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622)에서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렉 기어(6121)에 맞물려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4 개의 피니언 기어(623), 브레이크액 파우치(624), 피스톤(625), 상부 지지대(626) 및 하부 지지대(6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는, 도 9 내지 도 1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는, 슬라이딩홈(622)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관(6241)을 통해 피스톤(625)으로 공급한다.
피스톤(625)은,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6251)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이때, 피스톤(625)에 의한 실린더(6251)의 승강 정도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될 수 있는 피스톤(625)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부 지지대(626)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628)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7)는, "U"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625)의 실린더(62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린더(6251)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하측에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대(627)는, 내측 공간에는 회전축(6231)과의 마찰에 따른 밀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동부재(62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620)은,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슬라이딩홈(622)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20)가 더 이상 하강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냉난방 공조 시스템
100: 냉난방 공조기
200: 제어부
300: 덕트
400: 실내기
500: 지지부
600: 높이 조절 프레임
700: 탄성 지지대

Claims (9)

  1.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냉난방 공조기;
    상기 냉난방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실외에 설치된 상기 공조기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바닥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바닥덕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덕트의 공간에서 상기 실내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실내기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상기 안착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거나 상기 안착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높이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형태의 허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의 교차 위치에 상기 제1 링크의 상기 허리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바닥덕트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다른 높이 조절 프레임들과의 신장 또는 수축 정도를 달리하여 기울어진 상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을 유지시키 주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냉난방 공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47175A 2019-11-15 2019-11-15 냉난방 공조 시스템 KR10210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75A KR102105802B1 (ko) 2019-11-15 2019-11-15 냉난방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75A KR102105802B1 (ko) 2019-11-15 2019-11-15 냉난방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802B1 true KR102105802B1 (ko) 2020-04-28

Family

ID=7045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75A KR102105802B1 (ko) 2019-11-15 2019-11-15 냉난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22A (ko) 1998-07-13 2000-02-07 윤종용 멀티형 냉난방겸용 공조기기
KR100314791B1 (ko) 1993-03-19 2002-06-20 가와카미 시게히사 난방또는냉난방의공조방법
KR20100089711A (ko) * 2009-02-04 2010-08-12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바닥 공조방식의 냉난방 시스템
JP2016017728A (ja) * 2014-07-11 2016-02-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床下吹出型室内機の風向ガイドユニット
KR101658791B1 (ko) * 2015-05-28 2016-09-23 (주)파워엔텍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전기 통신 장비 지지 장치
KR2019000025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배전선용 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791B1 (ko) 1993-03-19 2002-06-20 가와카미 시게히사 난방또는냉난방의공조방법
KR20000008422A (ko) 1998-07-13 2000-02-07 윤종용 멀티형 냉난방겸용 공조기기
KR20100089711A (ko) * 2009-02-04 2010-08-12 지엘시스텍주식회사 바닥 공조방식의 냉난방 시스템
JP2016017728A (ja) * 2014-07-11 2016-02-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床下吹出型室内機の風向ガイドユニット
KR101658791B1 (ko) * 2015-05-28 2016-09-23 (주)파워엔텍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전기 통신 장비 지지 장치
KR2019000025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배전선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4125A1 (en) Hidden electric power elevating stand structure
KR102105802B1 (ko) 냉난방 공조 시스템
CN213582004U (zh) 一种计算机硬件机箱
JP5548922B2 (ja) 天井面形成用パネル、天井面形成用パネルの取付構造、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90089242A (ko) 높이조절책상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CN116357456A (zh) 一种用于静音型柴油发电机组的降噪模块
KR2013008151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위치조절장치
KR102279656B1 (ko)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조작패널용 리프트 암
JP3238992U (ja) 電気・機械設備用放熱保護装置
KR20110000380U (ko) 벽 판넬의 높은 베이스
KR102002819B1 (ko) 취반기용 밥솥 이송장치
KR101649869B1 (ko) 다기능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100025301A (ko)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JP4017921B2 (ja) 暖房室内の空気循環装置
CN114368602B (zh) 一种矿用带式输送机控制器用保护装置
CN213272181U (zh) 一种超净实验室灯具安装结构及灯具
KR20140022609A (ko) 자동 풍향조절 기능을 갖는 공조용 디퓨져
KR102676431B1 (ko) 스마트 난방 책상
CN216868791U (zh) 一种空调机组底座可调平衡装置
CN220416673U (zh) 一种投影仪固定支架
KR20210066442A (ko) 식자재 동결건조 장치
CN219329012U (zh) 一种嵌入式工控机
CN215287850U (zh) 一种天花板安装中央空调工具
WO2021046872A1 (zh) 一种机电设备散热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