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13B1 -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13B1
KR102101713B1 KR1020180166180A KR20180166180A KR102101713B1 KR 102101713 B1 KR102101713 B1 KR 102101713B1 KR 1020180166180 A KR1020180166180 A KR 1020180166180A KR 20180166180 A KR20180166180 A KR 20180166180A KR 102101713 B1 KR102101713 B1 KR 10210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pring
moving space
hold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장수길
박장수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5Means for mechanical fixation of the brush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45)이 있는 브러시카드하우징(40)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40)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이동공간(54)이 있는 브러시홀더(52)와, 상기 브러시홀더(52)의 이동공간(5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돌출된 부분이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56)와, 상기 이동공간(54) 안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56)를 정류자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S)과, 상기 이동공간(54)의 한쪽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브러시홀더(52)의 일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스프링(S)의 후방을 지지해서 스프링(S)의 방향을 정렬하는 스프링지지부(5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Brush fixing device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브러시카드조립체에 설치되어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를 브러시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브러시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것으로, 구성부품은 크게 로터(회전자)와 스테이터(고정자)로 나눌 수 있다. 스테이터는 고정되고, 로터는 스테이터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것인데, 여기서 로터는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브러시(Brush) 모터와 브러시리스 모터(BLDC motor)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브러시 모터가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브러시리스 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브러시 타입의 영구자석 모터에서는 브러시카드조립체가 외부의 전원을 내부의 로터를 감싸고 있는 코일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 브러시카드조립체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터미널과, 초크코일, 브러시홀더 및 브러시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브러시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정류자와 접하는 것으로, 정류자 쪽으로 밀착될 수 있게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런데, 브러시홀더 내에 위치한 스프링이 브러시의 정중앙을 밀어주지 못하여, 브러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틀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스프링 자체가 브러시홀더 내에서 정확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어느 정도는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인데, 이와 같이 브러시가 틀어지면 비정상적인 전류파형이 발생하고 방향별로 성능이 달라져 모터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은 크기의 브러시홀더 내에 스프링과 브러시가 조립되어야 하고, 특히 스프링은 브러시홀더 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갖도록 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브러시홀더는 그 내부공간이 양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브러시카드조립체가 모터에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스프링과 브러시가 브러시홀더에서 분리되어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고정구조를 둘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부품수가 늘어나거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91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56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시홀더에 스프링을 지지해주는 지지부를 일체로 만들어 브러시를 정확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과 브러시가 브러시홀더 내부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스프링과 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브러시카드하우징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있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이동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돌출된 부분이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이동공간 안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를 정류자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공간의 한쪽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브러시홀더의 일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해서 스프링의 방향을 정렬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홀더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양쪽으로 개방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연장되어 브러시홀더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암과, 상기 홀더몸체의 한쪽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의 한쪽을 가로막되 상기 스프링의 후방 중심부분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홀더몸체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 한쪽 개구부를 적어도 일부분 가로막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다시 이동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스프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세장형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돌출지지단은 상기 스프링의 후방 중심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브러시홀더에는 스프링지지부가 있어서 스프링을 후방에서 정방향으로 지지해준다. 따라서, 스프링이 브러시를 향해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므로 브러시가 틀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비정상적인 전류파형이나 방향별로 성능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러시홀더의 스프링지지부는 별개물이 아니라 브러시홀더의 일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별도의 부품 없이도 스프링과 브러시를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프링지지부는 브러시홀더의 개구부 중 한쪽을 막아주기 때문에 모터와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스프링과 브러시가 브러시홀더에서 후방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카드조립체의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고정장치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모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실시례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브러시모듈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브러시모듈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의 브러시카드조립체(30)는 다양한 모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모터는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나 기타 다양한 엑츄에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자동차용 액츄에이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액츄에이터는 메인하우징(20)과 커버(80)가 결합하여 전체 외부골격을 형성한다. 메인하우징(20)과 커버(80)가 결합되면 그 내부에는 차폐된 설치공간이 만들어지고, 설치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어 액츄에이터가 동작되도록 한다. 메인하우징(20)과 커버(80)가 조립되면, 커넥터(23)와 출력부(25)의 최종출력축의 일부만 노출되고, 나머지는 설치공간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커넥터(23)의 결합공간에는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된다.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위쪽에는 커버(80)가 조립되고, 모터설치부(21) 쪽에는 모터커버(10)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커버(10)는 모터의 외관을 감싸 모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모터커버(10)는 대략 원통형상의 커버몸체(11)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모터설치공간이 있다. 도면부호 22은 설치브라켓이다.
상기 모터설치공간의 위쪽에는 브러시카드조립체(30)가 있다. 상기 브러시카드조립체(30)는 외부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받아서 액츄에이터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외부의 전원과 신호는 커넥터(23)를 통해 들어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브러시카드조립체(30)는 모터의 정류자와 연결되어 정류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정류자는 이를 코일에 전달해서 로터를 회전시킨다.
상기 브러시카드조립체(30)의 구조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카드조립체(30)의 골격은 브러시카드하우징(40)이 만든다.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40)은 대략 원형으로, 모터의 위쪽에 결합된다. 브러시카드조립체(30)와 모터가 조립되면 모터의 정류자가 아래에서 설명될 브러시카드조립체(30)의 브러시(56)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브러시카드조립체(30)와 모터가 조립되면 브러시카드조립체(30)의 부품들이 모터의 브러시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눌려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브러시(56)가 정류자를 향한 정확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4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설치공간(45)이 있고, 설치공간(45)의 중심에는 모터의 구동축이 끼워지는 중심홀(41')이 있다. 중심홀(41')은 베어링(42)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간(45)에는 다수개의 부품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공간(45)에는 총 2개의 브러시모듈(50)이 설치된다. 여기서 브러시모듈(50)이란 브러시홀더(52)와 브러시(56), 그리고 스프링(S)을 포함하는 것이다. 참고로, 브러시모듈(50)은 4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공간(45)에는 제어기판(42)이 설치되고, 제어기판(42)에는 한 쌍의 터미널(T1,T2)이 연결된다. 터미널(T1,T2)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대커넥터의 암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어기판(42)은 생략되거나 도 2와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공간(45)의 바닥에는 구획펜스(46)가 있다. 상기 구획펜스(46)는 브러시모듈(50)을 고정해주는 것으로, 설치공간(45)의 바닥에서 돌출되되 한 쌍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브러시모듈(50)이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획펜스(46)는 브러시모듈(5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2쌍이 있다.
상기 설치공간(45)의 구획펜스(46) 사이에는 브러시모듈(50)이 설치된다. 브러시모듈(50)을 보면, 상기 브러시모듈(50)은 브러시홀더(52), 브러시(56) 그리고 스프링(S)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브러시홀더(52)는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40)에 일체로 만들어진다. 브러시홀더(52)가 브러시카드하우징(40)과 별개물이 아니기 때문에 브러시홀더(52)를 브러시카드하우징(40)에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과정은 필요없다. 상기 브러시홀더(52)는 브러시(56)를 고정하되, 브러시(56)가 그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간(54)이 있다. 상기 이동공간(54)은 브러시(56)가 입출될 수 있게 이동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방향은 정류자를 향해 있다.
먼저 브러시모듈(50)의 일실시례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브러시모듈(50)을 설명하면, 상기 브러시모듈(50)의 골격은 홀더몸체가 만든다. 상기 홀더몸체는 대략 6면체고, 그 내부에는 이동공간(54)이 있다. 상기 이동공간(54)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데, 뒤쪽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프링지지부(55)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로막혀 있다.
상기 브러시홀더(52)에는 아래쪽으로 고정암(52')이 돌출되는데, 상기 고정암(52')은 브러시홀더(52)에서 연장되어 브러시홀더(52)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40)에 고정되게 한다. 도 3을 보면, 고정암(52')이 브러시카드하우징(40)의 아래쪽에서 절곡되어 브러시홀더(52)를 브러시카드하우징(40)에 조립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몸체의 위쪽에는 이동채널(53)이 개방되는데, 이동채널(53)은 이동공간(54)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채널(53)은 이동공간(54)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리드와이어(56a)가 여기를 지나갈 수 있다. 이동채널(53)은 그 입구가 좁게 만들어져 리드와이어(56a)가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홀더몸체에는 스프링지지부(55)가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55)는 상기 홀더몸체의 한쪽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54)의 한쪽을 가로막는다. 상기 스프링지지부(55)는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스프링(S)의 후방 중심부분을 지지해준다. 중심부분이 지지된 스프링(S)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이동공간(54)의 길이방향, 즉 브러시(56) 방향으로 정확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55)는 절곡부(55a)와 돌출지지단(55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곡부(55a)는 상기 홀더몸체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54) 한쪽 개구부를 적어도 일부분 가로막아 준다. 도 4를 보면 상기 절곡부(55a)가 이동공간(54)의 후방을 완전히 가로막진 않지만 적어도 중간 보다 아래쪽까지 내려와 있다. 따라서 스프링(S)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은 충분히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절곡부(55a)의 끝에는 돌출지지단(55b)이 있다. 상기 돌출지지단(55b)은 상기 절곡부(55a)에서 다시 이동공간(54) 방향으로 절곡된 것으로, 결국 스프링(S)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지지단(55b)은 스프링(S)의 중심부를 지지해준다. 상기 돌출지지단(55b)이 스프링(S)의 후방을 지지해서 스프링(S)의 방향을 정렬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부(55)는 세장(細長)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출지지단(55b)은 상기 스프링(S)의 후방 중심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S)이 충분이 넓은 면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지지단(55b)은 상기 스프링(S)의 내경보다 작게 만들어져 상기 스프링(S)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공간(54)에는 스프링(S)이 삽입되고, 그 앞쪽에 브러시(56)가 위치한다. 따라서 브러시(56)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브러시(56)는 상기 브러시홀더(52)의 이동공간(5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돌출된 부분이 정류자와 접촉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러시(56)는 이동공간(54)에 입출될 수 있는데, 후방은 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어서 정류자와 밀착될 수 있고, 어느 정도 마모되어도 스프링(S)에 의해 정류자와 밀착되는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56)의 위쪽에는 리드와이어(56a)가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56a)는 전류를 통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리드와이어(56a)는 상기 브러시(56)와 초크코일(5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한쪽 끝은 브러시(56)에 반대쪽 끝은 초크코일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리드와이어(56a)가 초크코일에 연결되기 때문에, 터미널(T1,T2)-초크코일(51)-브러시(56)-정류자-코어에 권선된 코일 순서로 전원이 공급되고, 모터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56a)는 피그테일일 수 있다. 도면부호 51a은 초크코일(51)과 브러시(56)의 리드와이어(56a)를 연결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브러시(56)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프링(S)은 상기 브러시홀더(52) 및 그 주변에 고정되어서 스프링(S)을 탄성지지하는데, 이를 위해 브러시(56)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프링(S)은 원통형의 코일스프링(S)이고, 이동공간(54)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브러시(56)가 이동공간(54) 안쪽으로 삽입되면 스프링(S)이 압축되었다가 이완되면서 브러시(56)를 바깥쪽으로 밀어준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에서와 동일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부분은 100번에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홀더몸체에는 스프링지지부(155)가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155)는 상기 홀더몸체의 한쪽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154)의 한쪽을 가로막는다. 상기 스프링지지부(155)는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스프링(S)의 후방 중심부분을 지지해준다. 중심부분이 지지된 스프링(S)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이동공간(154)의 길이방향, 즉 브러시(156) 방향으로 정확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부(155)는 절곡부(155a)와 지지돌부(155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절곡부(155a)는 상기 홀더몸체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154) 한쪽 개구부를 적어도 일부분 가로막아 준다. 도 6를 보면 상기 절곡부(155a)가 이동공간(154)의 후방을 완전히 가로막진 않지만 적어도 중간 보다 아래쪽까지 내려와 있다. 따라서 스프링(S)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은 충분히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절곡부(155a)의 끝에는 지지돌부(155b)가 있다. 상기 지지돌부(155b)는 상기 절곡부(155a)에서 다시 이동공간(154)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결국 스프링(S)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돌부(155b)는 스프링(S)의 중심부를 지지해준다. 상기 지지돌부(155b)가 스프링(S)의 후방을 지지해서 스프링(S)의 방향을 정렬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프링지지부(155)는 절곡부(155a)의 중심부 일부가 스프링(S)방향 돌출된 형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돌부(155b)는 상기 절곡부(155a)의 중심이 엠보싱가공되어 원형돌기형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스프링(S)이 충분이 넓은 면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돌부(155b)는 원통형의 스프링(S)과 동심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스프링(S)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스프링(S)의 정렬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자모듈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먼저 정류자홀더의 홀더몸체에 있는 이동공간(54)에 스프링(S)을 삽입한다. 스프링(S)은 이동공간(54) 안쪽으로 밀려가는데, 절곡부(55a)가 있어서 후방으로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고, 이동공간(54)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링(S)이 빠지지 않도록 별도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S)의 앞쪽에 정류자를 삽입한다. 정류자는 이동공간(54)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연결된 리드와이어(56a)는 이동채널(53)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정류자가 스프링(S)에 닿은 상태에서,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더욱 밀어넣으면 스프링(S)이 압축되면서 탄성지지된다.
이때, 스프링(S)은 절곡부(55a)의 돌출지지단(55b)에 지지되어 정확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즉 스프링(S)은 정류자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인데, 돌출지지단(55b)이 스프링(S)의 중심 부분을 밀어주기 때문에 이러한 정렬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프링(S)이 브러시(56)를 향해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므로 브러시(56)가 틀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비정상적인 전류파형이나 방향별로 성능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브러시홀더(52)의 스프링지지부(55)는 별개물이 아니라 브러시홀더(52)의 일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작업자는 별도의 부품을 조립하지 않고도 스프링(S)과 브러시(56)를 효과적으로 정렬할 수 있고, 스프링(S)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공간(54) 안쪽으로 삽입되지 않아도, 삽입된 스프링(S)은 스프링지지부(55)에 의해 정렬되어 정확한 방향으로 보정될 수 있어서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상태에서 브러시홀더(52)를 포함한 브러시카드조립체(30)를 모터에 조립하면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지지부(55)가 브러시홀더(52)의 개구부 중 한쪽을 막아주기 때문에 모터와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스프링(S)과 브러시(56)가 브러시홀더(52)에서 후방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모터커버 20: 메인하우징
30: 브러시카드조립체 40: 브러시카드하우징
50: 브러시모듈 52: 브러시홀더
55: 스프링지지부 55a: 절곡부
55b: 돌출지지단 56: 브러시
S: 스프링

Claims (6)

  1.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브러시카드하우징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있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이동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돌출된 부분이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이동공간 안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를 정류자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공간의 한쪽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브러시홀더의 일부가 절곡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해서 스프링의 방향을 정렬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홀더는
    내부에 이동공간이 양쪽으로 개방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연장되어 브러시홀더를 상기 브러시카드하우징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암과,
    상기 홀더몸체의 한쪽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의 한쪽을 가로막되 상기 스프링의 후방 중심부분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상기 홀더몸체에서 절곡되어 이동공간 한쪽 개구부를 적어도 일부분 가로막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다시 이동공간 방향으로 절곡되어 스프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돌출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는 세장형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돌출지지단은 상기 스프링의 후방 중심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하는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6180A 2018-12-20 2018-12-20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KR10210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80A KR102101713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80A KR102101713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713B1 true KR102101713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80A KR102101713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61A (ko) 2020-08-25 2022-03-04 옥해전자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인덕터
KR20220026351A (ko) 2020-08-25 2022-03-04 옥해전자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인덕터
EP4203255A1 (en) 2021-12-24 2023-06-28 Keyang Electric Machinery Co., Ltd. Motor with bidirectional termina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398A (ja) * 2001-04-23 2002-11-08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KR100909104B1 (ko) 2004-02-24 2009-07-23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KR20110001374A (ko) * 2009-06-30 2011-01-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일체형 브러시 홀더를 구비하는 전동 모터
JP2014072940A (ja) * 2012-09-28 2014-04-21 Hitachi Car Eng Co Ltd 回転電機
KR101535625B1 (ko) 2011-01-31 2015-07-09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398A (ja) * 2001-04-23 2002-11-08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KR100909104B1 (ko) 2004-02-24 2009-07-23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모터의 제어회로부재 및 모터의 제조방법
KR20110001374A (ko) * 2009-06-30 2011-01-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일체형 브러시 홀더를 구비하는 전동 모터
KR101535625B1 (ko) 2011-01-31 2015-07-09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2014072940A (ja) * 2012-09-28 2014-04-21 Hitachi Car Eng Co Ltd 回転電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61A (ko) 2020-08-25 2022-03-04 옥해전자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인덕터
KR20220026351A (ko) 2020-08-25 2022-03-04 옥해전자주식회사 브러시리스 모터용 인덕터
EP4203255A1 (en) 2021-12-24 2023-06-28 Keyang Electric Machinery Co., Ltd. Motor with bidirectional terminals
KR20230098446A (ko) 2021-12-24 2023-07-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양방향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713B1 (ko) 모터의 브러시고정장치
US20040012296A1 (en) Electric motor
US9277658B2 (en) Electronic control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controller
JP5006592B2 (ja)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US7859148B2 (en) Motor having brush holder comprising brush retaining portion and base member in which brush retaining portion is loosely fit
US7791243B2 (en) Direct current motor
WO2008026503A1 (fr) Moteur électrique et dispositif d'ouverture/fermeture d'élément d'ouverture/fermeture pour véhicule l'utilisant
US11552526B2 (en) Electric actuator assembly with a brush card assembly
EP2337194A2 (en) Stepping motor
US10830984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80166240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2101714B1 (ko) 모터의 브러시카드조립체
CN109891721B (zh) 电动机
JP5249626B2 (ja) 回転電機
KR20200040971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결합 구조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JP4861769B2 (ja)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
EP2566014A1 (en) Electric motor, motor with decelerator, and sunroof drive device
KR100384341B1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HU224390B1 (hu) Elektromágneses kapcsolókészülék többrészes házzal
JP2009100598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5044643A (ja) コネクタ構成部品のがたつき防止構造
CN220121748U (zh) 一种继电器
JP2019075858A (ja) モータ
KR20080096908A (ko) 내진동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