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75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75B1
KR102100375B1 KR1020190165015A KR20190165015A KR102100375B1 KR 102100375 B1 KR102100375 B1 KR 102100375B1 KR 1020190165015 A KR1020190165015 A KR 1020190165015A KR 20190165015 A KR20190165015 A KR 20190165015A KR 102100375 B1 KR102100375 B1 KR 10210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strate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40432A (en
Inventor
임상훈
김성민
김경호
김원종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75B1/en
Publication of KR2019014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01L27/3237
    • H01L27/3272
    • H01L51/5237
    • H01L51/527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Abstract

미러 기능이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 및 비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반사부를 각각 구비한 반사부재가 봉지부재의 일면에 마련된 구조를 가지며, 개구부의 면적은 발광영역의 면적보다 좁아서 반사부에 의해 발광영역의 가장자리가 가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화상 표시 기능뿐 아니라 난반사가 억제된 선명한 미러 기능까지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isclosed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The disclos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flective memb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a light emitting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a reflecting unit corresponding to a non-light emitting area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member, and the area of the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area.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dge of the light-emitting region is covered by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lement not only an image display function but also a clear mirror function in which diffuse reflection is suppressed.

Description

미러 기능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a mirror func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러 기능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근래에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도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져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display device is being replaced with a thin, portable display device. Amo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device,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wide viewing angle, excellent contrast, and fast response speed.

한편, 최근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사용자가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미러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화상을 구현하지 않는 비사용 시기에는 그 화면을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interest in a mirror function that enables a user to us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a mirror has increased. 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use the screen as a mirror during a non-use period when the image is not implemented.

이를 위해서는 화면으로 입사된 광이 거울처럼 깨끗이 일정하게 반사되는 specular 반사가 일어나야 하는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 곳곳에 배치된 각 화소들에는 이러한 일정한 반사가 일어나기 어려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난반사(diffuse 반사)를 일으키므로 화면에 비춰서 보이는 상이 선명하지 않고 매우 흐릿하게 나타나게 된다. To this end, specular reflection, in which light incident on the screen is uniformly reflected like a mirror, must occur. In each pixel disposed on the scree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 inclined surface that is unlikely to have such constant reflection is formed. In this cas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causes diffuse reflection, and thus the image seen on the screen is not clear and very blurry.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에 거울처럼 선명한 반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a clear reflection like a mirror on the scree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method for suppressing such diffuse reflection is required.

본 발명은 입사광에 대한 난반사를 억제하여 화면을 통해 선명한 미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suppress the diffuse reflection of the incident light to implement a clear mirror function through the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발광영역 및 그 발광영역을 둘러싼 비발광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봉지부재; 상기 봉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부 및 상기 비발광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개구부를 둘러싼 반사부를 구비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상기 발광영역의 면적보다 좁아서 상기 반사부에 의해 상기 발광영역의 가장자리가 가려진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display unit form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non-light emitting region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A sealing member disposed to face the substrate with the display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ovided on the sealing member, and includes a reflective memb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and a reflecting part surrounding the opening to correspond to the non-light emitting area, and the area of the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area to reflect the reflection. The edge of the light-emitting region is covered by the part.

상기 반사부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발광영역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light emitting area covered by the reflector.

상기 경사면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may diffusely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상기 발광영역은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emitting light in a specific color.

상기 픽셀들은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각 픽셀의 영역을 구획해주는 화소정의막과, 상기 화소전극과 대향된 대향전극 및, 상기 화소정의막 내에서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xels include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a pixel defining layer partitioning the area of each pixel, an opposite electrode facing the pixel electrode, and interpos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opposite electrode in the pixel defining layer. 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셀을 둘러싼 상기 화소정의막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pixel defining layer surrounding the pixel.

상기 비발광영역은 회로배선부와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n-emission area may include a circuit wiring part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상기 반사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먼 쪽에서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The opening of the reflective member may have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area from the far side to the near side of the display unit.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봉지부재 양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마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capsulation member facing the display unit.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봉지부재의 양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마주한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capsulation membe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display unit.

상기 반사부재의 상기 반사부는 스페큘라 반사(specular reflection)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reflective portion of the reflective member may have a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

상기 반사부재는 Ni, Cr, W, V, Mo 중 어느 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ve member may include any one of Ni, Cr, W, V, and Mo.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입사광에 대한 난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하면 화면을 통해 선명한 미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diffuse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lear mirror function through th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와 반사부재의 매칭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변형 가능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광 반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atching structur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reflective member shown in FIG. 1.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1.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light reflection situ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deformable examp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3.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light reflection situ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llustrated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디스플레이부와 반사부재의 매칭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발광영역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atching structure of a display unit and a reflective member,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light emitting region of FIG. 1 It is a drawing show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과 봉지부재(300)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즉, 기판(100) 상에 디스플레이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봉지부재(300)는 그 디스플레이부(200)를 덮어서 밀봉시킴으로써 외부의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100, an encapsulation member 300, and a display unit 200 disposed between them. That is, the display unit 20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and the sealing member 300 covers and protects the display unit 200 to protect it from external oxygen or moisture.

그리고, 이 기판(100)과 봉지부재(300)는 실런트(500)에 의하여 접합된다. 실런트(500)에 의하여 형성된 기판(100)과 봉지부재(300)사이의 공간에는 흡습제 또는 충진재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0)과 봉지부재(300)는 투명한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부호 400은 외광을 반사시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을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반사부재를 나타내는데, 그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n, the substrate 100 and the sealing member 300 are bonded by the sealant 500. In the space between the substrate 100 formed by the sealant 500 and the sealing member 300, a moisture absorbent or filler may be disposed. The substrate 100 and the sealing member 300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Reference numeral 400 denotes a reflective member that reflects external light and allows the scree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o be used like a mirror, and its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픽셀들(P1,P2,P3)을 구비한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1, P2, and P3 that emit light in a specific color.

도 2를 참조하면 세 개의 픽셀(P1, P2, P3)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 R(레드), G(그린), B(블루)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면서 그 조합으로 적절한 색상을 구현한다. 이 픽셀들(P1,P2,P3)이 있는 영역이 발광영역(LA1,LA2,LA3)이 되며, 이 발광영역(LA1,LA2,LA3)을 둘러싼 그 밖의 영역이 비발광영역(NA)이 된다. Referring to FIG. 2, three pixels P1, P2, and P3 are illustrated, and each of them emits light of different colors such as R (red), G (green), and B (blue), and implements an appropriate color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do. The area where the pixels P1, P2, and P3 are located becomes the emission areas LA1, LA2, and LA3, and the other areas surrounding the emission areas LA1, LA2, and LA3 become the non-emission areas NA. .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봉지부재(300)의 양면 중 내측면 즉, 디스플레이부(200)와 대면하는 면에 상기 반사부재(40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반사부재(400)는 도 2와 같이 상기 발광영역(LA1,LA2,LA3)과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410)가, 상기 비발광영역(NA)과 대응하는 부위에는 반사부(420)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니까, 외광을 반사시켜서 거울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봉지부재(300)의 일면에 반사부재(400)를 형성한 것인데, 이때 비발광영역(NA)은 반사부(420)로 다 가려도 되지만, 상기 발광영역(LA1,LA2,LA3)은 화상을 구현하는 빛이 나오는 부위라 가리면 안 되므로 해당 부위에는 개구부(410)를 형성해서 발광된 빛이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반사부(420)에서는 거의 100%의 반사율을 보이고, 개구부(410)로 뚫려 있는 발광영역(LA1,LA2,LA3)도 비사용 중에는 약 60% 정도의 반사율을 보이므로 충분히 경면(鏡面)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발광영역(NA)은 회로배선부(NA1)과 투과부(NA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과부(NA2)는 이하에 설명될 대향전극(212)에 투과창(212a;도 3 참조)을 만들어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encapsulation member 300, that is, a surface facing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illustrated in FIG. 2. As described above, an opening 410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s LA1, LA2, and LA3, and a reflective portion 420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NA. That is,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member 300 in order to reflect external light so that it can be used like a mirror. At this time, the non-emission area NA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flective unit 420, Since the light emitting regions LA1, LA2, and LA3 should not be covered by regions that emit light that embodies an image, openings 410 ar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s to emit light. In this way, the reflector 420 shows a reflectivity of almost 100%, and the light emitting areas LA1, LA2, and LA3 that are pierced through the opening 410 also show a reflectivity of about 60% during non-use, so that they are sufficiently mirrored. ). Here, the non-emission region NA may include a circuit wiring unit NA1, a transmission unit NA2, and the like, and the transmission unit NA2 may transmit a window 212a to the counter electrode 2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ee).

그런데, 단순히 발광영역(LA1,LA2,LA3)의 면적에 대응해서 반사부재(400)의 개구부(410)를 형성하기만 한다면, 전술한 난반사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즉, 발광영역(LA1,LA2,LA3)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들(P1,P2,P3) 안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불균일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경사면들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반사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However, if the openings 410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are simp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area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s LA1, LA2, and LA3, the above-mentioned diffuse reflection problem cannot be solved. That is, since the pixels P1, P2, and P3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regions LA1, LA2, and LA3 have inclined surfaces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 a non-uniform direction, reflection is not performed if appropriate measures are not taken. Efficiency falls sharpl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난반사를 막기 위해, 도 3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재(400)를 구성하고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such diffuse reflection,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configured as more specifically shown in FIG. 3.

반사부재(4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이 반사부재(400)로 가려지는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조를 먼저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상의 버퍼층(202) 위에 화소전극(211)과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Befo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00 covered by the reflective member 400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Referring to FIG. 3, a thin film transistor (TFT)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211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202 on the substrate 100.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203), 게이트 전극(205), 소스 전극(207) 및 드레인 전극(208) 등을 구비한다.The thin film transistor (TFT) includes an active layer 203, a gate electrode 205, a source electrode 207 and a drain electrode 208.

상기 활성층(203)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또는 유기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활성층(203)을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할 경우에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 또는 하프늄(Hf) 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활성층(212)은 G-I-Z-O[(In2O3)a(Ga2O3)b(ZnO)c](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tive layer 203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semiconductor such as 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an oxide semiconductor, or an organic semiconductor, and includes a source region, a drain region, and a channel region. When the active layer 203 is composed of an oxide semiconductor, 12, such as zinc (Zn), indium (In), gallium (Ga), tin (Sn) cadmium (Cd), germanium (Ge), or hafnium (Hf), It may be composed of an oxi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Group 13 and 14 metal elem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active layer 212 is GIZO ((In2O3) a (Ga2O3) b (ZnO) c] (a, b, and c are real numbers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a≥0, b≥0, c> 0, respectively) It may include.

상기 활성층(203)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20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204)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20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204)은 활성층(203)과 게이트 전극(205)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물 또는 SiNx, SiO2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A gate insulating layer 204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203, and a gate electrode 205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04. The gate insulating layer 204 is for insulating the active layer 203 and the gate electrode 205 and may be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Nx or SiO 2 .

게이트 전극(205)은 Au, Ag, Cu, Ni, Pt, Pd, Al, 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층과의 밀착성, 평탄성, 전기 저항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205)은 단일층 또는 복층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205 may contain Au, Ag, Cu, Ni, Pt, Pd, Al, Mo, and may include alloys such as Al: Nd, Mo: W alloy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onsidering the adhesiveness, flatness, electrical resistance and workability of the. In addition, the gate electrode 205 may be form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게이트 전극(205)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206)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206) 및 게이트 절연막(204)은 활성층(2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활성층(203)의 노출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접하도록 소스 전극(207) 및 드레인 전극(208)이 형성된다.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6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205.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6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204 are formed to expose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of the active layer 203 and the source electrode 207 and drain to contact the exposed source region and drain region of the active layer 203 The electrode 208 is formed.

소스 전극(207) 및 드레인 전극(208)은 다양한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복층 구조일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207 and the drain electrode 208 may be formed using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and may b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그리고, 소스 전극(207) 및 드레인 전극(208)상에 패시베이션층(209)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층(209)은 드레인 전극(208)의 전체를 덮지 않고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며, 노출된 드레인 전극(208)과 상기 화소전극(211)이 연결된다. Then, a passivation layer 209 is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207 and the drain electrode 208. The passivation layer 209 is formed to expose a predetermined area without covering the entire drain electrode 208, and the exposed drain electrode 208 and the pixel electrode 211 are connected.

화소전극(211)은 각 픽셀(P1,P2,P3)마다 독립된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상에는 화소전극(211)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각 픽셀(P1,P2,P3)의 영역을 둘러싸서 구획해주는 화소정의막(210)이 형성된다.The pixel electrode 211 may be formed as an independent island shape for each pixel P1, P2, and P3. A pixel defining layer 21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218 to cover the edges of the pixel electrodes 211 and surround the regions of the pixels P1, P2, and P3.

그리고, 이 화소정의막(210)으로 구획된 픽셀 영역의 화소전극(211) 상에 발광층(213)이 형성되며, 다시 그 위에 대향전극(212)이 형성된다. Then, a light emitting layer 213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211 in the pixel region partitioned by the pixel defining layer 210, and a counter electrode 212 is formed thereon.

한편,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상기 화소정의막(210)의 경계면(210a)을 따라서 경사면(S)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조과정 중 화소정의막(210)을 에칭하여 상기 화소전극(211)의 가장자리만 덮고 중앙부는 노출시키는 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픽셀을 둘러싸는 경계면(210a)은 에칭 공정의 특성 상 수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기울어진 화소정의막(210)의 경계면(210a) 위에 형성되는 발광층(213)과 대향전극(212)도 그 기울기를 그대로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S)이 그대로 유지된다. Meanwhile, an inclined surface S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200 along the boundary surface 210a of the pixel defining layer 210. That i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ixel defining layer 210 is etched to cover only the edge of the pixel electrode 211 and form a hole exposing the central portion. At this time, the boundary surface 210a surrounding the pixel is vertic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ching process. It is not formed and becomes slightly inclined.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layer 213 and the counter electrode 212 formed on the boundary surface 210a of the inclined pixel defining layer 210 are also formed along the slope, as a result, the slope S having the slope Remains the same.

그런데, 이 경사면(S)에 외광이 입사되면 빛을 엉뚱한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때문에, 반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수직으로 광이 입사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반사부재(400)로 가려진 부위에 반사된 광이나, 상기 화소정의막(210)으로 구획된 픽셀 영역 안의 대향전극(212)에 반사된 광은 다시 수직으로 반사되어 나가지만, 상기 경사면(S)에 입사된 광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빛을 난반사해버리기 때문에 반사 효율이 급감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S, since the light is reflected in the wrong direction, reflec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Considering a case in which light is incident vertically from the outside, light reflected by a portion covered by the reflective member 400 or light reflected by the counter electrode 212 in a pixel region partitioned by the pixel defining layer 210 is Although it is reflected vertically again,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sharply reduced because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S diffuses light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따라서, 이러한 난반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재(400)의 반사부(420)가 상기 경사면(S)까지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부재(400)의 개구부(410) 면적이 발광영역인 픽셀(P1,P2,P3)의 영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면(S)이 있는 픽셀의 가장자리는 반사부(42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경사면(S)에 의해 난반사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와 먼 쪽에서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역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만일 반대 형상의 테이퍼가 형성되면 상기 화소정의막(210)에 의한 경사부(S)와 마찬가지로 외광을 난반사시킬 수 있는 경사면이 개구부(410) 둘레에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역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diffuse reflection proble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ive portion 420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configured to cover up to the inclined surface S.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since the area of the opening 410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area of the pixels P1, P2, and P3, which are light emitting areas, the edge of the pixel with the slope S is It is covered by the reflector 420. In this case, a phenomenon in which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s diffusely refl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opening 410 has an inverted taper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area from the distant side to the clos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0. If a taper having the opposite shape is formed, as in the inclined portion S by the pixel defining layer 210, an inclined surface capable of diffusely reflecting external light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410. Consists of a shape.

도 4는 이러한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반사되는 상황을 묘사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reflected from the outsi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this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입사광(①)을 가정해보면, 상기와 같이 경사면(S)이 반사부재(400)의 반사부(420)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난반사는 배제되고 전체적으로 일정한 방향의 반사광(②)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광의 반사효율이 상당히 좋아지기 때문에, 미러로 사용할 때 매우 선명한 상을 볼 수 있게 된다. Assuming the vertical incident light (①) as shown, since the inclined surface (S) is covered by the reflector 420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as described above, diffuse reflection is excluded and reflected light in a certain direction as a whole (②) It is formed. Therefore, since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external light is considerably improved, a very clear image can be seen when used as a mirror.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400)는 Ni, Cr, W, V, Mo 중 적어도 한 재질을 함유하며 스페큘라 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만일 화면의 부위별로 반사효율의 편차가 거의 없는 더 균일한 상을 비춰보고자 한다면, 상기 반사부(420)의 반사율을 각 픽셀들(P1, P2, P3) 들의 반사율과 유사하게 설정하면 된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member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i, Cr, W, V, and Mo,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ject a more uniform image with little deviation, the reflectivity of the reflector 420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reflectivity of each pixel P1, P2, P3.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R,G,B 3색을 발광하는 픽셀들의 조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픽셀 구조를 예시하였는데, 픽셀 영역 전면에 걸쳐서 공통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때, 발광층은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혼합되어 백색광을 방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출된 백색광은 색변환층이나 컬러필터를 통과하며 소정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pixel structure that realizes a desired color is illustrated by a combination of pixels emitting three colors of R, G, and B, and a structure in which a common emission layer is formed over the entire pixel area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emits white light by vertically stacking or mixing a layer containing a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e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and the emitted white light may include a color conversion layer or a color filter. Pass through and can be implemented in any color.

그러므로,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기능뿐 아니라 난반사가 억제된 선명한 미러 기능까지도 동시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can effectively implement not only an image display function but also a clear mirror function in which diffuse reflection is suppressed.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반사부재(400)가 봉지부재(300)의 안쪽 면, 즉 디스플레이부(200)와 대면하는 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쪽 면에 반사부재(4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반사부재(400)의 위치만 봉지부재(300)의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바뀐 것이고, 개구부(410)의 역 테이퍼 형상이나 반사부(420)가 픽셀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가리도록 한 구조는 동일하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member 30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display unit 200, is illustrated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e reflective member 400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In this case, only the position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is changed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300, and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reverse tapered shape of the opening 410 or the reflective portion 420 covers the edge region of the pixel. Is the same.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광(①)이 입사되면, 마찬가지로 경사면(S)이 반사부재(400)의 반사부(420)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난반사는 배제되고 전체적으로 일정한 방향의 반사광(②)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광의 반사효율이 상당히 좋아지기 때문에, 미러로 사용할 때 매우 선명한 상을 볼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light (①) is incident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 since the inclined surface S is covered by the reflection part 420 of the reflective member 400, diffuse reflection is excluded and the overall direction is constant. Reflected light (②) is formed. Therefore, since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external light is considerably improved, a very clear image can be seen when used as a mirror.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도 화상 표시 기능뿐 아니라 난반사가 억제된 선명한 미러 기능까지도 동시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can effectively implement not only an image display function but also a clear mirror function in which diffuse reflection is suppress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기판 200: 디스플레이부
300:봉지기판 400:반사부재
410:개구부 420:반사부
500:실런트 P1, P2, P3: 픽셀
LA1, LA2, LA3:발광영역
NA, NA1, NA2:비발광영역
100: substrate 200: display unit
300: sealing substrate 400: reflective member
410: opening 420: reflective portion
500: Sealant P1, P2, P3: Pixel
LA1, LA2, LA3: emission area
NA, NA1, NA2: Non-emission area

Claims (9)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배치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대향전극;
상기 대향전극 상에 배치된 봉지부재; 및
상기 봉지부재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홀에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둘러싼 반사부를 포함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홀의 길이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Board;
A pixel electrode disposed on the substrate;
A pixel defining layer including a hole expos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ixel electrode and covering an edge of the pixel electrode;
A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pixel defining layer;
A count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the counter electrode; And
Includes; a reflective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includes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hole and a reflecting part surrounding the opening.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length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에서 볼 때, 상기 홀의, 상기 화소전극에 가까운 측의 길이보다 상기 화소전극에서 먼 측의 길이가 더 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hole, the length of the side farther away from the pixel electrode than the length of the side closer to the pixel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에서 볼 때, 상기 홀은, 상기 기판에 가까운 측에서 상기 기판에서 먼 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hole increases in length from a side closer to the substrate to a side farther away from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xel defining layer forms an inclined surface in an area covering an edge of the pixel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의, 상기 화소전극에 가까운 측의 길이는 상기 화소전극에서 먼 측의 길이보다 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length of the opening, the side closer to the pixel electrode, is longer than the length far from the pixel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기판에 가까운 측에서 상기 기판에서 먼 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감소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the open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length decreases toward the far side away from the substrate from the side close to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반사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forms a sloped reflective surface surrounding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봉지부재의 양면 중, 상기 발광층과 마주보는 일 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memb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encapsulation member facing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봉지부재의 양면 중, 상기 발광층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 일 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member,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member, is locat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light emit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190165015A 2019-12-11 2019-12-1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KR1021003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15A KR102100375B1 (en) 2019-12-11 2019-12-1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15A KR102100375B1 (en) 2019-12-11 2019-12-1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842A Division KR102056864B1 (en) 2013-04-09 2013-04-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432A KR20190140432A (en) 2019-12-19
KR102100375B1 true KR102100375B1 (en) 2020-04-14

Family

ID=6905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015A KR102100375B1 (en) 2019-12-11 2019-12-1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9640A1 (en) 2011-08-26 2013-02-28 Tzu-Yin Kuo Mirr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9135A (en) * 2007-08-17 2009-03-05 Sony Corp Display device
KR100937865B1 (en) * 2008-03-18 2010-01-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202352B1 (en) * 2010-07-19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07586B1 (en) * 2011-04-25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9640A1 (en) 2011-08-26 2013-02-28 Tzu-Yin Kuo Mirr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432A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KR102205401B1 (en)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US827409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824269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5793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external light transmission area
JP5695620B2 (en) Display device
US10269777B2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reflection structure
US20170117338A1 (en) Display device
KR1021410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629667B2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first light-shielding layer having first opening and second light-shielding layer having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US96017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20037738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CN107017278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57678B2 (en) Organic 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70106566A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36121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1083855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2004897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404720B1 (en) Display device
JP5500978B2 (en) Organic EL device
KR10210037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irror function
EP3618113B1 (en) Display device
KR20220140073A (en) Display device
EP4024492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36720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screen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