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101B1 -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101B1
KR102100101B1 KR1020130127621A KR20130127621A KR102100101B1 KR 102100101 B1 KR102100101 B1 KR 102100101B1 KR 1020130127621 A KR1020130127621 A KR 1020130127621A KR 20130127621 A KR20130127621 A KR 20130127621A KR 102100101 B1 KR102100101 B1 KR 10210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ynchronization
data synchronization
web p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765A (ko
Inventor
곽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1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동기화를 처리하는 동기화 처리영역이 생성될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주소 관리부,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의 접속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통합 관리부,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동기화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정보, 사용자에 사용 목적 내지 생활 패턴 등에 근거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APPARATUS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타 단말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타 단말장치가 상기 어드레드를 사용하여 접속하면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단말장치 간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통신용 단말장치가 개발되어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통신용 단말장치로는 데스크탑이 있으며, 모바일 시장의 확대에 따라 스마트 폰 또는 태플릿 PC 등의 이동형 통신수단 역시 인간 생활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IT 인프라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용 단말장치를 보유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생활 패턴에 따라 도움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통신용 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한 웹 서비스, 예를 들어 지도를 검색하여 길찾기 기능을 실행하고,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 상에서 실시간으로 지인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원격지에 있는 자와 게임 대결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뱅킹 등의 금융업무까지 가능해졌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각 단말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메신져, 스케줄러와 같은 매우 단순한 데이터 교환만을 수행할 수 있었을 뿐이므로, 복수의 단말장치들을 동기화하여 특정한 목적에 최적화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071295호(이하, 특허문헌 1)가 소개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서 키보드 정보를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컴퓨터와 동기화시킬 수 있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키보드와 같은 수단에 입력되는 정보를 단순히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고, 사용자의 사용 목적이나 환경에 따라 각 단말장치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예들 들어, 영화감상 목적으로 동기화를 실행하여 PC의 모니터를 통해 영화화면을 재생하고,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볼륨, 영상설정, 빨리감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의 동기화 서비스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장치의 일부 기능이 고장 등의 원인으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다른 단말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해당 기능만을 지정하여 동기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의 통신용 단말장치를 동기화하여 사용자별 사용목적 또는 생활 패턴 등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071295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2012.07.1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웹 서비스 상에서 복수의 단말장치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각 단말장치별로 제공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처리영역을 별도로 생성함으로써, 2개의 단말장치간의 동기화가 다른 단말장치들간의 동기화로부터의 간섭과 이로 인한 작동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장치의 접속 시작과 종료 여부의 모니터링을 통해 동기화 처리영역의 생성 또는 삭제를 실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관리하고, 데이터 저장수단의 부하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단말장치들의 단말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단말장치에 적합한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목적 내지 생활 패턴에 적합한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형태의 UX(user experience)를 실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주소 관리부,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의 접속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통합 관리부,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는, 해상도, 웹 서비스 종류, 데이터처리속도, 통신방식, 단말유형, 소유형태, 과거 사용 이력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조합된 결과를 통해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소 관리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가 이동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웹 페이지를 모바일용 웹 페이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에 대한 접근 권한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동기화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부터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제1 단말장치,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받는 제2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a)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제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단계, (d)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e)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는, 해상도, 웹 서비스 종류, 데이터처리속도, 통신방식, 단말유형, 소유형태, 과거 사용 이력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세부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조합된 결과를 통해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 단말장치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웹 페이지를 모바일용 웹 페이지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제2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에 대한 접근권한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장치 및 데이터 동기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단말장치들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제1 단말장치가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c)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단계, (d)제2 단말장치가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단계, (e)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f)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가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a)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제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단계, (d)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e)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웹 서비스 상에서 복수의 단말장치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장치별로 제공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처리영역을 별도로 생성함으로써, 2개의 단말장치간의 동기화가 다른 단말장치들간의 동기화로부터의 간섭과 이로 인한 작동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장치의 접속 시작과 종료 여부의 모니터링을 통해 동기화 처리영역의 생성 또는 삭제를 실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관리하고, 데이터 저장수단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들의 단말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단말장치에 적합한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목적 내지 생활 패턴에 적합한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형태의 UX(user experience)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 우려가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작업이 특정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도록 동기화하거나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실행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관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상세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임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은 제1 단말장치(100), 제2 단말장치(200) 및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예, 제1 및 제2 단말장치)라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 출력수단, 데이터처리수단 또는 정보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거나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PC와 스마트폰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 장치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구동거나 타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으로서 구동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구성이다. 또한, 제1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거나 내부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에 대하여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www.tvservice.com"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텔레비젼 시청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IPTV(제 1 단말장치)는 해당 사이트의 웹 페이지에 포함된 UI 중 리모콘 기능에 관한 UI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에 대하여 "리모콘 연결" 기능에 대한 타 단말장치와의 동기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요청이라 함은, 제1 단말장치(100)를 제외한 특정 또는 불특정 단말장치와의 접속을 통한 웹 서비스 관련 데이터의 공유(예, 브라우저 출력)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를 제2 단말장치(200)와 공유하거나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 가능한 특정 기능(예, 텍스트 입력, 볼륨 조절)만을 지정하여 제2 단말장치(200)와 공유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를 중개하여 웹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어드레스는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나 타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주소값이고, 동기화 처리영역은 하나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에 대하여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앞서 생성된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이 확인되면,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제2 단말장치(200)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가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로 제공되면, 사용자가 상기 어드레스를 제2 단말장치(200)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거나, 제2 단말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어드레스를 자동 인식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동기화를 허용하면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가 제공받는 웹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제1 단말장치(100)의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인 "www.tvservice.com/remocon?532kft58"를 통해 리모콘 기능의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의 상세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웹 서비스 제공부(310), 주소 관리부(320), 통합 관리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구비가 구비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를 통해 단말장치들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 및 중개할 수 있다.
웹 서비스 제공부(3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제1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웹 서비스 제공부(310)는 웹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웹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웹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제공부(310)는 제1 단말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 제공부(310)에는 다양한 유형의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 정보가 생성 또는 저장되거나, 웹 서버(400)로부터 수집된 웹 페이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소 관리부(320)는 제1 단말장치(100)의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동기화 요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UI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주소 관리부(320)는 서로 상이한 동기화 요청마다 이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통합 관리부(330)는 주소 관리부(320)에 의해 제공된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즉,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특정 어드레스를 통한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통합 관리부(330)는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이 확인되면,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제2 단말장치(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한다.
일 예로서, 동기화 처리영역은 스레드(thread)일 수 있다. 스레드(thread)란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서 여러 개의 실행 흐름을 두기 위한 모델 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수행시 프로세스 내부에 존재하는 수행 경로 또는 정보처리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제1 단말장치(100)들로부터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에 따라 각 제1 단말장치(100)들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 동기화를 담당하는 복수의 동기화 처리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멀티 스레드(multi-thread) 또는 멀티 프로세스(multi-process)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리부(330)는 데이터 동기화 수행 중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이 종료되면 해당 데이터 동기화를 담당하는 동기화 처리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과정이 중단된 단말장치들에 대한 동기화 처리영역이 데이터 저장영역을 불필요하게 차지하여 메모리 부하를 증대시키는 현상을 완화하고, 타 단말장치들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보다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 간의 동기화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어부는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정보라고 함은 모든 단말장치와 관련된 고유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해상도, 웹 서비스 종류, 데이터처리속도, 통신방식, 단말유형, 소유형태, 과거 사용 이력 또는 위치정보 등의 세부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정보는 제어부(350)가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 내부에 설치된 동기화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추출된 것이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세부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조합된 결과를 통해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단말정보는 제어부(350)가 수많은 웹 페이지들 중에서 제2 단말장치(200)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의 단말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가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가장 적합하도록 지원하는 UI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로서 온라인 3D 게임이 제1 단말장치(100)로 제공되고, 단말정보 중 데이터처리속도를 기준으로 특정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온라인 3D 게임은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므로, 제어부(350)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의 데이터처리속도 정보를 비교하여 더 높은 데이터처리속도를 갖는 단말장치에 대하여 게임 실행용 UI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더 낮은 속도를 갖는 단말장치에 대하여 게임 조작용 UI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장치(100)가 더 높은 속도를 갖는다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공된 게임 실행용 UI를 이용하여 게임을 직접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2 단말장치(200)는 게임 조작용 UI를 통해 방향키 등의 게임 관련 조작을 단순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게임 실행용 UI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제2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제어부(350)는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와 제2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하이퍼링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서로 다른 2가지 웹 페이지를 동기화 처리영역 상에서 하이퍼링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외부에서 별도로 운영되거나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의 내부에 마련된 데이터 저장수단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는 다양한 UI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집한 단말정보는 물론 단말장치들간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는 이동 감지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감지부(340)는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이동 감지부(340)는 GPS, 비콘, RFID 등의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단말장치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단말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가 이동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주소 관리부는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가 이동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단말장치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용 웹 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뮤직비디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가 진행되어 제1 단말장치(100)는 뮤직비디오 재생을 담당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받고, 제2 단말장치(200)는 재생목록 선택 및 음량조절을 담당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제공받은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장치(200)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를 가지고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장치(200)에 제공된 웹 페이지에는 뮤직비디오 재생 기능이 없으므로, 제어부(350)는 제2 단말장치(200)를 가지고 이동 중인 사용자가 뮤직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도록, 주소 관리부(320)를 제어하여 제2 단말장치(200)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용 웹 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50)는 제2 단말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동기화 처리영역에 대한 접근 권한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모듈(3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웹 서비스들 중 스마트뱅킹 등 보안이 중요한 웹 서비스는 해킹 등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주소 관리부(320)가 임의의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특정 단말장치로 제공한 경우라도 추가적인 인증의 필요가 있다. 일 예로서, 인증 모듈(358)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기 등록된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제2 단말장치(200)에 요청하고,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1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으로서, 우선 제1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요청하고(S610),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제1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620).
이어, 제1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로 동기화를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30).
다음으로,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단계가 이어진다(S640).
이어, 제2 단말장치(200)가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 또는 웹 서버(400)에 접속하는 단계가 이어진다(S650).
이어,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한다(S660).
이후,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간 데이터 동기화가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670).
한편, S640 단계에서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가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단말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의 제어 방법으로서 먼저, 제1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10).
이후, 제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가 이어진다(S720).
다음으로,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730). 이렇게 생성된 어드레스는 제1 단말장치(100), 제2 단말장치(200) 또는 타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S730 단계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단말정보에 근거하여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는 해상도, 웹 서비스 종류, 데이터처리속도, 통신방식, 단말유형, 소유형태, 과거 사용 이력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부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S730 단계는 이러한 세부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조합된 결과를 통해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 여부를 모니터링(S740)하고, 제2 단말장치(200)가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50).
다음으로,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76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S760 단계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접속이 종료되면, 동기화 처리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동기화 과정이 중단된 단말장치들에 대한 동기화 처리영역이 저장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여 메모리 부하를 증대시키는 현상을 완화하고, 타 단말장치들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보다 원활히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S760 단계에서 제2 단말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에 대한 접근권한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더 수행하여, 그 인증 결과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장치(300)의 제어 방법은,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가 이동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S760 단계에서 제1 단말장치(100) 또는 제2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모바일용 웹 페이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단말장치들 간에 웹 서비스 공유를 위한 동기화가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화 대상 단말장치들의 단말장치 및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웹 서비스에 대하여 구별 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단말장치별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를 제공할 수 있다.
100, 110, 120: 제1 단말장치 200, 210, 220: 제2 단말장치
300: 데이터 동기화 장치 310: 웹 서비스 제공부
320: 주소 관리부 330: 통합 관리부
340: 이동 감지부 350: 제어부
358: 인증 모듈 400: 웹 서버
5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제1 단말장치에 대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주소 관리부;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의 접속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는 통합 관리부;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 상에서 접속이 확인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접속이 확인된 상기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중개하고,
    상기 통합 관리부는
    데이터 동기화 완료 또는 데이터 동기화 중단으로 인해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불필요한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고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부터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제1 단말장치;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UI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한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동기화 처리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받는 제2 단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동기화 장치는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 상에서 접속이 확인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접속이 확인된 상기 제2 단말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중개하고, 데이터 동기화 완료 또는 데이터 동기화 중단으로 인해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의 접속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기화 처리영역을 불필요한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고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27621A 2013-10-25 2013-10-25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0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21A KR102100101B1 (ko) 2013-10-25 2013-10-25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21A KR102100101B1 (ko) 2013-10-25 2013-10-25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65A KR20150047765A (ko) 2015-05-06
KR102100101B1 true KR102100101B1 (ko) 2020-04-13

Family

ID=533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621A KR102100101B1 (ko) 2013-10-25 2013-10-25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641B1 (ko) * 2016-12-23 2024-01-1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장치 및 이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57A (ko) * 2001-12-29 2003-07-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1612845B1 (ko) * 2009-11-12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ui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71295A (ko) 2011-06-03 2012-07-02 (주)옴니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KR20130107080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 기반 원격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65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US11115423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positioning data
US10667307B2 (en) Disambiguation of target devices using ambient signal data
CN109074278B (zh) 验证移动应用中的有状态动态链接
CN103595756B (zh) 产生和利用基于云服务的内容快捷方式对象的方法和设备
KR10224919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3888440A (zh) 基于云的游戏切片生成和即玩型无障碍社交共享
US10375342B2 (en) Browsing remote content using a native user interface
CN103620620A (zh) 在设备交互中使用空间信息
JP6327491B2 (ja) アプリテストシステム及びアプリテスト方法
JP48973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1135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ext aware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
KR20160030467A (ko) 데이터 백업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156955B2 (en) Method and server for storing, encoding and uploading video or object captured from a webpage using a toolbar
JP2016144146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インターホン端末
KR102299789B1 (ko) 소셜 서비스와 결합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100101B1 (ko)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US108629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ima et al. A framework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of mobile device functionalities and usage
KR20120079623A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게임 실행 방법
WO202216327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101791670B1 (ko) 컨텐츠 이용에 관한 소셜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282222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2023106491A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101340885B1 (ko) 정보 컨텐츠 관리 서버, 정보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