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84B1 -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 Google Patents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84B1
KR102099084B1 KR1020190047483A KR20190047483A KR102099084B1 KR 102099084 B1 KR102099084 B1 KR 102099084B1 KR 1020190047483 A KR1020190047483 A KR 1020190047483A KR 20190047483 A KR20190047483 A KR 20190047483A KR 102099084 B1 KR102099084 B1 KR 10209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leep
information
speaker modu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아이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아이오티 filed Critical (주)케이아이오티
Priority to KR102019004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알파파(Alpha Wave)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방출하는 스키퍼 모듈과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을 돕는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은 양측이 열린 케이스부(Case Part), 상기 케이스부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1 진동판(First Diaphragm), 상기 제 1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1 밀봉부(First Sealing Part), 상기 케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2 진동판(Second Diaphragm), 상기 제 2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2 밀봉부(Second Sealing Part) 및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진동판 사이에서 상기 제 1 진동판에 배치되는 모터부(Moto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INFRASONICS SPEAKER MODULE HAVING SLEEP INDUCING FUNCTION}
본 발명은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알파파(Alpha Wave)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방출하는 스키퍼 모듈과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을 돕는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현대인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활리듬을 깨뜨려 사회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불면은 사회적인 문제나 직업적 요인이 15-20% 정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현대인의 사회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보건사회 연구원의 2000년 3월 자료에 의하면 한국인 중에서 73.4%가 불면증을 경험하였으며 치료가 필요한 수면장애 환자가 약 8%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면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051호(발명의 명칭 :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문헌 1]에서는 베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수면 음악을 출력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베게에 설치되는 스피커로는 충분히 낮은 음역대를 갖는 수명 음악을 출력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수면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8992호(발명의 명칭 :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문헌 2]에서는 수면에 도움이 되는 수면 유도 영상과 수면 유도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2에 따른 기술에서는 여전히 텔레비전에 내장된 스피커로는 충분히 낮은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051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8992호
본 발명은 충분히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알파파(Alpha Wave)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출력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정보에 대응하여 수면파를 출력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대응하여 베타파(Beta Wave)를 포함하는 기상파를 출력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근거로 하여 수면파를 출력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은 양측이 열린 케이스부(Case Part), 상기 케이스부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1 진동판(First Diaphragm), 상기 제 1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1 밀봉부(First Sealing Part), 상기 케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2 진동판(Second Diaphragm), 상기 제 2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2 밀봉부(Second Sealing Part) 및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진동판 사이에서 상기 제 1 진동판에 배치되는 모터부(Moto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진동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Rear 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폭은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보다 더 크고, 적어도 상기 케이스부의 후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Shock Absorb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진동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진동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또한, 보조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음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은 상기 제 1 진동판 및 상기 제 2 진동판이 출력하는 음의 대역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진동판의 두께와 상기 제 2 진동판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수면정보에 대응하여 충분히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알파파(Alpha Wave)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은 수면파와 함께 환경음을 포함하는 보조음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기상 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알파파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베타파(Beta Wave)를 포함하는 기상파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기상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고려하여 수면파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진동발생을 최소화하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스피커 모듈의 각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스피커 모듈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수면 유도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과 그를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또는,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폭방향(Width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제 3 방향(DR3)을 높이방향(Height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10A)(이하에서는 '스피커 모듈'이라 칭함)은 케이스부(Case Part, 10), 제 1 진동판(First Diaphragm, 20), 제 1 밀봉부(First Sealing Part, 21), 제 2 진동판(Second Diaphragm, 30), 제 2 밀봉부(Second Sealing Part, 31) 및 모터부(Motor Part, MT)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양측이 열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부(10)는 양쪽 끝단(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열린 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는, 케이스부(10)가 사각통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케이스부(10)는 원통 형태, 육각통 형태, 팔각통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진동판(20)은 케이스부(10)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 케이스부(10)를 가로질러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밀봉부(21)는 제 1 진동판(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 1 진동판(20)을 밀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밀봉부(21)는 제 1 진동판(2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 1 진동판(20)의 후면(Rear Surface)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제 1 진동판(20)을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밀봉부(21)가 제 1 진동판(20)을 밀봉한다는 것은 제 1 진동판(20)과 제 1 밀봉부(21)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밀봉부(21)가 제 1 진동판(20)의 가장자리에서 공기가 세어나가는 것을 완벽히 막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밀봉부(21)는 제 1 진동판(20)을 충분히 밀봉할 수 있다.
제 2 진동판(30)은 케이스부(10) 상에서 제 1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 케이스부(10)를 가로질러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은 통 형태의 케이스부(10)를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밀봉부(31)는 제 2 진동판(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 2 진동판(30)을 밀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밀봉부(31)는 제 2 진동판(3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 2 진동판(30)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제 2 진동판(30)을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의 의미는 앞서 제 1 밀봉부(2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1 밀봉부(21)와 제 2 밀봉부(31)는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의 사이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밀봉부(21) 및/또는 제 2 밀봉부(31)는 실리콘 재질, 수지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밀봉부(21)와 제 2 밀봉부(31)는 점착제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모터부(MT)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 사이에서 제 1 진동판(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터부(MT)는 제 1 진동판(20)의 전면에 부착(밀착)될 수 있다.
제 1 진동판(20) 및 제 2 진동판(30)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판(Plat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판(20) 및/또는 제 2 진동판(30)은 나무, 폴리스티렌 및 다공질의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피커 모듈(10A)은 후면판(Rear Plate, 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40)은 케이스부(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판(40)은 케이스부(10)의 후방에서 케이스부(10)의 후방을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진동판(20), 제 2 진동판(30) 및 후면판(40)에 의해, 도 3과 같이,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2개의 공간(50, 51)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진동판(20)과 후면판(40)의 사이에 제 1 공간(First Space, 50)이 마련되고,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의 사이에 제 2 공간(Second Space)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 공간(50)은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 1 공간(50)은 반사 공간이라고 할 수 있고, 제 2 공간(51)은 울림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모터부(MT)에 전력이 공급되어 모터부(MT)가 진동하면, 모터부(MT)의 진동이 제 1 진동판(20)으로 전달되어 제 1 진동판(20)이 진동할 수 있다.
제 1 진동판(20)이 진동하면, 제 1 공간(50) 내의 공기가 압축/신장이 된다. 아울러, 제 1 진동판(20)의 진동에 의해 제 2 공간(51) 내의 공기도 압축/신장될 수 있다.
제 1 공간(50) 내의 압축/신장된 공기는 후면판(4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제 1 진동판(20) 쪽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 2 공간(51) 내의 공기가 제 1 공간(50)의 공기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더욱 압축/신장되고, 이에 따라 배가된 공기의 진동이 제 2 진동판(30)의 전면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초저주파의 음, 바람직하게는 알파파(Alpha Wave)를 포함하는 수면파(Sleep Wave)를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하나의 모터부(MT)와 두 개의 진동판(20, 30)을 이용하여 초저주파 음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PCB'는 보드로서, 모터부(MT)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모듈(10A)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4는 스피커 모듈의 각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부(10)에 대해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5를 살펴보면, 케이스부(10)는 양측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갖는 본체부(Body Part,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10)의 본체부(100)의 제 1 방향(DR1)으로의 폭(W1) 및 제 2 방향(DR2)으로의 폭(W2)은 제 3 방향(DR3)의 폭(W3), 즉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케이스부(10)의 폭(W1, W2)이 높이(W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을 사용자의 침대 밑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면 유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케이스부(10)의 본체부(100)의 내측면(Inner Side Surface)에는 본체부(10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돌출부(120)는 본체부(100)의 내측을 두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110)는 제 1 진동판(2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고, 제 2 돌출부(120)는 제 2 진동판(30)의 가장자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2 돌출부(120)는 본체부(100)의 전방, 즉 케이스부(1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 1 돌출부(110)는 제 2 돌출부(120)에 비해 수직방향, 즉 제 3 방향(DR3)으로 본체부(100)의 중심, 즉 케이스부(10)의 중심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방 끝단을 제 1 끝단(First End, EP1)이라 하고, 본체부(100)의 후방 끝단을 제 2 끝단(Second End, EP2)이라 하자.
여기서, 제 3 방향(DR3)으로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d1)은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끝단(EP2) 사이의 간격(d2)과 다를 수 있다.
초저주파 대역의 음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진동판(20)과 제 2 진동판(3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돌출부(120) 사이의 간격(d1)은 제 1 돌출부(110)와 제 2 끝단(EP2) 사이의 간격(d2)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제 1 진동판(20), 제 2 진동판(30) 및 후면판(40)에 대해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을 살펴보면, 제 2 진동판(30)과 케이스부(10)의 본체부(100)의 사이에는 연결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32)는 본체부(100)의 제 2 돌출부(120)와 제 2 진동판(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는 제 2 진동판(30)의 떨림, 즉 진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제 2 진동판(30)을 본체부(100)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32)는 실(String)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제 1 진동판(20)과 본체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에 대응되는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2 밀봉부(31)는 제 2 진동판(30)과 본체부(100)의 경계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2)는 제 2 밀봉부(3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 2 밀봉부(31)는 제 2 진동판(30) 및 본체부(100)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2 밀봉부(31)와 연결부(32)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케이스부(10) 상에서 제 1 위치(P1)에 제 1 진동판(20)이 위치하고, 케이스부(10) 상에서 제 1 위치(P1)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P2)에 제 2 진동판(3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P1)는 제 1 돌출부(110)에 대응되고, 제 2 위치(P2)는 제 2 돌출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1 진동판(20)의 후방에는 후면판(40)이 위치할 수 있다.
후면판(40)은 케이스부(10)의 후방을 막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후면판(40)은 본체부(100)의 후방을 막을 수 있다.
후면판(40)은 제 1 진동판(2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신장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후면판(40)의 두께(t3)는 제 1 진동판(20)의 두께(t1) 및 제 2 진동판(30)의 두께(t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한편, 제 1 진동판(20)의 두께(t1)와 제 2 진동판(30)의 두께(t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진동판(20)에는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갖는 모터부(MT)가 배치되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제 1 진동판(20)의 두께(t1)는 제 2 진동판(30)의 두께(t2)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음, 모터부(MT)에 대해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케이스부(10)의 단면이 사각형이고, 이에 따라 제 1 진동판(20) 및 제 2 진동판(30)도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터부(MT)는 후면판(40)에 배치되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모터부(MT)와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코드(COR)는 제 1 진동판(20)의 전면(FS)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진동판(20)과 케이스부(10)의 본체부(100)와의 사이 공간을 지나 PCB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코드(COR)는 도 11과 같이, 제 1 진동판(20)의 제 2 측면(SF2)과 본체부(100) 사이 공간을 지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제 1 공간(50)은 소리를 반사, 즉 제 1 진동판(20)에 의해 압축/신장된 공기를 다시 제 1 진동판(20)을 향해 반사하는 공간으로서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관계없다.
이를 고려하면, 제 1 공간(50)의 높이(G4)는 제 2 공간(51)의 높이(G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모터부(MT)의 높이(G2)는 제 2 공간(51) 내에서 모터부(MT)의 끝단에서 제 2 진동판(30) 사이의 간격(G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충분히 큰 출력의 모터부(MT)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추가적인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 내지 도 14는 스피커 모듈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무게추(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32)는 제 2 진동판(30)의 전면에 배치(부착,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32)는 제 2 진동판(30)의 진동을 조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이 출력하는 음의 주파수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무게추(32)는 모터부(MT)와 제 3 방향(DR3)으로 적어도 부분중첩(Partially Overlap)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이 출력하는 음의 주파수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Shock Absorbing Part, S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SAP)는 적어도 케이스부(10A)의 후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부(SAP)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고무 재질, 수지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보조음 출력부(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음 출력부(1A)는 보조파(Auxiliary Wave)를 출력할 수 있다.
보조파는 물소리 및 바람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파은 수면파 및/또는 기상파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음 출력부(1A)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 즉 보조파의 대역은 제 1 진동판(20) 및 제 2 진동판(30)이 출력하는 음의 대역보다 높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케이스부(10), 제 1 진동판(20), 제 2 진동판(30) 및 후면판(40)이 구성하는 스피커 모듈(10A)을 메인 스피커(Main Speaker, 10A)라 하고, 이러한 메인 스피커에 장착되는 별도의 스피커를 보조음 출력부(1A)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보조음 출력부(1A)를 보조 스피커(Auxiliary Speaker)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메인 스피커(10A)와 보조 스피커의 관점에서 보면, 메인 스피커(1A)(스피커 모듈)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과 보조음 출력부(1A)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스피커(1A)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은 보조음 출력부(1A)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메인 스피커(10A)와 보조음 출력부(1A)로 구성된 스피커는 1.1CH 스피커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스피커(10A)가 1.0채널을 담당하고, 보조음 출력부(1A)가 0.1채널을 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피커 모듈(10A)과 보조음 출력부(1A)를 구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보조음 출력부(1A)는, 도 16과 같이, 케이스부(1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부(1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피커 모듈(10A)은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 유도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는 스피커 모듈(10A)(메인 스피커) 및 구동부(Driver, 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는 보조음 출력부(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0A)과 보조음 출력부(1A)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스피커 모듈(10A)과 보조음 출력부(1A)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구동부(60)의 적어도 일부는 스피커 모듈(10A)의 후면판(40)에 배치되는 PCB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60)의 제어부(600),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 제 2 구동신호 공급부(611), 통신부(650), 시간 정보부(620) 및 사용자 정보부(640) 중 적어도 하나는 PCB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60)의 센서부(630)의 적어도 일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63)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밴드(Band)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제어부(600),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 제 2 구동신호 공급부(611), 시간 정보부(620), 센서부(630), 사용자 정보부(640), 통신부(650), 전원공급부(660) 및 입력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스피커 모듈(10A)로의 구동신호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수면정보의 생성/저장/관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정보는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태 판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수면 유도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센성부(630)가 센싱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의 기능 및 동작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 모듈(10A)로 구동신호(구동전력)를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는 제 1 진동판(20)을 진동시키기 위해 모터부(MT)에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모터부(MT)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는 알파파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1 구동신호를 모터부(MT)로 공급하여 제 1 진동판(2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수면파는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파로서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알파파는 대략 8~13㎐ 주파수 대역(혹은 7.5~14㎐ 주파수 대역)을 갖고, 사람의 뇌가 편안한 상태에서 방출될 수 있다. 알파파의 주파수 대역은 변경될 수 있다.
수면파는 알파파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면파는 알파파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6~14㎐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수면파는 알파파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10~13㎐, 6~10㎐ 또는 10~15㎐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수면파가 알파파의 대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경우에, 수면파는 알파파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면파는 사용자의 뇌파와 동조되면 수면 유도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구동신호 공급부(610)는 베타파를 포함하는 기상파(Wake-Up Wave)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 구동신호를 모터부(MT)로 공급하여 제 1 진동판(20)을 진동시킬 수 있다.
기상파는 사용자의 기상을 돕기 위한 파로서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대응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베타파는 14~40㎐ 주파수 대역을 갖고, 사람의 뇌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상태에서 방출될 수 있다. 베타파의 주파수 대역은 변경될 수 있다.
기상파는 베타파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상파는 베타파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14~45㎐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기상파는 베타파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14~30㎐, 15~35㎐ 또는 20~45㎐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기상파가 베타파의 대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경우에, 기상파는 베타파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파는 뇌파와 동조되면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하여 학습 능력 및 인지/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뇌를 잠에서 깨우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면파와 기상파를 비교하면, 수면파의 주파수 대역은 기상파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 수면파와 기상파는 일부 중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2 구동신호 공급부(611)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보조음 출력부(1A)로 구동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구동신호 공급부(611)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보조음 출력부(1A)로 제 3 구동신호를 공급하여 물소리, 바람 소리 등의 환경음을 포함하는 보조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시간정보부(620)는 스피커 모듈(10A)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정보(Time Information)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정보부(620)는 수면시간에 대한 정보, 유지시간에 대한 정보, 기상시간에 대한 정보 등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센서부(630)는 스피커 모듈(10A)의 구동에 필요한 센싱정보(Sensing Information)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정보는 사용자의 호흡정보, 맥박정보, 뇌파정보 및 모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630)는, 도 18과 같이, 호흡센서(631), 맥박센서(632), 뇌파센서(633) 및 모션센서(634)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센서(631)는 사용자의 호흡을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센서(631)는 사용자의 입 또는 코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호흡을 센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호흡센터(631)는 사용자의 호흡 시 발생하는 소리 등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호흡을 센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흡센서(631)는 사용자로부터 충분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맥박센서(632)는 사용자의 맥박을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뇌파센서(633)는 사용자의 뇌파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션센서(634)는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630)는 후면판(40)에 배치되는 PCB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맥박센서(632)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맥박센서(63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센싱한 맥박정보를 통신부(650)를 통해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630)는 별도의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부(64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 모듈(10A)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65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630)가 PCB와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에 통신부(650)는 센서부(6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650)는 외부의 다른 기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Mobile Terminal) 및/또는 서버(Server)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60)는 스피커 모듈(10A)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67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입력부(670)는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입력부, 키보드 등의 키 입력부,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면 유도 장치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시작시간을 설정(S10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과 같이, 사용자는 수면시작시간(23시00분) 및 유지시간(10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시작시간은 수면정보에 포함된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시작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10)하고, 판단결과 시작시간이 된 경우에는 알파파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출력(S120)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면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제어부(600)가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단단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어부(600)가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설정한 수면시작시간에 수면파의 출력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면파와 함께 물소리, 바람소리 등의 환경음(자연음)을 포함하는 보조파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보조파는 수면파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유지시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하고, 판단결과 유지시간이 지난 경우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S1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지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한 경우에, 수면시작인 23시00분부터 10분 동안 수면파를 출력하고, 23시10분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아울러, 수면파의 출력 종료와 함께 보조파의 출력도 종료할 수 있다.
유지시간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유지시간 이후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하게 되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면을 시작하는 시간(수면시작시간)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면파의 출력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수면시작시간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1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목표수면시작시간을 설정(S101)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와 같이, 사용자는 목표수면시작시간(23시00분) 및 유지시간(10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수면시작시간은 수면정보에 포함된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목표수면시작시간은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수면시작시간일 수 있다.
이후, 수면파 출력 시작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11)하고, 판단결과 출력 시작시간이 된 경우에는 알파파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출력(S120)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파 출력 시작시간은 목표수면시작시간(23시00분)으로부터 유지시간(10분)을 차감한 시간(22시50분)에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수면시작시간에 사용자가 수면에 들 수 있도록, 목표수정시작시간 이전에 유지시간동안 수면파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목표수면시작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31)하고, 판단결과 목표수면시작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S140)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수면시작시간에 대응하여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수면파가 보조파(Auxiliary Wave)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수면파는 알파파를 포함하는 메인 수면파와 환경음을 포함하는 보조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파는 사용자의 수면 및/또는 기상을 돕기 위한 것으로, 물소리, 파도 소리, 바람 소리 등의 환경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모듈(10A)은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를 환경음으로 하고, 8~13㎐ 주파수 대역의 메인 수면파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경음과 메인 수면파의 조합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보조파는 수면파 및/또는 기상파가 출력 중인 것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조파가 파도 소리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파도 소리를 근거로 하여 현재 수면파가 출력 중인지 혹은 기상파가 출력 중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면파의 유지시간에 도달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를 살펴보면, 수면파를 출력(S120)하는 상태에서, 센서부(63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센싱(S15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630)는 사용자의 뇌파, 맥박, 호흡, 모션 정보 등을 센싱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600)는 센서부(630)가 센싱한 정보를 분석(S151)하고,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S152)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맥박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로 느려지는 경우, 사용자의 뇌파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등에서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실질적인 수면상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S152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수면상태에 진입한 경우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S140)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152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수면상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지시간이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53)하고, 판결결과 유지시간이 종료되는 경우에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S140)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630)가 센싱한 사용자의 정보를 상태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수면파의 종료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수면정보는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수면시작시간, 목표수면시작시간) 뿐 아니라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A)은 기상시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기상파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5를 살펴보면, 미리 설정된 기상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6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상시간으로 07시00분을 설정한 경우에, 제어부(600)는 현재 시간이 07시00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현재 시간이 기상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베타파를 포함하는 기상파를 출력(S161)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기상파의 도움을 받아 용이하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상파와 함께 물소리, 바람소리 등의 환경음(자연음)을 포함하는 보조파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보조파는 기상파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유지시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62)하고, 판단결과 유지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기상파의 출력을 종료(S164)할 수 있다.
기상파의 출력 종료와 함께 보조파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162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유지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강제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63)하고, 판단결과 강제종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상파의 출력을 종료(S164)할 수 있다.
여기서, 강제종료 명령은 사용자가 기상파의 출력을 종료하는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강제종료 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상시간에 대응하여 기상파를 출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뇌가 깨어나는 촉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잠에서 보다 용이하게 깨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8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6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수면 유도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보조 수면파를 더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수면 유도 장치는 스피커 모듈(10A), 사용자 단말기(Terminal, 20A)(이하에서는 '단말기'라 칭함) 및 서버(Server, 30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수면 유도 장치는 보조음 출력부(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음 출력부(1A)는 스피커 모듈(10A)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스피커 모듈(10A)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20A)는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수면정보(Sleep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정보는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태 판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판단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뇌파 정보, 맥박 정보, 호흡 정보 및 모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근거로 하여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정보는 스피커 모듈(10A)에 포함된 센서부(630)에 의해 수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또는, 센싱 정보는 단말기(20A)에서 수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싱 정보는 단말기(20A)의 센서부(260) 및 스피커 모듈(10A)의 센서부(630)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한 정보일 수 있다.
스피커 모듈(10A)은 수면정보에 대응하여 알파파를 포함하는 수면파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30A)는 수면 유도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앱(App)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30A)는 단말기(20A)로부터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분류/가공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수면에 대한 통계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0A)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서버(30A) 및 스피커 모듈(10A)과 별도로 모듈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0A)는 스마트 폰, PDA, 태블릿 PC 등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20A)는 도 27과 같이 제어부(200), 통신부(210), 음성 출력부(220), 영상 출력부(230), 입력부(240), 인증부(250), 센서부(260) 및 시간정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단말기(20A)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음성통화,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스피커 모듈(10A)로의 제어명령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서버(30A)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정보의 센싱을 제어하고, 이를 근거로 하는 센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도출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수면 유도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0)의 기능 및 동작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시간정보부(270)는 수면 유도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시간정보부(270)는 수면시간에 대한 정보, 유지시간에 대한 정보, 기상시간에 대한 정보 등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20A)에서 수면시간(수면시작시간, 목표수면시작시간), 기상시간 등을 알람으로 설정하면, 시간정보부(270)를 이를 근거로 하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센서부(260)는 수면 유도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센싱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정보는 사용자의 호흡정보, 맥박정보, 뇌파정보 및 모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26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호흡센서, 맥박센서, 뇌파센서 및 모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센서, 맥박센서, 뇌파센서 및 모션센서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을 앞선 17과 비교하면, 센싱 정보를 수집/획득하기 위한 센서부(260)가 단말기(20A)에 설치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박 센서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이러한 맥박 센서는 단말기(20A)의 통신부(210)와 통신을 통해 센싱 정보를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부(250)는 단말기(20A), 서버(30A) 및 스피커 모듈(10A)의 연동을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부(250)는 인증을 위한 단말기(20A)에 대한 기기정보(일련번호 등의 고유정보), 단말기(20A)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스피커 모듈(10A)에 대한 기기정보(일련번호 등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60)가 단말기(20A)와는 별도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에 통신부(210)는 센서부(26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다른 기기, 예컨대 다른 이동통신 단말, 서버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40)는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입력부, 키보드 등의 키 입력부,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20)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230)는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8을 살펴보면, 서버(30A)는 통신부(310), 사용자 정보부(320), 인증부(330), 수면시간 정보부(340), 기기 정보부(350), 통계부(360), 상태 정보부(370), 기상시간 정보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서버(30A)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90)는 단말기(20A)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과 통신을 제어할 수 있고, 통계정보의 연상/저장/관리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90)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20A)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부(32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부(32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면 도우미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기기 정보부(35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A)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에 대한 기기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정보부(35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면 도우미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한 단말기(20A)에 대한 기기정보 및/또는 해당 단말기(20A)에 대응하는 스피커 모듈(10A)에 대한 기기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인증부(33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20A)의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20A)의 기기정보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면시간 정보부(34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시간, 예컨대 수면시작시간, 목표수면시작시간, 수면의 길이에 대한 정보 등을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기상시간 정보부(38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상태 정보부(37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통계부(360)는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통계정보를 생성/저장/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수면 유도 장치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단말기(20A)와 스피커 모듈(10A)을 매칭(Matching)시킬 수 있다.
도 29를 살펴보면, 단말기(20A)에서 단말기(20A)의 사용자 정보를 서버(30A)로 전송(S200)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A)의 기기정보를 함께 서버(30A)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피커 모듈(10A)의 기기정보를 서버(30A)로 전송(S2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0A)에서 스피커 모듈(10A)의 기기정보를 서버(30A)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스피커 모듈(10A)이 직접 기기정보를 서버(30A)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스피커 모듈(10A)의 기기정보를 서버(30A)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말기(20A)와 스피커 모듈(10A)이 서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20A)와 스피커 모듈(10A)이 서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A)는 단말기(20A)의 사용자 정보와 기기정보 및 스피커 모듈(10A)의 기기정보를 서로 매칭(S220)시키고, 이에 대한 정보, 즉 매칭 정보를 저장(S230)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20A)와 스피커 모듈(10A)을 서로 매칭시키면 수면 유도 방법을 적용할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단말기(20A)에 앱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앱을 실행시키는 방법으로 활성화(S300)시킬 수 있다.
그러면, 서버(30A)는 사용자 정보와 기기정보를 확인(S301)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인증을 수행(S302)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단말기와 B 스피커 모듈이 매칭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A 단말기에서 수면 도우미 앱을 활성화시키고, B 스피커 모듈이 턴-온(Turn-On)상태, 즉 활성화상태인 경우에, A 단말기의 기기정보 및/또는 사용자 정보와 B 스피커 모듈의 기기정보가 서버(30A)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서버(30A)는 A 단말기와 A 단말기에 매칭된 B 스피커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20A)의 제어부(200)에서는 수면정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303)할 수 있다.
이하에서 판단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말기(20A)의 제어부(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 S303 단계에서 판단결과, 수면정보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S307)할 수 있다.
제 S307 단계에서 판단결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능(Default 1)을 수행(S312)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303 단계에서 판단결과, 수면정보가 설정된 경우에는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304)할 수 있다.
단말기(20A)에서 시작시간 및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가 도 32에 게시되어 있다.
여기서,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는 수면시작시간에 대한 정보 또는 목표수면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제 S304 단계에서 판단결과,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시작시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305)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제 1 출력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314)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커 모듈(10A)에서는 단말기(20A)로부터 제 1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수면파를 출력(S306)할 수 있다.
한편, 제 S304 단계에서 판단결과,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범위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308)할 수 있다.
제 S308 단계에서 판단결과, 시간범위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능(Default 2)을 수행(S313)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308 단계에서 판단결과, 시간범위가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범위 내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S309)할 수 있다.
제 S309 단계에서 판단결과,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자체의 센서부(260)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에 포함된 센서부(630)가 센싱한 센싱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센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S310)할 수 있다.
분석결과 사용자가 수면 준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S311)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수면 준비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출력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314)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범위는 사용자가 수면에 들기 원하는 시간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범위는 유지시간보다 그 범위가 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를 시청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수면을 취하고 싶은 경우에 시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시간범위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수면에 용이하게 빠질 수 있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에, 스피커 모듈(10A)이 수면파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20A)에서 시간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가 도 33에 게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3과 같이, 수면에 대한 목표시간범위를 23시00분에서 24시00분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피커 모듈(10A)의 센서부(630) 및 단말기(20A)의 센서부(260) 중 적어도 하나는 23시00분부터 사용자의 맥박, 호흡, 뇌파, 모션 등을 센싱한 센싱 정보를 수집/획득하고, 이를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전달받은 센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를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23시30분에 사용자의 맥박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로 떨어지고, 뇌파가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 이하로 안정되는 경우에는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수면에 진입하기에 용이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A)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23시00분부터 스피커 모듈(10A)로 제 1 출력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스피커 모듈(10A)은 수면파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3을 살펴보면, 수면파의 출력하는 과정에서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315)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면파의 출력 시간이 10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S315 단계에서 판단결과, 유지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제 1 종료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319)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커 모듈(10A)에서는 제 1 종료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수면파의 출력을 종료(S316)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315 단계에서 판단결과, 유지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는 자체의 센서부(260) 및/또는 스피커 모듈(10A)에 포함된 센서부(630)가 센싱한 센싱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센싱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S317)할 수 있다.
분석결과 사용자가 수면 상태, 즉 사용자가 수면에 충분히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S318)하고, 판단결과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종료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319)할 수 있다.
이처럼, 시간범위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면에 빠지기 용이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에 한정적으로 수면파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전력 소모 및 진동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유도 장치에서는 기상시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기상파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4를 살펴보면, 단말기(20A)의 제어부(200)는 기상시간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400)할 수 있다.
제 S400 단계에서 판단결과, 기상시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403)하고, 판결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 3 기능(Default 3)을 수행(S404)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400 단계에서 판단결과, 기상시간이 설정된 경우에는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상시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401)할 수 있다.
판단결과, 현재 시간이 기상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제 2 출력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408)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커 모듈(10A)에서는 제 2 출력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베타파를 포함하는 기상파를 출력(S402)할 수 있다.
이후, 유지시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5)하고, 판단결과 유지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제 2 종료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409)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피커 모듈(10A)에서는 제 2 종료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기상파의 출력을 종료(S407)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405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유지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강제종료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6)하고, 판단결과 강제종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말기(20A)는 제 2 종료 제어신호를 스피커 모듈(10A)로 전송(S409)할 수 있다.
단말기(20A)에서 기상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가 도 35에 게시되어 있다.
단말기(20A)는 서버(30A)로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30A)를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저장/관리/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과 같이, 단말기(20A)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수면에 대한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기(20A)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6에서는, 서버(30A)가 단일 사용자에 대한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서버(30A)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30A)는 경기도 수원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남성들의 2020년01월01일부터 2020년01월31일까지의 기간 동안의 총 수면시간, 평균 수면시간, 주 수면기간 등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케이스부(Case Part);
    상기 케이스부의 제 1 위치(First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1 진동판(First Diaphragm);
    상기 케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 2 위치(Second Position)에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 2 진동판(Second Diaphragm);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진동판 사이에서 상기 제 1 진동판에 배치되는 모터부(Motor Part);
    상기 제 1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1 밀봉부(First Sealing Part);
    상기 제 2 진동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진동판을 밀봉하는 제 2 밀봉부(Second Sealing Part); 및
    상기 케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 3 위치(Third Position)에서 상기 케이스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후면판(Rear Plate);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진동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진동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모터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진동판과 상기 모터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폭은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보다 더 크고,
    적어도 상기 케이스부의 후방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Shock Absorbing Part)를 더 포함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모터부와 적어도 일부 중첩(Partially Overlap)되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음 출력부(Auxiliary Speak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음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의 대역은 상기 제 1 진동판 및 상기 제 2 진동판이 출력하는 음의 대역보다 높은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판의 두께는 상기 제 2 진동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0190047483A 2019-04-23 2019-04-23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09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83A KR102099084B1 (ko) 2019-04-23 2019-04-23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83A KR102099084B1 (ko) 2019-04-23 2019-04-23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84B1 true KR102099084B1 (ko) 2020-04-09

Family

ID=7027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83A KR102099084B1 (ko) 2019-04-23 2019-04-23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53A (ko) * 2001-06-26 2003-01-0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8992A (ko) 2007-01-22 2008-07-25 심규만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JP2013162490A (ja) * 2012-02-08 2013-08-19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スピーカ装置
KR101500562B1 (ko) * 2013-12-23 2015-03-09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JP2015099957A (ja) * 2013-11-18 2015-05-28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KR20170003051U (ko) 2016-02-22 2017-08-30 김혜경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53A (ko) * 2001-06-26 2003-01-0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압전형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8992A (ko) 2007-01-22 2008-07-25 심규만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JP2013162490A (ja) * 2012-02-08 2013-08-19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スピーカ装置
JP2015099957A (ja) * 2013-11-18 2015-05-28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KR101500562B1 (ko) * 2013-12-23 2015-03-09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KR20170003051U (ko) 2016-02-22 2017-08-30 김혜경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1323B2 (en) Remote medical device alarm
US20160328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larms in a wearable medical device
US10220183B2 (en) Adjustment of sensory stimulation intensity to enhance sleep slow wave activity
US20160058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leep session management based on slow wave sleep activity in a subject
EP3072482A1 (en) Electronic snore-ceasing device and snore-ceasing method
JP2014198239A (ja) 介護者の処置の進行に基づく注意喚起を行う自動介護装置
CN109976517A (zh) 向电子设备的用户提供预激提示
US201503203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tentiating effective brainwave by controlling volume of sound
KR20120092249A (ko) 수면 유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517716A (ja) 着用可能な医療装置においてアラームを適合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488740A (zh) 用于基于睡眠纺锤波调节睡眠期间的感觉刺激的强度的***和方法
US11672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dibular advancement and sleep positional therapy
CN110234390B (zh) 用于经颅脑刺激的套件和***
US9889300B2 (en) Cochlear implant system including an implantable battery
KR20130015071A (ko) 코골이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 방법
CN104203084A (zh) 用于觉醒睡眠探测报警的***与方法
CN105942780A (zh) 一种智能枕头
KR102099084B1 (ko)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131557B1 (ko)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US20160331964A1 (en) Functionality migration
WO2019041563A1 (zh) 眼罩
CN115644825A (zh) 一种基于外部环境的睡眠刺激调节方法及相关设备
WO2018218967A1 (zh) 一种假牙装置及其工作方法、终端、信号交互***
US11688508B2 (en) Biometric status sensing media therapy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6491334A (zh) 一种多重互动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