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338B1 -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338B1
KR102097338B1 KR1020180143701A KR20180143701A KR102097338B1 KR 102097338 B1 KR102097338 B1 KR 102097338B1 KR 1020180143701 A KR1020180143701 A KR 1020180143701A KR 20180143701 A KR20180143701 A KR 20180143701A KR 102097338 B1 KR102097338 B1 KR 10209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evices
communication
condition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희만
노상균
문길종
이성호
강선향
김경화
김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기술
Priority to KR102018014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38B1/en
Priority to PCT/KR2018/014533 priority patent/WO202010576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system, as a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system to control a communicating mode of communicating devices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Bluetooth communicating method, comprises: a first device; a second device; and a mode changing unit. The first device is operated in one operating mode of a peripheral mode and a central mode. The peripheral mode transmits connectable signals. The central mode scans the connectable signals, requests connection to a communicat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connectable signals, and sets a communicating conditio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connectable signals. The second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evice and is operated in the other operating mode of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The mode changing unit mutually changes the operating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whe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satisfied with a predetermined change condi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satisfied with a predetermined consultation condition in a state of mutual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depending 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roduct line used in various situations by changing the operating mode which is a role of each device depending on a state of the device and an operating situation in a connection mode to which the devices are mutually connected.

Description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역할을 변경하도록 협의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mode that can be negotiated to change the roles of interconnected devices using a Bluetooth method.

최근 통신 기기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저렴한 비용에, 저 전력(low energy)으로 구현하기 위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 표준인 블루투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블루투스 통식 방식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근거리 무선 접속 기술이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소비 전력이 매우 적기 때문에 그 활용의 범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interest in Bluetooth technology,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for realizing two-way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t low cost and low energy, has increased. Bluetooth communication is a short-range wireless access technology that enables real-tim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both directions by wirelessly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placed at a short distance. A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is adopted as a stand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nd the range of its use is increasing because power consumption is very small.

최근의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슈(issue)에서 벗어나,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하고, 낮은 전력 소모로 이용 가능한 저전력(low energy)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술은 이동 컴퓨터, 휴대폰, 헤드셋, PDA, 태플릿 PC, 프린터뿐만 아니라 헬시 케어(Healthy care), 의료 기기,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Recentl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vised from an issu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rge amounts of data, and a low energy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mall amount of data quickly and using low power consumption has been proposed. Such low-power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obile computers, mobile phones, headsets, PDAs, tablet PCs, printers, as well as health care, medical devices, and sensors for monitoring.

종래의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센트럴(Central) 역할을 하는 센트럴 블루투스 단말과 페리페럴(Peripheral) 역할을 하는 페리페럴 블루투스 단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1:1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종래의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은 단말기들이 상호 연결된 컨넥션 모드(connection mode)에서는 정해진 각 단말기의 역할이 고정되므로 단말기의 상태 및 작동 상황에 따라 각 단말기의 역할을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low-power Bluetooth technolog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1: 1 connection by interconnecting a central Bluetooth terminal serving as a central and a peripheral Bluetooth terminal serving as a peripheral.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low-power Bluetooth method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role of each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 operating state since the roles of each terminal are fixed in the connection mode in which the terminals are interconnect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4560호: BLE를 이용한 실시간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4560: Real-tim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들의 역할을 변경하도록 협의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that can be negotiated to change the roles of devices while being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method.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모드와,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스캐닝하고,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을 요청하되,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와의 통신 연결시 통신 조건을 설정하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와, 상기 제1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2디바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에 해당되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기설정된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하는 모드변경부를 구비한다.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communication devices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 peripheral mode for transmitting a connectable signal, and Scanning a connectable signal and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connectable signal, but operates in any one of the central modes to set communication conditions when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connectable signal The first device to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device, the second device operating in one of the other operating modes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rresponds to a preset change condition, but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When the other one of the vises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sultation condition, a mode changing unit for mutu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provided.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mode change unit determines that if the charge amount of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a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the change condition is determ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호 통신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3디바이스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제3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third device operating in ei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the mode change unit i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mmunication. When a device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device require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devi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 is met.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When th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the mode change unit performs a mode perform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nother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different mode.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디바이스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디바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2디바이스로 수락신호를 전송한 다음,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모듈과, 상기 제2디바이스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2디바이스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2디바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1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디바이스로 수락신호를 전송한 다음,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모듈을 구비한다. The mode change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device, and controls the first device to operate the first device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wherein the first devic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If possible, when the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and the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is operated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the change from the second device Whe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if the first device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device, and then operates the first device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1 control module, which is provided on the second device,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The second device is controlled to operate the second device in a mode, but when the second device meets the change condition, a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and an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When receiving, operating the first device in ano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receiving the change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device, if the second device satisfies the consultation condition, the first device And a second control module for operating the first device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모드 또는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스캐닝하고,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을 요청하되,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와의 통신 연결시 통신 조건을 설정하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와,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2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 또는 제2디바이스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판별 단계와, 상기 변경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 또는 제2디바이스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기설정된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communication devices that are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scanning a connection mode or a peripheral mode for transmitting a connectable signal And,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connectable signal, and the first device operating in any one of the central mode to set the communication conditions when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he connectable signal and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corresponds to a preset change condition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device operating in one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hang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However, whe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sultation condition, the mode change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while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es steps.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if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 is met.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제3디바이스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a device and data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he third device operating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When communication is requir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드 변경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 is met, and the mode change step In, another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mode different from a mode perform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상기 모드 변경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변경 요청 단계와, 상기 변경 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가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수락신호를 전송하는 수락 단계와, 상기 수락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시키는 완료 단계를 포함한다. The mode changing step includes a change request step of transmitting a change request signal from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o a device no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nd the change After the request step, if the device that does not meet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the acceptance step of transmitting an acceptance signal from the device that does not meet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nd a completion step of mutu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fter the acceptance step.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된 컨넥션 모드(connection mode)에서도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 상황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역할 즉, 작동모드를 변경하도록 협의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작동하는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egotiated to change the role of each device, that is,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vice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even in a connection mode in which devices are interconnect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products that operate in more diverse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to which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서, 제1디바이스(11), 제2디바이스(12) 및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모드변경부(2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s of communication devices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device 11 and the second device (12) and a mode changing unit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제1디바이스(11)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통신기기로서, 페리페럴(Peripheral) 모드 및 센트럴(Central) 모드로 작동 가능한 제1작동모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동 초기에는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된다. The first device 11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Bluetooth,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operation module (not shown) that can operate in a peripheral mode and a central mode. Mode.

상기 페리페럴 모드는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 중 컨넥션 모드(Connection mode) 즉, 1:1 양방향 통신시 페리페럴(Peripherial) 역할을 수행하는 작동모드이다.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기 위해 연결가능 신호(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센트럴(Central)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가 연결 요청을 보내면, 이를 수락하여 상기 연결 요청을 보낸 디바이스와 통신연결된다. 이때,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가 설정된 통신조건에 따라 통신한다. 즉,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가 지정한 타이밍(timing)에 맞추어 주파수(Channel)을 같이 호핑(hopping)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The peripheral mode is a connection mode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at is, an operation mode that serves as a peripheral in 1: 1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periodically transmits a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 in order to be connected with other devices, and when a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receiving the request sends a connection request, it accepts it It is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that sent the connection request. At this time,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according to the set communication conditions. That is,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periodically exchanges data while hopping the channels together at a timing specified by the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상기 센트럴 모드는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 중 컨넥션 모드(Connection mode) 즉, 1:1 양방향 통신시 센트럴(Central) 역할을 수행하는 작동모드이다. 상기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기 위해 연결가능 신호(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를 주기적으로 스캔하다가, 적절한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에게 연결을 요청한다.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통신 조건을 설정한다. 즉, 상기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는 디바이스는 타이밍(timing)을 설정하고, 주기적인 데이터 교환을 주도한다. 여기서, 타이밍(timing)은 두 디바이스가 매번 같은 채널(Channel)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정하는 호핑(hopping) 규칙이다.The central mode is a connection mode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at is, an operation mode that performs a central role in 1: 1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periodically scans a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 to connect with another device, and then requests a connection to a device operating in the appropriate peripheral mode. When communicating with another device, the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sets communication conditions. That is, the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sets timing and drives periodic data exchange. Here, timing is a hopping rule that is determined by two devices to exchange data in the same channel each time.

제2디바이스(12)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통신기기로서,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로 작동 가능한 제2작동모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동 초기에는 센트럴 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제2디바이스(12)는 제1디바이스(11)와 상호 통신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device 12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Bluetooth,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ration module (not shown) operable in a peripheral mode and a central mode, and is operated in a central mode at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evice 12 is interconnected with the first device 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은 제3디바이스(1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3디바이스(13)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는 통신기기로서,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로 작동 가능한 제3작동모듈(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동 초기에는 센트럴 모드로 작동된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evice 13. The third device 13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Bluetooth, and is provided with a third operation module (not shown) operable in a peripheral mode and a central mode, and is operated in a central mode at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내지 제3디바이스(11,12,13)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 케이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다방향으로 이동하는 스마트볼(101)과,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반려동물에 설치된 스마트칼라(102)와,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스마트 피더(103)를 구비한다. 제1디바이스(11)는 스마트칼라(102)와 스마트 피더(103)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기기로서 상기 스마트볼(101)에 설치된다. 제2디바이스(12)는 스마트볼(101)과 스마트 피더(103)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기기로서 상기 스마트 칼라(102)에 설치되며, 제3디바이스(13)는 스마트볼(101)과 스마트 칼라(10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기기로서, 스마트 피더(103)에 설치된다. The first to third devices 11, 12, and 1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illustrated in FIG. 1. The pet K system includes a smart ball 101 moving in multiple directions so as to induce interest of the companion animal, a smart color 102 installed in the companion animal to measur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companion animal It is equipped with a smart feeder (103) for providing food. The first device 11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collar 102 and the smart feeder 103, and is installed on the smart ball 101. The second device 12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ball 101 and the smart feeder 103, and is installed on the smart color 102, and the third device 13 is the smart ball 101 and the smart color A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102), it is installed in the smart feeder (103).

한편, 제1 내지 제3디바이스(11,12,13)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스마트칼라(102), 스마트 피더(103) 및 스마트볼(101)에 랜덤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호 통신하는 통신기기가 요구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irst to third devices 11, 12, and 13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and may be randomly installed in the smart color 102, smart feeder 103, and smart ball 101, respectively. Communic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ay be installed in a required device or system.

모드변경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에 해당하면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작동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협의한다. 즉, 모드변경부(20)는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어느 하나가 변경조건에 해당되고,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다른 하나가 기설정된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에만,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작동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모드변경부(20)는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와 상호 통신 연결되도록 제3디바이스(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mode change unit 20 is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12)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12) is a preset change condition Consult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That is, in the mode changing unit 20,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is set to a preset consultation condition. Only when satisfied,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re changed. Also, the mode change unit 20 may control the third device 13 to be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상기 모드변경부(20)는 상기 제1디바이스(11)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11)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디바이스(11)의 제1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21)과, 상기 제2디바이스(12)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2디바이스(12)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2디바이스(12)의 제2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22)과, 상기 제3디바이스(13)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3디바이스(13)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3디바이스(13)의 제3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3제어모듈(23)을 구비한다. The mode change unit 20 is provided on the first device 11, and the first device 11 is operated so that the first device 11 is operated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The first control module 21 for controlling the first operation module and the second device 12 are provided on the second device 12 so that the second device 12 is operated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for controlling the second operation module of the second device 12 and the third device 13 are provided in the first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 third control module 23 is provided to control the third operation module of the third device 13 so that the three devices 13 are operated.

여기서, 상기 변경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 즉, 상기 제1디바이스(1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인 것이 적용된다. 이때, 제1제어모듈(21)은 제1디바이스(11)가 설치된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관리 모듈로부터 배터리의 충전량을 제공받는다. 한편, 제2제어모듈(22) 및 제3제어모듈(23)도 각각 제1디바이스(11) 및 제2디바이스(12)가 설치된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배터리 관리 모듈로부터 해당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제공받는다.Here, the change condition is that a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that is, a charge amount of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evice 11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Applies.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module 21 is connected to a battery management module (not shown) for managing the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on which the first device 11 is installed, and receives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from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Meanwhile,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and the third control module 23 are also connected to a battery management module (not shown) that manages the battery provided in the device in which the first device 11 and the second device 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battery management module receives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corresponding device.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1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제1제어모듈(21)은 상기 제1디바이스(11)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evice 11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the first control module 21 determines that the first device 11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Judge.

일반적으로 센트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는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에이티티 서비스(ATT service)를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슬립모드(Sleep mode)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1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전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제1디바이스(11)와, 제1디바이스(11)와 통신 연결된 제2디바이스(12)의 역할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1제어모듈(21) 및 제2제어모듈(22)은 상호 협의한다. 상기 제1 및 제2제어모듈(21,22)의 협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In general, a devic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does not need to maintain advertising, and there is no need to maintain the ATT service, so the sleep mod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You can. Therefore,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device 11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viously set charge amount, the first device 11 and the second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11 In order to change the role of (12), the first control module 21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negotiate with each other. The consultation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21 and 22 is as follows.

먼저, 제1제어모듈(21)은 제2디바이스(12)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제2디바이스(12)의 제2제어모듈(22)은 제1제어모듈(21)로부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디바이스(12)가 협의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First, the first control module 21 transmits a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device 12.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of the second device 12 receives the change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21, 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evice 12 satisfies the consultation condition.

여기서, 상기 협의조건은 해당 디바이스 즉, 제2디바이스(12)의 배터리 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의조건은 해당 디바이스 즉, 제2디바이스(12)의 작동모드가 변경시, 변경된 작동모드를 갖는 제2디바이스(12)가 통신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충분한 조건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협의조건에는, 해당 디바이스 즉, 제2디바이스(12)가 현재 작동모드로 제1디바이스(11) 외의 통신기기와 미연결된 상태인 조건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협의조건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디바이스가 작동모드를 변경하더라도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Here, the conditions for the consultation may be applied to a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a condition in which the battery charge amount of the second device 1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amount. In addition, the consult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that a sufficient number of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the second device 12 having the changed operation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device 12 is changed. In addition, the consult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vice, that is, the second device 12 is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from communication devices other than the first device 11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On the other hand, the consultation condi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ny condition can be operated smoothly even if the corresponding device changes the operation mode.

제2제어모듈(22)은 제2디바이스(12)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제어모듈(21)로 거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거부신호를 수신한 제1제어모듈(21)은 설정된 제1디바이스(11)의 작동모드를 유지한다.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transmits a rejection signal to the first control module 21 when the second device 12 does not satisfy the agreement condition, and receives the rejection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module ( 21) maintains the set operation mode of the first device 11.

한편, 제2디바이스(12)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 제2제어모듈(22)은 전송된 변경요청신호에 대해 수락신호를 전송한다. 제1제어모듈(21)은 제2디바이스(12)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제1디바이스(11)의 작동모드를 변경한다. 일예로, 제1디바이스(11)가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 중이면, 제2디바이스(12)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한 제1제어모듈(21)은 제1디바이스(11)가 센트럴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1디바이스(11)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evice 12 satisfies the above agreement,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for the transmitted change request signal.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21 receives the acceptance signal from the second device 12, the first control module 21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device 11. For example, when the first device 11 is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the first control module 21 receiving the acceptance signal from the second device 12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first device 11 in the central mode. The first device 11 is controlled.

또한, 제2제어모듈(22)은 제1디바이스(11)로 수락신호를 송신한 다음, 제2디바이스(12)의 작동모드를 변경한다. 일예로, 제2디바이스(12)가 센트럴 보드로 작동 중이면, 제1디바이스(11)로 수락신호를 송신한 제2제어모듈(22)은 제2디바이스(12)가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2디바이스(12)를 제어한다. 이때, 작동모드가 변경된 제1디바이스(11) 및 제2디바이스(12)는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모드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device 11 and then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device 12.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evice 12 is operating as a central board,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that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device 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device 12 is operated in a peripheral mode. The second device 12 is controll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evice 11 and the second device 12 in which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한편, 변경조건은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13)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제3디바이스(13)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조건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condition is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device 13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is the third device (13) operating in ei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It may be a condition that requires data communication with a device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의 경우, 반려동물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공급되는 먹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스마트 칼라(102)로부터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 피더(103)로 전송되어야 한다. 이때, 스마트 피더(103)에 설치된 제3디바이스(13) 및 스마트 칼라(102)에 설치된 제2디바이스(12)가 모두 센트럴 모드로 작동 중일 경우, 제2디바이스(12)에 설치된 제2제어모듈(22)은 제2디바이스(12)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디바이스(12)와 통신 연결된 제1디바이스(11)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제1 및 제2제어모듈(21,22)는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역할을 상호 협의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shown in FIG. 1,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ood su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smart collar 102 is a smart feeder 103. Should be sent to At this time, when both the third device 13 installed on the smart feeder 103 and the second device 12 installed on the smart color 102 are operating in the central mode, the second control module installed on the second device 12 (22)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vice 12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and transmits a change request signal to the first device 11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12.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21 and 22 mutually negotiate the rol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즉,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디바이스(11)의 제1제어모듈(21)은 제1디바이스(11)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제1제어모듈(21)는 제1디바이스(11)가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에만, 제2제어모듈(22)로부터 전송된 변경요청신호에 대해 수락신호를 전송한다. 제2제어모듈(22)은 제1디바이스(11)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제2디바이스(12)의 작동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제1제어모듈(21)은 제2디바이스(12)로 수락신호를 송신한 다음, 제1디바이스(11)의 작동모드를 변경한다. 이때, 작동모드가 변경된 제1디바이스(11) 및 제2디바이스(12)는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모드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2디바이스(12)는 상기 제3디바이스(13)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한다. That is, the first control module 21 of the first device 11 that has received the change request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evice 11 satisfies the consultation condition.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module 21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chang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only when the first device 11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When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receives the acceptance signal from the first device 11,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device 12.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21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device 12 and then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device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device 11 and the second device 12 in which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Next, the second device 12 communicates with the third device 13 through a Bluetooth method.

한편, 모드변경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모드변경부(20)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de change unit 20,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alternately perform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the change condition You can judge that. At this time, the mode changing unit 20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to operate in a different mode than the mod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devices Control other devices.

일예로, 제1디바이스(11)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될 경우, 제1디바이스(11)의 제1제어모듈(21)은 상기 제1디바이스(11)가 변경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디바이스(12)로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제2디바이스(12)의 제2제어모듈(22)은 제1디바이스(11)가 수행하는 작동모드와 다른 작동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2디바이스(12)를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device 11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the first control module 21 of the first device 11 is the first device 11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s are met, and an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12. The second control module 22 of the second device 12 controls the second device 12 to operate in an operation mode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mode performed by the first device 11.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을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3 illustrates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건 판별 단계(S110) 및 모드 변경 단계(S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mode of communication devices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includes a condition determining step (S110) and a mode changing step (S120). .

조건 판별 단계(S110)는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11)와,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2디바이스(1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11) 또는 제2디바이스(12)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S110) includes a first device 11 operating in one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a second device 12 operating in the o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In the interconnected state, it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evice 11 or the second device 12 corresponds to a preset change condition.

여기서, 모드 변경부의 제1 및 제2제어모듈(22)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modules 22 of the mode change unit,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If 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charging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change conditions are met.

또한, 모드 변경부는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13)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제3디바이스(13)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de change unit is the third device 13 operating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the operating mode of the third device 13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When data communication with a device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is requir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그리고, 모드 변경부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de changing unit may determine that the devic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have.

모드 변경 단계(S120)는 상기 변경 조건 판별 단계(S110)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다른 하나가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작동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로서, 변경 요청 단계(S121), 수락 단계(S122) 및 완료 단계(S123)를 포함한다. In the mode change step (S120),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in the change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S110), and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12) ), When the other one satisfies the agreement, changi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while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 change request step (S121), an acceptance step (S122), and a completion step (S123).

변경 요청 단계(S121)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In the change request step (S121),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is changed to a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This i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quest signal.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어모듈은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어모듈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한다. The control module provided o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is requested to change to the control module provided on the device that does not meet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Send a signal.

수락 단계(S122)는 상기 변경 요청 단계(S121)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수락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어모듈은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가 협의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협의조건에 만족될 경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어모듈로 수락신호를 전송한다. The acceptance step (S122) is a step of transmitting an acceptance signal from a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fter the change request step (S121). Her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the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nge condition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nge condition satisfies the consultation condition, and the device satisfies the consultation condition If possible, the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완료 단계(S123)는 상기 수락 단계(S122)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수락 단계(S122) 이후에, 모드변경부(20)의 제어모듈들은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각 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한다. The completion step S123 is a step of mutu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fter the acceptance step S122. Here, after the accepting step (S122), the control modules of the mode changing unit 20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each device to each other while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조건 판별 단계(S110)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모드 변경 단계(S120)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11,12)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S110),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12)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the change condition If it is determined to be applicable, in the mode change step (S120),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o operate in a mode different from a mod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11 and 12 It is desirable to control other devices among the (11,12).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모드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들이 상호 연결된 컨넥션 모드(connection mode)에서도 디바이스의 상태 및 작동 상황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역할 즉, 작동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작동하는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role of each device, that i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evice and the operating state in the connection mode in which the devices are interconnected Since the mode can be chang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products that operate in various situations.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Descriptions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11: 제1디바이스
12: 제2디바이스
13: 제3디바이스
20: 모드변경부
21: 제1제어모듈
22: 제2제어모듈
23: 제3제어모듈
10: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11: First device
12: second device
13: third device
20: Mode change unit
21: first control module
22: second control module
23: 3rd control module

Claims (10)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모드와,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스캐닝하고,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을 요청하되,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와의 통신 연결시 통신 조건을 설정하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
상기 제1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2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에 해당되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기설정된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하는 모드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협의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의 작동모드가 변경시 변경된 작동모드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충분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현재 작동모드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외의 통신기기와 미연결된 상태인,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As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communication devices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 communication mod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eripheral mode for transmitting a connectable signal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scanning the connectable signal and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he connectable signal, A first device operating in any one of the central mode to set the;
A second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nd operates in one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rresponds to a preset change condi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atisfies a preset consultation condition. Only when, the mode changing unit for mutu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 the consultation condition,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changed, the device having the changed operation mode has a sufficient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 the unconnected stat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other tha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de changing unit determines that if the charge amount of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a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 is met.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호 통신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3디바이스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제3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device operating in ei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The mode change unit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when a device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is required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device. Judging by,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the mode change unit performs a mode perform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ntrolling an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o operate in a different mode,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제1디바이스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1디바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2디바이스로 수락신호를 전송한 다음,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모듈; 및
상기 제2디바이스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상기 제2디바이스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2디바이스를 제어하되,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1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수락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디바이스로 수락신호를 전송한 다음,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모드로 상기 제1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모듈;을 구비하는,
통신 모드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mode change unit
It is provided on the first device, and controls the first device to operate the first device in ei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but when the first device falls under the change condition, the When the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and when the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the first device is operated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the chan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When the first device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transmits a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device and then operates the first device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It is provided on the second device, and controls the second device to operate the second device in ei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but when the second devic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the A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and when the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the first device is operated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nd the chan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 second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he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device and then operating the first device in another mode,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when the second device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Equipped with,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통신기기들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모드 또는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스캐닝하고,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로 연결을 요청하되, 상기 연결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기기와의 통신 연결시 통신 조건을 설정하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1디바이스와,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다른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2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 또는 제2디바이스가 기설정된 변경조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판별 단계; 및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기설정된 협의조건에 만족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가 상호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의 작동모드가 변경시 변경된 작동모드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수가 충분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다른 하나가 현재 작동모드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외의 통신기기와 미연결된 상태인,
통신 모드 제어 방법.
As a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communication devices inter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Peripheral mode for transmitting a connectable signal or scanning the connectable signal,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connectable signal, but establishes communication conditions when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connectable signal. When the first device operating in one of the central modes to be set and the second device operating in the other of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are interconnected,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is A condi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eset change condition is applicable; An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atisfies a preset consultation conditio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 the intercommunication connected state, the mode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cludes,
In the consultation condition, when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changed, the device having the changed operation mode has a sufficient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or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 the unconnected stat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other tha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페리페럴 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if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operating in the peripheral mod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e amou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condition is met.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또는 센트럴 모드 중 어느 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제3디바이스가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제3디바이스의 작동모드와 동일한 작동모드로 작동하는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a device and data operating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device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he third device operating in either the peripheral mode or the central mode If communication is requir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시분할로 상기 페리페럴 모드 및 센트럴 모드를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드 변경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어느 한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모드와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condition determining step,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lternately performs the peripheral mode and the central mode in time divis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corresponds to the change condition,
In the step of changing the mode, controlling an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o operate in a mode different from a mode performed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로 변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변경 요청 단계;
상기 변경 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가 협의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 중 상기 변경조건에 미해당되는 디바이스에서 수락신호를 전송하는 수락 단계; 및
상기 수락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디바이스의 작동모드를 상호 변경시키는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모드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8,
The mode change step
A change request step of transmitting a change request signal from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to a device no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fter the change request step, if the device that does not meet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atisfies the negotiation condition, the device that does not meet the change condit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sends an acceptance signal step; And
After the acceptance step, a completion step of mutuall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including,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KR1020180143701A 2018-11-20 2018-11-20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97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01A KR102097338B1 (en) 2018-11-20 2018-11-20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8/014533 WO2020105764A1 (en) 2018-11-20 2018-11-23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01A KR102097338B1 (en) 2018-11-20 2018-11-20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338B1 true KR102097338B1 (en) 2020-04-06

Family

ID=7028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01A KR102097338B1 (en) 2018-11-20 2018-11-20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7338B1 (en)
WO (1) WO202010576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67A1 (en) * 2021-10-07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conn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720B1 (en) * 2014-01-13 2015-09-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device service
KR20180004560A (en) 2016-07-04 2018-01-12 (주)엑스퍼넷 Real tim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ble
JP2018018530A (en) * 2017-08-29 2018-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80081307A (en) * 2017-01-06 2018-07-16 (주)비콘테크놀로지 System for connecting classic bluetooth using bluetooth low energy in bluetooth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9104B2 (en) * 2015-01-20 2019-05-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645358B2 (en) * 2016-05-27 2020-02-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clock, time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720B1 (en) * 2014-01-13 2015-09-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device service
KR20180004560A (en) 2016-07-04 2018-01-12 (주)엑스퍼넷 Real tim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ble
KR20180081307A (en) * 2017-01-06 2018-07-16 (주)비콘테크놀로지 System for connecting classic bluetooth using bluetooth low energy in bluetooth dual mode, and method thereof
JP2018018530A (en) * 2017-08-29 2018-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67A1 (en) * 2021-10-07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764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55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24721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83208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826395B2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zigbe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1233699A (en) RFID optimized capability negotiation
CA251065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EP2871746A1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method
FR2886801B1 (en) NETWORK EQUIPMENT FOR PROVIDING MULTI-MODE MOBILE DATA TERMINALS NECESSARY FOR THE AUTOMATIC SELECTION OF RADIO ACCESS NETWORK INTERFACES DURING SERVICE SESSIONS
CN104584677A (en) Processor-independent communication of network availability
CN105830472A (en) Radio communications
US7664894B2 (en) Wireless human interface device (HID) coordination
JP554622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KR102097338B1 (en) Communication mod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874515B1 (en) Real time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ble
US20080136606A1 (en) Sep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node and sensor network node
JP2006304267A (en) Wireless phone system
US201302854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energy in energy transmission system
US20120238213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970164B1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ng at high speed replacing Universal Serial Bus(USB) Type-C Cable between user equipment and Device for processing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S20100056051A1 (en) Coexistance device communication
Benlghazi et al. Bluetooth technologie for industrial application
US10894320B2 (en)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KR20160041889A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ing the same
JP2017055265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communication device
JP2006304269A (en) Wireless 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