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830B1 -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30B1
KR102096830B1 KR1020190056248A KR20190056248A KR102096830B1 KR 102096830 B1 KR102096830 B1 KR 102096830B1 KR 1020190056248 A KR1020190056248 A KR 1020190056248A KR 20190056248 A KR20190056248 A KR 20190056248A KR 102096830 B1 KR102096830 B1 KR 10209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filter
dru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진현
Original Assignee
설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진현 filed Critical 설진현
Priority to KR102019005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수조(101)를 구비하여 오염된 양어장의 물이 유입되고, 배수수조(102)를 구비하여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물이 수집된 후 최종 배출되는 본체(10);
주벽이 여과필터(201a)로 된 여과드럼(201)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배수수조(102)로 배출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에서 원수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에서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 배출하는 고형물제거부(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물 및 고형물 등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물을 여과필터(201a)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양어장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어장 물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은 압출하여 배출함으로써 제거된 오염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Water purification equipment for fish farms}
본 발명은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 분사를 통해 여과필터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유기물 및 고형물 등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양어장의 물을 여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은 압출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위적으로 조성한 폐쇄성 담수 예컨대, 양어장이나 인공연못, 어항 등에 사용되는 담수는 유기 미생물 등에 의한 정화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워 각종 오염물질 등에 의해 수질오염이 발생한다.
특히, 양어장의 경우 어류의 배설물 등에서 배출되는 유기물에 의한 수질오염이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질소, 인, 암모니아 등의 유기물은 어류의 아가미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어류의 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양어장의 수질오염을 막기 위해서 매일 15~20%의 환수를 해주고 별도의 수질 정화장치에 의한 수질 정화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수질 정화방법으로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방법, 박테리아와 특수 합성된 생체 영양소(특수효소) 등을 연못에 투여하는 방법, 미생물이 담지된 여과필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물을 분사하는 방법의 경우에 산소처리비율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생체 영양소를 투여하는 방법은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미생물이 담지된 여과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장치가 복잡하고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양어장의 물을 수질 정화장치에 강제 순환시키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수질 정화장치는 순환라인의 펌프를 이용해 양어장의 물을 펌핑하여 여과망이 구비된 정화장치 내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여과망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여과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질 정화장치는 여과망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히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망이 막히는 경우에 여과망을 청소하거나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404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수 분사를 통해 여과필터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유기물 및 고형물 등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양어장의 물을 여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은 압출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는, 유입수조(101)를 구비하여 오염된 양어장의 물이 유입되고, 배수수조(102)를 구비하여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물이 수집된 후 최종 배출되는 본체(10);
주벽이 여과필터(201a)로 된 여과드럼(201)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배수수조(102)로 배출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에서 원수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에서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 배출하는 고형물제거부(3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 일측에 형성되되, 오염된 양어장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101);
상기 유입수조(101)와 격벽(103)으로 구획되게 본체(10) 타측에 형성되되,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수집되어 최종 배출되는 배수수조(1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20)는,
옆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되고, 주벽이 여과필터(201a)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에는 본체(10) 외측으로 종동축(201b)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10) 내부의 격벽(103) 일측면에서 회전 가능케 지지되되, 타측 단부의 중심에는 개구부(201c)가 형성되어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양어장의 원수가 유입되는 여과드럼(201);
상기 여과드럼(201)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02);
상기 여과드럼(201)의 회전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의 내면에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하는 세척수단(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형물제거부(3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호퍼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여과드럼(20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수조(101)를 관통하여 유입수조(101) 외부로 돌출 형성된 고형물수집부(301);
상기 고형물수집부(301)에 수집되는 고형물을 소정 압력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수단(302);
상기 배출수단(302)에 의해 강제 배출되는 고형물이 탈수된 후 배출되게 하는 압출헤드(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수단(302)은,
상기 고형물수집부(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관(302a);
상기 배출관(302a)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배출관(302a)으로 유입되는 고형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02b);
상기 배출관(302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02b)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크류모터(302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 분사를 통해 여과필터의 막힘을 방지함으로써 유기물 및 고형물 등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물을 여과필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양어장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오염된 양어장 물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은 압출하여 배출함으로써 제거된 오염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는 본체(10), 여과부(20), 고형물제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챔버형으로 되되, 오염된 양어장의 물이 유입되고,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물이 모인 후, 배출되도록 유입수조(101), 배수수조(10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수조(101)는 챔버형으로 된 본체(10) 일측에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부(101a)가 구비된다.
이때, 유입관부(101a)는 유입수조(101)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수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유입펌프를 더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수수조(102)는 유입수조(101)와 격벽(103)으로 구획되게 챔버형으로 된 본체(10) 타측에 형성되되, 배수수조(102)의 일측면에는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후 배수수조(102)에 수집되는 여과수가 최종 배출되는 배수관부(102a)가 형성된다.
이때, 배수관부(102a)는 배수수조(102)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여과부(20)는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양어장의 물을 여과하여 배수수조(102)로 배출하기 위하여 여과드럼(201), 구동수단(202), 세척수단(203)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드럼(201)은 옆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되되, 일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종동축(201b)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10) 내부의 격벽(103) 일측면에서 회전 가능케 지지되되, 타측 단부의 중심에는 개구부(201c)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1c)는 유입수조(101)와 연결됨으로써 유입수조(101)로 유입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에 의해 오염된 양어장의 원수가 여과드럼(201) 내부로 공급된다.
여과드럼(201)의 주벽은 원통형의 여과필터(201a)로 되되, 여과필터(201a)를 견고하지 지지하도록 여과필터(201a)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원통형으로 되는 여과드럼(201)의 내부에서 다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필터(201a)는 두께가 50∼300㎛인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되, 교체가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여과필터(201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202)은 본체(10) 일측에 구동모터를 설치하되,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여과드럼(201)의 종동축(201b)을 동력전달매체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해 여과드럼(201)이 회전 가능케 된다.
상기 동력전달매체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종동축(201b)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기어, 체인 등 주지된 다양한 동력전달매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어식 동력전달매체는 기어비 변경을 위한 변속수단이나, 동력전달단속을 위한 클러치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여과드럼(201)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구동수단(202)에 의해 회전하는 여과드럼(201)에 설치된 여과필터(201a)를 통과하면서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이 여과된 후 본체(10) 내부, 즉 여과드럼(201)의 외면과 본체(10)의 내면 사이로 배출된 후, 본체(10) 일측에 형성된 배수관부(102a)를 통해 최종 배출된다.
이때, 여과필터(201a)에 의해 여과된 고형물이 여과필터(201a) 내면에서 소정 두께의 막을 형성함에 따라 여과필터(201a)의 기공 크기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나 각종 유기물의 흡착 여과가 가능케 된다.
상기 세척수단(203)은 여과드럼(201)의 회전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의 내면에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고압펌프(203a), 세척수노즐(203b)을 포함한다.
상기 고압펌프(203a)는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여과드럼(201)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수를 입수부를 통해 빨아들여 출수부를 통해 고압으로 배출한다.
상기 세척수노즐(203b)은 여과드럼(201)의 외측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고압펌프(203a)의 출수부와 연결됨으로써 고압펌프(203a)에서 고압으로 배출되는 여과수를 여과드럼(201)의 주벽이 되는 여과필터(201a)의 외주면에 고압으로 분사한다.
따라서, 여과필터(201a)의 내면에 부착된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이 세척수노즐(203b)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분리된다.
즉, 유입수조(101)를 통해 여과드럼(201) 내부로 오염된 양어장의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구동수단(202)에 의해 여과드럼(201)이 회전함에 따라 여과드럼(201)의 주벽을 구성하는 여과필터(201a) 내면에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이 부착된 상태로 여과드럼(20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노즐(203b)에 의해 여과드럼(201)의 외측 상부에서 고압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여과필터(201a) 내면에 부착된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이 세척수의 분사 압력에 의해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됨으로써 여과필터(201a)가 유기물이나 고형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압펌프(203a)를 사용하여 공기 및 처리된 여과수를 여과드럼(201) 상부에 설치된 세척수노즐(203b)에서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고형물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시키며, 상기 고형물은 여과드럼(201) 내부에 설치된 고형물수집부(301)에 축적되면서 고형물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고형물제거부(30)는 여과필터(201a)에서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 배출시키기 위하여 고형물수집부(301), 배출수단(302), 압출헤드(303)를 포함한다.
상기 고형물수집부(30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호퍼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여과드럼(20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수조(101)를 관통하여 유입수조(101)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여과드럼(201) 내부에 위치하는 고형물수집부(301)의 상단부는 세척수노즐(203b)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단(302)은 고형물수집부(301)에 수집되는 고형물의 강제 배출을 위하여 배출관(302a), 이송스크류(302b), 스크류모터(302c)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302a)은 호퍼형으로 된 고형물수집부(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02b)는 배출관(302a)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모터(302c)는 배출관(302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02b)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고형물수집부(301)에서 수집되어 배출관(302a)으로 유입된 고형물이 이송스크류(302b)에 의해 배출관(302a)의 타단부로 강제 배출된다.
상기 압출헤드(303)는 배출관(302a)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이송스크류(302b)에 의해 강제 배출되는 고형물이 압출헤드(303)에서 높은 압력으로 다짐되면서 고형물에 함유된 수분에 탈수된 후 최종 배출된다.
이때, 압출헤드(303)에서 탈수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유입수조(101)로 재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는, 양어장의 유기물 및 고형물 등 각종 오염물질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여과필터(201a)의 오염이나 막힘이 없이 연속적인 여과 작업을 통해 여과된 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양어장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오염된 양어장 물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은 압출하여 배출함으로써 제거된 오염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본체 101: 유입수조
101a: 유입관부 102: 배수수조
102a: 배수관부 103: 격벽
20: 여과부 201: 여과드럼
201a: 여과필터 201b: 종동축
201c: 개구부 202: 구동수단
203: 세척수단 203a: 고압펌프
203b: 세척수노즐 30: 고형물제거부
301: 고형물수집부 302: 배출수단
302a: 배출관 302b: 이송스크류
302c: 스크류모터 303: 압출헤드

Claims (5)

  1. 유입수조(101)를 구비하여 오염된 양어장의 물이 유입되고, 배수수조(102)를 구비하여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물이 수집된 후 최종 배출되는 본체(10);
    주벽이 여과필터(201a)로 된 여과드럼(201)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배수수조(102)로 배출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에서 원수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에서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 배출하는 고형물제거부(3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는,
    본체(10) 일측에 형성되되, 오염된 양어장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수조(101);
    상기 유입수조(101)와 격벽(103)으로 구획되게 본체(10) 타측에 형성되되,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수집되어 최종 배출되는 배수수조(102);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20)는,
    옆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되고, 주벽이 여과필터(201a)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에는 본체(10) 외측으로 종동축(201b)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10) 내부의 격벽(103) 일측면에서 회전 가능케 지지되되, 타측 단부의 중심에는 개구부(201c)가 형성되어 유입수조(101)를 통해 유입되는 양어장의 원수가 유입되는 여과드럼(201);
    상기 여과드럼(201)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02);
    상기 여과드럼(201)의 회전 과정에서 여과필터(201a)의 내면에 부착되는 각종 유기물이나 고형물 등을 여과필터(201a)에서 분리하는 세척수단(203); 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물제거부(3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호퍼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여과드럼(20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수조(101)를 관통하여 유입수조(101) 외부로 돌출 형성된 고형물수집부(301);
    상기 고형물수집부(301)에 수집되는 고형물을 소정 압력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수단(302);
    상기 배출수단(302)에 의해 강제 배출되는 고형물이 탈수된 후 배출되게 하는 압출헤드(303);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203)은,
    상기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여과드럼(201)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수를 입수부를 통해 빨아들여 출수부를 통해 고압으로 배출하는 고압펌프(203a);
    상기 여과드럼(201)의 외측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고압펌프(203a)의 출수부와 연결되어 고압펌프(203a)에서 고압으로 배출되는 여과수를 여과드럼(201)의 주벽이 되는 여과필터(201a)의 외주면에 고압으로 분사하는 세척수노즐(203b); 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단(302)은,
    상기 고형물수집부(30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관(302a);
    상기 배출관(302a)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배출관(302a)으로 유입되는 고형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02b);
    상기 배출관(302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02b)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크류모터(302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6248A 2019-05-14 2019-05-14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KR10209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48A KR102096830B1 (ko) 2019-05-14 2019-05-14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248A KR102096830B1 (ko) 2019-05-14 2019-05-14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30B1 true KR102096830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248A KR102096830B1 (ko) 2019-05-14 2019-05-14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4514A (zh) * 2020-07-08 2020-12-04 安徽省钗源苦荞麦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苦荞麦的清洗设备
KR102431533B1 (ko) * 2022-01-25 2022-08-10 유기선 이단식 무동력 드럼형 양식장 여과장치
KR102535042B1 (ko) * 2022-11-24 2023-05-26 최옥균 양식장 오폐물 여과장치
CN117016152A (zh) * 2023-09-14 2023-11-10 梁芳 一种园林绿化节水装置
KR102630708B1 (ko) 2023-08-23 2024-01-29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염물 처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606A (ja) * 1997-02-14 1998-08-25 Miura Co Ltd 回転ドラム式濾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100343198B1 (ko) * 2000-05-19 2002-07-10 주용현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0371404Y1 (ko) 2004-07-14 2005-01-03 미래환경기술(주)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0676751B1 (ko) *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20160092358A (ko) * 2015-01-27 2016-08-04 (주)케이아이 슬러지의 탈수 및 고형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606A (ja) * 1997-02-14 1998-08-25 Miura Co Ltd 回転ドラム式濾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100343198B1 (ko) * 2000-05-19 2002-07-10 주용현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0371404Y1 (ko) 2004-07-14 2005-01-03 미래환경기술(주)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0676751B1 (ko) *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20160092358A (ko) * 2015-01-27 2016-08-04 (주)케이아이 슬러지의 탈수 및 고형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4514A (zh) * 2020-07-08 2020-12-04 安徽省钗源苦荞麦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苦荞麦的清洗设备
KR102431533B1 (ko) * 2022-01-25 2022-08-10 유기선 이단식 무동력 드럼형 양식장 여과장치
KR102535042B1 (ko) * 2022-11-24 2023-05-26 최옥균 양식장 오폐물 여과장치
KR102630708B1 (ko) 2023-08-23 2024-01-29 주식회사 다봄씨엔에스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염물 처리 시스템
CN117016152A (zh) * 2023-09-14 2023-11-10 梁芳 一种园林绿化节水装置
CN117016152B (zh) * 2023-09-14 2024-04-30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园林绿化节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830B1 (ko) 양어장용 수질 정화장치
CN100531853C (zh) 自清洁式过滤设备
DK2709840T3 (en) Screw Press
KR101027716B1 (ko) 정체성 수역의 이동식 조류제거 시스템
CN107581136A (zh) 对虾养殖循环水固液分离***
CN209735104U (zh) 一种微滤机反冲洗装置
CN111170575A (zh) 一种银鲑用工厂化循环水养殖尾水处理***
CN112573777A (zh) 一体化循环水养殖净水设备
CN113952785B (zh) 一种装饰印刷纸制作的污水处理装置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CN217895354U (zh) 一种工厂化养殖循环水过滤装置
CN116143276A (zh) 一种海洋网箱污水用多级处理装置
CN115845467A (zh) 一种污水过滤装置
CN107318751B (zh) 一种循环水养殖***
JP2998552B2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
CN212067852U (zh) 一种连续反洗砂滤器
CN213012388U (zh) 一种改进型智能过滤器
CN211069261U (zh) 水幕除尘设备的甩筒式清洁***
CN210683464U (zh) 一种针对鱼塘水体的多级过滤分离装置
JP3968369B2 (ja) 浄化槽処理水の脱色処理機能を備えた固液分離システム
KR102124653B1 (ko) 여과막과 담체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 장치
JP3453708B2 (ja) 生海苔処理排水の処理装置
JP2006007065A (ja) 排水浄化装置
CN221051644U (zh) 多级分层微滤设备
CN219567619U (zh) 一种环境工程用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