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99B1 -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99B1
KR102092899B1 KR1020180137585A KR20180137585A KR102092899B1 KR 102092899 B1 KR102092899 B1 KR 102092899B1 KR 1020180137585 A KR1020180137585 A KR 1020180137585A KR 20180137585 A KR20180137585 A KR 20180137585A KR 102092899 B1 KR102092899 B1 KR 10209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material
river
radioactive
water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강성원
정윤선
오대민
김복성
김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성 물질이 상기 하천으로 유입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 유입된 상기 방사성 물질에 대한 상기 하천에서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확인된 상기 이동경로 및 계산된 상기 예측값을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대응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상기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TOTAL SYSTEM FOR RESPONDING A RADIATION ACCIDENT AT RIVER}
본 발명은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신속하고, 보다 능동적으로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1년에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7등급 수준의 최고 등급 원자력 사고로, 해당 사고 이후 방사능 사고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하여 많은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구개발은 하천에 특화되어 있지 않음은 물론, 방사능 사고가 발생될 때 담당 행정기관에서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업무분장만 구축하여 두었기 때문에 신속하고 능동적인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연구원에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체로 연구개발하여 특허출원한 선행특허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4-0126845호를 확인해보더라도, 모델링을 통해 선택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각 담당 행정기관에서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개념만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4-0126845호 (출원일: 2014.09.23)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고, 보다 능동적으로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은, (a)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성 물질이 상기 하천으로 유입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 유입된 상기 방사성 물질에 대한 상기 하천에서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확인된 상기 이동경로 및 계산된 상기 예측값을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대응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상기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은, (a)단계 내지 (c)단계와 함께, (d) 상기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이후,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이동경로 및 계산된 상기 재예측값을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단계; 및 (f) 상기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정도에 따라 상기 (d)단계 및 상기(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공중과 수상을 선택적으로 주행하도록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용 프로펠러 및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가 구비되는 자율운행체; 및 수중에서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자율운행체에 구비되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를 포함하는 수공양용 드론을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수상 주행 중 수중에서 방사선이 측정되면, 측정된 지역의 하천수를 채취한 후, 채취한 상기 하천수 내에 상기 방사성 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로 비행하여,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수중에 잠겨 수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 및 상기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합산하여 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각각의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중 방사선 데이터는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합산하여 얻은 통합데이터로부터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a)단계는, 수중에 잠겨 수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 및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단위 측정시간동안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의 단위 측정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제어하던 중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음을 최초 확인한 이후에는,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의 단위 측정시간을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단계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유입 및 상기 이동경로와 관련된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확산모델(diffusion model)에 적용하여, 상기 예측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실측값을 획득한 후 상기 예측값과 상기 실측값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재예측값을 상기 예측값과 동일한 값으로 하고, 상기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재예측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유입 및 상기 이동경로와 관련된 다수의 환경조건 중 변경된 조건을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다시 적용하여, 상기 재예측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측값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때 이용하였던 장치가 동일하게 이용되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상기 하천 위의 대기와 상기 하천 사이, 상기 하천 인근 토양과 상기 하천 사이 및 상기 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상기 하천에서의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ⅰ)상기 하천 위의 대기와 상기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ⅱ)상기 하천 인근 토양과 상기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ⅲ)상기 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거나 상기 하천의 수중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및 (ⅳ)상기 방사성 물질이 상기 수중에서 분해되는 분해속도를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상기 하천에서의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계산하는 수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은, (ㄱ)상기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기 이전부터 확정되어 고정된 경계조건, (ㄴ)계절, 상기 하천의 지점 및 지형, 상기 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한 매개조건, (ㄷ)상기 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를 결정하는 유량, 온도,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천에 유입될 당시 상기 방사성 물질의 농도로 구성된 초기조건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상기 (ㄱ)경계조건과 상기 (ㄴ)매개조건은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이 적용되는 처리장치와 연결된 저장장치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ㄷ)초기조건은 상기 매개체의 상태를 수시 확인하는 관측기관으로부터 송신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전파된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며, 전파된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상기 하천이 시작되는 지천 또는 지류 인근에 설치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와, 상기 하천의 일부를 구획하여 저수하는 본댐 인근에 설치되는 본댐 대응 설비 및 상기 하천의 일부를 상기 지천 또는 지류와 상기 본댐 사이에서 구획하여 저수하는 부댐 인근에 설치되는 부댐 대응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적용되는 매뉴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류지천 대응 설비는,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상기 지천 또는 지류에 포함된 상기 방사성 물질을 1차 제염하는 전처리조; 상기 지천 또는 지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본처리조; 및 상기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서 제염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기 방사성 물질을 2차 제염하는 후처리조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본처리조로만 상기 지천 또는 지류가 유입되어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전처리조, 상기 본처리조, 상기 후처리조에 순차적으로 상기 지천 또는 지류가 유입되어 상기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동시에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댐 대응 설비는, 상기 부댐 인근에 저수된 물 속에 포함된 상기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주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류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류발생부는 운전속도와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수용부 주변의 물을 순환시켜 수중 내 폭기가 이뤄지도록 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시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가 살포되는 상기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물과 함께 상기 폭기가 이뤄지는 거리보다 멀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댐 대응 설비는, 상기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과 이어서 설치되어,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될 때 상기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된 부유체와 함께 일시적으로 머물렀다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염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염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제염부를 거친 후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댐 대응 설비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되고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필터링막을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필터링막이 상기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있지 않다가,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필터링막이 상기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으로 취수될 때 상기 필터링막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대응 설비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방사성 물질 흡착제는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제염제이고, 상기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는 프러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제염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사고 대응시스템에 의하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사고 대응시스템에 의하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이 작동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공양용 드론을 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공양용 드론을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장치를 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적용되는 다수의 환경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 또는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설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부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1 및 도 16에서 이용되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의해 전파된 대응조치사항 및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
먼저, 도 1 및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이 작동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의해 전파된 대응조치사항 및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천'은 소호까지 포함되는 넓은 의미로, 지류지천에서부터 부댐과 본댐 주변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임을 선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a)단계 내지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a)단계 내지 (f)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은 (a)단계 내지 (c)단계를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모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a)단계 내지 (f)단계를 모두 포함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a)단계 내지 (f)단계는 기술적 특징상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단계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 단계도 있으므로, 알파벳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먼저, (a)단계(S100)는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a)단계 (S100)에서 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후술할 [상황 1] 또는 [상황 3]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에는,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것임을 누구나 예상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천 내에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는 극저농도일 뿐만 아니라, 하천 내에서는 방사성 물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의 다수가 차폐되어 다수의 방사선 검측센서를 이용하지 않는 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음은 물론, 이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확인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더욱이, 후술할 [상황 2] 와 같이 방사성 물질이 하천으로 직접 투하되는 경우에는,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것임을 누구나 예상할 수 없기에, 어떠한 방법으로 (a)단계(S100)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는 실질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술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가지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b)단계(S200) 내지 (f)단계(S600)에 대하여 모두 설명한 이후에 (a)단계(S100) 내지 (f)단계(S600)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 각각 설명을 먼저 하고, 마지막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a)단계(S100)를 통해 방사성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었다고 확인되면, (b)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때, (b)단계(S200)는 유입된 방사성 물질에 대한 하천의 이동경로를 확인(S210)하고,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계산(S220)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b)단계(S200) 또한 하천에서 방사성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와 이동되면서 확산되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면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확산정도라고 함은 방사성 물질의 이송 확산량일 수도 있으며, 이송 확산속도일 수도 있으며, 그 방법에 대하여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용모델이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하천 방사능 사고는 일반 재난과 달리 신속한 초동대응이 이뤄지지 않으면 연쇄적인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되므로, 신속한 초동대응을 위해 보다 빠르게 (b)단계(S200)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 인 기설정된 확산모델(diffusion model)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때,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하천에서 특정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둔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고, 다수의 환경조건을 변수로 하는 수식일 수도 있으며, 이 역시 (c)단계(S300) 내지 (f)단계(S600)에 대하여 모두 설명한 이후에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b)단계(S200) 이후에 진행되는 (c)단계(S300)는 (b)단계(S200)에 의하여 확인된 이동경로 및 계산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기초로 얻을 수 있는 여러가지 대응조치사항을 확인하고 실행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c)단계(S300)는 대응조치사항을 신속하게 도출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이동경로와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적용하는 것으로부터 시작(S310)된다.
이때,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하천 전체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을 비롯하여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담당하는 관청까지 해야할 조치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행동지침에 대한 집합으로서, 방사성 물질이 이동하는 이동경로와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에 따라 결정되는 특정 행동지침을 대응조치사항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을 이용하기에, (c)단계(S300)는 이동경로와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으로부터 신속하게 대응조치사항을 도출(S310)할 수 있고, 이렇게 도출된 대응조치사항은 전술한 행정기관, 관청, 나아가 개인 각각에 대하여 전파(S320)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파된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각자가 맡은 대응조치를 행한다면, 방사능 사고에 대하여 신속한 초동대응이 이뤄질 것인데, 이때 각자가 맡은 대응조치 중 대표적인 대응조치가 방사성 물질을 제염(S330)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즉,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따른 대응조치 중 하나로서 방사성 물질의 제염(S330)이 이뤄지는데, 이 역시 (d)단계(S400) 내지 (f)단계(S600)에 대하여 모두 설명한 이후에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는 하천 전체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을 비롯하여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담당하는 관청으로 전파된 대응조치사항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시 대응조치사항을 변경하는 (d)단계(S400) 및 (e)단계(S500)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대응조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담당하는 관청까지 전파되지 않는다고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단지 이와 같은 관청으로 전파하고자 하는 것은 종래에 비상관제와 관련된 기설정된 다른 매뉴얼들을 최대한 활용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전파된 대응조치사항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전술한 행정기관, 관청 등에서 보다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은 화면을 전술한 행정기관, 관청 등에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에 대하여, 전술한 행정기관, 관청은 동일한 화면 또는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재편집한 화면을 개인 각각에게 SNS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c)단계(S300) 이후에 진행되는 (d)단계(S400)는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이후에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d)단계(S400)를 통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을 구하는 이유는, 후술할 (e)단계(S500)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재예측값을 앞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실측값을 획득(S410)하여 (c)단계(S300)에서 적용한 바 있었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변경조치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S420)하고, 만약 변경조치사항이 있다면 이를 따라 방사성 물질을 제염(S530)하기 위함이다.
즉, 이는 아무리 신속한 초동대응을 필요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라고 할지라도, 하천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 속도를 반영하지 못하여 능동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제염하지 못한다면, 대응조치사항으로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필수불가결한 대응조치사항에 대한 변경이라도, 빠른 변경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는 신속한 초동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대응조치사항에 대한 빠른 변경을 위해 (b)단계(S200)에서 사용하였던 기설정된 확산모델에서 일부 조건만 변경하여 이용하여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S430)을 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e)단계(S500)를 통해 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해되지 말아야 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권리범위는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는 능동적인 방사성 물질의 제염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미리 구축해둔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소 수동적인 방사성 물질의 제염까지 포함된다고 할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지 않음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한편, (d)단계(S400)에 이어서 진행되는 (e)단계(S500)는 앞서 확인하고 계산한 이동경로 및 재예측값을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변경조치사항을 도출(S510)한 후, 이를 전파(S520)하고,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방사성 물질을 제염(S530)하는 단계이다.
이때, (e)단계(S500)를 통해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는 것은 앞서 대응조치사항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 화면에서 변경된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전파할 수 있거나 또는 개인 각각에게 SNS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f)단계(S600)에 대한 설명이 모두 끝난 이후에 (c)단계(S300)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수단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변경조치사항에는 변경된 여러 상황에 맞춰 앞서 진행되었거나 진행될 예정인 방사성 물질에 대한 제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방사능 사고에 대응하는 여러 행동지침을 포함함은 물론, 이하 설명하고자 하는 (f)단계(S600)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는 대응조치까지 포함한다.
여기서, (f)단계(S600)는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정도에 따라 전술한 (d)단계(S400) 및 (e)단계(S500)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계속하여 방사성 물질을 제염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d)단계(S400)를 통해 방사성 물질의 이동경로 및 확산정도를 확인하고 재예측값을 구한 후, (e)단계(S500)를 통해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방사성 물질을 계속하여 제염하게 되겠지만, 계속하여 방사성 물질을 제염해야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을 종료하면 된다.
이때,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을 종료하여도 무방하겠지만, 방사능 사고에 대한 보다 정확한 사후 처리를 위해서 방사성 물질에 대한 최종 제염 상황을 보고할 수 있는 단계(S700)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며, 이와 같은 추가적인 단계 진행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은 (a)단계(S100) 내지 (f)단계(S600)를 통해 방사성 물질이 하천에 유입될 때 신속한 초동대응이 이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 또는 수단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공양용 드론을 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공양용 드론을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장치를 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의 일례는 자율운행체(110) 및 수중 방사선 측정부(150)를 포함하는 수공양용 드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자율운행체(110)는 공중과 수상을 선택적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되면, 형상, 크기 등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다만, 공중과 수상을 선택적으로 주행할 수 있어야 하기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용 프로펠러(120),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30)는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수상 운행시 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수상 주행용 프러펠러(140)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비행용 프러펠러(120)의 회전축이 틸팅하여 수상 주행용 프러펠러(14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율운행체(110)는 베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는 수상 주행을 한다. 이때 베터리(미도시)의 방전을 감소할 수 있도록 수상 주행용 프러펠러(140)를 작동시키지 않고 하천의 흐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할 수중 방사선 측정부(150)의 측정범위가 매우 협소하므로, 하천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것보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폭을 따라서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것이 비록 베터리(미도시)가 방전되더라도 방사선 측정에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수상을 주행하다가 자율운행체(110)에 구비된 수중 방사선 측정부(150)를 통해 수중에서 방사선이 측정되면, 측정된 지역의 하천수를 채취한 후, 채취한 하천수 내에 방사성 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H)로 비행하게 된다.
이때, 하천수를 채취하였을 때 방사성 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H)로 이동하기까지 채취한 하천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이러한 공간은 수상 주행때만 필요한 부유체(130) 내부 공간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수공양용 드론을 통해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가 설치되지 않은 구역까지 면밀하게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잠겨 수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 및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합산하여 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수중 방사선 데이터는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포함하며, 제어부(250)는 각각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합산하여 얻은 통합데이터를 구하고, 이로부터 하천에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방사선 검측 카운트 수를 합산하는 것은, 수중에서는 물에 의해 방사선이 차폐되어 하나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방사선 검측 카운트 수가 매우 적기 때문이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이 하천의 흐름에 따라 확산되면, 방사선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다수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를 모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경제성이 매우 떨어질 것이다. 이에, 하나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를 마스터(master)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로 두고 나머지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를 슬래이브(slave)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300)로 두어,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를 통해 슬래이브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300)를 통합 온(on)/오프(off) 시킨다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210) 아래에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를 구비하고, 부력체(210) 위에는 대기 방사선 측정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와 대기 방사선 측정부(230)를 동시에 두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에 대한 변형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에 대한 설명을 모두 한 이후에 이어서 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는 부력체(210)를 기준으로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와 대기 방사선 측정부(230)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방사선 측정을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배터리(260)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모듈(26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250)에서 생성된 통합데이터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이 구비된 관제센터(미도시)로 송신될 수 있도록 송신모듈(272)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배터리(260), 제어부(250) 등은 부력체(210) 상단부에 어디에도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지만, 안정적인 배치를 위해 부력체(210)의 중앙부에 일부 물속에 잠실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수를 위한 케이스(240)가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앞서 간략하게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에 대한 변형례는, 굳이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와 슬래이브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300)를 나눌 필요없이,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만으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물론, 이하 설명하는 변형례와 같이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200)만을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다수의 슬래이브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300)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에 대한 변형례는, 제어부(250)를 통해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의 단위 측정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제어하다가, 대기 방사선 측정부(230)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하천 어딘가에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음을 최초 확인한 이후에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220)의 단위 측정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다른 일례의 경우 배터리(260)의 용량 때문에 지속적으로 제2 시간동안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배터리(260)의 용량을 고려하여 우선 제2 시간보다 긴 제1 시간동안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구하다가, 비교적 방사선 검측이 쉬운 대기 방사선 측정부(230)를 통해 방사선이 검측되면, 비로소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동안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구하도록 구성(변형)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b)단계 내지 (e)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b)단계 내지 (e)단게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적용되는 다수의 환경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 또는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c)단계에서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하거나, 또는 (e)단계에서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b)단계 또는 (d)단계에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예측 또는 재예측하여 하는데, 신속한 초동 대응을 위하여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예측 또는 재예측은 동일하게 방사성 물질의 유입 및 이동경로와 관련된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확산모델(diffusion model)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신속한 초동대응을 위해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조건으로 하여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둔 데이터베이스(DB) 형태일 수도 있고, 능동적인 초동대응을 위해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가 계산되는 수식(함수) 형태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예측(재예측)하고 이를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방사능 사고에 대응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인 초동대응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므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예측(재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기설정된 확산모델이 어떠한 형태이던 상관없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하천 위의 대기와 하천 사이, (ⅱ)하천 인근 토양과 하천 사이, (ⅲ)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환경조건은 (ㄱ)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기 이전부터 확정되어 고정된 경계조건, (ㄴ)계절, 하천의 지점 및 지형, 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한 매개조건, (ㄷ)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를 결정하는 유량, 온도,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천에 유입될 당시 방사성 물질의 농도로 구성된 초기조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환경조건은 각 조건을 미리 조사하여 저장해둔 저장 장치로 가져오거나, 또는 각 조건을 수시로 확인하는 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전술한 (ㄱ)경계조건과 (ㄴ)매개조건은 기설정된 확산모델이 적용되는 처리장치와 연결된 저장장치로부터 가져오고, (ㄷ)초기조건은 매개체의 상태를 수시 확인하는 관측기관으로부터 송신받는 것이 보다 신속한 처리가 될 것이기에 유리할 것이다.
또한,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하천 위의 대기와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ⅱ)하천 인근 토양과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ⅲ)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거나 하천의 수중 내에서 유동하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및 (ⅳ)방사성 물질이 수중에서 분해되는 분해속도를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하천에서의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계산하는 수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식은, 전술한 바와 같은 (ⅰ) 내지 (ⅳ)에서 확인된 각각의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이용하여 정밀 난류확산계수를 구하고 이를 보정하는 수식이면 어떠한 수식이어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ⅰ) 내지 (ⅳ)에서 각각의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계산하는 수식도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방사성 물질의 이송 확산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환경다매체모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방사성 물질의 이송 확산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수리이송확산모형이 적용될 수 있다.
<환경다매체모형 적용 식의 일례>
물질수리 방정식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1
Mi: 매체 i안의 화학 물질의 양
Q: 매체 i에의 화학 물질의 배출량
Ij,i: 인접하는 매체 j에서 매체 i에의 화학 물질의 수송 유입 속도 상수
Ai,j: 매체 i에서 매체 j에 대한 화학 물질의 수송 유출 속도 상수
ki: 매체 i의 화학 물질의 분해의 1차 속도 상수
4원 연립1차 미분방정식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2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3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4
MSA: 대기상 중의 화학 물질의 양
MSW: 수역상 중의 화학 물질의 양
MSSO: 토양상 중의 화학 물질의 양
MSSE: 저부 퇴적물상 중의 화학 물질의 양
TEMA: 대기상에서의 화학 물질 배출량
TEMS: 토양상에 대한 화학 물질 배출량
M: 화학 물질의 양 벡터
I: 배출량 벡터
A: 매체 간의 이행을 나나내는 전이 행렬
<수리이송확산모형 적용 식의 일례>
연속방정식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5
운동방정식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6
h: 수심, t: 시간, x, y: 국지 좌표
u, v: 수심방향 평균유속, ρ: 밀도
Exx, Exy, Exy, Eyy: x, y 방향에 따른 분산계수 (난류확산계수)
g: 중력가속도, a: 하상고, C: chezy계수
ζ: 바람에 의한 전단계수, Va: 풍속
ψ: 풍향, ω: 지구의 회전 각속도,
φ: 국지 위도, σ: 오염물질의 생성 또는 소멸항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b)단계 또는 (d)단계에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예측 또는 재예측하여 (c)단계에서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하거나, 또는 (e)단계에서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게 되는데, 이때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의 재예측값을 구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d)단계를 통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의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경우는,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이동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실측값을 획득한 후, 예측값과 실측값을 상호 비교하여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재예측값을 계산하게 된다. (만약,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재예측값을 별도로 계산하지 않고 예측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의 재예측값을 구하는 (d)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그대로 다시 적용하여 계산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이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보다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d)단계에서 실측값을 구하는데 있어서도, (a)단계에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때 이용하였던 장치를 동일하게 이용하여 실측값을 획득하게 된다면, 이 역시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이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 하나의 기술적 특징이 될 것이다.
한편,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천 내의 각종 설비를 이용하여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하천이 시작되는 지천 또는 지류 인근에 설치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와, 하천의 일부를 구획하여 저수하는 본댐 인근에 설치되는 본댐 대응 설비 및 상기 하천의 일부를 상기 지천 또는 지류와 상기 본댐 사이에서 구획하여 저수하는 부댐 인근에 설치되는 부댐 대응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적용되는 매뉴얼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행정구역을 담당하는 관청을 통해 대응조치사항 또는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전파된 대응조치사항 또는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 등 방사능 사고에 대응하는 모든 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전파된 대응조치사항 또는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은 화면을 관청에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이 중 필요한 정보 일부는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행정구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개별적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내용을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중 일부(C)는 저장 장치(10), 처리 장치(20), 디스플레이 장치(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먼저 수집 장치(12)를 통해 사전에 우리나라의 지형, 계절, 날씨 등을 고려한 다수의 환경조건을 수집하고, 이를 이동경로, 경계조건, 매개조건으로 구분하여 저장 장치(10)에 저장하여 둔다.
이후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가 되면, 저장 장치(10)에 저장된 다수의 환경조건을 처리 장치(20)로 이동시키고 처리 장치(20)에서는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이 확산되는 확산정도에 대한 예측값을 구하고, 이를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한다.
이때, 처리 장치(20)로 이동되는 다수의 환경조건 중에는 관측 기관(40)에서 수집 장치(42)를 통해 수집한 환경조건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처리 장치(20)에서의 작동은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이후에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천에서의 방사성 물질이 확산되는 확산정도에 대한 재예측값을 구하고, 이를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다시 적용하여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도출된 대응조치사항 또는 변경조치사항은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되는 동시에 전파될 것이고, 이어서 (c)단계 및 (e)단계에 따라 방사성 물질이 제염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단계 및 (e)단계에 따라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
계속 이어서,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a)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설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부댐 대응 설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1 및 도 15에서 이용되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도 9에 있어서 지류지천에 대응 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방법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400)는 본처리조(420) 전후로 전처리조(410)와 후처리조(430)을 각각 마련된 장치로, 지류 또는 지천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본처리조(420)의 전후에서 방사성 물질을 제염한다.
즉, 전처리조(410)는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지천 또는 지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을 1차 제염하고, 후처리조(430)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전처리조(410)에서 제염되지 않고 남아있는 방사성 물질을 2차 제염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지류지천 대응 설비(400)를 하천에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았음에도 계속하여 구동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계속하여 구동할 경우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 또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성능이 떨어져 실제 방사능 사고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본처리조(420)로만 지천 또는 지류이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전처리조(410), 본처리조(420), 후처리조(430)로 순차적으로 지류 또는 지천이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동시에 방사성 물질을 제염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어서, 도 9에 있어서 부댐 대응 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방법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부댐 대응 설비(500)는 수용부(510)와, 수류발생부(550)를 포함하는 설비일 수 있다.
이때, 수용부(510)는 부댐 인든에 저수된 물 속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 부력부(5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520) 상에 보관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부에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공급될 때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것까지 포함함은 당연하다.
한편, 수류발생부(550)는 수용부(510) 주변의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방사성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와 방사성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된 비상시에 운전속도와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류발생부(550)의 운전속도와 높이를 평상시와 비상시를 달리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수용부(510) 주변의 물을 순환시켜 수중 내 폭기가 이뤄지도록 하여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는 하천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다가, 비상시에는 수용부(510)에 수용되어 있던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유입부(510)를 통해 배출될 때 수중 내 폭기가 이뤄지는 것보다 더 멀리 토출되어 살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류발생부(5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평상시와 비상시의 기능을 달리하기 위한 수류발생부(550)의 형상, 구조 또한 다양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수류발생부(5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회전축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부력부(5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수류발생부(550)의 형상, 구조를 일체형 터빈 형상으로 가져갈 수도 있지만, 외부와 내부가 분리되는 분리형 터빈 형상으로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계속 이어서, 도 9에 있어서 본댐 대응 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방법을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600)는 취수탑에 이어서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600)는,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과 입구(620)를 통해 이어진 제염부(610) 내부를 생활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수용소(612)와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된 부유체(P)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614)로 구획하여 두고, 필요시 구획된 두 부분을 합하여 방사성 물질을 제염한다.
다시 말해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최초 입구(622)를 통해 취수탑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수가 밸브(640)에 의해 제1 입구(624)로 유입되어 제염부(610) 내의 수용소(612)를 거쳐서 출구(630)로 배출된다.
그러나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최초 입구(622)를 통해 취수탑으로부터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로 오염되었을 수 있는 생활수가 밸브(640)에 의해 제2 입구(626)로 유입되고 제염부(610) 내에서 수용소(612)와 저장소(614)가 통합되어 있는 제염부(610) 내에서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된 부유체(P)를 통해 방사성 물질이 흡착된 이후에 출구(63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와 비상시에 생활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제염부(610)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616)을 이용하여 제염부(610) 내부 구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평상시 수용소(612)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물이 저장소(614)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재(618),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된 부유체(P)가 출구(630)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632)가 구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이 적용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700)는 취수탑 인근을 일부 또는 전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되고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막 형태로 형성되어,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필터링막(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700)는,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필터링막(730)이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있지 않고 부력체(710)에 마련되어 있다가, 하천에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필터링막(730)이 앵커(720)를 통해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생활수가 취수탑으로 취수될 때 필터링막을 거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600) 및 다른 일 실시예(700)는, 만약 부댐 대응 설비 등에 의해 하천에 유입된 방사성 물질 대부분이 제염되었다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e)단계에 따라 변경되는 대응조치사항, 즉 변경조치사항따라 제염 과정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600) 및 다른 일 실시예(700)는 취수탑을 통해 유입되는 생활수에 조금이나마 포함되어 있는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기 위한 것인 만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 (e)단계에 의한 변경조치사항과는 무관하게, 하천에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다는 것이 (a)단계에서 확인되기만 하면 제염 과정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따라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설비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 및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와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구분하여 둔 것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일 뿐, 동일한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인 세슘(Cs)을 제염하기 위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 및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에 국한되지 않고, 하천에 유입된 방사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역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먼저,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는 일라이트(illite)를 포함하는 제염제일 수 있다.
이때, 일라이트는 알루미늄이 풍부하지 않은 응회암질 체적암 중에 생기는 미세한 운모족 천연점토광물로서,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인 세슘(Cs)을 제염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를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제염제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사용되는 대응 설비는 물에 용존된 세슘과 같은 미세한 방사성 물질까지 모두 제염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신속한 제염을 위해 대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따져봐야 하는데, 일라이트의 경우 우니라나의 충북 영동에 다량 매장되어 있어 경제성이 좋기 때문이다.
다만, 천연 광물인 만큼 어느 지역에서 채굴하느냐에 따라 일라이트가 갖는 방사성 물질, 즉 세슘을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이 다른 만큼, 일라이트를 채굴할 때 신속한 품위감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신속한 일라이트 품위감정은, 일라이트 광상으로부터 채취한 복수의 일라이트 점토 시료들을 분석하여 시료 내 광물성분들의 구성비를 정량화하는 단계; 상기 채취한 시료들의 세슘에 대한 흡착분배계수를 측정하는 단계; 세슘 흡착분배계수에 대한 상기 광물성분들의 양적 기여율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개별 광물성분들의 실제 세슘에 대한 흡착분배계수를 평가하여, 상기 개별 광불성분들이 상기 시료의 흡착분배계수에 실제로 기여하는 실제 기여율을 도출하는 단계로부터, 시료 내 광물성분들의 구성비와 시료의 흡착분배계수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상기 상관관계에 의하여 상기 일라이트 광상으로부터 채취한 다른 일라이트 점토 시료의 개별 광물성분들의 구성비만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다른 일라이트 섬토 시료의 세슘에 대한 흡착 성능을 예측하는 일라이트 점토 시료의 세슘에 대한 흡착성능 예측방법에 의할 수 있다.
한편,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는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를 포함하는 제염제일 수 있다.
이때, 프러시안 블루는 시안화철 혼합물로 이루어진 짙은 청색 안료로서, 철(Ⅱ)의 염을 페로시안화칼륨과 반응시켜 합성하여 제조하는데, 최근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인 세슘(Cs)을 제염하는 능력이 좋아서 심지어 사람의 신체에 적용되는 약물로도 사용도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와 같이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의 일례를 프러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제염제로 구성하는 이유는, 경제성을 목적으로 하는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와는 달리, 물에 용존된 세슘과 같은 미세한 방사성 물질까지 모두 제염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다만, 이러한 프러시안 블루를 제염제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와 관련하여서는 계속된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사능 원소 흡착용 복합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프러시안 블루를 제염제로 사용하기 위한 일례로, 고분자로 표면이 개질되어 표면에 고분자간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에 프러시안 블루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제1 부위; 및 상기 프러시안 블루가 상기 공극에 적어도 일부 포획된 제2 부위를 포함하는 방사능 원소 흡착용 복합체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만이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c)단계 및 (e)단계에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사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상황 (3가지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함)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상황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아래와 같이 3가지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아래와 같은 상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는 능동적인 방사성 물질의 제염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미리 구축해둔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소 수동적인 방사성 물질의 제염까지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3가지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서 미리 구축해둔 다수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나리오의 선정조건 및 분류에 대하여 살펴보면, 시나리오의 선정조건은 발생원인, 기상(대기), 수계노출, 하천/유역특성이 될 수 있고, 시나리오의 분류는 국내외 원전사고, 수계 직접 노출사고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시나리오 분류는 아래 3가지 상황에도 모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선정조건 및 분류에 따른 시나리오에 맞춰, 전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대응메뉴얼로서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위기관리활동을 구분하고, 각각의 위기관리활동을 아래와 같이 시나리오 별로 방사능 노출상황과 함께 기준 별로 준비해둘 수 있다.
이때, 위기관리활동과 연계되는 위기경보단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위기경보단계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별로 정상,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나눠질 수 있다.
국내 원전사고 또는 수계 직접 노출사고에 따른 수계 노출 대응 시나리오에 대한 일례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7
국외 원전사고에 따른 수계 낙진 침적 대응 시나리오의 일례
Figure 112018111608550-pat0000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미리 구축해둔 다수의 시나리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면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아래 상황별 진행과정보다 능동적이지는 않지만 더욱 빠른 대응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것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황 1] 중국에서 발생된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한국으로 넘어와서, 방사성 물질이 대기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상황
[상황 1]의 경우에는 방사성 물질이 언제쯤 어느 정도로 하천으로 유입되는지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기에,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의 (a)단계의 중요성은 다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편서풍과 같은 대기의 흐름은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의 (a)단계는 진행하여야 할것이다.
이렇게 (a)단계가 진행되어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하면, (b)단계 내지 (f)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계산하고 이를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한 후, 도출된 대응조치사항을 전파함과 동시에 하천 각 지역에 대응하는 설비들을 가동시켜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이 언제쯤 어느 정도로 하천으로 유입되는지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기에, 대응조치사항의 일환으로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인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제염제를 필요한 지역으로 미리 이동시켜 놓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필요한 지역에 어느 정도의 제염제가 필요한지는 방사성 물질이 하천을 따라 확산하면서 달라질 수 있는바,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우선 이와 같이 1차적으로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방사능 사고에 대응을 하다보면 그 상황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맞도록 대응조치사항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의 재예측값을 이용하여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고 아룰전파함과 동시에 하천 각 지역에 대응하는 설비들을 가동시켜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황 2] 특정 이익단체가 방사성 물질을 하천에 투하하는 테러를 하여, 방사성 물질이 곧바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상황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 1]은 어느 정도 사전에 예측 가능하므로, 신속한 초동대응을 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이점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황 2]의 경우에는, [상황 1]과 달리 사전 예측이 전혀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이점이 크게 부각될 수 있다.
특히, (a)단계를 통해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수공양용 드론 뿐만 아니라 대기와 수상의 방사선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까지 다양하게 가동하고 있으므로, 사전 예측이 불가능하더라도 충분히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a)단계를 통해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된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유입된 지역을 기준으로 하류방향에 대한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구한다.
이후,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이용하여 대응조치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전파하는 동시에 이에 맞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면 된다.
다만, 특정 이익단체가 방사성 물질을 하천에 투하하는 테러를 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 지점에서만 방사성 물질을 투하할 가능성보다는 여러 지점에 동시에 또는 시간간격을 두고 투하할 가능성이 높은바, 앞서 도출한 대응조치사항은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되어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방사능 사고에 대응해야 할 가능성이 큰 경우 역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의 이점이 다시 한 번 부각될 것이다.
즉, 하천의 여러 지점에 방사성 물질이 투하되더라도, 어느 특정 지점에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a)단계를 통해 확인되면,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의 예측값과 실측값을 비교하여 재예측값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을 제염했음에도 여전히 방사성 물질이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출된 변경조치사항을 통해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상황 3] 한국에서 발생된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대기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동시에, 곧바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상황
[상황 3]의 경우에는, 전술한 [상황 1]과 [상황 2]가 동시에 발생되는 상황이라고 할 것이다. 즉, [상황 3]의 경우에는 [상황 1]과 같이 어느 정도로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것인지 예측할 수 있으면서도, [상황 2]와 같이 예상치 못하게 하천의 특정 지점에서 방사성 물질이 집중적으로 유출되어 일부는 예측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 3]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하천을 따라 확산되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 또는 재예측값을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적용하여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응조치사항 또는 변경조치사항을 도출하여 방사능 사고에 신속하게 초동대응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황 3]의 경우에는,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적용되는 다수의 환경조건이 [상황 1] 또는 [상황 2] 대비 많은 것이 보다 정확한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 또는 재예측값을 구하는데 유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기설정된 확산모델을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확산모델과 수식 형태의 확산모델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보다 신속한 초동대응이 될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에 의하면, 방사능 사고가 발생될 때 담당 행정기관에서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업무분장만 구축하여 둔 종래와 달리, 보다 신속하고, 보다 능동적으로 하천 방사능 사고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저장 창치
20 : 처리 장치
30 : 디스플레이 장치
40 : 관측기관
100 : 수공양용 드론
110 : 자율운행체
120 : 비행용 프로펠러
130 : 부유체
140 : 수상 주행용 프로펠러
150 : 수중 방사선 측정부
200 : (마스터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
210 : 부력체
220 : 수중 방사선 측정부
230 : 대기 방사선 측정부
240 : 케이스
250 : 제어부
260 : 배터리
262 : 태양광 발전 모듈
272 : 송신모듈
300 : (슬레이브 타입의)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
400 : 지류지천 대응 설비
410 : 전처리조
420 : 본처리조
430 : 후처리조
500 : 부댐 대응 설비
510 : 수용부
520 : 지지부
530 : 부력부
540 : 유입부
550 : 수류발생부
600 : 본댐 대응 설비의 일 실시예
610 : 제염부
620 : 입구
630 : 출구
640 : 밸브
700 : 본댐 대응 설비의 다른 일 실시예
710 : 부력체
720 : 앵커
730 : 필터링막

Claims (20)

  1. (a)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성 물질이 상기 하천으로 유입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 유입된 상기 방사성 물질에 대한 상기 하천에서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경로 상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c) 확인된 상기 이동경로 및 계산된 상기 예측값을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대응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상기 대응조치사항에 따라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단계;
    (d) 상기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이후,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이동경로 및 계산된 상기 재예측값을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에 적용하여 도출되는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단계; 및
    (f) 상기 방사성 물질이 제염된 정도에 따라 상기 (d)단계 및 상기 (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상기 하천이 시작되는 지천 또는 지류 인근에 설치되는 지류지천 대응 설비와, 상기 하천의 일부를 구획하여 저수하는 본댐 인근에 설치되는 본댐 대응 설비 및 상기 하천의 일부를 상기 지천 또는 지류와 상기 본댐 사이에서 구획하여 저수하는 부댐 인근에 설치되는 부댐 대응 설비 각각에 대하여 적용되는 매뉴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공중과 수상을 선택적으로 주행하도록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용 프로펠러 및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가 구비되는 자율운행체; 및 수중에서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자율운행체에 구비되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를 포함하는 수공양용 드론을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수상 주행 중 수중에서 방사선이 측정되면, 측정된 지역의 하천수를 채취한 후, 채취한 상기 하천수 내에 상기 방사성 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소로 비행하여,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수중에 잠겨 수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 및 상기 복수개의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이를 합산하여 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각각의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중 방사선 데이터는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측정된 방사선이 검측된 카운트 수를 합산하여 얻은 통합데이터로부터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수중에 잠겨 수중 방사선을 측정하는 수중 방사선 측정부; 및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에서 단위 측정시간동안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중 방사능 측정 장치를 통해,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의 단위 측정시간을 제1 시간으로 제어하던 중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음을 최초 확인한 이후에는, 상기 수중 방사선 측정부의 단위 측정시간을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유입 및 상기 이동경로와 관련된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확산모델(diffusion model)에 적용하여, 상기 예측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이동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실측값을 획득한 후 상기 예측값과 상기 실측값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재예측값을 상기 예측값과 동일한 값으로 하고, 상기 대응조치사항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유입 및 상기 이동경로와 관련된 다수의 환경조건 중 변경된 조건을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에 다시 적용하여, 상기 재예측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값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때 이용하였던 장치가 동일하게 이용되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상기 하천 위의 대기와 상기 하천 사이, 상기 하천 인근 토양과 상기 하천 사이 및 상기 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상기 하천에서의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미리 계산하여 둔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은,
    (ⅰ)상기 하천 위의 대기와 상기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ⅱ)상기 하천 인근 토양과 상기 하천 사이에 유출입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ⅲ)상기 하천의 수중과 수저면 사이에 유출입되거나 상기 하천의 수중 내에서 유동하는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 및 (ⅳ)상기 방사성 물질이 상기 수중에서 분해되는 분해속도를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때 결정되는 변수로 하여, 상기 하천에서의 상기 방사성 물질의 확산정도를 계산하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은,
    (ㄱ)상기 하천으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기 이전부터 확정되어 고정된 경계조건, (ㄴ)계절, 상기 하천의 지점 및 지형, 상기 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한 매개조건, (ㄷ)상기 방사성 물질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의 상태를 결정하는 유량, 온도,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하천에 유입될 당시 상기 방사성 물질의 농도로 구성된 초기조건으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환경조건 중
    상기 (ㄱ)경계조건과 상기 (ㄴ)매개조건은 상기 기설정된 확산모델이 적용되는 처리장치와 연결된 저장장치로부터 가져오고, 상기 (ㄷ)초기조건은 상기 매개체의 상태를 수시 확인하는 관측기관으로부터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대응메뉴얼은,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을 전파하고, 전파된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며, 전파된 상기 대응조치사항 및 상기 변경조치사항에 따라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류지천 대응 설비는,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상기 지천 또는 지류에 포함된 상기 방사성 물질을 1차 제염하는 전처리조; 상기 지천 또는 지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본처리조; 및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서 제염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기 방사성 물질을 2차 제염하는 후처리조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본처리조로만 상기 지천 또는 지류가 유입되어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전처리조, 상기 본처리조, 상기 후처리조에 순차적으로 상기 지천 또는 지류가 유입되어 상기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동시에 상기 방사성 물질을 제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댐 대응 설비는,
    상기 부댐 인근에 저수된 물 속에 포함된 상기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주변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류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류발생부는 운전속도와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수용부 주변의 물을 순환시켜 수중 내 폭기가 이뤄지도록 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시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가 살포되는 상기 제1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물과 함께 상기 폭기가 이뤄지는 거리보다 멀리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댐 대응 설비는,
    상기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과 이어서 설치되어,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될 때 상기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된 부유체와 함께 일시적으로 머물렀다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염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염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되지만,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제염부를 거친 후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댐 대응 설비는,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가 코팅되고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댐에 저수된 물의 일부를 생활수로 취수하는 취수탑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필터링막을 포함하되,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필터링막이 상기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있지 않다가, 상기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비상시에는 상기 필터링막이 상기 하천 저면에 앵커링되어 상기 생활수가 상기 취수탑으로 취수될 때 상기 필터링막을 거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성 물질 흡착제는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제염제이고, 상기 제2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는 프러시안 블루를 포함하는 제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KR1020180137585A 2018-11-09 2018-11-09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KR10209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85A KR102092899B1 (ko) 2018-11-09 2018-11-09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85A KR102092899B1 (ko) 2018-11-09 2018-11-09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899B1 true KR102092899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85A KR102092899B1 (ko) 2018-11-09 2018-11-09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93B1 (ko) * 2020-09-01 2021-12-28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재난상황 대응 매뉴얼 제공방법
CN116384285A (zh) * 2023-05-31 2023-07-04 长江水资源保护科学研究所 一种多受端水域突发水污染事故应急调控方法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845A (ko) 2013-04-23 2014-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 폰을 이용한 esl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4232047A (ja) * 2013-05-29 2014-12-11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力スマートコミュニティ
JP2015040815A (ja) * 2013-08-23 2015-03-02 紀明 岡崎 放射線物質移動経路推定方法及び除染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845A (ko) 2013-04-23 2014-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 폰을 이용한 esl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4232047A (ja) * 2013-05-29 2014-12-11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力スマートコミュニティ
JP2015040815A (ja) * 2013-08-23 2015-03-02 紀明 岡崎 放射線物質移動経路推定方法及び除染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93B1 (ko) * 2020-09-01 2021-12-28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재난상황 대응 매뉴얼 제공방법
CN116384285A (zh) * 2023-05-31 2023-07-04 长江水资源保护科学研究所 一种多受端水域突发水污染事故应急调控方法及***
CN116384285B (zh) * 2023-05-31 2023-09-05 长江水资源保护科学研究所 一种多受端水域突发水污染事故应急调控方法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anya et al. Flow analysis of a river confluence with field measurements and RANS model with nested grid approach
Saadatpour et al. Multi objective simulation-optimization approach in pollution spill response management model in reservoirs
KR102092899B1 (ko) 하천 방사능 사고 통합 대응시스템
Qi et al.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am break flood management under uncertainty with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KR102536774B1 (ko) 3d 디지털 트윈 댐 모델을 이용한 댐 수문 방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nkkinen et al. Guidelines for mine water management
Boris Dust in the wind: Challenges for urban aerodynamics
Kovalchuk et al. Integrated water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rehabilitation of river basins using a system of non-linear criteria
Zheleznyak The mathematical modelling of radionuclide transport by surface water flow from the vicinity of the Chernobyl Nuclear Power Plant
Periáñez Models for pollutant behavior in Spanish–Moroccan waters
Li et al. FluOil: A Novel tool for modeling the transport of oil-particle aggregates in inland waterways
Khafagy et al. Multi-gene genetic programming expressions for simulating solute transport in fractures
Monte et al. Evaluation and network of EC-decision support systems in the field of hydrological dispersion models and of aquatic radioecological research: assessment of environmental models and software
Yeremeyev et al.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geoengineering repositories of radioactive waste
Mikelonis et al. Impact of model structure on radionuclide transport in urban stormwater
Yadigaroglu et al. Transport of pollutants: summary review of physical dispersion models
Kossik et al. Tracing and modeling pollutant transport in Boston Harbor
Cardenas et al. Water sample collection methods for 222Rn analysis by scuba diving: Insights on groundwater flushing of anchialine cave systems of the Yucatan Peninsula
Chen et al. Biological early warning and emergency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water pollution accident
Wogman et al. Wide-area aquatic sampling and analysis for the detection of nuclear proliferation
Wu Modeling and Analysis of Fukushima Nuclear Wastewater Dispersion Based on the ROMS
Dilks et al. Field application of a steady-state mass balance model for hydrophobic organic chemicals in an estuarine system
CN118364734A (zh) 一种河流突发水污染事件模拟预警和辅助决策***及方法
Erturk et al. Case Study: Dieldrin Attack in Dalyan Lagoon
Virtanen Mathematical modelling of flow and transport as link to impacts in multidisciplin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