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138B1 -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 Google Patents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138B1
KR102092138B1 KR1020180101737A KR20180101737A KR102092138B1 KR 102092138 B1 KR102092138 B1 KR 102092138B1 KR 1020180101737 A KR1020180101737 A KR 1020180101737A KR 20180101737 A KR20180101737 A KR 20180101737A KR 102092138 B1 KR102092138 B1 KR 10209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lever
male coupler
fluid transf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17A (ko
Inventor
김철원
Original Assignee
김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원 filed Critical 김철원
Priority to KR102018010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험도가 높은 유체인 케미칼을 이송할 때 사용되는 커플러에서 메일 커플러를 피메일 커플러에 삽입고정할 때 보다 긴밀하게 밀착 접속되게 하여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안정성을 강화시켜 완전한 삽입 및 잠금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Grounding device for fluid transfer coupler}
본 발명은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험도가 높은 유체인 케미칼을 이송할 때 사용되는 커플러에서 메일 커플러를 피메일 커플러에 삽입할 때 보다 완전삽입이 되게 하여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안정성을 강화시켜 완전한 삽입 및 잠금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장치는 동일축선 상에 놓인 고정상태의 소켓(자형(雌型) 커플러)과 이동 가능한 플러그(웅형(雄型) 커플러)가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소켓 안으로 진입하여 긴밀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유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연결수단이다.
한편,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 등에서는 고청정, 고순도 케미칼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케미칼은 탱크로리를 통해 운송되고 있으며, 운송 후 저장탱크 등 저장용기로 이송하기 위해 커플링 장치, 즉 커플러가 사용된다.
즉, 저장용기에는 피메일 커플러(웅형 커플러)가 마련되어 있고, 탱크로리에 연결된 이송용 호스의 단부에는 메일 커플러(자형 커플러)가 마련되어 있어 상호결합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커플링시킴으로써 유로 통로가 개통되어 케미칼을 탱크로리로부터 저장용기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와 관련된 커플러의 일반적인 구조와 개념은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것이다.
그런데, 커플러의 경우 고위험성 케미칼을 이송해야 하는 관계로 전기적 절연성이 필수이며, 이에 더하여 내화학성 특성이 요구된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히, 피메일 커플러의 경우 테프론 소재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체이송 커플러에서 메일 커플러가 피메일 커플러에 삽입된 후 분리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일명 '레버키' 혹은 수커플러 장착레버(공개특허 제10-2014-0011734호,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메일 커플러가 피메일 커플러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레버키 혹은 수커플러 장착레버가 메일 커플러의 후면(단차부)을 계지(繫止)함으로써 메일 커플러가 피메일 커플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레버키 혹은 수커플러 장착레버는 메일 커플러가 단순히 뒤로 밀려나지 않게 하거나 혹은 분리되지 않도록 잠그는 기능만 수행하는 일종의 록커 혹은 스토퍼였기 때문에 이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메일 커플러가 피메일 커플러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어야만 했다.
만약,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레버키 혹은 수커플러 장착레버가 회전할 때 메일 커플러의 외주면(비단차부)에 간섭되면서 회동이 자유롭지 않아서 잠금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들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이 속한 커플러는 고청정, 고순도 케미칼, 혹은 유독성이 있는 케미칼을 이송해야 하는 것이므로 유격이 거의 없게 완전 삽입되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초기 삽입시 메일 커플러를 피메일 커플러 속으로 정확하게 끼워 맞추기가 쉽지 않고 큰 힘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조립 후에도 레버키 혹은 수커플러 장착레버가 메일 커플러를 더 긴밀하게 밀착 삽입시키는 기능이 없어 커플링 후에도 메일 커플러의 선단이 피메일 커플러 내부에서 미세한 유격이 생길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8497호(2014.03.20.) '유체이송용 커플링 장치', 출원인: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1734호(2014.01.29.) '유체이송용 커플러', 출원인:김철원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9858호(2012.04.09.) '유체 이송용 커플러', 출원인:(주)파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위험도가 높은 유체인 케미칼을 이송할 때 사용되는 커플러에서 메일 커플러를 피메일 커플러에 삽입할 때 보다 완전하게 삽입되게 하여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안정성을 강화시켜 안정적인 커플링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테프론으로 성형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에 삽입된 금속재의 보강링(120)과,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구비된 금속재의 선단플랜지(130)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가 고정되는 메인바디(160)와, 메인바디(160)에 고정된 금속재의 후단플랜지(170)와, 선단플랜지(130)와 후단플랜지(170)를 결속하는 금속재의 고정로드(140)를 갖춘 피메일 커플러(100)와; 상기 피메일 커플러(100)에 커플링되는 메일 커플러를 포함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있어서;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삭된 절삭면(410)을 구비한 레버캠본체(400)와; 상기 레버캠본체(40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표면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축(420)과; 상기 회동축(4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고, 원반표면에서 절삭면(410)을 향해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되어 메일 커플러(300)의 단차면(310)에 잠금되는 밀착안내면부(430)와; 상기 절삭면(410) 반대쪽 레버캠본체(400)의 둘레면 중심에 고정된 레버(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밀착안내면부(430)는 상기 절삭면(4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3 길이 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절삭면(410) 반대쪽 레버캠본체(400)의 둘레면 중심에는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440)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450)의 체결단에는 체결볼트(452)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볼트(452)가 상기 체결공(440)에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링(120)에 유도된 정전기를 상기 선단플랜지(130)로 그라운딩시키도록 정전기 방전수단을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내장시킨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외경에서 보강링(120)을 향해 삽입된 방전용 금속봉(190)과,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과 통전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선단플랜지(130)가 설치되는 플랜지설치홈(114)에서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을 향해 직교되게 설치되는 금속침(240)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의 선단은 상기 보강링(120)과 접촉하며, 상기 금속침(240)의 일단은 상기 선단플랜지(130)와 통전가능하게 접촉되게 배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레버키가 경사면을 갖는 레버캠 형태로 바뀜으로써 약간의 미삽입상태가 되더라도 상관없이 용이하게 잠글 수 있다.
둘째, 경사면에 의한 푸시(Push) 기능이 있어 잠금시 메일 커플러를 완전히 밀착시켜 긴밀한 완전 삽입상태를 유지시킨다.
세째, 단순한 스토퍼 혹은 록커 기능을 뛰어넘어 메일 커플러의 견착기능까지 갖출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커플링을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가 설치된 피메일 커플러와 메일 커플러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되는 레버캠의 작동예를 보인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캠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접지수단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접지수단의 예시적인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접지수단이 설치된 피메일 커플러의 예시적인 정면도로서, 레버캠을 배제시킨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은 피메일 커플러(100)에 설치되어 메일 커플러(300)가 커플링될 때 이를 잠금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피메일 커플러(100)는 테프론으로 성형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에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하스텔로이, 티타늄 또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조되고 다단 단차를 갖는 금속원통 형상의 보강링(120)이 조립되어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후면에는 금속재로 된 선단플랜지(130)가 조립 고정되어 후술되는 고정로드(140)를 통해 메일커플러 접속부(110)를 메인바디(160)에 견고히 결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60)의 외경 둘레에는 후단플랜지(170)가 고정되고, 상기 선단플랜지(130)와 후단플랜지(170)는 고정로드(140)에 의해 결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선단플랜지(130)와 고정로드(140) 및 후단플랜지(170)는 강한 결속력과 고정력을 유지해야 하므로 금속재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전면 양측에는 레버캠(CAM)이 대칭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메일 커플러(300)가 피메일 커플러(100)의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삽입되어 조립되면 이 레버캠(CAM)을 회전시켜 레버캠(CAM)이 메일 커플러(300)의 단차면(310)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유체가 이송될 때 이송압에 의해 메일 커플러(300)가 밀려나거나 피메일 커플러(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캠(CAM)의 구체적인 동작관계는 이미 본 출원인이 출원공개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1734호(2014.01.29.)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해 개량된 레버캠(CAM)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캠(CAM)은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레버캠본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캠본체(40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삭된 절삭면(410)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의 일측면에는 회동축(4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420)는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판면에 삽입된 후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캠본체(400)는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판면에서 회전되면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며, 잠금전에는 상기 절삭면(410)이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까지 침범하지 않고 그 외측에 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잠금방향으로 회전되면 세워져 있던 절삭면(410)이 기울어지면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쪽으로 침범하게 된다.
다만, 이것은 메일커플러 접속부(110) 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아니라,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선단 밖에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를 바라 봤을 때 그렇게 보인다는 것이며, 이는 곧 메일 커플러(300)의 단차면(310)에 걸려 잠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420)이 고정된 원반면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동축(4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원반표면에서 절삭면(410)을 향해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된 밀착안내면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안내면부(430)는 상기 절삭면(4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3 정도의 길이 범위내에서만 형성된다.
이것은 레버캠본체(400)가 회동축(42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단차면(310)에 걸릴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밀착안내면부(430)에서 가장 큰 단차는 d이며, 이 d 만큼 유격이 발생되어 메일 커플러(300)가 덜 삽입된 경우라도 레버캠(CAM)을 회전시키면 밀착안내면부(430)에 메일 커플러(300)의 단차면(310) 모서리가 걸리면서 미끄러지듯이 밀착안내면부(430)의 경사면, 즉 테이퍼부를 타고 올라가려고 한다. 그러나, 레버캠본체(40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일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인 메일 커플러(300)가 밀려 들어가면서 보다 긴밀하면서 완전한 삽입과 정확한 견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작동예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절삭면(410) 반대쪽 레버캠본체(400)의 둘레면 중심에는 체결공(440)에는 레버(450)가 체결되어 레버캠본체(400)의 회동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450)의 체결단에는 체결볼트(452)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공(440)에는 나사산을 갖추도록 하여 상호 나사체결되게 함으로써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덧붙여, 피메일 커플러(110)의 내경, 즉 메일 커플러(300)와 접촉하는 부분은 내화학성을 위해 금속, 특히 하스텔로이, 티타늄 또는 스테인레스스틸로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커플링 과정에서 피메일 커플러의 내경과 메일 커플러의 외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전하분리가 일어나면서 정전하가 응집하는 마찰대전, 밀착되어 있던 커플러가 강제로 분리되면서 유도되는 정전하의 대전인 박리대전, 유체가 커플러의 관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분출될 때의 마찰에 의해 유발되는 정전하의 대전인 분출대전, 유체가 관내를 흐를 때 유체 상호간 및 관벽과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전기인 유동대전을 포함한 비말대전까지 다양한 이유로 커플러의 표면에 정전하 응집(대전 상태)이 일어나고 일정조건이 충족되는 순간 방전되면서 특히, 위험성 물질인 케미칼에 영향을 주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정전기 방전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의 강구가 요구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단까지 포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프론으로 성형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에 삽입되어 일체로 조립된 금속재인 보강링(120)에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하는 방전용 금속봉(190)이 구비된다.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은 메일커플러 접속부(110)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링(120)의 외주면에는 봉수납홈(122)이 요입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의 선단은 단차 가공되어 방전용 금속봉(190) 보다 작은 직경의 봉돌출부(192)가 형성되고, 상기 봉돌출부(192)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통전가능한 금속재로 된 제1스프링(194)이 끼워진 채 봉수납홈(12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194)이 필요한 이유는 금속재인 보강링(120)과, 테프론 소재인 메일커플러 접속부(110) 및 금속재인 방전용 금속봉(190)간의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방전용 금속봉(190)을 봉수납홈(122)에 완전히 밀착 고정시킬 수 없고 열팽창에 따른 체적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격을 두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완충시키면서 통전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접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이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고정되면 그 선단은 보강링(120)과 유격을 갖지만, 이 유격은 제1스프링(194)에 의해 메워지고, 동시에 통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은 메일커플러 접속부(110)를 메인바디(160)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체결구(11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의 후단은 평면이고, 통전블럭(200)에 접지된다.
상기 통전블럭(200)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블럭플랜지(210)를 포함한 통전봉(22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봉(220)에는 제2스프링(230)이 끼워지고, 상기 제2스프링(230)의 선단은 금속침(240)의 헤드부에 접지된다.
아울러, 상기 금속침(24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통(250)을 관통하여 뾰족한 선단이 노출되게 끼워진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통(250)의 내부는 중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전봉(220)과 제2스프링(230) 및 금속침(240)은 선단플랜지(130)를 설치하기 위해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외경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설치홈(114)에서 방전용 금속봉(190)을 향해 형성된 설치홈(150) 상에 장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통(250)이 상기 설치홈(150)에 체결되게 되면 상기 고정통(250)을 관통하여 일부 노출된 금속침(240)이 선단플랜지(130) 조립시 선단플랜지(130)의 플랜지면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접촉지점의 도장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거하지 않더라도 금속침(240)의 선단이 뾰족한 침 형상이므로 자연스럽게 도장을 파고들어 금속인 선단플랜지(130)와 접촉하면서 통전가능한 상태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이 삽입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구멍은 마감고정구(260)로 체결되어 마감처리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에 구비된 보강링(120)은 제1스프링(194)에 의해 방전용 금속봉(190)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방전용 금속봉(190)은 상기 제1스프링(194)의 탄성 때문에 방전용 금속봉(190)의 후단이 통전블럭(200)과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방전용 금속봉(190)은 상기 통전블럭(200)과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통전블럭(200)은 통전봉(22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전봉(220)에는 통전가능한 금속재로 만들어진 제2스프링(230)이 끼워진 채 접촉하고 있으므로 결국 통전블럭(200)은 제2스프링(230)과도 통전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2스프링(230)은 금속침(24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금속침(240)은 선단플랜지(130)와 접촉되어 있으며, 선단플랜지(130)는 고정로드(140)를 통해 후단플랜지(170)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금속재인 이들 부품들을 통해 통전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결국 보강링(120)에 유도된 정전기는 후단플랜지(170)를 거쳐 접지하기 충분한 공간을 갖는 위치에서 접지선을 연결하여 접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전기 방전에 의한 불측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조립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한 접지구조를 갖춤으로써 정전기 방전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쉽고 빠르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100: 피메일 커플러
200: 통전블럭
300: 메일 커플러
400: 레버캠본체

Claims (5)

  1. 테프론으로 성형된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내경에 삽입된 금속재의 보강링(120)과,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구비된 금속재의 선단플랜지(130)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가 고정되는 메인바디(160)와, 메인바디(160)에 고정된 금속재의 후단플랜지(170)와, 선단플랜지(130)와 후단플랜지(170)를 결속하는 금속재의 고정로드(140)를 갖춘 피메일 커플러(100)와; 상기 피메일 커플러(100)에 커플링되는 메일 커플러를 포함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있어서;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삭된 절삭면(410)을 구비한 레버캠본체(400)와;
    상기 레버캠본체(40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표면에 삽입되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축(420)과;
    상기 회동축(4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고, 원반표면에서 절삭면(410)을 향해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되어 메일 커플러(300)의 단차면(310)에 잠금되는 밀착안내면부(430)와;
    상기 절삭면(410) 반대쪽 레버캠본체(400)의 둘레면 중심에 고정된 레버(450);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면(410) 반대쪽 레버캠본체(400)의 둘레면 중심에는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440)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450)의 체결단에는 체결볼트(452)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볼트(452)가 상기 체결공(440)에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120)에 유도된 정전기를 상기 선단플랜지(130)로 그라운딩시키도록 정전기 방전수단을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에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수단은 상기 메일커플러 접속부(110)의 외경에서 보강링(120)을 향해 삽입된 방전용 금속봉(190)과,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과 통전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상기 선단플랜지(130)가 설치되는 플랜지설치홈(114)에서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을 향해 직교되게 설치되는 금속침(240)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용 금속봉(190)의 선단은 상기 보강링(120)과 접촉하며, 상기 금속침(240)의 일단은 상기 선단플랜지(130)와 통전가능하게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KR1020180101737A 2018-08-29 2018-08-29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KR102092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37A KR102092138B1 (ko) 2018-08-29 2018-08-29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37A KR102092138B1 (ko) 2018-08-29 2018-08-29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17A KR20200025017A (ko) 2020-03-10
KR102092138B1 true KR102092138B1 (ko) 2020-03-23

Family

ID=6980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737A KR102092138B1 (ko) 2018-08-29 2018-08-29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680B1 (ko) * 1997-10-22 2000-06-01 김철원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오접속방지장치
KR100711736B1 (ko) * 2005-07-12 2007-04-25 김철원 고순도 케미컬 이송 호스의 자동연결장치에 장착되는 암커플링의 정전기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9479B2 (ja) * 1994-12-28 2003-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フランジ固定具
JP4986520B2 (ja) 2006-07-10 2012-07-2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移送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200459858Y1 (ko) 2011-11-28 2012-04-19 주식회사 파람 유체 이송용 커플러
KR20140011734A (ko) 2012-07-19 2014-01-29 김철원 유체이송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680B1 (ko) * 1997-10-22 2000-06-01 김철원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오접속방지장치
KR100711736B1 (ko) * 2005-07-12 2007-04-25 김철원 고순도 케미컬 이송 호스의 자동연결장치에 장착되는 암커플링의 정전기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17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118B2 (en)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US6536807B1 (en) Detachable fast-coupling having an automatic assembly indicator
US6824172B1 (en) Push-pull pipe coupling
KR100331471B1 (ko) 차량용 연료관의 컨넥터
US9227509B1 (en) Spring mounting structures for a fuel lid
JP3868377B2 (ja) 付加的なロックエレメントを備えた着脱可能な差込みカップリング
JP3575438B2 (ja) プラグイン結合型の結合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結合装置を有するプラグイン結合
WO2002055918A1 (fr) Pate d'etancheite pour joint
KR102092138B1 (ko)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SK158994A3 (en) Quick-fit union connector with indicator of connection
US8522838B2 (en) Grommet and fuel fill hous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030015680A1 (en) Rotatable stopcock for a male coupling having a 90 degrees offset connecting piece
GB2456994A (en) Connector
FR2795156A1 (fr) Raccord encliquetable pour conduit de fluide, en particulier pour un circuit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 moteur d'un vehicule automobile
FR2745343A1 (fr) Ecrou de pre-assemblage en matiere plastique
KR102092136B1 (ko) 유체이송 커플러용 접지장치
EP3527823B1 (fr) Pompe à piston oscillant comprenant un élément de structure monobloc présentant un premier et un second corps tubulaires creux
US7896027B2 (en) Poppet valve assembly with in-line sight glass
FR2993630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avec une bague reductrice d'effort de montage
EP0452172A1 (fr) Dispositif d'assemblage rapide par encliquetage pour échangeurs de chaleur de véhicules automobiles
EP1882072B1 (fr) Verrou à élément de fixation du rotor
US9625073B2 (en) Joint unit and joint assembly comprising such a joint unit for non-detachable connection of media-conveying lines
EP2918438B1 (fr) Dispositif de détrompage pour conduit d'arrivée de carburant d'un réservoir d'un véhicule
JPH11514425A (ja) 確認機能を備える急速接続具
FR3032935A1 (fr) Ensemble structurel de vehicule comprenant un corps principal et un element d'obturation ancre dans ledit corps principal et apte a etre demo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