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774B1 -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774B1
KR102091774B1 KR1020180160697A KR20180160697A KR102091774B1 KR 102091774 B1 KR102091774 B1 KR 102091774B1 KR 1020180160697 A KR1020180160697 A KR 1020180160697A KR 20180160697 A KR20180160697 A KR 20180160697A KR 102091774 B1 KR102091774 B1 KR 10209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ulose
composition
skin
whiten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희
박지은
김수정
박윤경
변성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8016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774B1/ko
Priority to EP19896858.8A priority patent/EP3895687A4/en
Priority to PCT/KR2019/017702 priority patent/WO2020122667A1/ko
Priority to US17/312,213 priority patent/US20220047488A1/en
Priority to CN201980082640.2A priority patent/CN113194920A/zh
Priority to MX2021007038A priority patent/MX2021007038A/es
Priority to JP2021533625A priority patent/JP730717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774B1/ko
Priority to IL283907A priority patent/IL2839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5/00Butter; Butter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mprising Allulose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백'이란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및 임신 등과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 내에 색소가 과하게 생성되어서 나타나는 피부색의 변화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피부 색소인 멜라닌이다.
피부의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며, 활성 산소,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과도한 멜라닌의 침착은 피부 등의 병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과 같은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활성 산소 소거와 멜라닌 형성 저해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활성 산소 소거 물질이 멜라닌 합성을 항상 저해하지 않고, 활성 산소 소거력과 미백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아울러, 활성 산소 소거력과 미백 사이의 연관성이 없다는 것과 관련된 예로, 음양곽의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우수하지만, 멜라닌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점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라 하더라도, 이 물질이 멜라닌 합성을 저해시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항상 미백 효과로는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밝혀진 물질이라 하더라도 이 물질을 미백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백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알룰로스는 사이코스(psicose)라고도 하며, 케토헥소오스(6단당)이다. 알룰로스는 무화과, 건포도와 같은 과일 및 당밀이나 포도당의 이성화 반응 과정 중에 극소량 존재하는 천연당으로 설탕 대비 70%의 감미도를 가진 단당류이다. 알룰로스는 통상의 환원성 당과 같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알룰로스의 신경세포 보호 작용을 이용한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알룰로스의 신경세포 보호 작용은 신경세포의 산화에 의한 상해를 억제하여서 나타나므로 알룰로스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점이 개시되어 있지만, 알룰로스의 미백 관련 효과, 예를 들면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 기능이 있는 원료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소재라 하더라도 반드시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서 알룰로스가 실제로 피부 미백에 직접적으로 효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고, 알룰로스는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263734호
한영숙 등, 천연식물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미백작용의 상관관계연구, 대한피부미용교육학술지 1(1), 11-22(2003)
본 발명은 미백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유효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멜라닌 생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뛰어난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 색소 침착 및 피부톤 다운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하며, 상기 색소의 피부 침착은 멜라닌의 합성 증가로 인해 피부의 색깔이 어두워지는 모든 작용 또는 그 상태를 의미한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화학적 합성,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알룰로스는 에피머화 효소,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및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룰로스 생산용 조성물을, 과당-함유 원료와 반응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알룰로스는 액상 형태 또는 결정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액상 알룰로스는 건조 고형분(dry solid, ds 또는 DS) 기준 70 내지 99 중량%의 알룰로스를 함유할 수있다. 또한, 결정 알룰로스는 건조 고형분 기준 90 내지 100 중량%로 알룰로스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0.2 중량%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내지 50 중량%, 0.4 중량% 내지 45 중량%, 0.5 중량% 내지 40 중량%, 0.6 중량% 내지 35 중량%, 0.7 중량% 내지 30 중량%, 0.8 중량%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0.9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20 중량%, 1중량% 내지 10중량%, 1중량% 내지 8중량%, 1중량% 내지 5중량%, 1 중량% 내지 3중량%, 1중량% 내지 2중량%, 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상기 알룰로스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알룰로스에 의한 미백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알룰로스에 의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 합성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것이거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멜라닌 세포에 1 중량% 농도의 알룰로스를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상기 알룰로스는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통해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원의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알룰로스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본원의 알룰로스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알룰로스의 유효용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본원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있다.
본원의 약학 조성물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원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드,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더스팅 파우더, 에멀젼, 현탁액, 오일, 스프레이, 연고, 크림 페이스트, 겔, 폼, 또는 용액일 수 있다. 본원의 약학 제제는 무수 상태의 연고일 수 있고, 국소 용도에 적합하고 체온 상태에서 액체인 파라핀, 특히 저점도 파라핀을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천연지방 또는 부분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오일 또는 캐스터 오일,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디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메틸실록산, 예컨대 헥사메틸디실록산 도는 옥타메틸트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성 크림과 관련되어 있고 수분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는 지방알코올, 그리고 스테롤, 울 왁스, 다른 유화제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알룰로스의 적용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룰로스는 1일 0.0001 내지 1000 mg/kg으로,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적용은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적용할 수도 있다. 본원의 알룰로스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기관지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알룰로스는 색소가 과다 침착된 피부에 작용하여, 멜라닌 합성 억제를 통해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을 감소시켜 색소 침착과 관련된 질환, 병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알룰로스의 순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원의 조성물이 색소 침착 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억제'는 본원의 조성물이 색소 침착 질환의 발생을 감소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원의 조성물이 색소 침착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의 조성물이 생체 내 표적에 도달할 수 있는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즉, 경피 투여)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투여는 1일 1회 내지 4회, 2회 내지 3회 또는 2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투여는 4주 이상, 8주 이상, 4주 내지 12주 또는 8주 내지 12주의 기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색소 침착 질환은, 피부에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멜라닌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모든 질환, 병변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 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악성흑색종, 오타모반, 거대모반,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알룰로스를 0.2 중량%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내지 50 중량%, 0.4 중량% 내지 45 중량%, 0.5 중량% 내지 40 중량%, 0.6 중량% 내지 35 중량%, 0.7 중량% 내지 30 중량%, 0.8 중량%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0.9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 1 중량% 내지 8 중량%, 1 중량% 내지 5 중량%, 1 중량% 내지 3 중량%, 1 중량% 내지 2 중량%, 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상기 알룰로스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알룰로스에 의한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알룰로스에 의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본원의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알룰로스 외에 피부 색소 침착의 개선, 완화, 치료 또는 예방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원의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의 개선, 완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뛰어난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 색소 침착 및 피부톤 다운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하며, 상기 색소의 피부 침착은 멜라닌의 합성 증가로 인해 피부의 색깔이 어두워지는 모든 작용 또는 그 상태를 의미한다.
본원의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개체,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를 가지는 개체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를 가지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및 투여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도포, 급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상기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색소 침착 질환이 발생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상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개체,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를 가지는 개체에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 또는 색소가 침착된 피부를 가지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투여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원의 알룰로스는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도포, 급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유효성분인 알룰로스는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냄이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분명히 확인된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쥐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cyte)에서 방출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알룰로스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알룰로스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확인
쥐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cyte)를 6웰 플레이트에 각 1×104 세포/웰로 접종하였다. 접종 24시간 후 시료처리군에는 알룰로스(CJ제일제당, 98% 이상 순도)를 0.01 중량%, 0.1 중량%, 1 중량%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에는 알부틴(arbutin)을 0.02 중량%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비교군에는 글루코스(Sigma aldrich) 1 중량%, 또는 프룩토스(Sigma aldrich) 1 중량%를 처리하였다. 무처리군(control)에는 시료나,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a-MSH를 처리하지 않았다. 시료처리군, 양성대조군, 비교군, 음성대조군에는 a-MSH를 50μM 처리하였다. 처리 72시간 후 세포를 회수하고 NaOH로 용해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검출하였다. 무처리군, 음성대조군(a-MSH만 처리), 시료처리군(a-MSH와 각 시료를 농도별 처리), 양성대조군(a-MSH와 알부틴을 처리)의 흡광도(OD405)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룰로스 처리군에서는 멜라닌 합성이 억제되어 미백 효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알룰로스가 1 중량%일 때 멜라닌 합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알룰로스와 동일한 당류로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글루코스와 프룩토스의 경우에는 1 중량% 농도로 처리하여도 멜라닌 합성이 전혀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라고 하더라도 모두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나 미백 효과까지 나타내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알룰로스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통한 미백 효과가 항산화 활성으로부터 당연히 도출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알룰로스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 확인
미백효과의 메커니즘 중 하나인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1.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Tyrosinase from mushroom) 활성 측정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5)에 티로시나제(Tyrosinase from mushroom, 25KU, 2687units/mg Solid) 0.2mg/ml를 용해시켜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알룰로스(실시예), 수크로스(비교예 1), 프룩토스(비교예 2)는 각각 50mM로 제조하였다. 기질로서 30mM 카테콜, 효소액, 및 100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5)을 카테콜:효소액:인산나트륨 완충액의 혼합 비율이 5:1:4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혼합액에 알룰로스, 수크로스, 프룩토스를 각각 50mM씩 첨가하였다. 공시료액으로는 효소액대신에 DW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억제되었다. 반면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당류로 알려진 비교예 1, 2의 경우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전혀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2. 효소 반응물의 기질(카테콜) 정량 분석
카테콜 표준품을 농도별로 희석한 후, LC 분석하여 카테콜의 표준 곡선을 얻었다. 상기 실험예 2-1에서 얻은 각 효소 반응액 200ul를 PCR 튜브에 넣고, 0분(각 효소 반응액을 10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효소 반응물), 10분, 20분, 30분, 6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켜 반응 시간별 효소 반응물을 제조하였다. 반응 정지는 히트 블록(heat block)을 이용하였다. 계획한 시간에 맞추어 반응을 정지하고 히트 블록에서 105℃, 10분 동안 가열한 후, 얼음에 넣어 10분 냉각하였다. PCR 튜브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회 원심분리하였다. LC 분석은 통상의 분석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효소반응물을 1ml 시린지로 필터링하였다. 필터링된 효소반응물을 인서트 내부로 투여하고, LC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리 확보한 카테콜 정량 표준 곡선에 따라 효소 반응물 내의 카테콜의 양을 측정하였다. LC 분석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Column Platinum EPS C18 100Å 3micro u
용매 70% Acetonitrile
유속 1.0mL/min
Injection volumn 25ul
Pump temp. 35℃
분석 시간 15min
검출기 DAD 254nm, 280nm
반응시간(min) D.W. 비교예 1 실시예 비교예 2
0 3292.0 3296.7 3288.7 3236.0
30 3103.0 3112.0 3126.7 3069.0
60 3022.0 3031.0 3087.0 2971.0
반응 초기 대비 카테콜 감소율 8.2% 8.1% 6.1% 8.2%
(단위: ppm)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억제되었다. 반면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당류로 알려진 비교예 1, 2의 경우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전혀 억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1. 화장품 제형의 제조
1-1. 에센스의 제조
알룰로스를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2
글리세린 4
부틸렌글리콜 2
알룰로스 1.5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1-2. 유연화장수의 제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알룰로스 1.5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3. 영양 크림의 제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알룰로스 1.5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4. 로션의 제조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PEG-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초산토코페롤 0.4
1,3-부틸렌글리콜 4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알룰로스 1.0
알란토인 0.1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정제수 적량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0.2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알룰로스를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알룰로스를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알룰로스(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2-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알룰로스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2-7.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2-8.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3-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3-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3-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3-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알룰로스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Claims (6)

  1.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룰로스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2 중량%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 합성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하거나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억제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180160697A 2018-12-13 2018-12-13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97A KR102091774B1 (ko) 2018-12-13 2018-12-13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19896858.8A EP3895687A4 (en) 2018-12-13 2019-12-13 COMPOSITION WITH ALLULOSE AS A SKIN LIGHTENING INGREDIENT
PCT/KR2019/017702 WO2020122667A1 (ko) 2018-12-13 2019-12-13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17/312,213 US20220047488A1 (en) 2018-12-13 2019-12-13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s a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CN201980082640.2A CN113194920A (zh) 2018-12-13 2019-12-13 用于皮肤美白的含有阿洛酮糖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MX2021007038A MX2021007038A (es) 2018-12-13 2019-12-13 Composicion que comprende alulosa como ingrediente activo para el blanqueamiento de la piel.
JP2021533625A JP7307172B2 (ja) 2018-12-13 2019-12-13 アルロー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IL283907A IL283907A (en) 2018-12-13 2021-06-10 A preparation containing all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97A KR102091774B1 (ko) 2018-12-13 2018-12-13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774B1 true KR102091774B1 (ko) 2020-03-20

Family

ID=699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97A KR102091774B1 (ko) 2018-12-13 2018-12-13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47488A1 (ko)
EP (1) EP3895687A4 (ko)
JP (1) JP7307172B2 (ko)
KR (1) KR102091774B1 (ko)
CN (1) CN113194920A (ko)
IL (1) IL283907A (ko)
MX (1) MX2021007038A (ko)
WO (1) WO202012266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226A (ja) * 1998-05-19 1999-12-07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JP2005263734A (ja) 2004-03-19 2005-09-29 Kagawa Univ 希少糖の神経細胞における保護作用を利用する予防薬、治療薬、特定保健用食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1208B2 (ja) * 1990-10-24 1999-06-23 三省製薬株式会社 色白外用剤
DE10124475A1 (de) * 2001-05-19 2002-11-21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r oder mehreren Kethohexosen
JP2004339152A (ja) 2003-05-15 2004-12-02 Akira Nakagawa メラニン産生抑制物質
JP4761424B2 (ja) 2004-03-17 2011-08-31 株式会社希少糖生産技術研究所 L−プシコース結晶、その製造方法および、糖試薬キット
US20080274068A1 (en) * 2005-10-05 2008-11-06 Tomoko Tanaka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a Phosphorlated Saccharide
JP5835894B2 (ja) * 2010-12-29 2015-12-24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749527B1 (ko) * 2014-10-20 2017-06-21 씨제이제일제당(주) D-사이코스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
KR20160062349A (ko) * 2014-11-25 2016-06-02 씨제이제일제당 (주) 고순도 d-사이코스를 제조하는 방법
JP7076695B2 (ja) * 2015-08-12 2022-05-30 株式会社セレーネ D-プシコース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機能改善組成物
CN108430449B (zh) * 2016-01-11 2023-01-24 宝洁公司 处理皮肤状况的方法以及用于其的组合物
KR101723007B1 (ko) * 2016-02-29 2017-04-04 씨제이제일제당(주) 고순도 d-사이코스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226A (ja) * 1998-05-19 1999-12-07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JP2005263734A (ja) 2004-03-19 2005-09-29 Kagawa Univ 希少糖の神経細胞における保護作用を利用する予防薬、治療薬、特定保健用食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영숙 등, 천연식물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미백작용의 상관관계연구, 대한피부미용교육학술지 1(1), 11-22(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95687A1 (en) 2021-10-20
WO2020122667A1 (ko) 2020-06-18
CN113194920A (zh) 2021-07-30
EP3895687A4 (en) 2022-09-28
JP2022515603A (ja) 2022-02-21
JP7307172B2 (ja) 2023-07-11
IL283907A (en) 2021-07-29
US20220047488A1 (en) 2022-02-17
MX2021007038A (es)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33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14999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768626B1 (ko) 홍화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46688B1 (ko) 아스퍼질러스 테리우스 추출물, 신규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91774B1 (ko) 알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30114058A (ko) 천식 또는 아토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3925603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KR102147591B1 (ko)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16994B1 (ko) 피부 미백효과가 증진된 고춧잎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68316A (ko) 황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114894B1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381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994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60869B1 (ko)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20168292A (ko) 픽펠타라에닌 ia를 유효성분으로 활용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0689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알파-펜콘(alpha-fencho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3497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5121A (ko) 산두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KR20230096823A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093661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32627B1 (ko) 한방향 유효성분 발렌센(Valencene) 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