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52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20B1
KR102091520B1 KR1020140034829A KR20140034829A KR102091520B1 KR 102091520 B1 KR102091520 B1 KR 102091520B1 KR 1020140034829 A KR1020140034829 A KR 1020140034829A KR 20140034829 A KR20140034829 A KR 20140034829A KR 102091520 B1 KR102091520 B1 KR 10209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band
glass
mobile terminal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198A (ko
Inventor
고동석
김동춘
최은석
권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20B1/ko
Priority to US14/553,889 priority patent/US9853672B2/en
Priority to EP14194952.9A priority patent/EP2942931B1/en
Priority to CN201510096521.6A priority patent/CN104951065B/zh
Publication of KR2015011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구조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목에 걸도록 형성되며, 주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부;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넥밴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상기 수용홈에 삽입하여 상기 넥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넥밴드부와 분리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안경처럼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한다는 특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디바이스의 크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이 산업계의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산업계에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많이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기 마련이며, 부품의 증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형화 및 중량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반대로, 소형화 및 경량화에만 초점을 맞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적이므로, 사용자들이 선호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구조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소형화 및 경량화된 이동 단말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목에 걸도록 형성되며, 주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부;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넥밴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상기 수용홈에 삽입하여 상기 넥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넥밴드부와 분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부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가 결합되면, 상기 부 전원 공급부는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 중 어느 하나는 충전핀을 구비하고,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충전핀에 대응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충전핀과 상기 충전단자는 서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글래스부의 무게가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는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단말기 본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 있는 상기 넥밴드부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도, 글래스부를 넥밴드부에 용이하게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부는 외부의 무선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주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도록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주 전원 공급부는 무선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부 전원 공급부는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용에 의해 인체의 일부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품들이 서로 나뉘어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이동 단말기를 인체에 착용하더라도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대용량인 주 전원 공급부를 넥밴드부에 설치하여 피로도의 증가를 완화하면서 이동 단말기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부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상기 글래스부와 상기 넥밴드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글래스부는 최소한의 기능들만을 구비하고, 나머지 기능들은 넥밴드부에 탑재된다. 따라서, 글래스부와 넥밴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글래스부에서 실행 사능한 기능들은 확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들을 넥밴드부와 글래스부에 나누어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무게를 넥밴드부와 글래스부에 분산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부와 넥밴드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글래스부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래스부를 넥밴드부와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글래스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넥밴드부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문제되던 전력 부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스 없이도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로 나누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로 나누어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를 결합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5a는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를 결합하여 목에 착용한 개념도.
도 5b는 이동 단말기를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개념도.
도 5c는 넥밴드부와 글래스부를 결합하여 두부에 착용한 개념도.
도 6은 넥밴드부와 글래스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6과 다른 구조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Ⅷ 부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또는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와 다른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200)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200)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 도 1 참조)은, 이동 단말기(200)(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른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 도 1 참조)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이동 단말기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다른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를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로 나누어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를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로 나누어 도시한 평면도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결합한 이동 단말기(200)의 사시도다.
이동 단말기(200)는, 목걸이처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하는 넥밴드부(210)와 안경처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글래스부(230)를 포함한다.
넥밴드부(210)는 사용자의 목에 걸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넥밴드부(210)는 'U'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넥밴드부(210)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넥밴드부(210)를 벌려 'U'자 형태의 안쪽에 목을 위치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넥밴드부(210)를 놓으면 상기 넥밴드부(210)는 벌어지기 전 상태로 복원된다. 넥밴드부(21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다.
글래스부(230)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231)을 구비한다. 프레임(231)은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었을 때, 두부의 전면에서 양측의 귀를 향해 연장되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231)의 형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231)은 글래스부(230)에서 실질적으로 안경테의 기능을 한다. 프레임(231)은 글래스부(230)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31)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1)에서 나머지 부분은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탈 재질 부분은 용도에 맞는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패턴의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글래스부(230)는 상기 프레임(231)에 설치되는 입출력 모듈(232)을 구비한다. 입출력 모듈(232)은 도 1에서 설명한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출력 모듈(232)은 디스플레이부(232a)와 터치 입력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2a)는, 사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터치 입력부(232b)는 터치 입력을 인가받도록 형성된다. 터치 입력부(232b)는 디스플레이부(232a)로부터 프레임(23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32a)는 실질적으로 두분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입력부(232b)는 실질적으로 두부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2a)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32a)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글래스부(230)는 상기 프레임(231)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2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3)은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233)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 모듈(233)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출력 모듈(232)과 카메라 모듈(233)은 글래스부(230)의 무게가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231)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입출력 모듈(232)과 카메라 모듈(23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33)은 프레임(231)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232)에는 글래스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32a) 또는 카메라 모듈(23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215)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넥밴드부(210)는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부(230)의 프레임(23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211)을 구비한다. 글래스부(230)는, 프레임(231)의 양 단부를 각각 상기 수용홈(211)에 삽입하여 상기 넥밴드부(210)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31)의 양 단부를 상기 수용홈(211)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넥밴드부(210)와 분리된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서로 결합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하나의 바디로 형성된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서로 분리되면, 이동 단말기(200)는 두 개의 바디로 형성된다.
도 2와 도 3은 분리된 상태의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도시한 것이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단말기 본체를 형성한다. 도 4는 결합된 상태의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또는 두부의 크기에 맞게 조절되도록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넥밴드부(210)는 각각 양 단부에 수용홈(211)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용부(212a)와 제2수용부(21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용부(212a)는 넥밴드부(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제2수용부(212b)는 넥밴드부(210)의 타 단부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서로 결합되면, 입출력 모듈(23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수용부(212a)에 삽입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23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수용부(212b)에 삽입된다.
도 2의 A 부분을 참조하면, 넥밴드부(210)는 제1수용부(212a)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2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232)은 상기 커넥터(213)에 대응하는 포트(236)를 구비한다. 입출력 모듈(232)이 제1수용부(212a)에 삽입되면, 도 4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13)는 포트(236)에 삽입된다. 커넥터(213)와 포트(236)에 의해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넥밴드부(210)는 주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주 전원 공급부는 넥밴드부(21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글래스부(23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동일한 무게의 물체를 안경과 같은 형태로 썼을 때와 목에 걸었을 때를 비교하면, 인체는 물체를 목에 걸었을 때 피로감을 덜 느낀다. 물체를 목에 걸면 상기 물체를 목과 어깨의 내부 근육으로 지지하는 반면, 물체를 안경과 같은 형태로 쓰면 귀와 코로 상기 물체를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피로도를 저감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00)의 무게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 전원 공급부를 넥밴드부(210)의 내부에 배치하였다. 넥밴드부(210)는 목에 걸어 사용하므로, 글래스부(230)에 비해 더 크고 더 무겁게 형성되어도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 전원 공급부가 글래스부(230)에 설치되는 경우와 주 전원 공급부가 넥밴드부(210)에 설치되는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의 경우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피로도를 저감하는 것은 물론 이동 단말기(20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글래스부(230)는 넥밴드부(210)의 내부에 내장된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넥밴드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글래스부(230)는 양 단부에 충전핀(234)을 구비하고, 넥밴드부(210)는 상기 충전핀(234)에 대응되는 충전단자(214)를 구비한다. 충전핀(234)은 프레임(231)에 형성될 수 있고, 충전단자(214)는 수용홈(21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1)이 수용홈(211)에 삽입되면, 충전핀(234)과 충전단자(214)를 서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충전핀(234)과 충전단자(214)의 구조 또는 배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전핀(234)이 넥밴드부(210)에 형성되고, 충전단자(214)가 글래스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13)와 포트(236)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충전핀(234)과 충전단자(214)는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부 전원 공급부(미도시)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각각의 구조와 배치는 반드시 앞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바뀔 수 있다.
글래스부(230)에는 넥밴드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부 전원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부 전원 공급부는 주 전원 공급부에 비해 소용량으로 형성된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결합되면, 부 전원 공급부는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전력의 공급은 상기 충전핀(234)과 충전단자(21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200)의 착용에 의해 인체의 일부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에는 이동 단말기(200)의 부품들이 서로 나누어 실장된다. 예를 들어, 글래스부(230)는 상기 글래스부(23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들만을 구비하고, 그 이외에 대부분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넥밴드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31), 입출력 모듈(232), 카메라 모듈(233), 제어부, 부 전원 공급부는, 넥밴드부(210)와 독립적으로 글래스부(23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들이다. 상기 구성요소들 외에 반드시 글래스부(230)에 설치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은 상기 글래스부(230)에 추가될 수 있다. 반드시 글래스부(230)에 설치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혈류량(photoplethysmography) 측정 센서나 심전도(electrocardiogram) 측정 센서와 같은 바이오 센서(235)를 포함한다. 혈류량 측정 센서는 적외선 LED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심전도 측정 센서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바이오 센서(235)는 피부에 접촉하여 혈류의 변화나 미세한 전기를 인식하므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글래스부(230)에 설치되는 센서는 반드시 바이오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글래스부(230)에 설치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고정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은 글래스부(230)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31)이다. 프레임(231)은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므로,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반해 넥밴드부(210)는 사용자의 피부에 고정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이오 센서(235)는 반드시 글래스부(230)에 설치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다.
그러나, 그 이외에 이동 단말기(200)를 구현하기 위한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은 넥밴드부(21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넥밴드부(210)는 마이크(215), 음향 출력 모듈(216), 이어잭 소켓(미도시), 주 제어부(미도시) 및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215)는 상기 넥밴드부(210)의 일 단부에 설치되는 제1마이크(215)와 타 단부에 설치되는 제2마이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이크(215)와 제2마이크(215)는 사용자의 음성 이외의 잡음을 제거하도록 서로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16)은 라우드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드 스피커는 넥밴드부(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골전도 스피커는 넥밴드부(210)의 타측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골전도 스피커는 두개골을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의 스피커이다. 골전도 스피커는 넥밴드부(21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주 제어부는 제한된 기능만을 제어하는 글래스부(230)의 제어부와 달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글래스부(23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들은 아니다. 따라서, 마이크(215), 스피커, 이어잭 소켓, 주 제어부 및 무선 통신부가 모두 넥밴드부(2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글래스부(230)와 넥밴드부(210)의 전기적 연결 방식이 무선 연결 방식인 경우에는, 글래스부(230)와 넥밴드부(210)는 모두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글래스부(230)와 넥밴드부(210)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적 연결에 의해 글래스부(230)에서 활용 가능한 기능은 넥밴드부(210)에 포함된 기능들로까지 확장된다.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의 분산 배치를 통해 글래스 타입 단말기에 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된 글래스부(230)를 구현할 수 있다. 글래스부(230)는 부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해 넥밴드부(210)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만, 부 전원 공급부의 용량은 주 전원 공급부의 용량보다 작으므로, 장시간 글래스부(230)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부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부(230)는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구비하고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은 넥밴드부(210)에 구비되므로, 글래스부(23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글래스부(230)와 넥밴드부(210)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가 넥밴드부(210)에만 설치되는 경우, 글래스부(230)만을 넥밴드부(210)와 독립적으로 사용하면 상기 글래스부(230)에서는 스피커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글래스부(230)와 넥밴드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글래스부(230)의 터치 입력부(232b)를 통해 인가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스피커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 착용한 이동 단말기(200)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5a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결합하여 목에 착용한 개념도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단말기 바디를 형성한다. 환형의 단말기 바디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다. 따라서, 비사용시 휴대와 보관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없어도, 글래스부(230)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 있는 넥밴드부(210)에 결합하여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환형의 단말기 바디를 형성하므로 상기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200)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수용홈(211)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수용홈(211)으로부터 글래스부(23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프레임(231)을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가 수용홈(211)의 양쪽 내주면에 설치되어 프레임(231)을 양쪽에서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에 의해 글래스부(230)는 수용홈(211)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기(200)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는 이동 단말기(200)를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개념도다.
도 5b에 도시된 사용 상태도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넥밴드부(210)는 목에 걸어 사용하고, 글래스부(230)는 두부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부(230)를 넥밴드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5c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를 결합하여 두부에 착용한 개념도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를 두부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형의 단말기 바디를 헤드밴드 형태로 두부에 착용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또는 두부의 크기에 맞게 조절되도록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의 전기적 연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이동 단말기(200)는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넥밴드부(210)와 상기 글래스부(230)를 연결하는 케이블(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밴드부(210)의 커넥터(213)와 글래스부(230)의 포트(236)를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250)은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부 전원 공급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다른 구조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넥밴드부(210)는 사용자의 목에 걸었을 때 상기 목의 뒷부분에 배치되는 외부면에 커넥터(217)를 구비한다. 그리고, 글래스부(230)는 커넥터(217)를 통해 상기 넥밴드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자부를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한다. 커넥터(217)와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217)로부터 두 갈래로 분할되어 상기 단자부로 연장되는 케이블(2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케이블(26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부 전원 공급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넥밴드부(210)와 글래스부(230)는 각각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넥밴브부(210)와 글래스부(230)의 무선 통신 방식이 반드시 블루투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주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Ⅷ 부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다.
넥밴드부(210)의 주 전원 공급부는 충전포트(미도시)를 통해 유선으로 충전기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주 전원 공급부는 무선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 와 도 8b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넥밴드부(210)는 외부의 무선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공급받아 상기 주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도록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218, 219)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BC)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코일(218)을 구현한 것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b는 넥밴드부(210)의 내부에 축을 두고 그 축에 무선 충전 코일(219)을 감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무선 충전 코일(218, 219)들은 넥밴드부(210) 내부의 메인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사용자의 목에 걸도록 형성되며, 주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부;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글래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넥밴드부는 상기 글래스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각각 상기 수용홈에 삽입하여 상기 넥밴드부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넥밴드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프레임이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프레임이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었을 때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프레임이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목이나 두부에 착용 가능하며,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프레임이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주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입출력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넥밴드부는,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은 상기 커넥터에 대응되는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부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가 결합되면, 상기 부 전원 공급부는 상기 주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 중 어느 하나는 충전핀을 구비하고,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충전핀에 대응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충전핀과 상기 충전단자는 서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글래스부의 무게가 한쪽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는,
    일 단부에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수용부; 및
    타 단부에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입출력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었을 때 상기 목의 뒷부분에 배치되는 외부면에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넥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자부를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두 갈래로 분할되어 상기 단자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는 서로 결합되어 환형의 단말기 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 있는 상기 넥밴드부에 결합하여 휴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또는 두부의 크기에 맞게 조절되도록 길이를 연장하거나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글래스부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는 외부의 무선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주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도록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착용에 의해 인체의 일부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넥밴드부와 상기 글래스부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부품들이 서로 나뉘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며, 터치 입력을 인가받도록 형성되는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바이오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부는 마이크, 음향 출력 모듈, 이어잭 소켓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글래스부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상기 글래스부와 상기 넥밴드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메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34829A 2014-03-25 2014-03-25 이동 단말기 KR10209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29A KR102091520B1 (ko) 2014-03-25 2014-03-25 이동 단말기
US14/553,889 US9853672B2 (en) 2014-03-25 2014-11-25 Mobile terminal
EP14194952.9A EP2942931B1 (en) 2014-03-25 2014-11-26 Mobile terminal with eyeglass display
CN201510096521.6A CN104951065B (zh) 2014-03-25 2015-03-04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29A KR102091520B1 (ko) 2014-03-25 2014-03-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98A KR20150111198A (ko) 2015-10-05
KR102091520B1 true KR102091520B1 (ko) 2020-03-20

Family

ID=5210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29A KR102091520B1 (ko) 2014-03-25 2014-03-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53672B2 (ko)
EP (1) EP2942931B1 (ko)
KR (1) KR102091520B1 (ko)
CN (1) CN1049510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216B1 (ko) 2023-06-23 2023-12-15 주식회사 와이젯 착용형 중계기를 통한 Gbps대 무선 송/수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081B2 (en) * 2014-12-26 2020-01-07 Intel Corporation Head mounted wearable device power supply system
US10014709B2 (en) * 2015-03-20 2018-07-03 Motorola Solutions, Inc. Char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7065092A1 (ja) * 2015-10-13 2017-04-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EP3364663B1 (en) * 2015-10-13 2020-12-0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6997107A (zh) * 2016-01-22 2017-08-01 周常安 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眼镜组合及其结合模块
CN206057715U (zh) * 2016-01-22 2017-03-29 周常安 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组合、眼镜结构及结合模块
JP6747844B2 (ja) * 2016-03-30 2020-08-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頭部装着型電子機器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10317939B2 (en) * 2016-04-26 2019-06-11 Westunitis Co., Ltd. Neckband type computer
TW201830953A (zh) * 2016-11-08 2018-08-16 美商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用於電子可穿戴裝置之智慧外殼
US10765380B2 (en) * 2017-04-20 2020-09-08 Bradford R Everma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CN109143578A (zh) * 2017-10-09 2019-01-04 苏州高科中维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vr眼镜辅助装置
US20190204606A1 (en) * 2018-01-03 2019-07-04 Ariadne's Thread (Usa), Inc. Virtual reality headset that enables use with a rear head support
CN108196629A (zh) * 2018-02-09 2018-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218207B1 (ko) * 2018-03-09 2021-02-19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CN110456502A (zh) * 2018-05-07 2019-11-15 太若科技(北京)有限公司 分体式ar设备和ar显示***
WO2020019850A1 (zh) * 2018-07-25 2020-0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穿戴式设备
CN108761795A (zh) * 2018-07-25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穿戴式设备
US11055056B1 (en) * 2018-09-25 2021-07-06 Facebook Technologies, Llc Split system for artificial reality
CN109143615A (zh) * 2018-09-28 2019-01-04 深圳市莱克斯瑞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
US10820079B2 (en) * 2019-01-24 2020-10-27 Htc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102136348B1 (ko) 2019-02-22 2020-07-23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JP6529105B1 (ja) * 2019-03-15 2019-06-12 英朗 疋田 頸掛式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
CN110187864A (zh) * 2019-06-05 2019-08-30 异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的智能辅助装置和方法
US11300811B2 (en) 2019-12-18 2022-04-12 Devaraj Thiruppathi Eyeglass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of moving eyeglasses off the nose utilizing the same
WO2021193713A1 (ja) * 2020-03-24 2021-09-30 ウエストユニティス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情報機器
KR102519432B1 (ko) * 2020-06-11 2023-04-11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헤드다운 타입 착용형 증강현실 구현 장치
CN112584099A (zh) * 2020-11-27 2021-03-30 国网河南省电力公司郑州供电公司 应用于通信机房巡检的ar智能眼镜
KR102438151B1 (ko) * 2021-01-29 2022-08-29 정재준 넥밴드형 의료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CN115085299A (zh) * 2021-03-15 2022-09-20 毛燕云 用于电子设备的配件和方法
KR102616113B1 (ko) * 2021-06-15 2023-12-21 주식회사 프리텍 이어폰 독립형 vr 헤드셋 장치
CN113419351A (zh) * 2021-06-28 2021-09-21 歌尔股份有限公司 Ar眼镜
WO2023049684A1 (en) * 2021-09-23 2023-03-30 Kokanee Research Llc Hmd with 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370B1 (en) * 1999-07-16 2003-07-15 James C. Anderson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e form of a necklace
US6798391B2 (en) * 2001-01-02 2004-09-28 Xybernaut Corporation Wearable computer system
US20020090099A1 (en) * 2001-01-08 2002-07-11 Hwang Sung-Gul Hands-free,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38410B1 (en) * 2003-10-09 2008-10-21 Ip Venture, Inc. Tethered electrical components for eyeglasses
EP1791392A1 (en) * 2004-09-07 2007-05-30 Temco Japan Co., Ltd.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GB2419058A (en) * 2004-10-08 2006-04-12 Stephen Antony Tombs Wearable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or radiotelephone
NO20052590D0 (no) * 2005-05-27 2005-05-27 Thales Norway As Tilkoblings- og frakoblingsanordning og et baerbart system som benytter anordningen.
US8378924B2 (en) * 2007-01-12 2013-02-19 Kopin Corporation Monocular display device
KR20110002454A (ko) * 2010-12-27 2011-01-07 이성복 목걸이용 안경테
US9182815B2 (en) * 2011-12-07 2015-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king static printed content dynamic with virtual data
US9075249B2 (en) * 2012-03-07 2015-07-07 Google Inc.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US9519640B2 (en) 2012-05-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translations in personal see through display
KR20140072651A (ko) * 2012-12-05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타입 휴대용 단말기
US9442522B2 (en) * 2013-07-11 2016-09-13 Kevin Alan Tussy Accessory for wearable computer
KR102176364B1 (ko) * 2014-03-19 202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216B1 (ko) 2023-06-23 2023-12-15 주식회사 와이젯 착용형 중계기를 통한 Gbps대 무선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3672B2 (en) 2017-12-26
EP2942931A1 (en) 2015-11-11
CN104951065A (zh) 2015-09-30
KR20150111198A (ko) 2015-10-05
CN104951065B (zh) 2019-08-20
EP2942931B1 (en) 2018-07-18
US20150280763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520B1 (ko) 이동 단말기
US11044544B2 (en)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TWI821208B (zh) 音響再生裝置
KR102176364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09407757B (zh) 显示***
US10225640B2 (en) Device and system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udio to a user
EP3161546B1 (en) Glasses-type mobile terminal
JP5392863B2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KR102212031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05759422A (zh) 显示***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2221468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10321217B2 (en) Vibration transducer connector providing indication of worn state of device
WO2019050836A1 (en) INTERACTIVE DISPLAY HEADSETS
JP5926773B2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CN116830013A (zh) 具有可连接附件的头戴式设备
JP5571840B2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JP6615944B2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CN110113068B (zh) 声音外放机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327328A1 (en) Antenna system for mobile devices
CN106310655A (zh) 电子装置及头戴式显示装置
KR10188435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20240188889A1 (en) Flash led and heart rate monitor led integr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JP6412533B2 (ja) 周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の接続方法
KR20240030868A (ko)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86704A (ko) 전자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