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517B1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517B1
KR102091517B1 KR1020130077365A KR20130077365A KR102091517B1 KR 102091517 B1 KR102091517 B1 KR 102091517B1 KR 1020130077365 A KR1020130077365 A KR 1020130077365A KR 20130077365 A KR20130077365 A KR 20130077365A KR 102091517 B1 KR102091517 B1 KR 10209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member
wire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193A (en
Inventor
성재현
류현종
강기태
김경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17B1/en
Priority to US14/184,769 priority patent/US9536456B2/en
Priority to EP14158657.8A priority patent/EP2824654B1/en
Priority to CN201410109963.5A priority patent/CN104282231B/en
Publication of KR2015000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가 휘어지도록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가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formed to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having different curvature radii,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arranged to face the flexible display unit by the external force by bending Pressing member made to apply, and the driving member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through the wire so that the pressing member bends, and is mounted on the press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tension mad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It provides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that receives and outputs a broadcast, and records and reproduces an image and a device that records and reproduces audio. Such video displa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televisions, monitors, projectors, tablets,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With the diversification of functions,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multiple functions such as shooting a picture or video, receiving a game, and broadcasting,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outputting a broadcast or playing a video. .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시도들에는 영상표시장치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ttempts corresponding to the hardware part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that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형태가 가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제안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변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변 구조에서는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의 조절이 중요한 사항이 된다.As an example of the structural change and improvement, various studies and suggestions for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having a variable shape have been actively made. It may be considered to use a wire to implement a variable struc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in such a variable structure, adjustment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becomes an important matter.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변 구조를 구현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of a wire that implements a variabl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가 휘어지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such a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formed to bend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having a different curvature radius And a pressing member disposed to face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by bending, and a driving unit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to bend the pressing me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양단부가 당겨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배면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to slide on the rear surface while pre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both ends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가 당겨질 때에 상기 가압부재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이드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guid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to prevent buckling of the pressing member when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are pulled. The support guides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pulls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switch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is restor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It is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구동부는, 회전운동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감기도록 형성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having a driving shaft that rotates,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formed to be wound by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You can.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삽입홀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홀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wir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driving shaft, and the first wire may exten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The first insertion hole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first state.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nd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l와이어는 상기 제2삽입홀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은 상기 구동축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wire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driving shaft, and the first wire may exten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 shaft.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이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감기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풀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to switch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first wire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haft, and the second wire is released relative to the driving shaft. It can be done.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이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driving shaft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in the second wire, the driving shaft has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I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as it rotates.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타면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2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such that the second wire extends from the driving shaft and continu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duction gear that connects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shaft.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피니언과 연결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랙유닛, 및 상기 가압부재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랙유닛과 상기 가압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pinion, a rack unit configured to slide by rotation of the pinion, and the rack to pull the press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랙유닛과 상기 가압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rack unit and the pressing member to pull the press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랙유닛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관통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꺽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wire may extend from the rack unit,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hape to penetrate the pressing member.

상기 랙유닛은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랙 및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랙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ack unit includes a first rack and a second rack connected to the pinion and slidingly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and the first wir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acks. Direction.

상기 제1랙의 일단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랙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는 제2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e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ack, and a second wire that pulls the press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ack.

아울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가 휘어지도록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가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formed to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having different curvature radius,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arranged to face the flexible display unit by bending.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apply the external force, a driving unit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through a wire so that the pressing member is bent, and mounted on the press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ir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Disclosed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tension control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이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adjusting unit includes a frame member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press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는 타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towar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memb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하여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길이조절유닛, 및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길이 변경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유닛 및 상기 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attached to the frame member, a length adjusting unit form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by rotation,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and the wir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Each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이 장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ember, the bas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and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and protrudes from the base and includes a protrusion on which the length adjusting unit is mounted. You can.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제1나사유닛, 및 상기 제1나사유닛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제2나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crew unit mounted on the frame member, and a second screw unit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unit and mount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제1나사유닛 및 제2나사유닛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screw unit and the second screw unit, respectively.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And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와이어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장력 조절부와 제2장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and a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양단이 당겨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장력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so as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both ends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s are at least one of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Can be mounted on.

또한,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타면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2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wire extends from the driving shaft and extend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 생산시 또는 사용중 와인딩에 의해 와이어의 장력이 세팅값을 벗어나는 경우, 장력 조절부를 통하여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세팅값에 맞출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tension of the wire deviates from the set value during product production or during winding during u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can be manually adjusted through the tension adjusting unit to match the set valu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a 및 4b는 도 3의 구조를 각각 배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축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전환 및 복원될 때 제1 및 제2와이어가 감긴 형태를 보인 개념도.
도 8a 및 8b는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
도 9a 및 9b는 장력 조절부에 의하여 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들.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 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a 및 12b는 도 11의 구조를 각각 배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들.
도 13a 및 13b는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view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bove.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of the structure of FIG. 3 as viewed from the rear and front, respectively.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e shaft shown in FIG. 4.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woun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of FIG. 2 is switched and restored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8A and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is placed in first and second states, respectively.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mechanism in which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the tension adjusting unit.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ame member shown in Fig. 9A.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shape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conceptual views of the structure of FIG. 11 as viewed from the rear and front, respectively.
13A and 1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11 is placed in first and second states,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broadcasts,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Hereinafter, a televis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121a)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remote control device 121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7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전원공급부(18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11,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 network interface unit 123, a storage unit 130, and a user input interface unit ( 121), a control unit 170, a flexible display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3D viewing device 140a.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er 110 may receive a single 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method or a multiple 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method.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them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an do.

복조부(111)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11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n ATSC system, the demodulator 111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urther, the demodulator 11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11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so that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an Decryp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method, the demodulator 111 performs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Further, the demodulator 11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11 includes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an decoder, and can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an decoding.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11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multiplexed. As an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in whic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are multiplexed.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emodulator 111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method and the DVB method. That is,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or and a DVB demodulator.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1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laptop), by wire / 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transmits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lso, the image,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and output unit allows input of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external device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B terminal,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component terminal, S-video terminal (analog), DVI ( Digital Visual Interface (HDMI) terminal,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RGB terminal, and D-SUB terminal.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a networ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Can be connected.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various set-top boxes and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3D viewing device 140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may be provided with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etc. may be us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 files of firmwar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It can also send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s or network operators.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is connected to an IP (internet protocol) TV, for example, to receive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IPTV set-top box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170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IP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PTV may mean including ADSL-TV, VDSL-TV, FTTH-TV,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mission network,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 (TVIP), Broadband TV (BTV) )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to include an Internet TV with full Internet access and a full browsing TV.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70,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information regarding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OM (EEPROM,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play a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3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may turn on / off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select a channel, or set a scree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A user input signal, such as, may be received,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sens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Can be transmitted to a negative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through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or 111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It can be generated and printed.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sound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In addition,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user to select (Tuning)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or an internal program.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tuner 110 so tha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is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hen,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allows the channel information, etc.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60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s.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receive an external device image reprodu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and receive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60.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or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video or a 3D video.

한편,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3D object for a predetermined object and displays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videos, and text.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have a different depth from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Preferably, 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appear protruding compared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recognizes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a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be grasp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s and the y-axis coordinates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can be grasped.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 channel signal or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may receive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1 or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extract an image from the input stream signal, and generate a thumbnail image. have.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input as it is or as encoded.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a list of thumbnails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s.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ethod displayed in some areas while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in a full view method displayed in most area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hav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o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to drive signals. Produces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in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deformed in a curved shape as if surrounding the user on the front surface, a realistic image quality and immers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uch a flexible display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n OLED panel.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3D image to the user. For viewing a 3D imag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single display method is a flexible display unit 140 that can realize a 3D image without a separate 3D viewing device 140a, for example, 3D glasses, for example,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 Various methods such as parallax barrier) can be applied.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Meanwhile, as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 3D image may be implemented using a 3D viewing device 140a in addition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ype and glasses type, may be applied. have. In addition, the glasses type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passive method such as a polarized glasses type and an active method such as a shutter glass type. Meanwhile, the head mounted display type can also be divided into a passive method and an active method.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formed to defor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nto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The driv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defor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by directly or indirectl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60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voice. 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Meanwhile, in order to sense a user's gesture,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a user's gesture by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a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images, and an audio output unit 160 for audio output are supplied. You can.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power may be supplied to a heating unit including a heating wire.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may use infrared (IR)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Bluetooth, UWB (Ultra Wideband), or ZigBee.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and display or output the sou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video display device 100 is a fixed type, among ATSC (8-VSB) digital broadcasting, DVB-T (COFDM) digital broadcasting, ISDB-T (BST-OFDM) digital broadcasting, etc.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In addition, digital broadcasting of terrestrial DMB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satellite DMB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ATSC-M / H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DVB-H method (COFDM method), media flow (Media Foward Link Only) method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Also,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PTV.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TV receiv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You can.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view looking at the structur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shown in FIG. 2 from above.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 제2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곡면 형태로 휘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2 and 3,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formed to bend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having different curvature radii. For example, the first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flat, and the second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curved in a curved shap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외력을 받아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도록 휘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곡면 형태로 휘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력에 의하여 다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bent to surround the user on the front surface by receiving external force, realistic image quality and immers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curved in a curved shape may be restored to a flat state again by external forc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패널(141) 및 패널(14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2)를 포함한다. 패널(141)은 휘어짐이 가능한 패널(예를 들어, OLED 패널)로 구성되며, 지지부재(142)는 패널(141)의 배면을 덮어 패널(141)과 함께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지지부재(142)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탄소 섬유 등)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ncludes a panel 141 and a support member 142 supporting the panel 141. The panel 141 is composed of a bendable panel (for example, an OLED panel), and the support member 142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141 and i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panel 141. The support member 14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itanium, carbon fiber, etc.).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변형시키는 가압부재(160)와 구동부(150)를 구비한다.In order to be able to bend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ressing member 160 and a driving unit 150 that deforms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휘어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60)는 지지부재(14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가압부재(16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압부재(160)는 지지부재(142)의 길이 방향 상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60 is disposed to fac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is made to exert an external force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by bending. 2, the pressing member 160 may be formed of a bar-shaped plat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42.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160 are provided for stable driving.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16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42.

구동부(150)는 가압부재(160)가 휘어지도록,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당겨주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50)에 의하여 가압부재(160)의 양단부가 당겨지게 되면, 가압부재(160)는 휘어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메커니즘에 따라, 평평한 상태에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60 is bent. When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150, the pressing member 160 is bent to press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the mechanis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n a flat state may be curved in a curved shape.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상태에서 휘어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며, 휘어진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도록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구동부(150)가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당기는 방향에 따라 평평한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로 그 형태가 바뀔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pulls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switched from a flat state to a curved state, and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restored to a flat state in the curved state It is formed to pull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changed to a flat state or a curved stat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150 pulls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가압부재(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150)에 의하여 양단부가 당겨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42)는 당겨진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패널(141)과 함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when both ends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150, it is made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142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by both ends of the pulled pressing member 160 and bent together with the panel 141.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지지부재(142)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 의하여 가압부재(160)의 양단부가 당겨지게 되면,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지지부재(142)를 가압하면서 지지부재(142)의 배면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레일 구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165)에 의해 지지부재(1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may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42, or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150,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sli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42 while pressing the supporting member 142.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42 by a sliding member 165 having a rail structure.

도 4a 및 4b는 도 3의 구조를 각각 배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축(153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전환 및 복원될 때 제1 및 제2와이어(151, 152)가 감긴 형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8a 및 8b는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각각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모습을 보인 개념도들이다.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of the structure of FIG. 3 as viewed from the back and front, respectively,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e shaft 153b shown in FIG. 4 It is a perspective view. In addition,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are woun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f FIG. 2 is switched and restored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FIG. 8A And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shown in FIG. 2 is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tes, respectively.

도 4 내지 8b를 참조하면, 구동부(150)는 구동유닛(153) 및 제1와이어(151)를 포함한다.4 to 8B, 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driving unit 153 and a first wire 151.

구동유닛(153)은 가압부재(160)와 지지부재(142)에 각각 결합되어 가압부재(160)를 지지부재(142)의 배면 상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구동유닛(153)은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16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153 is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160 and the supporting member 142,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pressing member 160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42. The driving unit 153 is preferably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160 to apply a uniform force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구동유닛(153)은 회전운동하는 구동축(153b)을 구비하며, 구동축(153b)은 양방향, 즉 제1 및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회전방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와이어(151)가 감기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회전방향은 제1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복원되도록 제2와이어(152)가 감기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driving unit 153 includes a driving shaft 153b that rotates, and the driving shaft 153b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directions.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ire 151 is woun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switch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is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wire 152 is woun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restor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구동축(153b)은 제1와이어(151)와 제2와이어(152)가 감기는 영역을 분할하도록 형성되는 구동축 분할부(153f)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축 분할부(153f)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53b)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동축(153b)을 제1 및 제2영역(153g, 153h)으로 분할한다. 제1와이어(151)와 제2와이어(152)는 구동축(153b)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영역(153g, 153h)에 각각 감기도록 이루어져, 제1 및 제2와이어(151, 152)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153b may include a driving shaft dividing portion 153f formed to divide an area in which the first wire 151 and the second wire 152 are wound. The drive shaft dividing portion 153f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153b, and divides the drive shaft 153b into first and second regions 153g and 153h. The first wire 151 and the second wire 152 are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53g and 153h with the driving shaft 153b therebetween,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Interference with the liver can be prevented.

구동유닛(153)의 회전축(153a)과 구동축(153b) 사이에는 감속기어(153c)가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153c)에 의하여 구동축(153b)의 회전속도가 적절히 낮춰질 수 있으며,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A reduction gear 153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53a and the drive shaft 153b of the drive unit 153.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shaft 153b may be appropriately lowered by the reduction gear 153c, and the rotational force may be increased.

제1와이어(151)는 가압부재(160)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상기 구동축(153b)의 회전에 의하여 감기도록 형성된다. 제1와이어(151)는 장력에 의해 늘어나지 않도록 연신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ire 151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160 and is formed to be wound by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153b so as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wire 15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elongation so as not to be stretched by tension.

제1와이어(151)는 구동축(153b)에 형성되는 제1삽입홀(153d)에 삽입되고, 제1삽입홀(153d)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제1삽입홀(153d)은 제1상태에서 가압부재(16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와이어(151)는 초기장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와이어(151)는 팽팽한 상태로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연결되되, 가압부재(160)를 휘게 하지는 않을 정도의 장력을 가진다.The first wire 1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formed in the driving shaft 153b, and extends in both directions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first state, wherein the first wire 151 is made to have an initial tension. That is, the first wire 15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a taut state, and has a tension not to bend the pressing member 160.

제1상태에서 구동축(153b)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와이어(151)는 구동축(153b)에 감기게 되고, 제1와이어(151)와 연결된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당겨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메커니즘에 따라, 제1상태에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2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drive shaft 153b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wire 151 is wound around the drive shaft 153b, and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51 are pulled.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pressed. According to the mechanis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n the first state is switched to the second state.

제2상태에 놓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다시 제1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동부(150)는 가압부재(160)에 연결되어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2방향으로 당겨주는 제2와이어(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와이어(152)는 구동축(153b)에 형성되는 제2삽입홀(153e)에 삽입되고, 제2삽입홀(153e)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제2와이어(152)는 제1와이어(151)와 마찬가지로 장력에 의해 늘어나지 않도록 연신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160 to pull the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placed in the second state can be restored to the first state again. A two-wire 152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econd wire 1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153e formed in the driving shaft 153b and extends in both directions from the second insertion hole 153e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Like the first wire 151, the second wire 15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elongation so as not to be stretched by tension.

또한, 제2와이어(152)는 제1상태에서 초기장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와이어(152)는 팽팽한 상태로 가압부재(160)의 양단부에 연결되되, 가압부재(160)를 휘게 하지는 않을 정도의 장력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wire 152 is made to have an initial tension in the first state. That is, the second wire 15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a taut state, and has a tension not to bend the pressing member 160.

제1삽입홀(153d)과 제2삽입홀(153e)은 구동축(153b)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삽입홀(153d) 및 제2삽입홀(153e)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홀(153d)과 제2삽입홀(153e)은 구동축 분할부(153f)에 의해 분할되는 제1 및 제2영역(153g, 153h)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53e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 shaft 153b. For example, 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53e may be form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so, the first insertion hole 153d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53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53g and 153h, respectively, which are divided by the drive shaft dividing unit 153f.

상기 구조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는 제1회전방향으로 구동축(153b)이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1와이어(151)는 구동축(153b)에 감기며, 제2와이어(152)는 구동축(153b)에 대하여 풀리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와이어(151)에 장력이 증가하여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제1와이어(151)에 의해 제1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한편, 제2와이어(152)에는 장력이 감소하여 제2방향으로는 당겨지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rotates the drive shaft 153b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from a first state to a second s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wire 151 drives the drive shaft 153b. Winding on, the second wire 152 is made to be loosen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53b). That is, tension is increased in the first wire 151 so that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wire 151. Meanwhile, the tension is reduced in the second wire 152 and is not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구동축(153b)이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하면, 제2와이어(152)는 구동축(153b)에 감기며, 제1와이어(151)는 구동축(153b)에 대하여 풀리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대적으로 느슨해졌었던 제2와이어(152)에 장력이 증가하여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는 제2와이어(152)에 의해 제2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가압력이 해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1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제1와이어(151)에는 장력이 감소하여 초기장력이 걸리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at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e second wire 152 is wound around the driving axis 153b. , The first wire 151 is made to be loosen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53b. That is, tension is increased in the second wire 152 that has been relatively loose, so that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wire 152.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restored to the first state. 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is reduced in the first wire 151 and the initial tension is applied.

제2와이어(15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제1상태에 놓였을 때 제2회전방향으로 구동축(153b)에 적어도 일 회 이상 감긴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구동축(153b)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와이어(152)는 구동축(153b)에 감긴 횟수만큼 더 구동축(153b)에 대하여 풀리도록 이루어져, 구동축(153b)의 회전 범위가 보다 넓게 세팅될 수 있다.The second wire 152 may be set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wound at least once on the driving shaft 153b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when it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According to this, when the drive shaft 153b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second wire 152 is made to be released relative to the drive shaft 153b as many times as it is wound on the drive shaft 153b,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drive shaft 153b Can be set wider.

구조적으로, 제1와이어(151)는 구동축(153b)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가압부재(160)의 일면에 연결된다. 한편, 가압부재(160)에는 제2와이어(152)가 구동축(153b)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압부재(160)의 타면으로 이어지도록 제2와이어(152)가 관통하는 관통홀(160a)이 형성된다. 관통홀(160a)을 통하여 타면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152)는 가압부재(160)의 타면에 연결되어, 구동축(153b)이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재(160)의 양단부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이루어진다.Structurally, the first wire 151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60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first direction as the driving shaft 153b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Meanwhile, a through hole 160a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152 penetrates is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160 so that the second wire 152 extends from the driving shaft 153b and continu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60. The second wire 152 extending to the other surface through the through hole 160a i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60, so that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s the drive shaft 153b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It is made to pull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한편, 가압부재(160)의 양단부가 당겨질 때에 가압부재(160)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지지부재(142)에는 가압부재(16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 가이드(166)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166)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가압부재(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o prevent buckling of the pressing member 160 when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are pulled, a supporting guide 166 disposed to cover a part of the pressing member 16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member 142. have. A plurality of support guides 166 may be provided,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160.

도 9a 및 9b는 장력 조절부(261)에 의하여 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보인 개념도들이고,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 부재(262)의 단면도이다.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mechanism in which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the tension adjusting unit 261,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member 262 shown in FIG. 9A.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와이어(151, 152)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력 조절부(261)가 제1와이어(25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unit 26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251 will be described.

도 9a 내지 10을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261)는 가압부재(260)에 장착되며, 제1와이어(251)에 연결되어 제1와이어(25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장력 조절부(261)를 통하여, 제품 생산시 또는 사용중 와인딩에 의해 제1와이어(151)의 장력이 세팅값을 벗어나는 경우, 제1와이어(251)에 걸리는 장력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세팅값에 맞출 수 있다.9A to 10, the tension adjusting unit 261 is mounted on the pressing member 26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251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251. Through the tension adjusting unit 261, when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151 deviates from the set value during product production or during winding during u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rst wire 251 is manually adjusted to match the set value You can.

장력 조절부(261)는 프레임 부재(262), 길이조절유닛(263) 및 연결부재(264)를 포함한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261 includes a frame member 262, a length adjusting unit 263, and a connecting member 264.

프레임 부재(262)는 가압부재(260)에 장착되어, 길이조절유닛(263)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진다. 프레임 부재(262)는 가압부재(260)와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260)는 휘어짐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높은 탄성력을 가지되, 균일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고강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CFRP와 같은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부재(262)는 일정 수준의 탄성력과 강성을 가지되, 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메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member 262 is mounted on the pressing member 260, and is made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ength adjusting unit 263 is installed. The frame member 262 may be formed of a pressing member 260 and a diffe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2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eg,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CFRP) having high elasticity to bend and restore, but having high rigidity to bend uniformly. On the other hand, the frame member 262 has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and rigidity,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easy to process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길이조절유닛(263)은 프레임 부재(262)에 장착되며,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길이조절유닛(263)이 회전에 의해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나사유닛(263a, 263b)을 구비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유닛(263a)은 프레임 부재(262)에 장착되며, 제2나사유닛(263b)은 제1나사유닛(263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나사유닛(263a)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The length adjusting unit 263 is mounted on the frame member 262, and is form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In this figure,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length adjusting unit 263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crew units 263a and 263b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length by rotation. As shown, the first screw unit 263a is mounted to the frame member 262, and the second screw unit 263b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unit 263a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screw unit ( 263a).

제1나사유닛(263a) 및 제2나사유닛(263b)에는 제1와이어(25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나사유닛(263b)에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조작부(263c)가 형성될 수 있다.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251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screw unit 263a and the second screw unit 263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screw unit 263b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r protrusion-shaped operation portion 263c.

연결부재(264)는 제2나사유닛(263b) 및 제1와이어(251)와 각각 연결되어, 길이 변경에 의해 제1와이어(25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264)는 제1와이어(251)의 단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슬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6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crew unit 263b and the first wire 251,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251 by changing the length. The connecting member 264 may be formed in a sleeve shape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end of the first wire 251.

한편, 가압부재(260)의 일면에는 타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수용홈(260b)이 형성되며, 프레임 부재(262)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홈(260b)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62)는 베이스부(262a) 및 돌출부(262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62a)는 가압부재(260)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60b)에 수용되며, 돌출부(262b)는 베이스부(262a)에서 돌출되어 제1나사유닛(263a)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돌출부(262b)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262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나사유닛(263a)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제1나사유닛(263a)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262c)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n accommodation groove 260b recessed towar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26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62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260b. As shown, the frame member 262 may include a base portion 262a and a protrusion 262b. The base portion 262a is accommodated in a receiving groove 260b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26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62b protrudes from the base portion 262a to create a space in which the first screw unit 263a is mounted. Prepare. A through hole 262d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262b. A screw line 262c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forming the space in which the first screw unit 263a is mounted so that the first screw unit 263a can be screwed.

앞선 실시예를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는 제1 및 제2와이어(151, 152)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장력 조절부와 제2장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장력조절부는 프레임 부재(162)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tens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and a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151 and 15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s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162.

제1와이어(151)는 가압부재(160)의 일면 상을 지나가도록 배치되며, 제2와이어(152)는 관통홀(160a)을 통해 가압부재(160)의 타면으로 이어진다. 제2와이어(152)가 감길 때 가압부재(160)의 양단을 제2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해서, 제2와이어(152)는 제1와이어(151)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장력 조절부가 프레임 부재(162)의 일면에 장착되고, 제2장력 조절부가 프레임 부재(162)의 타면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first wire 151 is disposed to pass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60, and the second wire 152 lead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60 through the through hole 160a. In order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160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second wire 152 is w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ire 152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wire 151 is mounted. Do.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member 162 and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162.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30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a 및 12b는 도 11의 구조를 각각 배면 및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며, 도 13a 및 13b는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가 각각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들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is vari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and 12B are rear views of the structure of FIG. 11 and These are conceptual view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S. 13A and 13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illustrated in FIG. 11 is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tes, respectively.

도 11 내지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구동부(350)는 구동유닛(353), 랙유닛(354) 및 제1와이어(351)를 포함한다.11 to 13B, the driving unit 350 relat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353, a rack unit 354, and a first wire 351.

구동유닛(353)은 피니언(353b)과 연결된다. 피니언(353b)은 양방향, 즉 제1 및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피니언(353b)이 가압부재(360)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53d)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driving unit 353 is connected to the pinion 353b. The pinion 353b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directions. The drawing shows that the pinion 353b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late 353d disposed on the pressing member 360.

구동유닛(353)의 회전축(353a)과 피니언(353b)의 회전축 사이에는 감속기어(353c)가 연결될 수 있다. 감속기어(353c)에 의하여 피니언(353b)의 회전속도가 적절히 낮춰질 수 있으며,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플레이트(353d)가 감속기어(353c)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피니언(353b)과 랙유닛(354)이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A reduction gear 353c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353a of the driving unit 353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353b. The rotation speed of the pinion 353b may be appropriately lowered by the reduction gear 353c, and the rotational force may be increased. In this figure, the plate 353d is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uction gear 353c, and shows that the pinion 353b and the rack unit 354 are provided with space to be installed.

랙유닛(354)은 피니언(353b)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플레이트(353d) 상에 랙유닛(354)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플레이트(353d)와 랙유닛(354)에는 랙유닛(354)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 구조가 구비된다.The rack unit 354 is configured to slide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353b. In this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rack unit 354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plate 353d. The plate 353d and the rack unit 354 are provided with a rail structure that enables sliding movement of the rack unit 354.

랙유닛(354)은 피니언(353b)에 연결되어 피니언(353b)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랙(354a)과 제2랙(354b)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랙(354a, 354b)은 피니언(353b)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재(360)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피니언(353b)의 회전에 의하여 가압부재(360)의 일단 및 타단을 향하여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rack unit 354 includes a first rack 354a and a second rack 354b that are connected to the pinion 353b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353b. The first and second racks 354a and 354b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pressing member 360 with the pinion 353b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360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353b. Each is configured to slide towards each other.

제1와이어(351)는 제1랙(354a)과 제2랙(354b)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압부재(36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랙(354a)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351)는 인접한 가압부재(36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랙(354b)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351)는 인접한 가압부재(360)의 타단에 연결된다. 랙유닛(354)에는 제1 및 제2와이어(351, 35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5a, 355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와이어(351, 352)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55a, 355b)에 묶여 고정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first wire 351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ends of the first rack 354a and the second rack 354b,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60. Specifically, the first wire 351 connected to the first rack 354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djacent pressing member 360, and the first wire 351 connected to the second rack 354b is adjacent to the pressing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360. The rack unit 354 may be provided with fixing members 355a and 355b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351 and 352. In this figure,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wires 351 and 352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s 355a and 355b formed in a rod shape.

상기 구조에 의하면, 피니언(353b)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랙유닛(354)은 제1와이어(351)가 연결된 가압부재(360)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351)는 당겨지게 되고, 제1와이어(351)와 연결된 가압부재(360)의 양단부는 제1방향으로 당겨져 곡선 형태로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는 가압부재(360)에 의해 가압되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pinion 353b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rack unit 354 sl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member 360 to which the first wire 351 is connected. Therefore, the first wire 351 is pulled, and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6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51 are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nt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is mechanism,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360 to switch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구동부(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가 제2상태에서 다시 제1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360)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는 제2와이어(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50 includes a second wire 352 that pulls the pressing member 360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can be restored from the second state back to the first state. It may further include.

제2와이어(352)는 랙유닛(354)과 가압부재(360)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랙(354a)의 일단에는 제1와이어(351)가 연결되고, 제1랙(354a)의 타단에는 가압부재(360)를 제2방향으로 당겨주는 제2와이어(352)가 연결된다. 이때, 제2와이어(352)는 랙유닛(354)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압부재(360)를 관통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꺽인 형태로 배치되며, 꺽인 제2와이어(352)는 가압부재(360)를 관통하여 가압부재(360)의 타면으로 이어져 단부에 연결된다.The second wire 352 is connected to the rack unit 354 and the pressing member 360, respectively. Specifically, a first wire 35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ack 354a, and a second wire 352 to pull the pressing member 360 in the second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ack 354a. Connected. At this time, the second wire 352 extends from the rack unit 354, at least a portion is arranged in a bent form to penetrate the pressing member 360, and the bent second wire 352 penetrates the pressing member 360 It lead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36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제1와이어(351)는 가압부재(360)의 양단부를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가압부재(360)의 일면에 연결되며, 제2와이어(352)는 가압부재(360)의 양단부를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가압부재(360)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e 351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360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6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wire 352 has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60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360 to pull.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2상태에서 피니언(353b)이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랙유닛(354)은 제2와이어(352)가 연결된 가압부재(360)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제2와이어(352)는 당겨지게 되고, 제2와이어(352)와 연결된 가압부재(360)의 양단부는 제2방향으로 당겨져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pinion 353b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in the second state, the rack unit 354 sl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pressing member 360 to which the second wire 352 is connected. . Therefore, the second wire 352 is pulled, and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6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352 are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restore the flat state.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 또한 양단부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어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36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가압부재(360)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가압부재(360)와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40)는 복원력을 받아 평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mechanism,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is also released from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to be restored to a flat state.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member 360 has a structur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in the process of the pressing member 360 is restored, the flexible display unit 340 coupled with the pressing member 360 Can be restored to a flat state by receiving resilience.

이상에서 설명한 영상표시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1)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휘어짐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가 휘어지도록,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가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 flexible display unit formed to bend by an external forc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having different curvature radii;
A pressing member disposed to face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by bending;
A driving unit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through a wire so that the pressing member is ben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pressing member and including a tension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wir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이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a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rame member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press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는 타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towar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member, the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며, 회전에 의하여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길이조절유닛; 및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길이 변경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길이조절유닛 및 상기 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ension adjusting unit,
A length adjusting unit mounted on the frame member and formed to be changeable in length by rotation; And
An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ing unit and the wire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adjust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길이조절유닛이 장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rame member,
A base portion accommodated in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and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including a protrusion in which the length adjusting unit is moun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제1나사유닛; 및
상기 제1나사유닛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제2나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ength adjustment unit,
A first screw unit mounted on the frame member; And
And a second screw unit screwed to the first screw unit and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moun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유닛 및 제2나사유닛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crew unit and the second screw unit, the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wire is formed,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제1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을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형성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driving unit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nd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using the rotating forc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includes a second wire formed to pull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와이어에 각각 연결되는 제1장력 조절부와 제2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tension adjusting unit and a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wi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양단이 당겨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압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장력 조절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so as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both ends are pulled by the driv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tension adjusting units are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회전운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타면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2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e unit,
It includes a drive shaft that rotates,
The pressure member is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extends from the drive shaft to exten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KR1020130077365A 2013-07-02 2013-07-02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65A KR102091517B1 (en) 2013-07-02 2013-07-02 Image display device
US14/184,769 US9536456B2 (en) 2013-07-02 2014-02-20 Image display device
EP14158657.8A EP2824654B1 (en) 2013-07-02 2014-03-10 Image display device
CN201410109963.5A CN104282231B (en) 2013-07-02 2014-03-21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65A KR102091517B1 (en) 2013-07-02 2013-07-02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93A KR20150004193A (en) 2015-01-12
KR102091517B1 true KR102091517B1 (en) 2020-03-20

Family

ID=5247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365A KR102091517B1 (en) 2013-07-02 2013-07-02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0069B (en) * 2015-12-09 2018-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urved-surface display device
KR20220058544A (en) * 2019-09-11 202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210143419A (en) * 2020-05-2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lcuding slide-out display
KR20220148997A (en) 2021-04-29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en)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adjus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9109812A (en) 2007-10-31 2009-05-21 Nec Corp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2796A1 (en) * 2002-12-10 2004-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for use in combination therewith
KR101483030B1 (en) * 2009-04-30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8430530B2 (en) * 2010-04-09 2013-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formal OLED luminaire with color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en)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adjus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9109812A (en) 2007-10-31 2009-05-21 Nec Corp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93A (en)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4654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88912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93921B1 (en) Image display device
US980129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72686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17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18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4658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KR102179833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78635B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88605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30538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2510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070280B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5011628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59843A (en)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KR20160059840A (en)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KR20160059842A (en) Display device
KR2017002484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