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940B1 -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940B1
KR102089940B1 KR1020180031474A KR20180031474A KR102089940B1 KR 102089940 B1 KR102089940 B1 KR 102089940B1 KR 1020180031474 A KR1020180031474 A KR 1020180031474A KR 20180031474 A KR20180031474 A KR 20180031474A KR 102089940 B1 KR102089940 B1 KR 10208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member
opening
close contact
build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869A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실내 화재 발생시 개구부를 통한 외벽으로의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구조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아래의 실시 예는 실내 화재 발생시 개구부를 통한 외벽으로의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는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단열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건물의 벽을 구성하는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함으로써 외벽을 통한 열전도를 차단하는 내단열공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내단열공법은 외벽이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단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직접 단열재를 부착하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축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외단열공법에 사용되는 단열재는 비용은 저렴하지만 화재에 취약한 가연성 재질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 단열재를 통해 건물의 상하로 전파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기존 건물의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서 기존 철거 및 불연성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 단열재의 가격이 증가하고, 가연성 단열재가 사용된 건물에 사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단열재를 철제로 덮어 씌우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건물 외부의 미감을 심각하게 손상시키고, 철제의 하중에 의해 유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간단한 시공만으로도 건물의 내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에서 개구부를 통해 화재가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건물 외부에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설치할 수 있는 방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구조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화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 및 연장부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내화부재에 이웃하는 내화부재의 몸체부 및 연장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내화부재는 두께가 2cm 내지 4c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구조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 턱에 밀착되는 상부 내화부재; 및 상기 개구부의 측부 턱에 밀착되는 측부 내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내화부재는, 상기 측부 내화부재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 내화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내화부재 및 측부 내화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 턱 및 측부 턱에 각각 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화부재 및 측부 내화부재의 날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측부 내화부재는, 상기 측부 내화부재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 내화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 턱에 밀착되는 하부 내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는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의 개구부를 통해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리모델링 없이도, 간단한 추가 시공이 가능하여 높은 적용 가능성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내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부 내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다른 방화 구조의 정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는 창문, 환기구, 배연구, 채광창 및 출입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벽에 구멍이 뚫린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외단열공법(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system. EIFS)은 건물의 벽 외부에 접착제를 통해 단열재를 접착한 후 마감재를 미장하여 건물을 단열하는 공법으로써, 단열재가 건물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보다 넓은 건물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외단열공법은 건물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끼우는 전통적 단열 공법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외단열공법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는 고온에 취약한 가연성 소재이기 때문에, 외단열공법 처리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건물의 외벽을 타고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단열공법은 드라이비트 공법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1)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 외부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화 구조(1)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 개구부의 외부 턱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방화 구조(1)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됨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개구부를 통해 건물의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화 구조(1)는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 외부에 추가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리모델링 없이도 간단한 추가 시공이 가능하여 높은 적용 가능성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1)는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내화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부 내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는 몸체부(101, 111) 및 몸체부(101, 1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02,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는 몸체부(101, 111)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103, 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내화부재(10)는 개구부의 상부 턱에 밀착되어서, 화재가 개구부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부 내화부재(10)의 몸체부(101)는 개구부의 상부 턱에 밀착될 수 있고, 상부 내화부재(10)의 날개부(103)는 건물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 내화부재(10)는 몸체부(101)와 날개부(103)가 각각 개구부의 상부 턱과 건물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건물의 외형에 순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는 개구부의 측부 턱에 밀착되어서, 화재가 개구부의 측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의 몸체부(111)는 개구부의 측부 턱에 밀착될 수 있고, 측부 내화부재(11)의 날개부(113)는 건물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는 몸체부(111)와 날개부(113)가 각각 개구부의 측부 턱과 건물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건물의 외형에 순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몸체부(101, 111)는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어 턱을 덮음으로써, 개구부의 턱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 턱 부분은, 외벽 단열재 등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불이 쉽게 옮겨 붙을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 턱 부분을 몸체부(101, 111)로 덮음으로써, 개구부 턱을 통해 외벽 단열재 등에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건물의 상층부로 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 턱을 덮는 몸체부(101, 111)는 건물 외벽과 단열재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연장부(102, 112)는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02, 112)는 개구부와 건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실내에서 발생한 불이 개구부를 통해 건물 외벽으로 직접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02, 112)는 개구부를 통해 주변으로 화재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개구부 주변의 건물 외벽에 불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내화부재(10, 11)의 날개부(103, 113)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103, 113)는 화스너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건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날개부(103, 113)에 화스너(12)가 삽입될 수 있다. 화스너(12)는 날개부(103, 113) 및 건물의 외벽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내화부재(10, 11)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복수 개의 화스너(12)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내화부재(10, 11)의 날개부(103, 113)는 불이 직접 닿을 가능성이 있는 개구부 근방의 외벽을 덮게 되므로, 개구부 외부로의 화재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의 사시도 및 정면도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내화부재(10, 11)의 몸체부(101, 111)가 개구부의 턱에 고정되어 내화부재(10, 11)의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1, 111)는 화스너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개구부의 턱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1, 111)에 화스너(12)가 삽입될 수 있다. 화스너(12)는 몸체부(101, 111) 및 개구부의 턱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내화부재(10, 11)를 개구부의 턱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복수 개의 화스너(12)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내화부재(10, 11)는 날개부(103, 11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개구부의 턱에 화스너(12)를 삽입하여 내화부재(10, 1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개구부의 턱이 단열재가 아닌 경우가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외단열공법의 적용에 따라 개구부의 턱이 단열재 등의 측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의 턱에 화스너(12)를 삽입하더라도 화스너(12)의 고정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따른 방화 구조(1)와 같이 몸체부(101, 111)를 개구부 턱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개구부의 턱에 화스너(12)를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가 있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상부 내화부재(10)는 측부 내화부재(11)와 사이에 빈틈에 생기지 않도록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내화부재(11)의 측면이 상부 내화부재(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내화부재(10)의 측면이 측부 내화부재(11)에 밀착될 수도 있다.
측부 내화부재(11)는 몸체부(111) 및 연장부(112)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의 커버부(114)는, 방화 구조(1)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측부 내화부재(11)에 이웃하는 내화부재인 상부 내화부재(10)의 몸체부(101) 및 연장부(102)에 밀착될 수 있다. 커버부(114)는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의 틈으로 화재가 확산되거나 화재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화부재(10, 11)가 수축되는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커버부(114)가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기 때문에, 상부 내화부재(10)와 측부 내화부재(11)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부(114)는 상부 내화부재(10)의 하중을 일부 지지함으로써 상부 내화부재(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내화부재(10)는 몸체부(101) 및 연장부(102)의 양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내화부재(10)의 커버부는, 이웃하는 내화부재인 측부 내화부재(11)의 몸체부(111) 및 연장부(1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부 내화부재(10)의 커버부는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내화부재(10) 및 측부 내화부재(11) 사이의 틈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 구조(1)는 개구부의 하부 턱에 밀착되는 하부 내화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는 화재가 개구부의 하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는 몸체부, 연장부 및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의 몸체부는 개구부의 하부 턱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의 연장부는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의 날개부는 몸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고, 건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의 몸체부가 개구부의 하부 턱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부 내화부재는 측부 내화부재(11)와 사이에 빈틈에 생기지 않도록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내화부재의 측면은 측부 내화부재(11)에 밀착될 수 있고, 또는 측부 내화부재(11)의 측면이 하부 내화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 내화부재와 측부 내화부재(11)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측부 내화부재(11)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하부 내화부재가 몸체부 및 연장부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화부재(10, 11)는 내화성 재질로 형성되어, 불이 단열재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부재(10, 11)는 내화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는 화재 발생시 이면 온도의 상승에 따라 기존 단열재인 스티로폼에 화재가 일어나지 않게 할 정도의 방화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화스너(12)로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압축강도, 휨강도 등의 강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부재(10, 11)는 강도가 15MPa 이상일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강도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화스너(12)가 삽입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건물의 외벽 또는 개구부 턱에 고정될 수 있다.
내화부재(10, 11)는 두께는 2cm 내지 4cm일 수 있다. 내화부재(10, 1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내화부재(10, 11)의 설치로 인해 개구부의 공간 활용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개구부를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내화부재(10, 11)가 상기 두께 범위를 갖는 경우,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하기 용이한 자중을 가지면서도, 900도 이상의 화염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견딜 수 있는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내화부재(10)의 연장부(102)는 몸체부(101)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20cm 이상일 수 있다. 상부 내화부재(10)의 연장부(102)의 길이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큰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화재가 개구부를 통해 상층부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의 연장부(112)는 일측단의 길이가 타측단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화 구조(1)가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측부 내화부재(11)의 연장부(112)는 상부 내화부재(10)와 맞닿는 쪽에 위치한 일측단의 길이가 타측단의 길이에 비해 더 길 수 있다. 측부 내화부재(11)의 연장부(112)의 일측단의 길이는 상부 내화부재(10)의 연장부(10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층부로 확산하려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개구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개구부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내화부재(10, 11)는 외벽 전체가 아닌 개구부 턱에만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가 크지 않으므로 건물 내부에서 개구부 밖으로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외부에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개구부를 통해 간단히 방화 구조(1)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높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방화 구조
10: 상부 내화부재
11: 측부 내화부재
W: 건물의 외벽

Claims (9)

  1.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의 턱에 고정되고,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화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 및 연장부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내화부재에 수직하게 이웃하는 내화부재의 몸체부 및 연장부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내화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가 연장되는 측단이 반대편 측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방화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재는 두께가 2cm 내지 4cm인 방화 구조.
  6. 외단열공법이 적용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 턱에 밀착되는 상부 내화부재; 및
    상기 개구부의 측부 턱에 밀착되는 측부 내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화부재 및 측부 내화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 턱 및 측부 턱에 각각 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화부재 및 측부 내화부재의 날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측부 내화부재는, 상기 측부 내화부재의 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부 내화부재와 수직하게 배치된 상기 상부 내화부재의 몸체부 및 연장부에 밀착되고,
    상기 측부 내화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가 연장되는 측단이 반대편 측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방화 구조.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 턱에 밀착되는 하부 내화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화 구조.
KR1020180031474A 2018-03-19 2018-03-19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10208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74A KR102089940B1 (ko) 2018-03-19 2018-03-19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74A KR102089940B1 (ko) 2018-03-19 2018-03-19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69A KR20190109869A (ko) 2019-09-27
KR102089940B1 true KR102089940B1 (ko) 2020-03-17

Family

ID=6809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474A KR102089940B1 (ko) 2018-03-19 2018-03-19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08450D0 (en) * 2021-05-21 2021-07-28 Paul Evans No title
KR102668879B1 (ko) * 2021-12-21 2024-05-31 박학선 내화방염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내화건축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74A (ja) * 2009-06-24 2011-01-13 Excel Shanon Corp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134180B1 (ko) * 2011-09-30 2012-04-09 (주)동광명품도어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601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화재 방화판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74A (ja) * 2009-06-24 2011-01-13 Excel Shanon Corp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134180B1 (ko) * 2011-09-30 2012-04-09 (주)동광명품도어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601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화재 방화판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69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027B2 (ja) 建具
JP5746961B2 (ja) 建具
KR102089940B1 (ko)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 구조
KR100744719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20190027395A (ko) 방화문
JP2010168886A (ja) 軒先構造
JP2016156265A (ja) 建具
ES2901923T3 (es) Estructura resistente al fuego
JP2010166738A (ja) バスダクト壁貫通構造およびバスダクト貫通構造
JP5653896B2 (ja) 建具
KR101544921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단열 구조체
KR102116913B1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JP2013036204A (ja) 換気部材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JP5283416B2 (ja) 軒天換気見切金物用カバープレート、軒天換気見切金物構造体及び軒天換気構造
JP5778850B2 (ja) 建具
JP6154268B2 (ja) 通気装置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8357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15193981A (ja) サッシ窓
JP2020180447A (ja) 防火戸用の開閉体
KR100744723B1 (ko) 건축물의 난간대에 설치되는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JP5060932B2 (ja) 防火軒構造
JP2015145619A (ja) 建具
JPS60184147A (ja) 建物の外周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