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610B1 -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 Google Patents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610B1
KR102088610B1 KR1020200008597A KR20200008597A KR102088610B1 KR 102088610 B1 KR102088610 B1 KR 102088610B1 KR 1020200008597 A KR1020200008597 A KR 1020200008597A KR 20200008597 A KR20200008597 A KR 20200008597A KR 102088610 B1 KR102088610 B1 KR 10208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patient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종
Original Assignee
김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종 filed Critical 김대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610B1/ko
Priority to EP20186460.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69736A1/en
Priority to US16/931,700 priority patent/US11471347B2/en
Priority to JP2020123222A priority patent/JP713184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2Susp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21Inflatable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61G2200/327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llision prevention
    • A61G2203/723Impact absorbing means, e.g. bumpers 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또는 사고 발생 시 이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이동약자를 눕혀 신속하게 이동하고, 천장이나 어딘가로 부터 날아오는 낙하물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뿐 아니라 계단 등으로 이동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설계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으로, 에어에 의해 충진 팽창될 때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하는 본체매트부와, 본체매트부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그 자체가 펼쳐질 때 본체매트부의 일면을 덮는 보호커버부와, 본체매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바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AUTOMATICALLY INFLATED TYPE AIR MAT FOR TRANSPORTING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 또는 사고 발생 시 이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이동약자를 눕혀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게 하고, 천장이나 어딘가로 부터 날아오는 낙하물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뿐 아니라 계단 등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설계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통계 자료를 보면 의료시설의 화재건수가 2015년에 67건, 16년에 68건, 17년 73건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의료시설의 경우 화재 시 병원의 특성상 혼자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취약 환자의 대피방법 및 동선 확보가 쉽지 않아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된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시 각 의료시설에서는 자체 대피방법이 구비되어 있지만, 취약 환자 1명당 성인 2명 혹은 4명이 있어야만 대피가 가능하여 인력이 부족할 때 혼자서 보행할 수 없는 취약 계층이 많은 경우, 해당 시설에서는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화재 발생시 효율적인 환자 대피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취약시설의 화재 발생시에는 천장과 같은 상부 구조물 등에서 고철물이나 기타 벽체의 조각이 낙하할 수 있으므로 혼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장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 한편으로는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보다는 일산화탄소 중독이나 연기로 인한 질식으로 생명이 위태로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연기는 주로 짧은 시간에 매우 빠르게 확산하여 주로 천장을 타고 사방으로 확산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수분 이내에 신속한 대피가 필요하다.
화재 대피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승강 통로는 불길과 연기의 굴뚝 역할을 하므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으면 질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따라서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건물 화재 발생시 휠체어 사용자, 고령자 등 이동약자들은 대피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계단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휠체어 이용자나 질병 등으로 인해 보행이 힘든 환자는 제때 대피하지 못하여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8925(2010.01.19.)호에는 조난 구조용 구명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펼쳐져 부력을 갖되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주입구와 매트 내부로 공급된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측 압력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섬유사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에어 공급부를 수용하되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방수되는 지퍼를 구비하고 전면에 구조자가 파지하여 끌 수 있도록 견인줄이 구비된 수납부와, 본체의 에어 주입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에어 공급부의 주입공에 나사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 에어를 단속하는 밸브가 구비된 연결관과, 본체의 후단부에서 본체가 에어 공급부로부터 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벨크로테입이 형성된 고정밴드로 구성된 조난 구조용 구명대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화재 사고의 대피 시에 구명대의 상단에서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낙하물을 방어하지 못하여 환자에 대한 2차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환자를 건물 계단으로 이송하는데 다수의 이송자가 필요한 점 등, 환자를 건물 계단 등으로 안전하게 이송하는데 있어서 보완해야할 사항이 많다. 이와 같이, 현재 건물 화재 발생 시 중증외상환자 등의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 사고 또는 화재 발생 시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이송에 있어서 발생되는 화염과 연기 및 어딘가에서 날아오는 낙하물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 공기 또는 가스의 주입으로 단시간에 에어매트 전체가 에어 캡슐 구조로 자동 팽창하여 환자를 보호하며 이송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 등 이동약자를 계단이나 거친 지면 등을 통해 이송할 때 이동약자에게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게가 가볍고 보관하기 쉬우며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에어에 의해 충진 팽창될 때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하는 본체매트부; 상기 본체매트부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그 자체가 펼쳐질 때 상기 본체매트부의 일면을 덮는 보호커버부; 및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바퀴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쿠션바퀴부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면에 엠보싱 형태로 설치되는 쿠션몸체와, 상기 쿠션몸체의 외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바퀴고정부와, 상기 바퀴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바퀴를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면 네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4개의 측면패드부들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매트부와 상기 측면패드부 각각은 제1 패드접합부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4개의 측면패드부들의 서로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는 제2 패드접합부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측면패드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매트부와 가스배관채널을 통해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
일실시예에서,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상기 본체매트부는 압축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를 포함한 가스를 저장한 가스캡슐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매트부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주입구 또는 에어공급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캡슐 또는 이에 대응하는 가스탱크는 상기 본체매트부에 내장될 수 있다. 물론, 구현에 따라서 가스캡슐 또는 이에 대응하는 가스탱크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외부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스탱크에 더하여 혹은 가스탱크 대신에 산소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에어 매트를 사용하여 산소호흡기의 사용이 필요한 이동약자도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부 또는 이에 대응하는 커버는 부직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필터(Air Prefilter), 그 아래층에서 활성탄 함유로 조성된 탄소 여과 필터인 챠콜필터(Charcoal filter), 상기 챠콜필터 아래층에서 미세먼지 또는 유해물질 입자를 차단하는 방진 필터(Dustproof Filter)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에어에 의해 충진 팽창되는 직사각형의 매트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매트부와 상기 본체매트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각각 말려있거나 접혀져 있도록 구비되어, 에어를 통해 아치형 돔형상으로 충진 팽창되면서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를 덮어주는 구조를 갖는 보호커버부 및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바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보호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매트부는 압축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저장하는 압축 가스캡슐을 내장하고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를 잡아당김으로서 에어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매트부와 보호커버부 및 하부보호매트는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본체매트부가 충진 팽창될 시 동시에 충진 팽창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매트부는 일측에 연장 돌출시켜 어깨에 걸어 메고 옮길 수 있도록 어깨걸이식 멜빵 형태 또는 손잡이가 구비된 끈 형태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견인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부는 부직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필터(Air Prefilter), 그 아래층에서 활성탄 함유로 조성된 탄소 여과 필터인 챠콜필터(Charcoal filter), 상기 챠콜필터 아래층에서 미세먼지 또는 유해물질 입자를 차단하는 방진 필터(Dustproof Filter)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보호매트는 하부측에서 지면과 닿는 부분에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볼록 튀어나오는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엠보싱부 내부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볼스프링을 내장하여 이송 시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보호매트는 하부측에서 지면과 닿는 부분에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볼록 튀어나오는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난 또는 화재사고 발생 시 이동이 불편한 환자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 이송 시 이송로 상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에 의해 환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화염과 연기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드러운 매트 구조로 이루어진 이송 도구로서 비상 시에 에어매트 전체가 공기 또는 가스로 단시간에 팽창하여 미리 설정된 형태를 구비하고, 계단 등으로의 이동시에도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고층건물, 산악지형 및 스키장이나 비행기 및 선박 등에서 소수의 인원으로도 이동약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철제프레임 방식이 아닌 방염소재의 우레탄 소재로 제작된 에어 매트를 사용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사용 후 말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이하 간략히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라고 함)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가 비상시 충진되어 에어캡슐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부의 층별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사용하는 실시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가 비상시 충진되어 에어캡슐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구조에 따른 저면부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9는 도 7을 상부에서 바라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채용할 수 있는 볼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에어매트를 하부 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배면측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엠보싱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은 도 15의 엠보싱바퀴부에 채용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17은 도 13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팽창용 내부 가스를 배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대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횡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구현한 제품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21은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채용할 수 있는 엠보싱바퀴부와 손잡이끈에 대한 예시도,
도 22는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내부 가스를 빼는 과정에서 에어 매트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은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내부 가스를 대부분 제거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접힌 에어 매트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4는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접은 상태와 그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의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가 비상시 충진되어 에어캡슐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1)는 에어(공기 또는 가스)에 의해 충진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직사각 매트리스 형상의 본체매트부(10)와 유사시 돔형상으로 팽창되어 이송 환자를 낙하물 또는 화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부(20), 본체매트부(10)의 아래 측 저면부에서 지면이나 계단의 이송 시 바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하부보호매트(30)로 구성된다.
본체매트부(10)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와 같은 에어가 순간적으로 공급되어 일정 높이로 부풀려지도록 설계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매트리스이다.
본체매트부(10)의 내부 일측에 내장하는 에어공급수단(11)을 통하여 에어를 발생시키고 이를 내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에어주입구(미도시)와 공급된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되되, 에어배출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구(미도시)가 구비된다. 개폐구는 실링가능한 형태의 지퍼 또는 이중벨크로 타입의 개폐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링가능한 개폐방법은 대부분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체매트부(10)에는 에어공급수단(11)을 조작할 수 있도록 연결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소정의 위치에서 돌출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잡아당기는 구조일 수 있다.
본체매트부(10)에 공급되는 에어공급수단(11)은 압축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저장하여 간단한 조작(폭발, 화학반응 등)에 의하여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일례로 팽창식 에어백 원리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나트륨과 질소로 이루어진 아지드화나트륨(NaN3, sodium azide)이라는 물질은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부풀리는 데 사용하는 매우 안전한 물질로서, 상기 물질에 산화철이라는 화합물을 섞어 놓은 상태에서 연결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를 잡아당김으로서 반응하게 하여 질소를 생성하게 되면, 이때 나오는 질소 가스가 본체매트부(10)를 채워 순간적으로 부풀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매트부(10)의 내측으로 아지드화나트륨 캡슐, 약간의 산화철(Fe2O3), 그리고 기폭 장치를 포함하도록 에어공급수단(11)을 설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본체매트부(10)의 내부에 압축공기 실(room)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압축돼 있는 가스캡슐을 내장하는 에어공급수단(11)을 설계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에어공급수단(11)에 연결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를 잡아당김으로서 가스캡슐의 밀봉이 터지게 되고, 이때 순간적으로 에어가 본체매트부(10) 내부를 일정한 공기 압력으로 충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매트부(10)에는 환자를 이송할 경우 견인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견인줄(12)과 이송 시 환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의 양측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줄(13)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견인줄(12)은 견고한 재질의 끈으로서,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환자를 포함하여 이송 시에 최소 한명의 인원으로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견인줄(12)은 본체매트부(10)의 길이방향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견인줄(12)은 또한 어깨에 걸어 메고 옮길 수 있도록 어깨걸이식 멜빵 형태로 형성되거나, 손잡이가 구비된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줄(13)은 환자를 충분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벨크로 타입, 고리 연결 타입, 밧줄 묶음 타입 등의 밸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매트부(10)의 일측면에는 헤드레스트(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레스트는 본체매트부(10)와 통기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환자의 머리를 받쳐주거나, 환자의 이송시 머리부분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헤드레스트 부분에는 전술한 에어공급수단(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비상용 에어공급수단 등이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용 에어공급수단은 유사시 신속한 내부충전을 위한 가스(GAS) 또는 압축공기 등을 보관하는 수동식 탱크 등이 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20)는 본체매트부(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환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상방지턱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유사시에는 펼쳐지면서 부풀어 올라 이송 환자를 낙하물 또는 화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캡슐 형태를 형성하는 보호덮개이다. 보호커버부(20)는 연결관에 의해 본체매트부(10)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20)는 본체매트부(1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대응되게 한쌍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매트부(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보호커버부(20)는 본체매트부(10)와 연통되어 공급되는 에어(공기 또는 가스)를 통해 충진되어 팽창되면서 아치형 돔형상으로 환자의 전신을 덮어주어 화재시 화마에 의한 환자의 사고 및 환자 이송 시 체온을 유지하는 보온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낙하물에 대한 상해를 방지하고 환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부(20)는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지 않을 시에는 환자를 덮는 담요와 같은 역할로서 환자 보호와 보온을 위한 보호덮개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부(20)는 본체매트부(10)가 연결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될 시 에어가 공급되도록 추가적인 에어주입구(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보호커버부(20)의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1)에서 하부보호매트(30)는 본체매트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계단이나 거친 지면에서의 이송 시 외부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보호매트(30)는 본체매트부(10)의 하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로서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충격흡수 매트일 수 있다.
또한, 하부보호매트(30)는 본체매트부(10)의 에어주입구에서 주입되는 에어를 연통하도록 에어주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보호매트(30)은 본체매트부(10)가 작동이 되어 에어를 공급받을 때 동시에 에어를 공급받아 순간적으로 부풀어지게 팽창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보호매트(30)는 하부측의 지면과 닿는 부분에서는 바닥 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볼록 튀어나오는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엠보싱부(31)는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계단이나 거친 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며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부의 층별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챠콜필터(charcoal filter) 및 방진필터를 전체적으로 이중 구조를 갖게 형성하여 설계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커버부(20)는 가장 최외측에 형성되는 부직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필터(Air Prefilter)층이 구성되고, 그 아래층으로 활성탄 함유로 조성된 탄소 여과 필터인 챠콜필터(Charcoal filter)가 형성되며, 상기 챠콜필터 아래층에서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 입자를 차단하고 방진 및 먼지 차단 성능을 가지는 방진 필터, 예를 들어 KF94 지수 이상의 방진필터(Dustproof Filter)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시킴으로서 먼지 및 화재에 의한 유독 가스와 같은 외부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부(20)는 그 구조 전체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더욱 강력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20)의 최하단층은 고탄성 탄소 섬유(High elastic fiber) 재질로 구성되어 환자 이송시 에어매트 하부에서의 외부 충격을 저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20)는 내부 전체를 에어로 충전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추가적으로 보호커버부(20)는 그 일부에만 에어를 충전할 수 있는 에어프레임(미도시)과 각각의 에어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의 구조를 포함하며, 에어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사이에 낙하물을 방지하는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덮개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에어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은 본체매트부(10)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서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되어, 말려있거나 접혀 있도록 구비되고,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아치형상으로 팽창되며 부풀어 올라 덮개부에 의하여 환자를 보호하는 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프레임과 연결프레임도 본체매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에어가 공급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를 배출시키는 개폐가능한 개폐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프레임은 보호커버부(20)와 유사한 형태의 돔형상으로 팽창되나, 단지 전체적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이 아닌 에어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내부에만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하는 구조의 차이만 가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사용하는 실시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평시에 환자 및 이동이 불편한 사람의 침대에 비치해 놓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보호커버부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재난 및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 시 자동 팽창식 에어공급수단에 연결된 손잡이 또는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보호커버부가 돔 형태로 팽창하여 펼쳐지게 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환자를 감싸는 에어캡슐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스트레처 카를 밀어 환자를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환자 침대나 스트레쳐 카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 패드만을 사용하여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즉, 도 6c에서와 같이 본체매트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견인줄을 사용하여 에어 매트 상의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견인줄은 어깨에 걸어 메고 옮길 수 있도록 어깨걸이식 멜빵 형태의 끈으로 형성되거나, 손잡이가 구비된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6c에서는 손잡이가 구비된 끈 형태로 환자를 이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하부보호매트와 그 하부에 형성된 엠보싱부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의 충격과 마찰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도 6c에서와 같이 계단과 같은 장소를 통해 환자를 이송하는 경우에도 환자를 보호하면서 손쉽게 최소 한명이나 소수의 인원으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환자 이송시, 보호커버부를 통해 환자의 전신을 돔형상의 캡슐 형태로 감싸주어 낙하물에 대한 상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호커버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보호층으로부터 화재에 의한 유해한 연기의 공기 정화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환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가 비상시 충진되어 에어캡슐 형태를 이루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7을 상부에서 바라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는, 본체매트부(10)가 굴곡 형상을 가지며 팽창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이송에 따른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보호매트(30)의 숫자를 2개 내지 3개까지 줄이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단시간에 에어매트 전체가 에어 캡슐 구조로 팽창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이나 화재 발생 시에 이동 약자를 계단이나 거친 지면에서의 이송 시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산악 지형뿐만 아니라 강이나 바다와 같은 수상에서도 에어로 인한 부력 작용을 할 수 있어서 환자를 손쉽게 피난시킬 수 있으며, 최소 한명 내지 소수의 인원으로도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채용할 수 있는 볼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엠보싱부를 대체하는 볼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볼스프링은 하부보호매트(3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부분의 적어도 일단이 하부보호매트(30)에 고정될 수 있다. 볼스프링은 선형 탄성부재를 구 형상이나 코일 형상으로 감아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볼스프링은 엠보싱부를 대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엠보싱부와 조합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볼스프링은 엠보싱부(31)의 내부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그 경우, 볼스프링은 코일 형상의 스프링(32)으로서 엠보싱부(31)에 감싸져 있어 엠보싱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볼스프링에 의하여 이송 시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에어 팽창식 캡슐 구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압축 가스나 소정의 내장된 화학약품과 공기의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에어매트를 하부 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는 바닥패드(110), 완충부재(120), 팽창조절부(130), 제1 측면패드(150) 및 제2 측면패드(160)를 포함한다.
바닥패드(110)는 자체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 팽창조절부(130)의 조작에 따라 일부 가스가 충전되어 평평한 매트로서의 강도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120)는 바닥패드(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가스 충전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에어매트(100)가 지면이나 바닥면에 닿을 때 에어매트(100)와 지면 혹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이나 저항을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에어매트(100)나 에어매트(100)에 눕여진 환자 등의 사람을 끌어 이송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팽창조절부(130)에는 압축가스가 저장된 탱크와 탱크 내 가스의 입출력을 위한 배관의 개조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의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면패드(150)와 제2 측면패드(160)는 바닥패드(110)의 측면에 납작하게 혹은 최소의 부피로 부착되어 있어 있다가 팽창조절부(130)의 밸브 등의 조작에 따라 공급되는 가스로 그 내부가 충진되어 그 부피가 팽창되어 바닥패드(110)의 측면에 일정 높이로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패드(150)와 제2 측면패드(160)의 경계를 형성하는 수직면은 일체로 형성되어 가스 충진 전이나 가스 충진 후에도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측면패드(160)는 팽창된 상태에서 바닥패드(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바닥패드(110)에서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상단부의 단면적이 작은 소정 두께의 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패드(150)는 바닥패드(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과 바닥패드(110)에서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상단부의 단면적이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진 소정 두께의 사각 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제1 측면패드(150)과 제2 측면패드(160)가 가스 충전에 의해 팽창되면, 제1 측면패드(150)는 제2 측면패드(160)의 형태에 따라 바닥패드(110)의 측면에서 바닥패드(110)의 상부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패드(150)에는 커버가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커버는 지퍼조작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패드(150)를 연결하며 제1 측면패드(150)와 제2 측면패드(160) 상부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는 도 4의 보호커버부(2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방염포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하부보호매트(30)나 엠보싱부(31)에 대응하고, 바닥매트(110)는 본체매트부(10)에 대응하고, 팽창조절부(130)는 에어공급수단(11)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에어매트(100)는 팽창된 상태에서 길이 175㎜ ~ 200㎜, 폭 500㎜ ~ 700㎜, 높이 300㎜ ~ 500㎜를 구비하고, 바닥매트(110), 제1 및 제2 측면패드(150, 160) 각각의 두께가 10㎜ ~ 100㎜의 크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이하 간략히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라고 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엠보싱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엠보싱바퀴부에 채용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3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팽창용 내부 가스를 배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는 본체매트부(210), 커버(220) 및 쿠션바퀴부(260)를 구비한다. 본체매트부(210)에는 머리고정유닛(212), 몸통고정유닛(214), 골반고정유닛(216), 제1 접합수단(230), 체결수단(240), 손잡이끈(242), 에어주입구(251) 및 에어배출구(253)가 구비된다. 커버(2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 접합수단(도 21의 참조부호 22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가스 또는 에어가 충전될 때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는 제1 주면 또는 상부면(210a)과 제2 주면 또는 하부면(210b)를 구비한다.
상부면(210a)에는 환자 등의 이동약자가 누웠을 때 이동약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고정유닛(212), 이동약자의 몸통을 고정하기 위한 몸통고정유닛(214), 그리고 이동약자의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골반고정유닛(216)이 설치된다.
상부면(210a)의 길이 방향에서 일단부에 머리고정유닛(212)이 배치되고, 타당부를 향해 몸통고정유닛(214) 및 골반고정유닛(216)이 기재된 순서대로 배치된다. 골반고정유닛(216)의 일단은 상부면(210)의 대략 중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머리고정유닛(212)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양단을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에 고정 결합하는 제1 체결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몸통고정유닛(214)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2 본체와 제2 본체의 양단을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에 고정 결합하는 제2 체결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골반고정유닛(214)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3 본체와 제3 본체의 3곳을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에 고정 결합하는 제3 체결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본체와 제3 체결부(215) 사이의 3개의 연결부재들 중 2개는 착탈부재를 게재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착탈부재는 암수 한쌍의 플라스틱 버클(216a, 216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의 한쪽 측면에는 제1 접합수단(230)이 구비된다. 제1 접합수단(230)은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접합수단과 착탈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제1 접합수단(230)과 제2 접합수단은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면(210b)에는 체결수단(240), 손잡이끈(242), 에어주입구(251) 및 에어배출구(253)가 구비된다. 하부면(210b)에는 또한 쿠션바퀴부(260)가 구비된다.
체결수단(240)은 하부면(210b)의 길이 방향에서 그 양단부 바닥에 한 쌍씩 고정 설치된다. 체결수단(240)은 하부면(210b)에 일단이 고정된 플라스틱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240)은 한 쌍을 이루는 다른 플라스틱 버클과 결합하여 견인줄(도 1의 참조부호 12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끈(242)은 하부면(210b)의 네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끈(24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변의 가장자리 부분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끈(242)은 반 고리 형태로 그 양단이 하부면(210b)에 고정되어 하부면(210b) 상부에서 하부면(210b) 외측까지의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에어주입구(251)는 하부면(210b)의 임의의 위치 예컨대 한쪽 커너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주입구(251)는 삽입고정형 주입구 또는 나사결합형 주입구를 구비하고 체크밸브가 결합된 커넥터를 통해 가스탱크 또는 가스캡슐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탱크나 가스캡슐은 본체매트부(210)에 수납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스탱크는 에어탱크, 불활성가스탱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스탱크에 더하여 혹은 가스탱크 대신에 산소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에어 매트를 사용하여 산소호흡기의 사용이 필요한 이동약자도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에어배출구(253)는 본체매트부(210) 내부의 공간에 충진되는 가스 또는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구조를 구비한다. 에어배출구(253)는 가스로 충전된 본체매트부(210)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신뢰성을 갖춘 개폐 구조를 구비한다. 에어배출구(253)는 에어주입부(25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쿠션바퀴부(26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매트부(210)의 하부면(210b)에 배치된다. 복수의 쿠션바퀴부(260)는 하부면(210b)의 소정 위치(260a)에 대략적으로 균등 배치될 수 있다.
각 쿠션바퀴부(26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면(210b)에 고정 부착되는 쿠션몸체(262)와, 쿠션몸체(262)의 중앙부에 결합하는 바퀴고정부(264)와, 바퀴고정부(26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바퀴(266)를 구비할 수 있다.
쿠션몸체(262)는 하부면(210b)에 대하여 탄성 재질의 볼록한 혹은 엠보싱 형태로 설치된다. 쿠션몸체(262)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쿠션몸체(262)의 내부에는 스프링이나 별도의 탄성부재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바퀴고정부(264)는 쿠션몸체(262)에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 즉, 엠보싱 형태의 중앙부에 그 일단이 결합하고 바퀴(266)에 그 타단이 결합하여 쿠션몸체(262) 상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며 바퀴(266)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가스를 뺀 상태에서 유연한 구성요소들이 서로 자유로이 중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성요소들을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 상에 놓은 상태에서 본체매트부(210)를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말거나 접어 보관하거나 휴대하도록 그 부피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구현한 제품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채용할 수 있는 엠보싱바퀴부와 손잡이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는 본체매트부(210), 커버(220), 쿠션바퀴부(260), 측면패드부(270) 및 패드접합부(291, 292)를 구비한다. 본체매트부(210)에는 머리고정유닛, 몸통고정유닛, 골반고정유닛, 체결수단, 손잡이끈(242), 에어주입구, 에어배출구 및 제3 접합수단(280)이 구비된다. 커버(2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2 접합수단(222)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가스 또는 에어가 충전될 때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210a)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패드접합부(291, 292)를 통해 측면패드부(27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와 본체매트부(210)의 네 변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하는 4개의 측면패드부(270) 각각은 본체매트부(210)의 내부공간(210c)과 측면패드부(270)의 내부공간(270a)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연한 재질의 가스채널배관(255)를 통해 서로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측면패드부(270) 각각은 본체매트부(210)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현에 따라서 4개의 측면패드부(270) 중 어느 하나가 본체매트부(210)와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측면패드부들이 제2 패드접합부(292) 내부에서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패드부(270)는 독립적으로 에어주입구(251a), 에어배출구(253a) 또는 이 둘 모두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에는 환자 등의 이동약자가 누웠을 때 이동약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고정유닛이 설치되는 제1 부분(212x), 이동약자의 몸통을 고정하기 위한 몸통고정유닛이 설치되는 제2 부분(214x), 및 이동약자의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골반고정유닛이 설치되는 제3 부분(216x)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매트부(210)의 하부면(210b)에는 체결수단, 손잡이끈(242), 에어주입구 및 에어배출구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면(210b)에는 쿠션바퀴부(260)가 구비된다.
측면패드부(270)는 본체매트부(210)의 4개의 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본체매트부(210)의 상부면(210a)에서 일정 높이(예를 들어 500㎜ ~ 700㎜)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패드부(270)는 패드접합부(291, 292)를 통해 본체매트부(210)에 일체로 결합되어 본체매트부(210)에 에어(air) 등의 가스가 주입될 때 함께 혹은 동시에 팽창하여 미리 설정된 벽 형태를 형성하고, 본체매트부(210)에서 가스가 배출될 때 함께 수축하여 유연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측면패드부(270) 중 3개의 측면패드부(270)의 상부면에는 제3 접합수단(280)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접합수단(280)은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접합수단(222)과 착탈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제2 접합수단(222)과 제3 접합수단(280)은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접합부(291, 292)는 제1 패드접합부(291)과 제2 패드접합부(29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패드접합부(291)는 본체매트부(210)의 4개의 변의 가장자리 부분들 각각에서 4개의 측면패드부(270)를 본체매트부(210)에 고정하며, 제2 패드접합부(292)는 4개의 측면패드부들의 서로 인접한 면들 사이에서 신축가능한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는 측면패드부(270)와 패드접합부(291, 292) 및 이에 따르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251a, 253a, 280)의 변경이나 추가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내부 가스를 빼는 과정에서 에어 매트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서 내부 가스를 대부분 제거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접힌 에어 매트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0의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를 접은 상태와 그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는 충전매트부(210)와 측면패드부(270)의 내부 공간에서 에어, 비활성기체 등의 가스를 제거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에서 내부의 가스를 빼기 시작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매트부(210)의 형태와 측면패드부(270)의 형태가 쪼그라들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가 빠져 납작해진 본체매트부(210) 상에 가스가 빠져 납작해진 측면패드부(270)와 커버(220) 등이 중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에서 내부 가스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직접 혹은 소정의 장비를 통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매트(200A)를 접거나 말아서 그 부피를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 부피가 축소된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는, 일례로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에 쿠션바퀴부가 노출되는 직방체 형태의 부피로 팩킹될 수 있다. 직방체 형태로 팩킹된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는 도 24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L1) 500㎜ ~ 700㎜, 폭(W1) 200㎜ ~ 300㎜, 두께(T1) 150㎜ ~ 200㎜까지 축소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팽창식의 팩킹가능한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200A)를 사용하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화재 등의 사고발생 시 이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이동약자를 적은 인원으로 효과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측면패드는 측면패드부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의 예시도들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범퍼형 에어 매트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매트부(210)과 하나의 측면패드부(270) 사이에 유체소통가능한 복수의 가스채널 혹은 에어채널을 형성하는 4개의 가스연결배관(255)을 구비할 수 있다. 4개 이상의 가스연결배관(255)을 사용하면 본체매트부(210)를 통해 측면패드부(270)를 가스나 에어로 효과적으로 빠르게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에는 에어주입구(251a)와 에어배출구(253a)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에어주입구(251a)는 압력밸브의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압력밸브 기능을 구비한 에어주입구(251a)는 압력밸브로 지칭될 수 있고,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 내부에 일정 이상의 과도한 압력이 형성될 때 일정량의 가스 또는 에어를 자동 방출함으로써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계단 등과 같이 심한 요철 바닥 위를 에어 매트에 환자를 태우고 이동할 때 계단 단차 모서리 등에 의해 에어 매트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의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커져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가 파손되거나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주입구에는 수동 펌프(3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에에주입구는 수동펌프(300)의 노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에어 매트에서는 특정한 경우에 따라 수동 방식으로 본체매트부나 측면매드부 내부에 외부의 가스나 에어를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8, 29, 30 및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패드부(270)를 구비하는 범퍼형 에어 매트는 그 길이 방향 전후면과 측면에 손잡이(2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들(242)을 사용하면, 범퍼형 에어 매트의 길이 방향의 전면과 후면에서 설치되는 견인줄(12)을 이용하여 범퍼형 에어 매트를 끌어당기는 방식 외에 사람들이 손잡이들(242)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범프형 에어 매트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42)의 구성은 휴대용 에어 매트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에어 매트의 배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들(242)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공급수단의 일종으로 압력밸브의 기능이 없는 메인 에어주입구 또는 제2 에어주입구(252)의 위치는 임의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에어 매트에서는 제2 에어주입구(252)가 손잡이들(242)과 쿠션바퀴부(260)가 설치된 본체매트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에어 매트 위에 사람이 누웠을 때 본체매트부 상에서 사람의 발쪽 부분에 제2 에어주입구(252)를 설치하거나 측면패드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배관을 구비하는 체크밸브(400)를 이용하여 외부의 가스용기(500)를 탈부탁할 수 있다. 체브밸브(400)를 사용하면, 에어 매트의 내부에 탑재되는 가스통과 외부의 고압가스의 가스용기(500)를 체크밸브(400)를 통해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외부의 가스용기(500)를 가스통에 연결된 경우, 가스통이나 에어캡슐에 에어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장된 가스통이나 에어캡슐을 조작하여 본체매트부나 측면패드부의 내부를 에어로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에어매트 10: 본체매트부
11: 에어공급수단 12: 견인줄
13: 고정줄 20: 보호커버부
30: 하부보호매트 31: 엠보싱부

Claims (9)

  1. 에어에 의해 충진 팽창될 때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하는 본체매트부;
    상기 본체매트부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그 자체가 펼쳐질 때 상기 본체매트부의 일면을 덮는 보호커버부;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바퀴부; 및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면 네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결합하는 4개의 측면패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매트부와 상기 측면패드부 각각은 제1 패드접합부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4개의 측면패드부들의 서로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는 제2 패드접합부가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4개의 측면패드부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본체매트부와 가스배관채널을 통해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바퀴부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면에 엠보싱 형태로 설치되는 쿠션몸체와, 상기 쿠션몸체의 외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바퀴고정부와, 상기 바퀴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매트부는 압축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를 포함한 가스를 저장한 가스캡슐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매트부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주입구 또는 에어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캡슐 또는 이에 대응하는 가스탱크는 상기 본체매트부에 내장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 또는 이에 대응하는 커버는 부직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필터(Air Prefilter), 그 아래층에서 활성탄 함유로 조성된 탄소 여과 필터인 챠콜필터(Charcoal filter), 상기 챠콜필터 아래층에서 미세먼지 또는 유해물질 입자를 차단하는 방진 필터(Dustproof Filter) 층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바퀴부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면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쿠션바퀴부는 상기 본체매트부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는 쿠션몸체와, 상기 쿠션몸체의 중앙부에 결합하는 바퀴고정부와, 상기 바퀴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바퀴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쿠션몸체는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 탄성 재질의 볼록한 형태 혹은 엠보싱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바퀴고정부는 상기 쿠션몸체에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 또는 엠보싱 형태의 중앙부에 그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바퀴에 그 타단이 결합하여 상기 쿠션몸체 상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며 바퀴를 지지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나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매트부는 제1 주면 또는 상부면과 제2 주면 또는 하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에는 이동약자가 누웠을 때 상기 이동약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고정유닛, 상기 이동약자의 몸통을 고정하기 위한 몸통고정유닛, 그리고 상기 이동약자의 골반을 고정하기 위한 골반고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머리고정유닛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양단을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고정유닛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양단을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골반고정유닛은 유연한 재질의 시트 형상의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3곳을 상기 본체매트부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하는 제3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본체와 상기 제3 체결부 사이의 3개의 연결부재들 중 2개는 착탈부재를 게재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착탈부재는 암수 한쌍의 버클을 포함하는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KR1020200008597A 2019-07-22 2020-01-22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KR10208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6460.0A EP3769736A1 (en) 2019-07-22 2020-07-17 Automatically inflatable patient transfer air mattress
US16/931,700 US11471347B2 (en) 2019-07-22 2020-07-17 Automatically inflatable patient transfer air mattress
JP2020123222A JP7131848B2 (ja) 2019-07-22 2020-07-17 患者移送用自動膨張式エアマットレ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8518 2019-07-22
KR1020190088518 2019-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610B1 true KR102088610B1 (ko) 2020-03-12

Family

ID=6980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597A KR102088610B1 (ko) 2019-07-22 2020-01-22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71347B2 (ko)
EP (1) EP3769736A1 (ko)
JP (1) JP7131848B2 (ko)
KR (1) KR102088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65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골든아워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6472A1 (en) * 2019-10-09 2021-04-15 Thomas K. Milo Medical Backboard/Stretch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123U (ja) * 1983-10-15 1985-05-16 村上 重子 担架
KR100842325B1 (ko) * 2007-07-23 2008-06-30 문희정 레저 스포츠용 에어매트
JP3159949U (ja) * 2009-12-16 2010-06-10 規江 鈴木 二重耳かけ付きマスク
KR20110030056A (ko) * 2009-09-17 2011-03-23 켄지 타케우치 에어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712Y2 (ko) * 1986-02-28 1993-10-21
JPH0611727U (ja) * 1991-03-14 1994-02-15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寝たきり老人搬送具
US6073291A (en) * 1997-02-21 2000-06-13 Davis; David T. Inflatable medical patient transfer apparatus
US20030106155A1 (en) * 2001-12-12 2003-06-12 Lisa Arai Inflatable stretcher
JP4175460B2 (ja) * 2002-12-24 2008-11-05 洋一郎 山野邉 可搬式減圧室
US9125777B2 (en) * 2005-01-14 2015-09-08 Sage Products, Llc Body transport apparatus
KR100938925B1 (ko) 2008-01-04 2010-01-27 (주)에어박스 조난 구조용 구명대
US7774877B2 (en) * 2008-06-06 2010-08-17 Christopher Kenalty Evacuation mattress
JP2010107026A (ja) * 2008-10-31 2010-05-13 Shigeno Tekko Kk 転動装置
FR2975282B1 (fr) * 2011-05-16 2013-12-27 Aerazur Matelas d'evacuation gonflable
MX2016013694A (es) * 2014-04-24 2017-05-03 Ingenious Designs Llc Montaje de ruedita.
JP2016129992A (ja) * 2015-01-15 2016-07-21 東洋紡株式会社 防護材料
US10925410B2 (en) * 2018-01-26 2021-02-23 MedicusTek, Inc. Mattress with sensor module for patient ca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123U (ja) * 1983-10-15 1985-05-16 村上 重子 担架
KR100842325B1 (ko) * 2007-07-23 2008-06-30 문희정 레저 스포츠용 에어매트
KR20110030056A (ko) * 2009-09-17 2011-03-23 켄지 타케우치 에어 매트
JP3159949U (ja) * 2009-12-16 2010-06-10 規江 鈴木 二重耳かけ付きマス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65A1 (ko) * 2022-09-01 2024-03-07 주식회사 골든아워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16799A (ja) 2021-02-15
JP7131848B2 (ja) 2022-09-06
EP3769736A1 (en) 2021-01-27
US20210022937A1 (en) 2021-01-28
US11471347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610B1 (ko)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US5687713A (en) Breathing mask
US20030106155A1 (en) Inflatable stretcher
EP0959859B1 (en) Patient carrier/rescue stretcher
US20030071427A1 (en) Cart for transport of personnel and material in a hazardous environment
US20120151679A1 (en) Subway evacuation mattr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523622B2 (en) Fire/water rescue sled for handicapped and elderly
EP1171204B1 (en) Avalanche life-preserving jacket with airbag
US20110226252A1 (en) Hyperbaric therapy device
KR20240031642A (ko) 자동 팽창식 환자 이송용 에어 매트
KR102011325B1 (ko) 환자보호용 에어매트
EP0682543B1 (en) Breathing mask
TWI798113B (zh) 具供氧及隔熱功能之火場救援袋結構
JPH0511986B2 (ko)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WO2000076589A1 (en) Survival jacket
KR102453531B1 (ko) 응급상황시 이동약자를 긴급이동시킬 수 있는 안전시트
JP2005519656A (ja) 救助用エアジャケット
CN218357013U (zh) 消防火场应急盾牌
KR20190002628U (ko) 결합식 인명 구조용 안전에어매트
CN214283372U (zh) 一种用于成人的多功能灾害处置新生儿救生衣
JPH11350213A (ja) 人体用補助具
KR102421735B1 (ko) 다용도 구조장비 기능을 갖는 레스큐 백
US20230054808A1 (en) Emergency evacuation oxygen mask
GB2350777A (en) Survival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