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82B1 -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82B1
KR102088382B1 KR1020120099463A KR20120099463A KR102088382B1 KR 102088382 B1 KR102088382 B1 KR 102088382B1 KR 1020120099463 A KR1020120099463 A KR 1020120099463A KR 20120099463 A KR20120099463 A KR 20120099463A KR 102088382 B1 KR102088382 B1 KR 10208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ternal device
bending
applic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767A (ko
Inventor
정지현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82B1/ko
Priority to US14/018,995 priority patent/US9886100B2/en
Priority to EP13183444.2A priority patent/EP2706438B1/en
Priority to CN201380058315.5A priority patent/CN104823132B/zh
Priority to PCT/KR2013/008082 priority patent/WO2014038893A1/en
Publication of KR2014003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외부 기기간의 콘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Panel) 등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 LC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입고 다닐 수 있는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는 성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UI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콘텐트를 송수신하거나 통화를 연결하거나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복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벤딩이 감지됨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외측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기울임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기울임 동작의 기울임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형상은,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하고, 제 2 벤딩 형상은,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될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소정 콘텐트의 전송률에 기초하여, 소정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벤딩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2 벤딩 감지 시에 최상위에 배열된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콘텐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를 향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 4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4 벤딩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수신율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서버에 백업하기 위한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는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 2 영역에 제 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2 영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에서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 1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및 선택된 콘텐트가 전송됨에 따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 목록 중 제 1 디바이스를 송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 2 디바이스를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제 1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1 영역이 볼록하게 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제 1 영역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출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제 1 영역에서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제 2 영역으로 떨어지는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제 2 영역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오목하게 벤딩된 제 2 영역으로 떨어지는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 1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은,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1 벤딩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2 벤딩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복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받고, 제어부는,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외측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기울임 동작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기울임 동작의 기울임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스크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소정 콘텐트의 전송률에 기초하여, 소정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1 벤딩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부는, 제 2 벤딩 감지 시에 최상위에 배열된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 2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콘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를 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수신율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콘텐트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외부 서버에 백업하기 위한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 2 영역에 제 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된 콘텐트가 전송됨에 따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는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화면의 제 2 영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에서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 1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송률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신율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가 전송되는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가 전송되는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벤딩(bending)"이란 외부의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벤딩 동작(bending motion)"이란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동작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동작은, 사용자의 폴딩(folding) 제스처, 롤링(rolling) 제스처, 쉐이킹(shaking) 제스처, 플래핑(flapping) 제스처, 벤딩(bending) 제스처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지는 움직임 모두를 통칭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트”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콘텐트는, 동영상 콘텐트(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트(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 콘텐트(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웹 페이지 등), 음악 콘텐트(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위젯, 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송수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의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무선 랜, Wi-Fi)도 가능하다. 무선 랜(Wi-Fi)은, 기기의 종류, 혹은 사용 모드에 따라 무선 신호를 전달하는 AP(액세스 포인트: access point, 무선 공유기 등)가 주변의 일정한 반경 내에 있는 복수의 단말기(PC 등)들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인프라 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 그리고 AP 없이 단말기끼리 P2P(Peer to Peer)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애드 혹(ad hoc) 모드로 나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벤딩 동작에 따라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송신하거나,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링크가 형성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외부 디바이스(200)는,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키오스크, POS(Point Of Sales) 단말, 전자북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DTV(Digital television), CE(Consumer Elctronics) 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냉장고, 에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벤딩 동작에 따라 콘텐트를 송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부(130), 검색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벤딩 인식 모듈(111), 터치 인식 모듈(112), 모션 인식 모듈(113), 키 인식 모듈(114), 음성 인식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인식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 인식 모듈(11)은 벤딩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벤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인식 모듈(111)은 복수의 벤딩 센서로부터 벤딩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벤딩 센서는 점 형태의 센서일 수도 있고, 라인 형태의 센서일 수도 있다.
벤딩 인식 모듈(111)은 벤딩 동작과 관련하여, 벤딩 위치(좌표 값,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동작 유지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인식 모듈(111)은 벤딩되는 부분의 압력과 다른 부분의 압력이 다른 특징을 이용하여, 벤딩 위치, 벤딩 방향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벤딩 동작 인식 모듈(111)은 벤딩되는 부분의 힘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벤딩되는 각도, 반경, 횟수, 속도 등을 구할 수도 있다. 한편, 벤딩 인식 모듈(111)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각 부분이 변형되는 속도를 측정하고, 속도의 변화가 큰 위치를 연결하여 벤딩 위치 및 벤딩 각도를 구할 수도 있다. 또한, 벤딩 인식 모듈(110)은, 벤딩 되는 부분의 온도, 장력, 기울기가 다른 부분의 온도, 장력, 기울기와 다른 특징을 이용하여, 벤딩 위치, 벤딩 각도 등을 구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인식 모듈(111)이 벤딩 위치, 벤딩 각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벤딩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인식 모듈(111)은 점 형태의 벤딩 센서가 위치한 센서 포인트의 수치 변화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센서는 센서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센서는 +180도에서 -180도까지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벤딩 센서는, 각각의 센서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벤딩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 상태를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복수의 벤딩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벤딩 각도에 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분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c)는 복수의 벤딩 센서를 통해 수집된 각 센서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인식 모듈(111)은 복수의 벤딩 센서를 통해서 각각의 센서 포인트에서의 벤딩 각도에 대한 로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제 1 센서(S1)를 통해 수집된 제 1 센서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0도’이고, 제 2 센서(S2)를 통해 수집된 제 2 센서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10도’이고, 제 3 센서(S3)를 통해 수집된 제 3 센서 포인트의 벤딩 각도는 ‘15도’라는 로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인식 모듈(111)은 수집된 벤딩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S320]. 예를 들어, 벤딩 인식 모듈(111)은, 각 벤딩 센서의 공간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인식 모듈(111)은 각각의 벤딩 센서에서 감지된 벤딩 각도를 기초로, 각 센서 포인트에서의 3차원 좌표 값(x축, y축, z축)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벤딩 인식 모듈(111)에서 도출된 제 1 센서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10, 4, 2)이고, 제 2 센서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11, 14, 2)이고, 제 3 센서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은 (5, 4, 20) 등일 수 있다. 이때, 각 센서 포인트의 3차원 좌표 값을 연결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 인식 모듈(111)은, 분석된 디스플레이 평면의 변형 상태에 따라 도출되는 벤딩 동작을 기 정의된 이벤트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벤딩 동작이 소정 횟수이상 반복되는 경우, 벤딩 인식 모듈(111)은, 플래핑(Flappling)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벤딩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벤딩 인식 모듈(111)은, 홀딩(Holding)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고, 벤딩이 소정 시간 미만으로 1회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 인식 모듈(111)은, 소정 모션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벤딩 인식 모듈(111)은, 벤딩 동작이 감지된 센서 포인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기 정의된 이벤트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평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상태로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벤딩 인식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가 볼록하게 휜 동작으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센서(400)는 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센서(40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센서(400)는, 코일을 지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벤딩 인식 모듈(111)은 인덕턴스의 변화가 일어난 벤딩 센서의 위치 및 인덕턴스의 변화 값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인식 모듈(1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 센서의 위치를 기초로, 벤딩 라인을 도출하고, 인덕턴스의 변화 값을 기초로 벤딩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인식 모듈(111)은 상기 도출된 벤딩 라인과 벤딩 각도, 인덕턴스의 변화 값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벤딩 동작을 기 정의된 이벤트로 맵핑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터치 인식 모듈(11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모듈(112)은,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태의 변형에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차원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등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입력에는 X 축, Y 축, Z 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동되는 3차원 모션 입력, 3차원 공간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회전되는 회전 모션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흔들리는 쉐이킹 모션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소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 모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모션 인식 모듈(113)은, 상기 다양한 센서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외선을 송수신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고, 카메라를 통해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키 인식 모듈(114)은, 하드웨어 키(예컨대, 방향 키, 글자 키, 마우스 등)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15)은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 모듈(122), 알람부(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콘텐트 목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외측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할 수도 있고, 콘텐트의 전송률 또는 수신율에 따라, 송수신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가 전송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전자 펜, 손가락 등이 있다.
음향 출력 모듈(122)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2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Inquiry (질의)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사용자 입력(벤딩 입력, 터치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모션 입력)수신 등이 있다. 알람부(123)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200)가 위치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31), 무선 인터넷 모듈(132), 이동 통신 모듈(133), 유선 인터넷 모듈(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short range)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이다. UWB (ultra wideband)란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다량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기술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접한 기기 간에 자기장 유도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접속 방식에 관한 것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통신이 가능하다. WFD(Wi-Fi Directi)란 와이파이 기술의 새 버전으로, 가장 큰 특징은 기기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핫스팟, 라우터, AP(Access Point)가 없이도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설치된 기기만 있다면 기기끼리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WFD(Wi-Fi Directi)는 블루투스와 같이 pairing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고, 최대 약 200m 정도까지의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여러 기기와 1: N 통신이 가능하다.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한다. 지그비(ZigBee)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3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32)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3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디바이스(2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유선 인터넷 모듈(134)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와 콘텐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에서 정의된 디바이스들에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DMS(Digital Media Server), 콘텐트를 렌더링하는 DMR(Digital Media Renderer), DMS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트를 DMR의 렌더링 능력에 매칭시켜, DMS와 DMR간의 연결을 설정(set up)하는 DMC(Digital Media Controller) 등이 있다.
DLNA 규격은 디바이스의 발견(discovery) 및 제어(control)를 위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규격을 채택하고 있다. UPnP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PC가 주변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을 전체 네트워크로까지 확장시켜, 여러 가전 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인터넷 게이트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킹 특히, 홈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UPnP 네트워크는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기기인 UPnP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CD)와 UPnP 컨트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PnP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CP)로 구성된다. UPnP 컨트롤 장치와 UPnP 컨트롤 포인트간에는 TCP/IP, HTTP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들과 XM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는 UPnP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 UPnP 컨트롤 포인트는 UPnP 컨트롤 장치로 UPnP 컨트롤 요청을 전송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PnP Vendor(510)는 UPnP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UPnP Forum(520)은 장치 제어 프로토콜(Device Control Protocol: DCP)을 제공한다. UPnP Device Architecture(530)는 UPnP의 핵심(core)이 되는 부분이다.
UPnP 컨트롤 포인트와 UPnP 컨트롤 장치는 심플 오브젝트 접근 프로토콜(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540)이라는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즉,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장치를 발견(discovery)하고, 컨트롤 장치로부터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한 자세한 명세(description)를 제공받으면, 컨트롤 장치를 제어(control)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다. 이때, 제어 포인트는 컨트롤 장치의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는 액션(action)을 호출함으로써 컨트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UPnP 환경 하에서 이러한 액션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표현되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이라는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포인트가 되고, 외부 디바이스(200)가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CD)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외부 디바이스(200)가 제어 포인트가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트롤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61에서, DMP(Digital Media Player)는 UPnP DA(Device Architecture)의 단계를 통해서 UPnP 장치들을 검색하여 DMS를 발견하게 된다.
단계 62에서, DMP는 발견된 DMS에 명세(description)를 요청하게 되고, DMS로부터 명세(description)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DMP는 CDS:Browse/Search()를 통해, DMS의 콘텐트 목록과 콘텐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트 정보에는 콘텐트 ID, 제목, 생성일자, 종류, 접근 UR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MP는 수신한 콘텐트 목록을 UI(User Interface)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단계 63에서, DMP는 DMS의 Connection Manager의 PrepareForConnection 액션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메시지는 XML로 기술되며, 설정 메시지에는, SOAP 형식에 맞춰 구성된 프로토콜 정보, Connection Manager ID, Connection ID, 콘텐트의 전달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MS의 Response는 ConnectionManager 서비스 인스턴스 ID, AV Transport 서비스 인스턴스 ID, RCS 서비스 ID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MS는 전송 프로토콜로는 HTTP-GET 프로토콜을, 콘텐트 포맷은 MPEG2-TS 형식을, 연결 시 Connection Manager 서비스의 ID는 0, 전달 방향은 INPUT임을 PrepareForConnection 액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단계 64에서, DMP는 DMS에 재생할 콘텐트를 통보할 수 있다. DMP는 DMS의 AV Transport 서비스의 SetAVTransportURI 액션을 통해 재생할 콘텐트를 통보할 수 있는 것이다.
SetAVTransportURI는 PrepareForConnection과 마찬가지로 XML로 기술되며, SOAP 형식에 맞춰 구성된다. 즉, SetAVTransportURI는 AV Transport 서비스의 가상 인스턴스 ID, 콘텐트의 URI, 콘텐트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XML 문서의 URI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5에서, DMP는 PrepareForConnection, SetAVTransportURI 두 액션을 사용하여 콘텐트 재생을 준비한 후 DMS로 Play 액션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6에서, DMP는 콘텐트를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 방식이 푸쉬 방식일 경우, DMS는 선택된 콘텐트를 DMP로 전송하고, DMP는 콘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재생 방식이 풀 방식일 경우, DMP가 DMS로 접근하여 해당 콘텐트를 요구해서 재생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검색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검색부(140)는 기본적으로 대기(standby) 상태에 진입한 후, 주위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존재를 인지하기 위해 일회 또는 소정 주기로 ID 패킷을 이용한 조회 메시지(Inquiry)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조회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00)가 조회 응답 메시지(Inquiry response)를 전송하게 되면, 검색부(140)는, 조회 응답 메시지(Inquiry response)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를 인지하게 된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예컨대,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 백업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콘텐트 목록, 콘텐트, 그래픽 영상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벤딩 동작을 명령어(또는 애플리케이션)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또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로 콘텐트를 전송하는 명령어(또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모리(150)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과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키거나,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부(130), 검색부(140), 메모리(15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를 선택하거나, 콘텐트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710)을 포함하는 전면부와 화면을 포함하지 않는 배면부(720)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것은 볼록하게 벤딩하는 것을 의미하고,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것은 오목하게 벤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것은, 화면(710)이 존재하는 전면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면(710)이 존재하는 전면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은, 배면부(720)가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한편,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것은, 화면(710)이 존재하는 전면부가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면(710)이 존재하는 전면부가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은, 배면부(720)가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8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 벤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벤딩은, 상기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변형된 것일 수도 있고,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변형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하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콘텐트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됨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벤딩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과 다른 제 2 형상으로 변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벤딩은 제 1 벤딩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즉, 제 1 벤딩이,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된 것인 경우, 제 2 벤딩 은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150)에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전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소지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디바이스(200)와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콘텐트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백업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부 서버에 콘텐트를 백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콘텐트를 재생하고,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재생 중인 콘텐트를 외부 서버에 백업할 수도 있다.
'백업(backup)' 은 사용자의 실수나 디바이스상의 오류, 바이러스 감염 등의 문제로 데이터가 손실. 혹은 삭제되는 것에 대비해서 다른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복사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콘텐트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고,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되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콘텐트 목록에서 선택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9 및 도 1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됨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됨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복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받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이 감지됨에 따라,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 콘텐트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트 재생 중에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중인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중인 콘텐트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상에서 기능적으로 분류된 복수의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직관적인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관리하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검색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즉, 단계 920 및 9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고, 단계 95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전송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의 콘텐트 전송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9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요청하는 벤딩 동작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위치(예컨대,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등을 분석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벤딩하는 동작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동작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벤딩하는 동작일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920].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란 외부 디바이스를 다른 기기와 구별하기 위한 외부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는 디바이스 아이디, 기기 명, 맥 어드레스, 식별 이미지(예컨대, 아이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이 오목하게 벤딩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화면이 오목하게 벤딩되는 동작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요청하는 동작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외측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화면의 양쪽 끝에서 오목해진 화면을 따라 밀려 내려오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일측(예컨대, 우측 가장자리)에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가 출현하여 화면의 타측(예컨대, 좌측 가장자리)으로 이동해가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로 돌아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930].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인한 후, 콘텐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벤딩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키 입력,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정 영역을 벤딩하거나,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거나, 소정 키를 누르거나, 소정 음성을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소정 모션을 취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 중 벤딩 입력을 일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각도 이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제 3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3 벤딩 동작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자.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에 의해 화면에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콘텐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벤딩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벤딩 동작에 의해 제 1 각도로 오목(-Z방향)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바이스 1의 식별 정보(예컨대, 아이디, 아이콘)가 표시된 영역을,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로 더 오목(-Z방향)하게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각도로 오목(-Z방향)하게 벤딩된 제 3 벤딩 동작의 벤딩 라인(1100)을 검출하게 되고, 제 3 벤딩 동작의 벤딩 라인(110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1’을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게 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서 디바이스 2가 표시된 영역을 사용자가 제 2 각도로 오목(-Z방향)하게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바이스 2’를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게 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벤딩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벤딩 동작에 의해 오목(-Z방향)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바이스 5’의 식별 정보(예컨대, 아이디, 아이콘)가 표시된 영역을, 볼록(+Z방향)하게 벤딩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로 ‘디바이스 5’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화면의 중심 영역을 벤딩함으로써, 콘텐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향 키 등을 조작하거나, 음성 명령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울이는 모션 입력을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롤(scroll)’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screen)이나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세로(vertical) 또는 가로 (horizontal)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된 화면에서 사라진 부분만큼 반대측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많은 경우, 하나의 화면에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전체를 표시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울임으로써,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이 유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우측에 가려진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이 유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우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좌측에 가려진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서, 콘텐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디바이스 4)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을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에 표시된 ‘디바이스 4’가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에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가 좌우로 스크롤되는 것만 표시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가 상하로 스크롤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울이는 것 이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영역을 제 1 벤딩 동작의 제 1 벤딩 각도보다 더 큰 제 2 벤딩 각도로 벤딩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겹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벤딩 동작이 해제되는 때에 최상위에 배열된 외부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각도에 따라 최상위에 표시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1이 최상위에 표시되고,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2가 최상위에 표시되고, 제 2 각도보다 큰 제 3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3이 최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3이 최상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벤딩 동작을 해제(벤딩 각도가 0인 상태)하게 되면, 디바이스 3이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되게 된다.
다시 도 9로 돌아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방향으로 벤딩하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9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이 +Z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고, 제 1 방향이 ?Z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벤딩 동작은 제 1 벤딩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이,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인 경우, 제 2 벤딩 동작은,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일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9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NFC, WFD, UWB, Zigbee, Wi-Fi 등)을 통해 소정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를 통해서 소정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 자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소정 콘텐트의 링크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링크 정보란, 콘텐트가 위치한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의미한다. 링크 정보의 일례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있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오목해지도록(-Z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인한 후, 콘텐트를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디바이스 3’이 표시된 위치를 오목하게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디바이스로 ‘디바이스 3’이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볼록해지도록(+Z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3’으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정 콘텐트를 외부로 튕겨내는 듯한 직관적인 벤딩 제스처를 통해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외부 디바이스(200)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위의 외부 디바이스(200)의 존재를 인지하기 위해 일회 또는 소정 주기로 제 1 신호(Inquiry)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S150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반경 내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200)는, 조회 탐색(Inquiry Scan) 상태에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방송된 제 1 신호(Inquiry)를 수신한다[S1510].
제 1 신호(Inquiry)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00)는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신호(Inquiry response)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151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Inquiry response)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를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의 주소(예컨대, 블루투스 어드레스),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 장치 클래스(Major Device Class 및 Minor Device Class), 클럭 정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 등을 수신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S1520]. "페어링(Pairing)"이란 복수의 디바이스 간에 상호 통신 연결을 허용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페어링된 상태의 외부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는 소정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15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거나, 콘텐트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거나, 방향 키 및 선택 키를 조작하거나, 콘텐트의 식별 정보(예컨대, 아이디, 콘텐트 명 등)를 말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콘텐트 선택을 위한 소정 모션을 취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00)가 페어링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콘텐트가 먼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00)가 페어링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콘텐트가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콘텐트를 전송할 외부 디바이스(200)를 선택한 후에 콘텐트를 선택할 수도 있고, 콘텐트를 먼저 선택하고, 후에 콘텐트를 전송할 외부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1530 내지 단계 1545는 도 9의 단계 910 내지 단계 94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200)로 콘텐트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데이터 공유 요청을 할 수 있다[S1550].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전송할 콘텐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명칭, 콘텐트의 종류, 콘텐트의 식별 값, 콘텐트의 사이즈, 콘텐트의 메타 데이터, 콘텐트의 링크 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송신자 정보, 콘텐트에 관한 정보, 연결 승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Accept”, “Ignore” 항목 들을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Accept”를 선택하게 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콘텐트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S1555].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2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15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ccept” 또는 “Ignore”의 선택은 사용자의 벤딩 제스처 또는 터치 제스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게 된다[S1465].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는, DLNA 규격 또는 UPnP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1505 내지 단계 1565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 1 벤딩 동작(예컨대, 사용자를 향하는 화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에서 ‘디바이스 3(200-3)’이 표시된 위치를 제 1 벤딩 동작보다 더 큰 각도로 볼록하게(+Z 방향) 벤딩함으로써, 사용자는 디바이스 3(200-3)을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게 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트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벤딩 동작(예컨대, 사용자를 향하는 화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바이스 3(200-3)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쪽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구부려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반대로 외부 디바이스 방향으로 구부리는 동작을 통해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콘텐트 전송을 위한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제 2 벤딩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 200-4)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외부 디바이스(200-1, 200-2, 200-3, 200-4)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송률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중에, 소정 콘텐트가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의 전송률에 기초하여, 소정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잡은 후, 화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 쪽으로 벤딩 하였다가, 화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벤딩함으로써,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의 전송률에 따라 전송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예컨대, 이미지가 1810 에서 1820으로 점진적으로 변경).
이 경우, 사용자는 소정 콘텐트가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중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송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에 따라 콘텐트의 전송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위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잡은 후, 화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였다가, 화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의 전송률에 따라 전송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콘텐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떠밀려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는 그래픽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예컨대, 이미지가 1830 에서 1840으로 점진적으로 변경).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직관적인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콘텐트 목록을 제공하는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콘텐트 재생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즉, 단계 1920 및 19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고, 단계 195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수신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9의 콘텐트 수신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19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을 요청하는 벤딩 동작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위치(예컨대, 벤딩 라인), 벤딩 방향, 벤딩 각도, 벤딩 세기, 벤딩 속도, 벤딩 횟수, 벤딩 동작 발생 시점, 벤딩 유지 시간 등을 분석하여, 제 1 벤딩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920]. 콘텐트 목록은 외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의 식별 정보는 콘텐트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로서, 예컨대, 콘텐트 명, 콘텐트 아이디, 콘텐트 이미지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콘텐트에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트,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콘텐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는 동영상 콘텐트(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트(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 콘텐트(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웹 페이지 등), 음악 콘텐트(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위젯, 게임)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에 따라,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콘텐트의 식별 정보를 화면의 외측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목록이 화면의 양쪽 끝에서 오목해진 화면을 따라 나타나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일측(예컨대, 우측 가장자리)에서 콘텐트 목록이 출현하여 화면의 타측(예컨대, 좌측 가장자리)으로 이동해 가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1930].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을 확인한 후, 외부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벤딩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키 입력,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정 영역을 벤딩하거나,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거나, 소정 키를 누르거나, 소정 음성을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소정 모션을 취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하는 일례로, 도 2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Z 방향으로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콘텐트 목록 중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각도보다 더 큰 벤딩 각도로 벤딩(-Z 방향)함으로써,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도 20(b) 및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벤딩 동작이 유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각도 이상 좌 또는 우로 기울여서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우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목록을 스크롤하여, 콘텐트 목록 중 좌측에 가려진 콘텐트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목록을 스크롤하여, 콘텐트 목록 중 우측에 가려진 콘텐트의 식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예컨대, 콘텐트 3)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영역을 제 1 벤딩 각도보다 큰 제 2 벤딩 각도로 벤딩(-Z 방향)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콘텐트로 ‘콘텐트 3’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9로 돌아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방향으로 벤딩하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19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이 +Z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고, 제 1 방향이 ?Z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벤딩 동작은 제 1 벤딩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벤딩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벤딩 동작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인 경우, 제 2 벤딩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동작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이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9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NFC, WFD, UWB, Zigbee, Wi-Fi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자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콘텐트의 링크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링크 정보의 일례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있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잡은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콘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콘텐트 목록을 확인하고,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제 1 벤딩 각도보다 큰 제 2 벤딩 각도로 벤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콘텐트 3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벤딩 동작이 유지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콘텐트 3이 표시된 영역을 제 1 벤딩 동작의 벤딩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벤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오목해 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에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정 콘텐트를 사용자 쪽으로 끌어당기는 듯한 직관적인 벤딩 제스처를 통해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간단하게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200)는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Inquiry)를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S2205].
이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의 통신 반경 내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조회 탐색(Inquiry scan) 상태에 진입하여,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방송된 제 1 신호(Inquiry)를 수신하게 된다[S22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반경 내에 외부 디바이스가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페어링할 지 여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콘텐트를 공유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Inquiry response)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21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는 디바이스 아이디, 기기 명, 맥 어드레스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잡고 있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려는 의사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200)로 제 2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소(예컨대, 블루투스 어드레스),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 장치 클래스(Major Device Class 및 Minor Device Class), 클럭 정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 등을 전송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S2220].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페어링)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콘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에는 블루투스, NFC, Zigbee, UWB, WFD,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콘텐트를 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다[S22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4를 일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더 오목해지도록 벤딩 각도를 크게 하는 경우, 최상위에 표시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1이 최상위에 표시되고,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2가 최상위에 표시되고, 제 2 각도보다 큰 제 3 각도에서는 디바이스 3이 최상위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1’이 최상위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벤딩 동작을 해제(벤딩 각도가 0인 상태)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바이스 1’을 전송 디바이스로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바이스 1로부터 디바이스 1의 콘텐트 목록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 1’의 콘텐트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콘텐트의 식별 정보를 터치하거나, 콘텐트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소정 영역을 벤딩하거나, 방향 키 및 선택 키를 조작하는 등에 의해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바이스 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수신하게 된다.
단계 S2230 내지 단계 S2245는 도 19의 단계 1910 내지 1940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트를 요청하는 제 2 벤딩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콘텐트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2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전송 요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식별 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콘텐트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225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는 중에, 콘텐트가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S226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의 수신율에 기초하여,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신율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잡은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디바이스(200)쪽으로 벤딩 하였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오목해 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 쪽으로 벤딩함으로써,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율에 따라 수신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확대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예컨대, 2510에서 2520으로 점차 변경).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가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 중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에 따라 콘텐트의 수신율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를 수신하는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외부 디바이스(200)를 향하도록 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볼록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디바이스(200)쪽으로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벤딩 동작을 감지하고,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텐트 목록에서 콘텐트를 선택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 쪽으로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전체 콘텐트가 선택된 것으로 보아,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전체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콘텐트 목록에서 특정 콘텐트를 손으로 잡은 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자 쪽으로 벤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한 특정 콘텐트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특정 콘텐트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트들만을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 1 디바이스(300), 제 2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를 제어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 간의 콘텐트 공유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 부분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며, 소정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300)는 콘텐트를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400)는 콘텐트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400) 간의 콘텐트 공유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는 벤딩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29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제 1 영역이 볼록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1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의 제 2 영역이 오목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2 영역을 벤딩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화면의 제 1 영역에 제 1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목록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 2 영역에 제 2 디바이스(400)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9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 고유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 아이디, 기기 명, 맥 어드레스, 식별 이미지(예컨대, 아이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에 콘텐트 목록을 요청하여 제 1 디바이스(300)로부터 직접 콘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이 볼록하게 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제 1 영역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출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 동작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이 오목하게 됨에 따라, 오목하게 된 제 2 영역에 제 2 디바이스(400)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S28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콘텐트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벤딩하거나, 방향 키 및 선택 키를 이용하거나, 음성 명령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영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S28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300)에서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되도록 제 1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S28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에 상기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은, 상기 선택된 콘텐트에 관한 정보 및 제 2 디바이스(4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에 관한 정보에는, 콘텐트 식별 값, 콘텐트 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400)에 관한 정보에는, 제 2 디바이스(400)의 디바이스 아이디, 기기 명, 맥 어드레스, 위치 정보, 지원되는 통신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로부터 상기 선택된 콘텐트를 수신하여,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300)에서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됨에 따라,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콘텐트가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8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콘텐트가 떨어지는 그래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영역에서 오목하게 벤딩된 제 2 영역으로 떨어지는 그래픽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가 전송되는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제어 가능한 기기 목록에서, 제 1 디바이스(300)를 송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 2 디바이스(400)를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제 1 영역(2910)이 볼록하게 되도록 제 1 영역(2910)을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영역(2910)이 볼록하게 벤딩되는 동작을 감지하고, 제 1 영역(2910)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볼록하게 벤딩된 제 1 영역(2910)에 표시된 콘텐트 목록 중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벤딩하거나, 터치하거나, 콘텐트 식별 값을 음성으로 말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300)가 가지고 있는 콘텐트 1 내지 콘텐트 6 중 콘텐트 2 및 콘텐트 4를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하기 위한 콘텐트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디바이스(400)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2 및 콘텐트 4가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되도록 제 1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2 및 콘텐트 4가 전송됨에 따라, 볼록하게 벤딩된 제 1 영역(2910)에서 콘텐트 2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콘텐트 4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제 2 영역(2920)으로 떨어지는 그래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간단한 벤딩 동작 및 기울임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간의 콘텐트 공유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영역을 벤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을 DTV로 쉽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가 전송되는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영역에 제 1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및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목록을 확인 한 후,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콘텐트가 표시된 영역을 벤딩하거나, 터치하거나, 콘텐트 식별 값을 음성으로 말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소정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300)에 저장된 콘텐트 1 내지 콘텐트 6 중 콘텐트 1, 콘텐트 2, 콘텐트 4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 영역(3020)이 오목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 2 영역(2920)을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영역(3020)이 오목해지는 벤딩 동작을 감지하여, 제 2 영역(3020)에 제 2 디바이스(400)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영역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의 콘텐트 1, 콘텐트 2 및 콘텐트 4가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되도록 제 1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트 1, 콘텐트 2 및 콘텐트 4가 전송됨에 따라, 제 1 영역(3010)에서 콘텐트 1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트 2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트 4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오목하게 벤딩된 제 2 영역(3020)의 빈 공간으로 이동하는(떨어지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고[S3105], 제 1 디바이스(300)로부터 제어 권한을 인증 받을 수 있다[S311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바이스(400)로 제어 권한을 요청하고[S3115], 제 2 디바이스(400)로부터 제어 권한을 인증 받을 수 있다[S3120].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300) 및 제 2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3125]. 사용자는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목록을 확인하고, 제 1 디바이스를 송신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제 2 디바이스를 수신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S3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송신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 1 디바이스(300)로 콘텐트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S3135].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300)는, 제 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는 콘텐트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3140].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3135 내지 3140은 생략가능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디바이스(300)로부터 제어 권한을 인증 받을 때, 콘텐트 목록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3145 내지 단계 3160은 도 28의 단계 2810내지 284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 2 영역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에 따라,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 1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S3165].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300)는 제 2 디바이스(400)로 데이터 공유 요청을 할 수 있다[S3170].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제 1 디바이스(300)가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트에 관한 정보(예컨대, 콘텐트의 식별 값, 콘텐트의 사이즈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S3175].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S3180].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S3185].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가 제 1 디바이스(300)에서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3190].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3105 내지 단계 319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3210 이전의 단계는, 도 31의 단계 3105 내지 단계 3155에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영역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울이는 동작을 감지한 경우[S32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바이스(400)로 데이터 공유 요청을 할 수 있다[S3220]. 데이터 공유 요청에는 콘텐트에 관한 정보(예컨대, 콘텐트의 식별 값, 콘텐트의 사이즈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요청을 수신한 2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S3230].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데이터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324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디바이스(3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3250]. 이 경우, 제 1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콘텐트를 전송하게 된다[S3260]. 제 1 디바이스(30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디바이스(400)로 수신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S3270].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가 제 2 디바이스(400)로 전송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S3280].
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서, 단계 3210 내지 단계 3280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벤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콘텐트를 손쉽게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간편하게 콘텐트를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외부 디바이스
300: 제 1 디바이스
400: 제 2 디바이스

Claims (63)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2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소정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기울임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임 동작의 기울임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복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화면의 외측에서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은, 상기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형상은, 상기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될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콘텐트의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벤딩 감지 시에 최상위에 배열된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신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콘텐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향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수신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외부 서버에 백업하기 위한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1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1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1 벤딩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 2 방향으로 벤딩하여 제 2 형상으로 변형하는 제 2 벤딩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소정 콘텐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기울임 동작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 동작의 기울임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복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삭제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SNS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색된 외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화면의 외측에서 상기 화면의 내측으로 출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을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화면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삭제
  47.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상은, 상기 화면이 오목하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형상은, 상기 화면이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될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키 입력, 음성 입력, 및 모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소정 콘텐트의 전송률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의 벤딩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2 벤딩 감지 시에 최상위에 배열된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소정 콘텐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트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콘텐트 공유를 위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가 형성된 경우,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콘텐트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이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형상으로 변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 이상 벤딩하는 제 3 벤딩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벤딩의 벤딩 위치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8. 삭제
  59.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트의 수신율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트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콘텐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벤딩이 감지되면, 상기 콘텐트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외부 서버에 백업하기 위한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내지 제 22 항 및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3. 삭제
KR1020120099463A 2012-09-07 2012-09-07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63A KR102088382B1 (ko) 2012-09-07 2012-09-07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4/018,995 US9886100B2 (en) 2012-09-07 2013-09-05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nd display device
EP13183444.2A EP2706438B1 (en) 2012-09-07 2013-09-06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nd display device
CN201380058315.5A CN104823132B (zh) 2012-09-07 2013-09-06 运行应用的方法、控制内容共享的方法以及显示设备
PCT/KR2013/008082 WO2014038893A1 (en) 2012-09-07 2013-09-06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sharing,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63A KR102088382B1 (ko) 2012-09-07 2012-09-07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67A KR20140032767A (ko) 2014-03-17
KR102088382B1 true KR102088382B1 (ko) 2020-03-12

Family

ID=4916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463A KR102088382B1 (ko) 2012-09-07 2012-09-07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6100B2 (ko)
EP (1) EP2706438B1 (ko)
KR (1) KR102088382B1 (ko)
CN (1) CN104823132B (ko)
WO (1) WO2014038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065A (ko) * 2012-06-0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51874B2 (en) * 2013-09-25 2019-10-2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2256677B1 (ko) * 2013-12-02 2021-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방법
CN103809758A (zh) * 2014-02-28 2014-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设备
CN103823653A (zh) * 2014-02-28 2014-05-28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设备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24065B2 (en) 2014-06-11 2016-04-26 Square, Inc. Determining languages for a multilingual interface
WO2015192375A1 (zh) 2014-06-20 2015-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界面的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I616808B (zh) * 2014-06-30 2018-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分享顯示畫面的方法及裝置
US10496975B2 (en) 2014-07-23 2019-12-03 Square, Inc. Point of sale system with secure and unsecure modes
KR101600276B1 (ko) * 2014-07-31 2016-03-07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WO2016017948A1 (en)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11080674B1 (en) * 2014-09-19 2021-08-03 Square, Inc. Point of sale system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410768B (zh) * 2014-11-12 2018-08-10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和装置
US9286494B1 (en) 2014-11-20 2016-03-15 Square, Inc. Card reader having discriminator contact
EP3437562B1 (en) 2014-12-05 2020-11-18 Samsung Medison Co., Ltd.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83508B1 (en) 2014-12-16 2020-09-22 Square, Inc. Processing multiple point-of-sale transactions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198499A1 (en) * 2015-01-07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US9747015B2 (en) 2015-02-12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US9734779B2 (en) 2015-02-12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US9921740B2 (en) * 2015-02-13 2018-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nt alignment in touch screen device
CN105119984B (zh) * 2015-08-07 2019-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US9880641B2 (en) * 2015-08-27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a reshaped flexible display
US11080675B1 (en) 2015-09-08 2021-08-03 Square, Inc. Point-of-sale system having a secure touch mode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6814803A (zh) * 2015-11-30 2017-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设备及皮套
US10607200B2 (en) 2015-12-28 2020-03-31 Square, Inc. Point of sale system having a customer terminal and a merchant terminal
CN106997288A (zh) * 2016-01-22 2017-08-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7171479A1 (ko) * 2016-04-01 2017-10-05 서용창 기울기에 기초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70344777A1 (en) * 2016-05-26 2017-11-30 Motorola Mobili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onal sensing of objects on an electronic device
US10504092B2 (en) 2016-06-21 2019-12-10 Square, Inc. Transaction interface control
US11830614B2 (en) * 2017-03-20 2023-11-28 Opticsurg,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healthcare delivery
FR3065300A1 (fr) * 2017-04-17 2018-10-19 Eric PROVOST Systeme d'information et de saisie couple.
WO2018216923A1 (en) * 2017-05-23 2018-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exible computing-device
CN107765916A (zh) * 2017-10-16 2018-03-0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感应模组、三维曲面触控面板与触控显示装置
USD875739S1 (en) * 2017-11-27 2020-02-18 Schuler-Haas Electric Corp.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442S1 (en) * 2017-11-27 2022-03-08 Schuler-Haas Electric Corp.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6987664B2 (ja) * 2018-02-13 2022-01-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データ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17638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굴곡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10216102A1 (en) * 2020-01-10 2021-07-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itional windowing model for foldable computing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91B1 (ko) *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7838B1 (en) *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Spinning as a morpheme for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7456823B2 (en)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US7783256B2 (en) 2004-09-15 2010-08-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implified enabling and disabling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element, and associated method
JP2009086403A (ja) 2007-10-01 2009-04-23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DE102007048596A1 (de) 2007-10-10 2009-04-23 Vodafone Holding Gmbh Flexibles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KR101442544B1 (ko) 2007-12-18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US20100011291A1 (en) 2008-07-10 2010-01-14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US8493336B2 (en) * 2008-10-10 2013-07-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paper display control based on conformation sequence status
KR101472021B1 (ko)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25B1 (ko)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17082B1 (ko)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541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2010157060A (ja) 2008-12-26 2010-07-15 Sony Corp 表示装置
US20110193771A1 (en) 2010-02-10 2011-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controllable by physical deformation
KR20120059823A (ko) 2010-12-01 2012-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84765B2 (en) * 2011-06-17 2020-06-16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transmission of a message
WO2013002547A2 (ko) *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1996B1 (ko) * 2011-09-02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기기 리스트 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EP2781039A4 (en) * 2011-11-16 2015-08-05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ON DATA UTILIZATION BETWEEN USER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91B1 (ko) * 2006-07-13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8893A1 (en) 2014-03-13
CN104823132A (zh) 2015-08-05
EP2706438A2 (en) 2014-03-12
EP2706438A3 (en) 2016-08-17
CN104823132B (zh) 2017-12-26
US20140071043A1 (en) 2014-03-13
KR20140032767A (ko) 2014-03-17
US9886100B2 (en) 2018-02-06
EP2706438B1 (en)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82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콘텐트 공유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2136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panel, and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tem
EP2701036B1 (en)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 and display devices thereof
TWI574557B (zh) 顯示資訊用的方法與行動終端
EP249011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EP3557416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panel, and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tem
US20140006949A1 (en) Enhanced user interface to transfer media content
KR20130048533A (ko)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09374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82602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KR10146205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TWI601035B (zh) 電子系統、觸控筆以及電子裝置與觸控筆之間的資料傳輸方法
WO2017027750A1 (en) Gestures for sharing data between devices in close physical proximity
KR102060664B1 (ko) 통신 링크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4178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action of multiple displays
WO2014024257A1 (ja) 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