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277B1 -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277B1
KR102088277B1 KR1020180048965A KR20180048965A KR102088277B1 KR 102088277 B1 KR102088277 B1 KR 102088277B1 KR 1020180048965 A KR1020180048965 A KR 1020180048965A KR 20180048965 A KR20180048965 A KR 20180048965A KR 102088277 B1 KR102088277 B1 KR 10208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paper
pad
hole
micro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907A (ko
Inventor
오병근
신관우
이명준
김영기
소움 베스나
이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언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언스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언스진
Priority to KR102018004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277B1/ko
Priority to US17/050,621 priority patent/US20210237060A1/en
Priority to PCT/KR2019/004344 priority patent/WO2019208961A1/ko
Priority to CN201980029207.2A priority patent/CN112088308A/zh
Publication of KR2019012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eans or forces applied to move th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9Microarrays; Bio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74Three dimensional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6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B01L2300/165Specific details about hydrophobic, oleophob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속도와 방향 제어, 칩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외부 동력없이 표적항원을 단 한 번의 시료 주입으로 검출할 수 있는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속도와 방향 제어, 칩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외부 동력없이 표적항원을 단 한 번의 시료 주입으로 검출할 수 있는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가 종이 내부로 흡수되어 이동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패턴된 필름으로 된 미세관(미세 유동 채널)을 따라 유체가 이동하므로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관 하부의 종이에 친수성 표면처리와 미세관의 폭과 길이 제어를 통해 유체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질 용액이 흐르는 경로와 시료와 세척용액이 흐르는 경로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여(3D 구조, 브릿지 구조) 이들 경로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시료나 세척용액이 기질 용액 경로(기질 용액 미세관)로 스며들어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3D 미세칩 구조는 시료나 세척 용액의 누설로 인해 반응 패드 이외의 영역에서 효소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 신호 노이즈와 기질 용액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3D paper based Microfluidic device for Thioredoxin detection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본 발명은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속도와 방향 제어, 칩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외부 동력없이 표적항원을 단 한 번의 시료 주입으로 검출할 수 있는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효소면역정량법)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면역정량법 중 하나로, 시료 내 존재하는 대상 단백질을 검출하는 분석법으로, 대상 단백질의 검출은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ELISA는 항체나 항원이 고체상에 흡착(immunosorbent)되어 있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항체의 활용 방법에 따라 직접(direct) ELISA, 간접(indirect) ELISA 및 샌드위치 ELISA로 나눌 수 있다.
ELISA가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측정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한편, 센서 기반의 랩온어칩은 반응 시간이 짧고 자동 반응인 반면, 외부의 유체 유동 장치가 요구되고 다루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사용이 편리하고 측정 단계가 단순화된 금 나노입자 베이스의 종이 스트라이프 키트가 제안되었다(Fu et al. 2017, Zhao et al, 2008). 하지만, 논문에서 제시한 금 나노입자 베이스의 종이 스트라이프 키트는 프로브에 따라 낮은 감도를 보여주는 한계가 있었다.
프로브 감도를 높이기 위해, HRP와 같은 발색효소(chromogenic enzyme)나 발광 물질을 사용한 프로브 사용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변색의 정확성(감도)을 높이기 위해 미반응 효소나 시료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기판에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면역 반응 후에 기판을 벗겨낸 후 새로운 기판에 효소를 떨어뜨리는 방법이 있으나, 사람이 기판을 벗겨내야 하므로 상업적으로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종이 기반의 디바이스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또한 유연하여 바이오센서로서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다만, 종이 기반의 디바이스는 종이의 젖는 힘만을 이용하므로 이동속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속도 조절이나 다른 채널로의 점핑 등 방향 조절이 어렵다. 이와 같이, 종이 기반 디바이스는 반응수와 반응속도 및 방향 제어에 제한이 있어 측정 시간이 길어지고, 특히 복잡한 면역화학반응을 자동으로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속도 및 방향 제어가 가능한 면역화학 진단용 종이 기반의 미세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잡한 면역화학 반응을 종이 칩 내에서 외부 동력없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미세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질병 진단까지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종이 기반의 미세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질병과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종이 기반의 미세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민감도와 특정 항원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진 종이 기반의 미세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종이(10)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고 미세관 패턴이 형성된 패턴 필름(20) ;
상기 패턴 필름에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종이와 접촉하는 컨쥬게이트 패드(30)와 흡수패드(40),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와 흡수패드(4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호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에는 감지물질(31)이 결합된 항체(32)나 앱타머가 저장되고;
상기 컨쥬게이드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가 고정된 반응패드(50) ;
상기 패턴 필름(20) 위에 부착되는 덮개 필름(60)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패드 하부의 필름(20)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A)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이 각각의 미세관 패턴부에 제공되면, 시료와 세척용액이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 상기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되고, 기질용액은 반응패드 아래 공간(A)으로 자동 공급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에 관련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종이(100)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며, 컨쥬게이트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홀(210), 상기 제 1 홀과 이격되며 흡수패드가 삽입되고 반응 패드가 위에 위치하는 제 2 홀(220), 및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이 모세관힘으로 이동하는 미세관 패턴부(230)를 포함하는 제 1 패턴 필름(200) ;
제 1 패턴 필름(200)과 동일한 패턴이 형성되되, 제 1홀(210)과 제 2 홀(220) 사이의 필름 영역(B)을 추가로 제가하여 반응 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3홀(240)이 추가로 형성된 제 2 패턴 필름(300) ;
상기 제 1홀에 삽입되고, 감지물질(31)이 결합된 감지항체(32)나 앱타머가 저장된 컨쥬게이트 패드(30) ;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고,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수패드(40) ;
상기 컨쥬게이드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하면에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가 고정된 반응 패드(50)
상기 제 1 홀과 제 3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4홀, 상기 흡수 패드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5홀을 포함하는 제 3 패턴 필름(400) ;
상기 제 2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6홀(510)과 직하부에 상기 반응 패드 입구측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천장 홀(61)을 포함하는 제 4 패턴 필름(500)을 포함하고,
상기 홀들과 미세관 패턴부는 상하 통공되며,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이 상기 종이 위를 상기 미세관 패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반응 패드 아래의 공간(A)으로 기질용액을 이동시키도록 제 2홀과 연통된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에 관련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을 종이 위에 형성된 각각의 미세관 패턴부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으로 시료와 세척용액을 순차로 컨쥬게이트 패드,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으로 기질용액을 상기 반응패드 아래 공간(A)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표적항원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료가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에 도달하면,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1)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의 감지항체(32)나 앱타머를 항원 항체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 패드로 이동시키고,
상기 방법은 항원-감지항체, 미반응 감지항체를 포함하는 시료가 상기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항원-감지항체 및 미반응 감지항체를 상기 반응 패드 하부에 고정된 항체(51)와 항원 항체 반응시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질 용액이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감지항체에 결합된 감지물질(31)와 기질 간에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유체의 속도와 방향 제어, 칩의 3차원 구조를 통해 외부 동력없이 표적항원을 단 한 번의 시료 주입으로 검출할 수 있는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가 종이 내부로 흡수되어 이동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패턴된 필름으로 된 미세관(미세 유동 채널)을 따라 유체가 이동하므로 이동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관 하부의 종이에 친수성 표면처리와 미세관의 폭과 길이 제어를 통해 유체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질 용액이 흐르는 경로와 시료와 세척용액이 흐르는 경로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여(3D 구조, 브릿지 구조) 이들 경로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시료나 세척용액이 기질 용액 경로(기질 용액 미세관)로 스며들어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3D 미세칩 구조는 시료나 세척 용액의 누설로 인해 반응 패드 이외의 영역에서 효소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 신호 노이즈와 기질 용액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3D 구조(브릿지 구조)로 누설이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브릿지 구조에서 장벽영역을 통한 누설 방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코팅과 채널 폭에 따른 종이 위에서의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8은 속도 제어를 통해, 모세관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은 본 발명의 표적 항원 검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3D(브릿지) 구조의 단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3D 미세칩과 항원 농도에 따른 반응패드의 변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시료의 항원 농도를 조절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10nM의 Trx, PSA, HSA, BSA의 신호세기를 측정한 것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3D 미세칩과 항원 농도에 따른 반응패드의 변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8은 실시예 2에서 시료의 항원 농도를 조절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립과정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은 종이(10), 패턴필름(20), 컨쥬게이트 패드(30), 흡수패드(40), 반응패드 및 덮개필름(60)을 포함한다.
상기 종이(10)는 미세칩의 기반층으로서 유체에 모세관힘을 제공한다. 상기 종이는 상기 필름에 비해 친수성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종이는 종이 기반의 미세칩이나 센서에 사용되는 공지된 종이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종이는 와트만 크로마토그래피(Whatman Chromatography)에 이용되는 종이나 사진 인화지일 수 있다.
상기 종이의 두께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서, 상기 종이의 두께는 100~10000㎛ 일 수 있다.
상기 패턴 필름(20)은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고 미세관 패턴이 형성된 필름이다. 상기 패턴 필름은 공지된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PET 또는 PE 필름 등일 수 있다. 상기 패턴 필름은 두께가 제한되는 아니다. 일예로서, 페턴필름 두께는50~500㎛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패턴 필름(20)은 컨쥬게이트 패드(30)가 삽입되는 제 1 홀(21), 상기 제 1 홀과 이격되며 흡수패드가 삽입되고 반응 패드가 위에 위치하는 제 2 홀(22), 및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이 모세관힘으로 이동하는 미세관 패턴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관 패턴부(23)는 시료가 이동하는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 및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필름(20)은 시료 주입부(1), 세척용액 주입부(2) 및 기질 용액 주입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홀, 제 2 홀 및 미세관 패턴부는 상하가 통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패턴필름(20)을 상기 종이(10) 위에 부착하면, 상기 종이와 미세관 패턴부는 미세관(미세유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종이는 미세관의 바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체 흐름의 동력원을 제공하고, 상기 미세관 패턴부는 미세관의 측벽을 형성하여 유체가 종이 위 미세관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가 종이 내부 전체에 퍼져 종이에 스며들어 이동하는 경우, 이동속도도 매우 느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기가 사실상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종이 위에 형성된 미세관을 통해 종이 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와 흡수패드(4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호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각각의 하면은 상기 종이와 접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는 상기 제 1홀(21)에 삽입되고, 내부 또는 상부에 감지물질(31)이 결합된 항체(32)나 앱타머, 또는 표적 항원 검출용 복합체가 저장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로는 감지물질이 담지(저장)가능하고 특정 조건에서 유출될 수 있는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유리 섬유 멤브레인 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시료에 포함된 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응집반응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말한다.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면, IgG, IgM, IgE, IgA, IgD 중 어떠한 클래스의 항체라도 가능하다. 또한, 항체의 유래 동물종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토끼, 염소 및 마우스 유래의 항체가 비교적 입수도 용이하고, 사용예도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앱타머(aptamer)는 그 자체로 안정된 삼차구조를 가지면서 표적분자에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단일가닥 핵산 (DNA, RNA 또는 변형핵산)일 수 있다.
상기 표적 항원 검출용 복합체는 나노입자와 항체를 포함하는 복합체일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나노입자, 앱타머 및 항체가 결합된 복합체 일 수 있다. 상기 표적 항원 검출용 복합체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613020호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앱타머나 표적항원 검출용 복합체의 언급을 생략하고 감지항체(32)를 중심으로 기재한다.
상기 감지물질은 특정 물질(예를 들면 기질)과 반응하여 발색반응, 형광반응, 발광반응 또는 적외선 반응이 가능한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물질은 효소, 효소볼, 금나노입자, 금-효소 복합체 입자 등의 나노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효소는 발색반응, 형광반응, 발광반응 또는 적외선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알칼린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β-갈락토시다아제, 호스 래디쉬 퍼옥시다아제(HRP), 루시퍼라아제 및 사이토크롬 P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볼은 효소와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효소볼은 효소, 알부민 응집체 및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볼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622477호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흡수패드(40)는 상기 제 2 홀(22)에 삽입되고,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을 빨아들인다. 상기 흡수패드(40)는 유체가 모세관힘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흡수패드로는 흡수력이 우수한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폴리에스테르 , 폴리프로필렌 및 유리섬유 일 수 있다.
상기 반응패드(50)는 상기 컨쥬게이드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반응패드 하면에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와 콘트롤용 항체(52)가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반응패드는 흡수력과 단백질 부착력이 우수한 니트로셀루로오스 멤브레인,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 등 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반응패드(50)가 상기 컨쥬게이드 패드와 흡수패드와는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반응 패드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종이 사이에는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패드(50)에 하부 공간(A)을 형성시키는 컨쥬게이드 패드, 흡수패드 및 반응패드의 구조를 브릿지 내지 3D 구조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브릿지 구조 내지 3D 구조는 기질 용액이 흐르는 경로와 시료와 세척용액이 흐르는 경로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시켜 이들 경로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즉, 컨쥬게이트 패드(30), 반응패드(50) 및 흡수패드(40)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멤브레인의 흡수력 내지 모세관힘을 통해 시료와 세척액이 이동되지만, 기질 용액의 경로는 이들 3개의 패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시료나 세척용액이 기질용액 경로로 흡수력이나 모세관힘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반응패드는 흡수력이 우수하여 시료와 세척용액이 패드 안으로 스며들어 흘러 공간(A)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기질용액은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233)을 통해 상기 공간(A)로 주입되어 상기 공간 (A)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응패드와 접촉할 수 있다.
도 5는 3D 구조(브릿지 구조)로 누설이 방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3D(브릿지) 구조이고, 5b는 반응패드 측면으로 기질용액이 주입되는 평면 구조이다. 도 5b는 기질 용액 주입 경로 측으로 붉은색 잉크가 흘러들어가지만, 5a의 경우 기질 용액 경로로 누설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5b와 같은 경우, 기질 용액이 반응패드에 도달하기 전에 기질 용액 미세관에서 발색 효소를 가진 시료와 반응하여 신호 노이즈를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기질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칩은 시료용액이나 세척용액이 공간(A)로 유입된 후 기질 용액 미세채널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벽 영역(B)은 패턴필름(20)에서 상기 제 1홀과 제 2 홀 사이의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필름층이다.
또한, 상기 장벽영역(B) 상부는 소수성 물질(e)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물질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수성 물질은 테프론 일 수 있다.
도 6은 브릿지 구조에서 장벽영역을 통한 누설 방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b는 장벽 B가 없어 컨쥬게이트 패드(30)를 통과한 시료 용액이 상부의 반응패드 뿐만 아니라 종이(10)을 통해 공간(A)로 이동할 수 있지만, 6a는 장벽 B와 소수성 물질의 코팅으로 인해 시료가 공간(A)로 이동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의 미세칩은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이 각각의 미세관 주입부(1, 2, 3)에 제공되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과 상기 미세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시료와 세척용액을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 상기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미세칩은 상기 세척용액이 상기 흡수패드로 이동되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과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을 통해 상기 기질 용액을 반응패드 아래 공간(A)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세척 용액 미세관 패턴부(232)는 하나의 패턴 채널로 합지된 후 제 1홀과 연통되거나, 각각 제 1 홀과 연통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종이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빠른 유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물질은 친수성 고분자나 친수성 금속일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친수성 물질로 은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칩은 상기 공간(A)의 바닥을 형성하는 종이 위에 코팅된 친수성 물질(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물질(D)은 기질 용액이 상기 공간(A)에서 반응패드 전체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는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패턴 폭이 넓어 빠른 유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에 비해 패턴 폭이 좁고, 패턴 길이가 길며 또한 친수성 물질로 코팅처리 되지 않아 기질용액이 시료나 세척용액에 비해 가장 늦게 상기 제 2홀에 도달할 수 있다.
도 7은 코팅과 채널 폭에 따른 종이 위에서의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채널 사이즈 폭이 0.5mm일 때, 은 코팅없는 경우, 속도는 0.41mm/s이고, 채널 사이즈 폭이 1.5mm일 때, 은 코팅된 경우 속도는 7.90mm/s로서, 체널 폭을 3배로 넓히고 은 코팅을 하면 속도를 거의 20배나 높일 수 있다.
도 8은 속도 제어를 통해, 모세관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에서 채널 폭이 넓고 은 코팅된 주 채널과 이러한 주 채널로 유입되는 폭이 좁은 분기 채널에 유체를 흘려주는 경우, 모세관 힘에 의해, 빠른 유체는 느린 유체의 분기 채널로 진입하려고 한다. 하지만, 교차 지점에서 느린 유체는 에어 벽을 형성하고, 에어벽은 빠른 유체가 분기 채널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느린 유체가 주 채널로의 진입도 방지한다. 도 8과 같이, 주 채널에 공급된 유체가 모두 흐른 후에 분기채널의 유체가 주채널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칩은 미세관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 제어를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도 순차적으로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을 상기 반응패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 필름(60)은 상기 시료가 반응 패드 상면위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덮개 필름은 시료가 넘치거나 컨쥬게이트 패드로 들어가서 기질 용액 미세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덮개 필름(60)은 하부에 위치하는 반응패드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통공된 측정 홀(61)을 포함한다. 신호 리더기는 상기 측정홀(61)을 통해 노출된 반응패드의 광이나 색변화를 읽어 항원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덮개 필름(60)은 시료와 샘플이 유입되는 반응 패드의 입구 인근에 모세관힘을 감소시키는 홀(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패드의 하면에는 함몰 홈(63)이 형상되고, 상기 함몰홈에 반응패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덮개 필름은 상기 패턴 필름의 시료 주입부(1), 세척용액 주입부(2) 및 기질 용액 주입부(3)과 동일한 위치에서 통공된 홀들(1, 2, 3)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을 제시한다. 도 9는 표적 항원 검출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적항원 검출 방법은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시료와 세척액을 컨쥬게이트 패드, 반응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기질 용액을 반응 패드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는 항원(4)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용액으로 공지된 ELISA 항원-항체 반응에 사용 가능한 용액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질로는 상기 효소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효소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클로로나프톨, 아미노에틸카바졸, 디아미노벤지딘, D-루시페린, 루시게닌(비스-N-메틸아크리디늄 니트레이트), 레소루핀 벤질 에테르, 루미놀, 암플렉스 레드 시약(10-아세틸-3,7-디하이드록시페녹사진), TMB(3,3,5,5-tetramethylbenzidine), ABTS(2,2‘-Azine-di[3-ethylbenzthiazoline sulfonate]) 또는 o-페닐렌디아민(OPD)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효소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기질로 브로모클로로인돌일 포스페이트(BCIP),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BT), 나프톨-AS-B1-포스페이트(naphthol-AS-B1-phosphate) 또는 ECF(enhanced chemifluorescenc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을 앞에서 상술한 3D 구조의 미세칩 의 시료 주입부(1, 2, 3)에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3개의 용액을 동시에 미세칩 상에 제공하는 것으로 ELISA 반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관(231, 232)을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으로 시료와 세척용액을 순차로 컨쥬게이트 패드(30), 반응패드(50) 및 흡수패드(40)로 이동시킨다.
도 9를 참고하면, 시료가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에 도달하면, 본 발명은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4)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의 항체(32)나 앱타머, 또는 표적 항원 검출용 복합체(이하, 감지항체(32))를 항원 항체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 패드로 이동시킨다(9b).
상기 방법은 항원(4)-감지항체(32), 미반응 감지항체를 포함하는 시료가 상기 반응패드(50)에 도달하면, 항원-감지항체 및 미반응 감지항체를 항체(51)와 항원 항체 반응시켜 고정한다(9c).
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와 세척액이 반응 패드를 통과하여 흡수패드로 흡수되면, 상기 기질 용액을 상기 미세관(233)을 통해 상기 반응패드 아래 공간(A)으로 주입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질 용액이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감지항체에 결합된 감지물질(31)와 기질 간에 효소반응을 수행한다(9d, 9e).
상기 방법은 효소 반응에 따른 신호를 리더기로 읽어 항원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효소 반응에 따른 색 변화나 발광 세기를 측정하는 장치나 방법은 공지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쥬게이트 패드와 상기 흡수패드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종이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반응패드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와 상기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시켜 상기 반응패드와 종이 사이에 기질용액이 유입되는 공간(A)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미세관 하부에 위치하는 종이 상부를 친수성 물질로 코팅하거나 미세관의 폭을 조절하여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은 앞에서 상술한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조립과정을 도시하고, 도 13은 도 10의 브릿지 구조의 단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4의 구조를 일부 변형한 미세칩 구조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미세칩은 종이(100), 제 1 패턴 필름(200), 제 2 패턴 필름(300), 컨쥬게이트 패드(30), 흡수패드(40), 반응패드(50), 제 3패턴 필름(400) 및 제 4 패턴 필름(500)을 포함한다.
종이(100), 컨쥬게이트 패드(30), 흡수패드(40), 반응패드(50)는 도 1 내지 도 4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제 1 패턴 필름(200)은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며, 컨쥬게이트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홀(210), 상기 제 1 홀과 이격되며 흡수패드가 삽입되고 반응 패드가 위에 위치하는 제 2 홀(220), 및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이 모세관힘으로 이동하는 미세관 패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관 패턴부(230)는 시료가 이동하는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 및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필름(200)은 시료 주입부(1), 세척용액 주입부(2) 및 기질 용액 주입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필름(200)은 제 1홀(210)과 제 2 홀(220) 사이의 필름 영역 B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영역 B는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3D 구조의 장벽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 220은 "ㄱ" 자 형상인 흡수패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필름상의 경계영역(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패턴 필름(200)은 상기 종이(100) 위에 합지된 후 필름 B, C 상에 소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패턴 필름(200)은 상기 종이(100) 위에 합지된 후,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의 하부 종이와 공간(A)의 기질 용액 입구 측의 종이 위에 친수성 물질(D)로 코팅될 수 있다.
제 2 패턴 필름(300)은 상기 제 1 패턴 필름(200)과 동일한 패턴이 형성되되, 필름의 장벽 영역(B)을 추가로 제가하여 반응 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3홀(340)이 추가로 형성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 2 패턴 필름을 제 1 패턴 필름 위에 합지시킨 후, 컨쥬게이트 패드, 흡수패드 및 반응패드를 각각 제 1 홀(210, 310), 제 2 홀(220, 320), 제 3 홀(340)에 삽입한다.
상기 제 3 패턴 필름(400)은 상기 제 1 홀과 제 3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4홀(410), 상기 흡수 패드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5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패턴 필름(400)은 투명 필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세칩은 제 3 패턴 필름(400) 없이 제 4 패턴 필름(500)을 상기 제 2패턴 필름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 4 패턴 필름(500)은 상기 제 2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6홀(510)과 직하부에 상기 반응 패드 입구측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천장 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패턴 필름은 앞에서 상술한 덮개 필름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 6홀(510)은 상기 덮개필름의 측정 홀(61)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반응 패드 아래의 공간(A)으로 기질용액을 이동시키도록 제 2홀과 연통된다.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종이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빠른 유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는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패턴 폭이 넓어 빠른 유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에 비해 패턴 폭이 넓거나 패턴 길이가 길어 기질용액이 시료나 세척용액에 비해 가장 늦게 상기 제 2홀에 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 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도 10 내지 도 13 구조로 종이와 각 필름층을 제작하였다. 커팅을 위해 Cricut explore Air 2’ (Provo craft & Novelty, Inc)를 사용하였다. 종이는 광페이퍼를 사용하고, 필름은 100㎛ PET 필름을 사용하였다.
제 1 필름(200)을 종이 위에 부착한 후 미세관 231의 종이 위와 홀 입구측 종이에 은 코팅(D)을 하였다. 은을 0.5mm 사이즈 펜에 넣고, 종이 위에 라인을 펜으로 그렸다. 60℃에서 20분정도 건조시켰다.
제 2 필름(300)을 제 1 필름 상부에 합지시켰다.
컨쥬게이트 패드 용액을 0.5% BSA 용액 1㎕, 40% 트레할로스(trehalose) 2.5㎕, 0.01% 트윈(Tween) 20.6㎕, HRP 결합된 Anti-trx antibody 0.12㎕로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7 mm × 4 mm 유리 섬유 멤브레인에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4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반응패드의 일측에 니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10 um pore size; 4 mm × 25 mm) 위에 1㎕(0.2mg/ml) Rabbit Anti-trx antibody를 떨어뜨려 test dot(사이즈 1mm)을 형성하였다. 니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반응패드)에 Rabbit anti-Mouse IgG antibody 1 ul (0.1 mg/ml)을 떨어뜨려 콘트롤 dot을 만들었다. 0.1% tween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0.5% BSA 용액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에 떨어뜨려 기공을 채운 다음 세척하였다.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흡착패드는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서 굽어진 "ㄱ“ 형상이다.
컨쥬게이트 패드, 흡수 패드와 반응 패드를 제 2 패턴 필름과 제 1 패턴 필름의 각 홀로 삽입하였다. 다시, 제 3 패턴필름과 제 4 패턴 필름을 순차로 제 2 패턴 필름 위에 적층하여 접착하여 미세침을 제조하였다.
미세칩의 크기는 55 mm × 45 mm 이고 무게는 1.5g이다. 하나는 은으로 코팅된 시료용액 채널(1mm × 8 mm), 은 코팅 없는 세척 채널(1mm × 20mm), 기질 용액 채널(0.5 mm × 210 mm)이다. 3개의 용액(하기 표 1 참고, 샘플 용액 10㎕, 세척 20㎕, TMB 기질 용액 100㎕)을 동시에 적하하고 12분 정도 기다리면, 모든 용액은 외력없이 순서대로 흐르고 자동으로 반응한다. 기질 반응 후에 도 3과 같이 신호가 발생된다.
하기 표 1은 시료, 세척, 기질 용액 성분, 부피와 이들 용액이 각 미세관을 통해 반응 패드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용액 성분 반응부 도달시간 부피
시료 0.05% BSA PBS 용액+Trx 3초±1초 10㎕
세척 0.1% Tween 20 PBS(V/V) 25초±5초 20㎕
기질 3,3,5,5-tetramethylbenzidine(TMB) 8분±30초 150㎕
실시예 2
컨쥬게이트 패드 용액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우선, 0.5ml의 금입자에 HRP가 부착된 항체를 0.2mg/ml 로 10ul를 섞고 15분간 반응시킨 후 0.5mg/ml의 티올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10ul 넣어준 뒤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13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이를 0.01% 트윈(Tween) PBS로 세척하고, 0.05% BSA 200ul 과 0.05% 트윈(Tween)용액 200ul를 넣어 보관하였다. 완성된 금-효소 나노입자 24㎕ 와 40% 트레할로스(trehalose) 2㎕ 로 컨쥬게이트 패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7 mm × 4 mm 유리 섬유 멤브레인에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4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도 1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3D 미세칩과 항원 농도에 따른 반응패드의 변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시료의 항원 농도를 조절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비색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 BIO-VALUE로 신호를 분석하였다. Trx 농도는 RGB 평균에 반비례하고, 도 15에서 Y축은 1/(RGB 평균)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0~60nM에서 Trx와 신호세기간에 선형성을 보여주며, 특히, 0~20nM에서는 선형성이 매우 높다.
도 16은 10nM의 Trx, PSA, HSA, BSA의 신호세기를 측정한 것이다. 각 용액은 260 ng/ml의 PSA 용액, 660ng/ml의 BSA 용액, 665 ng/ml의 HSA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도 16의 베이스라인(점선)은 항원이 없을 때 측정한 신호세기이다. 배이스라인 신호세기는 0.006511이다. 이 베이스 라인과 비교하여 PSA, BSA, HSA 용액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신호세기가 거의 증가하지 ?았다. 반면, Trx는 0.0075로서 신호세기가 현저히 상승하였다. 한편, Trx가 2.5nM 일때 신호세기는 0.006742로서, 다른 3개의 항원들 10nM 보다 더 신호가 세다. 즉,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Trx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3D 미세칩과 항원 농도에 따른 반응패드의 변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8은 시료의 항원 농도를 조절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기존의 HRP만을 사용한 감지항체보다 금-효소 복합체 나노입자를 사용한 경우 더 강력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민감도 또한 우수함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4)

  1. 종이(10)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고 미세관 패턴이 형성된 패턴 필름(20) ;
    상기 패턴 필름에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종이와 접촉하는 컨쥬게이트 패드(30)와 흡수패드(40),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와 흡수패드(4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호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0)에는 감지물질(31)이 결합된 항체(32)나 앱타머가 저장되고;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가 고정된 반응패드(50) ;
    상기 패턴 필름(20) 위에 부착되는 덮개 필름(60)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패드 하부의 필름(20)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A)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이 각각의 미세관 패턴부에 제공되면, 시료와 세척용액이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 상기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되고, 기질용액은 반응패드 아래 공간(A)으로 자동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2. 종이(10)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며, 컨쥬게이트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홀(21), 상기 제 1 홀과 이격되며 흡수패드가 삽입되고 반응 패드가 위에 위치하는 제 2 홀(22), 및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이 모세관힘으로 이동하는 미세관 패턴부(23)를 포함하는 패턴 필름(20) ;
    상기 제 1홀에 삽입되고, 감지물질(31)이 결합된 항체(32)나 앱타머가 저장되는 컨쥬게이트 패드(30) ;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고,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수패드(40) ;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하면에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가 고정된 반응 패드(50) ; 및
    상기 패턴 필름(20) 위에 부착되는 덮개 필름(6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홀, 제 2 홀 및 미세관 패턴부는 통공되어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이 상기 종이 위를 상기 미세관 패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반응 패드 아래의 공간(A)으로 기질용액을 이동시키도록 제 2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칩은 상기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이 각각의 미세관 패턴부에 제공되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과 상기 미세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시료와 세척용액을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 상기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시키고,
    상기 미세칩은 상기 세척용액이 상기 흡수패드로 이동되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과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을 통해 상기 기질 용액을 반응패드 아래 공간(A)으로 자동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칩은 시료가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에 도달하면,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4)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의 감지 항체(32)나 앱타머를 항원 항체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 패드로 이동시키고,
    상기 미세칩은 항원-감지항체, 미반응 감지항체를 포함하는 시료가 상기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항원-감지항체 및 미반응 감지항체를 항체(51)와 항원 항체 반응시켜 고정하고,
    상기 미세칩은 상기 기질 용액이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감지항체에 결합된 감지물질(31)과 기질 간에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홀과 제 2 홀 사이의 필름 영역(B)은 상기 시료와 세척용액이 상기 공간(A)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영역(B) 상부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필름(60)은 시료와 샘플이 유입되는 반응 패드의 입구 인근에 모세관힘을 감소시키는 홀(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상기 필름에 비해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세척 용액 미세관 패턴부는 하나의 패턴 채널로 합지된 후 제 1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세척 용액 미세관 패턴부(232)는 각각 제 1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종이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빠른 유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는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패턴 폭이 넓어 빠른 유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에 비해 패턴 폭이 넓거나 패턴 길이가 길어 기질용액이 시료나 세척용액에 비해 가장 늦게 상기 제 2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패드(50)는 셀룰로오스계, 폴리바이닐계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내부나 하면을 따라 시료나 세척용액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5. 종이(100)
    상기 종이 위에 부착되며, 컨쥬게이트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홀(210), 상기 제 1 홀과 이격되며 흡수패드가 삽입되고 반응 패드가 위에 위치하는 제 2 홀(220), 및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이 모세관 힘으로 이동하는 미세관 패턴부(230)를 포함하는 제 1 패턴 필름(200) ;
    제 1 패턴 필름(200)과 동일한 패턴이 형성되되, 제 1홀(210)과 제 2 홀(220) 사이의 필름 영역(B)을 추가로 제가하여 반응 패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3홀(240)이 추가로 형성된 제 2 패턴 필름(300) ;
    상기 제 1홀에 삽입되고, 감지물질(31)이 결합된 감지항체(32)나 앱타머가 저장된 컨쥬게이트 패드(30) ;
    상기 제 2 홀에 삽입되고,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수패드(40) ;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와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하면에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51)가 고정된 반응 패드(50)
    상기 제 1 홀과 제 3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4홀, 상기 흡수 패드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5홀을 포함하는 제 3 패턴 필름(400) ;
    상기 제 2홀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6홀(510)과 직하부에 상기 반응 패드 입구측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천장 홀(61)을 포함하는 제 4 패턴 필름(500)을 포함하고,
    상기 홀들과 미세관 패턴부는 상하 통공되며,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이 상기 종이 위를 상기 미세관 패턴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질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반응 패드 아래의 공간(A)으로 기질용액을 이동시키도록 제 2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홀과 제 2 홀 사이의 필름 영역(B)은 상기 시료와 세척용액이 상기 공간(A)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영역(B) 상부는 소수성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종이는 친수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빠른 유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는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나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에 비해 패턴 폭이 넓어 빠른 유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용액 미세관 패턴부(233)는 상기 시료 미세관 패턴부(231)와 상기 세척용액 미세관 패턴부(232)에 비해 패턴 폭이 넓거나 패턴 길이가 길어 기질용액이 시료나 세척용액에 비해 가장 늦게 상기 제 2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
  21. 시료, 세척용액 및 기질 용액을 종이 위에 형성된 각각의 미세관 패턴부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으로 시료와 세척용액을 순차로 컨쥬게이트 패드, 반응패드 및 흡수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미세관을 통해 외부 동력원 없이 모세관힘으로 기질용액을 상기 반응패드 아래 공간(A)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의 표적항원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료가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에 도달하면, 상기 시료에 포함된 항원(4)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의 감지항체(32)나 앱타머를 항원 항체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 패드로 이동시키고,
    상기 방법은 항원-감지항체, 미반응 감지항체를 포함하는 시료가 상기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항원-감지항체 및 미반응 감지항체를 상기 반응 패드 하부에 고정된 항체(51)와 항원 항체 반응시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질 용액이 반응패드에 도달하면, 감지항체나 앱타머에 결합된 감지물질(31)과 기질 간에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컨쥬게이트 패드와 상기 흡수패드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종이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반응패드를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와 상기 흡수패드 위에 걸쳐 위치시켜 상기 반응패드와 종이 사이에 기질용액이 유입되는 공간(A)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세관 하부에 위치하는 종이 상부를 친수성 물질로 코팅하거나 미세관의 폭을 조절하여 시료, 세척용액, 기질 용액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효소 반응에 따른 신호를 리더기로 읽어 항원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반의 3차원 구조 미세칩을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KR1020180048965A 2018-04-27 2018-04-27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KR10208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5A KR102088277B1 (ko) 2018-04-27 2018-04-27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US17/050,621 US20210237060A1 (en) 2018-04-27 2019-04-11 Paper-bas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microchip for detecting target antigen by using immunochemical assay, and method for detecting target antigen by using same
PCT/KR2019/004344 WO2019208961A1 (ko) 2018-04-27 2019-04-11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CN201980029207.2A CN112088308A (zh) 2018-04-27 2019-04-11 利用免疫化学诊断方法的靶抗原检测用纸基三维结构的微芯片及利用其的靶抗原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5A KR102088277B1 (ko) 2018-04-27 2018-04-27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07A KR20190124907A (ko) 2019-11-06
KR102088277B1 true KR102088277B1 (ko) 2020-03-13

Family

ID=6829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965A KR102088277B1 (ko) 2018-04-27 2018-04-27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37060A1 (ko)
KR (1) KR102088277B1 (ko)
CN (1) CN112088308A (ko)
WO (1) WO2019208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56A (ko) * 2020-10-28 2022-05-0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물질 검출용 비색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분석물질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334B1 (ko) * 2020-02-14 2022-10-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조절부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현장용 진단 키트
EP4257981A1 (en) 2022-04-07 2023-10-11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Sensing device with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edefined chemical, biological or biochemical entity in a fluid samp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6571A (ja)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クロマトグラフデバイス
KR101705480B1 (ko) 2015-08-19 2017-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감도 2차원 크로마토그래피 바이오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1689T3 (es) * 2000-07-24 2010-01-13 Panasonic Corporation Biosensor.
KR100635110B1 (ko) * 2004-12-09 2006-10-17 주식회사 바이오디지트 현장분석용 랩온어칩 및 랩온어칩용 신호탐지기
EP2144057B1 (en) * 2007-04-27 2019-04-10 ARKRAY, Inc. Method for analyzing a sample containing glycosylated hemoglobin and glucose
KR100885074B1 (ko) * 2007-07-26 2009-02-25 주식회사 아이센스 미세유로형 센서 복합 구조물
US8075854B2 (en) * 2007-11-08 2011-12-13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Bioprocessing Innovative Company Microfluidic chips for rapid multiplex ELISA
CN102076415B (zh) * 2008-06-29 2015-06-24 瑞尔比奥技术有限公司 尤其可用作生物测定过程中的捕捉装置的液体转移装置
KR101111968B1 (ko) * 2009-04-20 2012-02-14 (주)디지탈옵틱 교차흐름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키트조립체
EP2433143B1 (en) * 2009-05-19 2016-03-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ulti-directional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EP2531300A1 (en) * 2010-02-03 2012-12-1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plexed assays
GB201005191D0 (en) * 2010-03-26 2010-05-12 Cambridge Entpr Ltd Immunoassays,methods for carrying out immunoassays,immunoassay ki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munoassay kits
WO2013087888A1 (fr) * 2011-12-15 2013-06-20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Système microfluidique 3d à zones emboîtées et réservoir intégré,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ses utilisations
US20150290639A1 (en) * 2012-12-03 2015-10-15 Vladimir Evtodienko Pressure assisted lateral flow diagnostic device
CN203508047U (zh) * 2013-08-23 2014-04-02 许毅 自动切换通道的纸基微流体装置及其制成的生化检测装置
CN103808948A (zh) * 2014-03-12 2014-05-21 杭州霆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农药残留现场检测的微流控芯片***及方法
WO2015166049A1 (en) * 2014-04-30 2015-11-05 Iba Gmbh Method of isolating a target cell
US11027273B2 (en) * 2015-03-01 2021-06-0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thogen detection using microfluidic biochips
WO2017109775A1 (en) * 2015-12-20 2017-06-29 Gene Bio Application Ltd Disposable independent 3-d structure depened sequential capillary lateral flow device for analyte determination
KR101792122B1 (ko) * 2016-04-07 2017-11-20 한국과학기술원 섬유 기반 미세유체소자를 위한 다종 유체 이송 시스템
CN107478631B (zh) * 2017-09-19 2019-10-11 南京工业大学 一种同时检测多种肿瘤标志物的3d折叠纸基微流体荧光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6571A (ja)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クロマトグラフデバイス
KR101705480B1 (ko) 2015-08-19 2017-02-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감도 2차원 크로마토그래피 바이오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56A (ko) * 2020-10-28 2022-05-0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물질 검출용 비색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분석물질 검출 방법
KR102535272B1 (ko) * 2020-10-28 2023-05-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물질 검출용 비색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분석물질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8961A1 (ko) 2019-10-31
CN112088308A (zh) 2020-12-15
US20210237060A1 (en) 2021-08-05
KR20190124907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974B2 (en) Universal testing system for quantitative analysis
JP5043186B2 (ja) 微細流路型センサー複合構造物
EP2376906B1 (en) Method for amplification of signal i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and immunochromatographic kit using the method
JP4383860B2 (ja) バイオセンサ、及び測定方法
KR102088277B1 (ko) 면역 화학 진단법을 이용한 표적 항원 검출용 종이기반 3차원 구조의 미세칩과 이를 이용한 표적항원 검출 방법
JP6309688B2 (ja) 側方流アッセイデバイス
JP6037184B2 (ja) 多孔質媒体を利用したアッセイ装置
KR100506165B1 (ko) 비연속식 면역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방법
JP5383671B2 (ja) バイオセンサ
KR101394221B1 (ko) 한 번의 시료 주입으로 순차적인 반응 조건의 변화가 가능한 멤브레인 센서
CA2819195A1 (en) Sample metering device and assay device with integrated sample dilution
US20160146803A1 (en) Heterogenous assay
CA2819126A1 (en) Sample metering device and assay device with integrated sample dilution
KR100455298B1 (ko) 투명한 플라스틱 지지체를 가진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Pham et al. Immuno-gold silver staining assays on capillary-driven microfluidics for the detection of malaria antigens
WO2009136476A1 (ja) バイオ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バイオセンサ
US20210055284A1 (en) Microchip immunoassay device having precise incubation time control and signal scaling and related methods
US9052309B2 (en) Ratiometric immunoassay method and blood testing device
WO2022065236A1 (ja) アッセイ装置及びアッセイ方法
KR102147368B1 (ko)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센서 카트리지
JP2005257468A (ja) バイオセンサ
KR102015360B1 (ko) 측방 유동 분석에서의 신호 증폭 키트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150369802A1 (en) Biomolecule Binding Composite Surfaces, Methods Of Making Such Surfaces, Devices Incorporating Such Surfaces, And Methods Of Using Such Surfaces In Biomolecule Binding Assays, And Devices Therefor
CN115382591A (zh) 一种对称双路结构elisa微流控检测芯片
WO2018048025A1 (ko) 진단센서의 패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