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84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84B1
KR102086684B1 KR1020180156313A KR20180156313A KR102086684B1 KR 102086684 B1 KR102086684 B1 KR 102086684B1 KR 1020180156313 A KR1020180156313 A KR 1020180156313A KR 20180156313 A KR20180156313 A KR 20180156313A KR 102086684 B1 KR102086684 B1 KR 10208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block
blockchai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18015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84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18 priority patent/WO202011689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은 차량, 차량 소유자, 차량 운행자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차량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비된 차량관련정보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기입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업체서버; 상기 차량관련정보 중 상기 업체서버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다른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에 기재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업체서버로부터 상기 블록을 전달받아 상기 블록에 기록된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기준값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별 지수를 생성하며,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 또는 점수를 지수/점수 블록에 기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편리한 것이나, 제조기술이 복잡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만드는 것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고장이나 사고가 났을 때 수리하는 것도 전문가가 아니면 거의 할 수 없다. 자동차를 생산하는 과정에는 최상의 검사시스템과 엔지니어링 능력이 있는 관리자가 검사시스템의 운영을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제품이 출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사용자에게 인도되어 운행하고 있는 도중에는 사용자 스스로 차량의 상태에 대해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때에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고장이나 사고에 의해 차량을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일반 운전자는 차량의 수리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주변에 수많은 차량 정비소가 있고 차량 정비소에는 차량 수리 전문가가 있으며, 이들에게 의뢰를 하기만 하면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소유 형태는 다양한데, 일반 가정집에서의 승용, 승객 운송 및 물건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소유형태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이 소유하고 본인과 가족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동차는, 운송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운행거리 및 운행시간이 짧은 것이 일반적이고, 주행하는 길도 비포장 도로보다는 포장된 도로일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포장도로에서 운행하는 것에 비해 비포장도로를 운행하는 것이 차량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자동차에 대해 전문지식이 없는 보통사람은 차량의 수명을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차량의 주행거리로 차량의 수명을 판단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일 종류의 차량이라도, 차량의 운행시간, 운행조건 및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차량의 수명이 서로 다르게 될 것이고,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에 의한 수리 후 차량의 수명은 고장이나 사고가 나지 않은 차량에 비해 줄어들게 될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택시 운전자의 노령화는 법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차량의 노후 및 차량의 기능 저하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한 정보는 차량 소유주 또는 제조회사와 같이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과 관계될 수 있으며, 이들에게 불리하게 판별되는 경우 악의적인 변경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4127호(2016년02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9271호(2016년07월07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당시의 차량 제조정보, 운행 차량의 변동정보 및 차량의 운행정보 등을 수집 및 처리하여 사용중인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차량에 발생된 이슈들을 블록을 통해 누적하여 관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차량의 정보 관리가 가능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은 차량, 차량 소유자, 차량 운행자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차량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비된 차량관련정보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기입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업체서버; 상기 차량관련정보 중 상기 업체서버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다른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에 기재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업체서버로부터 상기 블록을 전달받아 상기 블록에 기록된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기준값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별 지수를 생성하며,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 또는 점수를 지수/점수 블록에 기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은 제조 당시의 차량 제조정보, 운행 차량의 변동정보 및 차량의 운행정보 등을 수집 및 처리하여 사용중인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차량에 발생된 이슈들을 블록을 통해 누적하여 관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차량의 정보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업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110), 업체서버(111) 및 사용자단말(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단말(160)은 차량단말(160a)와 제3자단말(160b)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로부터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지수화 및 점수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점수, 지수, 수집된 정보 일부(또는 전부) 및 점수/지수 산출에 사용된 규정과 같은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노드들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블록체인의 노드들은 관리서버(110), 사용자단말(160) 및 업체서버(111)가 기본으로 참여하고, 이와 별도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임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와 사용자단말(160)만을 포함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110)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장치 또는 서버의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관리서버(110)는 회원들만을 참여시킨 프라이빗 블록체인 외에, 임의 검증용 노드의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추가적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관련 정보를 지수화하며, 지수화한 정보를 종합하여 점수화한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에는 수집된 차량관련정보의 지수산출 및 점수 산출을 위한 알고리즘, 기준값, 감가와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일례로 부품이 차량의 출고 초기에는 지수가 100점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이 차량의 점수에 반영되는 비율이 10%로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노후화에 의한 감가가 주행거리별로 0.01%/1000km와 같이 선정되어 지수와 점수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지수, 점수 정보와 지수 및 점수 산출에 사용된 알고리즘 또는 판단기준, 지수 또는 점수 산출을 위해 사용된 수집 정보를 관리서버(110)가 블록으로 생성하여 노드에 전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시점마다 블록에 수집된 정보 또는 산출된 정보를 추가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검증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공개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의 노드 중 회원 노드들에게 블록의 전파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각 노드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된 정보를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제공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업체서버(111)가 특정 차량의 정비를 수행하는 정비업체의 서버이고, 정비 수행이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전달하기 위해 정비업체의 서버는 정비 수행이력, 정비에 소요된 비용, 정비일자와 같은 항목을 트랜잭션으로 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이를 업체서버(11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10)는 이 블록에 담겨진 정보를 토대로 지수와 점수를 산출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정비이력과 정비이력에 의해 변경된 지수와 점수가 산출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차량에 대해서는 지수와 점수의 기록을 위해 하나의 블록체인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하나의 블록체인은 베이스 블록이며, 차량관련 정보를 별도의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 차량관련정보의 기록 및 전달을 위핸 패밀리 블록체인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는 업체서버(111)에 의해 전달되는 블록체인의 내용을 다른 블록체인의 블록에 포함되도록 관리서버(110)가 트랜잭션의 전달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업체서버(111)는 차량의 정비이력에 관련된 블록을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정비이력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고자 하는 정비정보를 기록하여 관리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이 정비정보가 기록된 블록을 조회하여 블록의 트랜잭션에 기록된 정비이력을 읽어오게 되고, 이를 차량의 종합적인 정보 즉 지수와 점수가 기록된 블록에 기록하게 된다. 특히, 이때 정비이력 블록에서 얻어 온 정비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도 있고, 정비이력에 의해 산출된 지수와 지수를 반영한 점수만을 차량의 종합정보를 나타내는 블록에 기재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하나의 차량에 대해서 정비, 사고와 같이 다양한 블록체인이 형성되고, 이 중 차량종합 정보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이 다른 블록체인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점수/지수 블록체인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공개키와 개인키의 전달은 블록체인의 거래 당사자 즉, 정보를 전달하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주고 받는 것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공개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의 노드에 의한 검증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정보의 관리, 블록의 생성 및 갱신을 위해 블록의 생성에 사용된 트랜잭션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를 사용자의 정보 또는 차량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60)을 통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고, 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블록이 생성되면,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한 아이디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잭션 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는 관리서버(110)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트랜잭션 또는 블록을 생성한 사용자와 회원을 매칭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을 통해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블록의 내용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이에 매칭된 트랜잭션 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인증 및 검색함으로써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TXID 관리서버(185)와 연결되어 트랜잭션 아이디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블록의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10)는 이를 차량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업체서버(111)는 차량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업체서버(111)는 정비, 수리, 보험과 같이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업체 또는 공공기관에 마련되는 서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업체서버(111)는 업체나 기관에 의해 차량에 적용된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업체서버(111)에 생성되는 정보는 블록에 기재되어 관리서버(110)에 전달된다. 즉, 정보의 발생시점에 블록에 의해 정보의 의도적인 조작 또는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관리서버(11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업체서버(111)에 의해 정보가 기재되는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행위에 대해서만 기록한 블록일 수도 있고, 차량의 종합적인 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은 업체서버(111)가 노드로 참여하기 때문에 다른 노드에 별도로 요청하거나, 생성을 필요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업체서버(111)가 이전에 발생된 블록의 검증을 위한 노드로 참여한 후 유지되는 블록에 신규한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으로써 생성하여 관리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60)은 업체서버(111)와 마찬가지로 차량관련 정보를 수집 또는 생성하여 전달하는 역할과, 차량관련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의 차량관련정보 블록 또는 이를 점수화 및 지수화하여 생성되는 블록체인인 종합정보 블록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확인 및 수집하여 이용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관련정보와 이를 점수화한 블록체인은 하나의 블록체인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으로 나뉘어 기재될 수 있으며, 또는 이를 별개의 체인으로 구성하여 관리서버에서 어느 한 블록체인의 정보를 다른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재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별도의 구분이 없는 경우 이들 모두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60)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단말(160a)과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생성하는 제3자단말(16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제3자단말(160b)에 포함될 수 있다. 소유자의 경우 차량의 점수에 따른 이익이 증감이 발생함으로 소유자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도록 하는 경우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이러한 소유자의 의지가 반영될 수 있는 단말은 점수 및 지수를 전달받아 재가공할 수 있는 제3자단말(160b)에 포함되고, 차량관련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단말(160a) 즉, 트립컴퓨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소유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외부와의 통신수단을 가지지 않는 차량단말(160a)에 대해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단말(160a)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외부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례로 차량단말(160a)은 차량에 설치되는 트립컴퓨터 또는 전자제어유닛일 수 있으나, 별도로 설치되는 단말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단말(160a)은 제네시스 블록을 생성하거나, 차량의 운행에 따른 차량상태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관련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단말(160a)은 차량의 생성시 차량과 함께 생성되는 제네시스 블록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차량단말(160a)과 제3자단말(160b)은 블록체인의 노드로써 동작한다. 이러한 차량단말(160a)과 제3자단말(160b)은 새로운 블록이 전파되어 검증을 필요로하는 경우 이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블록 전달자에게 회신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3자단말(160b)은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에 참여하지는 않고 검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네트워크에 임의로 존재하는 정보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자단말(160b)에 임의 정보단말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는 블록체인의 구성이 개방형으로 구성되는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검증을 위한 임의의 노드를 추가 가능하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2는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업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서버(110),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 부품제조회사 서버(150), 사용자 단말(160), 경찰서 서버(170), TXID 관리 서버(185), 보험회사 서버(180) 및 교통관리공단 서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는 차량을 제조하는 회사에 구비된 서버로 차량의 제조 당시의 기본정보(이하 차량 기본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차량 기본정보는 차량의 고유번호(차대번호, 엔진번호와 같은 차량에 부여된 주요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차량의 출고일, 차량의 제조 시 특이사항 및 출고시 차량에 추가되는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조 시 특이사항은, 예를 들며, 차량 제조 당시의 제조라인의 중지 여부, 부품 공급 업체의 변경 여부, 부품 변경 이력, 제조 라인의 변경 여부와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추가되는 옵션은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출고되는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구성품을 타부품으로 교체하거나, 기본 사양에는 없던 것을 출고시 추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는 법에 따라 차량의 정기검사를 대행하는 업체에 설치된 서버를 의미하며, 정기검사를 받은 차량의 정기검사 결과(이하 차량 정기검사 결과)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교통관리공단 서버(190)로 전달되어 교통관리공단 서버(190)에 의해서도 관리서버(11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양측에서 각각 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서버(110)가 두 서버(130, 190)을 통해 전달된 내용을 대조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어느 한 서버(130, 190)에서만 자료를 받을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는 차량을 정비 또는 수리하는 정비업체에 설치된 서버로, 차량을 수리하고 난 후에 차량 정비업체 측에서 입력한 해당 차량의 정비정보(이하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비정보는 차량의 부착물 중 차량의 제조업체에서 부착한 것이 아닌 부착물(옵션)에 대한 정보, 차량의 정비일자, 차량의 운행거리, 차량 정비 내용, 교체에 사용된 부품 및 사고내용을 포함한다. 출고 차량에 추가하는 부착물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편리할 수 있지만, 차량의 노후화 속도, 차량의 수명이나 안전성 면에서는 단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도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성을 판단하는데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체에 사용된 부품도 정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연한을 넘긴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부품을 사용하거나 반대로 제조업체의 추천을 무시하고 추천받은 부품이 아닌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등도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성을 판단하는 데 반영할 수 있다.
부품제조회사 서버(150)는 차량 정비업체에 차량의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제조회사의 서버로, 어떤 차량 정비업체에 어떤 부품을 언제 공급하였는가 하는 정보(이하 부품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부품정보는 부품의 제조연월일, 생산시기, 사용연한, 납품 정비업체 및 추천교체시기 등을 포함한다. 부품정보는 어느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에, 언제, 어떤 부품 및 어느 정도 양의 부품이 제공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운행차량 관리서버(110)는 부품정보와 차량 정비업체에서 입력하는 부품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차량 정비업체에서 사용한 부품의 정확성 또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기간에 제조된 특정 부품의 안전성 평가가 해당 부품이 판매 후에 변동되었을 때 이를 소급하여 해당 부품의 안전성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평가점수를 변동시킨다. 예를 들면, 해당 부품의 제조 및 판매 시에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 사고가 난 차량을 분석하던 도중에 해당 부품의 결함을 발견한 경우이다.
또한, 평가점수가 높은 것이 평가점수가 낮은 경우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가정할 때, 경찰이나 해당 당국의 검사 결과 특정 기간, 특정 업체에서 생산한 특정 제품에 하자가 있는 것으로 판명이 났을 때, 해당 부품에 적용된 평가점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이후, 특정 차량이 해당 부품을 정상적인 부품으로 교체한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점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60)은 차량의 소유자 개인 또는 복수의 차량을 운행하는 운송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입출력장치와, 관리 시스템(100)에 참여한 다른 차량의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60)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개인 차량의 용도는, 개인이 소유한 차량의 사용 태양 즉 출퇴근용, 여행용 및 개인영업용 중 하나가 그 예가 될 것이고, 영업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의 운영용도(승용, 화물 운송), 운행노선, 운행거리, 운행 운전자의 이력 등이 될 것이다. 운행노선은 영업차량이 이동하는 노선으로, 노선 중 비포장 도로, 공사 여부 등과 같은 노선의 특이사항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60)은 블록체인의 차량정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서버들과 마찬가지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110)에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관리 서버(110)에 의해 생성된 블록을 검증하고 전파하는 노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노드의 역할을 서버들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리서버(110)를 설명하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경찰서 서버(170)는 차량의 사고 정보와 단속 정보를 관리 서버(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단속 정보에는 과속이나 신호위반 등이 포함될 것이다.
보험회사 서버(180)는 차량의 사고 중 경찰서에 신고하지 않고 합의를 보는 차량의 사고를 관리 서버(110)에 전달한다. 차량의 사고는 경찰에 접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인사사고 아닌 경미한 사고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에 합의를 보고 경찰에 신고하지 않을 수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보험회사를 통해 합의금이 지금되는 때에는 그 기록을 관리 서버(110)에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상황도 차량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량의 보험처리 또는 경찰에 신고되지 않은 사고의 경우 정비업체 서버(140)의 수리 이력을 통해 조회 또는 분석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제 사고 발생정보를 판단 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관리서버(110)는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 부품제조회사 서버(150), 사용자 단말(160), 경찰서 서버(170), 보험회사서버(180) 및 교통관리공단서버(19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도를 평가하고 조치한다.
이러한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노후화 및 안전도의 평가를 위해 수집된 정보를 지수화하고, 이를 차량의 상태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점수로 산출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점수, 지수 및 수집된 정보 일부(또는 전부)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노드들에 전파한다. 여기서 노드들은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장치들과 이와 별도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다만, 관리서버(110)는 노드들은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장치들만을 노드로 한정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110)가 이러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리서버(110)는 수집된 정보를 지수화하고, 지수화한 정보를 종합하여 점수화 한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에는 수집된 정보를 지수화하고 차량의 각 지수를 점수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기준값, 감가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 부품이 차량의 출고 초기에는 지수가 100점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이 차량의 점수에 반영되는 비율이 10%로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노후화에 의한 감가과 주행거리별로 0.01%/1000km와 같이 선정되어 지수와 점수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산출된 지수, 점수 정보와 지수 및 점수 산출에 사용된 알고리즘 또는 판단기준, 지수 또는 점수 산출을 위해 사용된 수집 정보를 관리 서버(110)가 블록으로 생성하여 노드에 전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시점마다 블록에 수집된 정보를 추가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전파와 검증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공개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정보의 관리, 블록의 생성 및 갱신을 위해 블록의 생성에 사용된 트랜잭션아이디(TXID)를 사용자의 정보 또는 차량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60)을 통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고, 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블록이 생성되면,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한 아이디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잭션 아이디(TXID)사용자가 시스템에 참여하면서 관리서버(110)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을 통해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블록의 내용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이에 매칭된 트랜잭션 아이디(TXID)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인증함으로써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TXID 관리서버(185)와 연결되어 트랜잭션 아이디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블록의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10)는 이를 차량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을 구분할 수 있는 공개키를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잭션ID를 회원정보와 매칭할 수도 있고 공개키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둘 모두를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공개키나 트랜잭션ID를 차량번호와 같이 일반 회원들이 확인하기 용이한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와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가 매칭되어 저장되며, 이 때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를 차량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회원의 이름 또는 차량번호를 통해 블록체인의 정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제3자에 의해 회원의 이름,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를 통해 블록체인을 확인하고, 요청이 발생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특정 차량 또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른 정보로 재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체인의 정보 주체가 되는 차량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소유주 또는 차량의 번호)와 같은 정보를 통해 블록체인에 접근하고, 블록에 기재된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공개키를 차량번호와 같이 일반 회원들이 확인하시 용이한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와 공개키가 매칭되어 저장되며, 이 때 공개키를 차량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회원의 이름 또는 차량번호를 통해 블록체인의 정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제3자에 의해 회원의 이름,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공개키를 통해 블록체인을 확인하고, 요청이 발생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는 노드들 즉, 회원들은 이웃노드의 정보 저장시, 관리시스템(100)에 노드의 정보를 대조하여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에 참여한 노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관리시스템(100)의 각 서버 또는 단말들은 이웃노드의 순서를 수정하여 관리시스템(100)의 회원 간의 블록 공유 및 검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달 순서외에 검증리스트의 검증 순위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관리시스템에 참여한 회원 노드들에 대해서는 블록체인에 의해 전달된 블록들 중 회원들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의 검증이 우선시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가 회원들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의 정보 예를 들어, 트랜잭션 아이디, 공개키를 전달하여 검증리스트의 검증 순위를 회원노드들이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은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 차량 관련 정보 생성 단계(S20), 차량 관련 정보 블록 생성 및 전달 단계(S30), 지수 및 점수 산출 단계(S40), 지수 및 점수 블록 생성 및 전달 단계(S50), 점수 이용 단계(S60) 및 정보갱신 판단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는 관리서버(110) 또는 차량단말(160a)에 의해 관리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응되는 제네시스 블록이 생성된다. 이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는 관리시스템(100)에 소유자가 회원으로 참여하거나, 회원인 소유자에 관리가 필요한 차량이 발생하여 관리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이때 제네시스 블록에는 트랜잭션으로 차량의 기본정보와 회원정보 중 공개가능한 정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정보는 차량의 번호, 차대번호, 엔진번호, 형식번호, 차량의 첫 소유주, 차량의 출고일, 제조공장, 적용된 옵션과 같이 차량의 제조업체 서버(120)으로부터 취득되는 정보, 보험회사 서버(18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제조업체 서버(120), 보험회사 서버(180)에 이러한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리서버(110)가 다른 서버에 요청해서 전달받아야 하는 정보를 제외하고 차량단말(160a) 또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정보가 제네시스 블록으로 생성되고, 차량의 기본 정보가 2번째 블록으로 제네시스 블록에 연결되어 초기 블록체인의 블록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에서 차량단말(160a) 또는 관리서버(110)에서 제네시스 블록에 가장 기초적인 정보를 기재하고, 이를 상대측에 전달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블록체인의 블록그룹에 차량 및 소유자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여 이후의 블록들에 의해 초기정보가 연결되어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되는 블록에 저장되는 회원정보는 차량번호, 차량 소유자의 이름과 관리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된 아이디와 같이 제3자에게 노출 가능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네시스 블록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되는 블록은 그대로 회원 노드들에 전파되어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관리서버(110)와 차량단말(160a) 간의 전달을 통해 연결되는 블록을 생성하여 체인을 형성한 후 이후 블록에 다른 정보들이 기재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관련 정보 생성 단계(S20)는 차량 관련 이슈가 발생되어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에 의해 차량관련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이 차량관련정보는 차량의 평가를 위한 지수 및 점수에 해당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례로, 주행거리, 정비내역, 사고이력, 법규위반 사항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 들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슈를 처리하는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차량 관련 정보 블록 생성 및 전달 단계(S30)는 갱신 또는 추가가 필요한 차량관련정보가 발생되면, 이를 처리하는 장치 즉, 업체서버(111)나 차량단말(160a) 또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차량관련정보가 기재된 트랜잭션과 이를 기록한 블록이 생성되어 회원들에 대해 전파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량관련정보 블록은 전술한 제네시스 블록 및 초기블록("베이스 블록체인"이라 함)을 연결하는 블록에 연결되는 블록일 수도 있고, 차량관련정보를 관리서버(111) 및 사용자단말(160)에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블록체인(이하 "패밀리 블록체인"이라 함)에 포함되는 블록일 수 있다. 이러한 패밀리 블록체인은 차량관련정보의 항목별 즉, 정비, 사고, 법규 위반과 같이 이슈가 자주 발생하는 사항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패밀리 블록체인에 이러한 정보가 모두 기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블록에 기재되는 정보의 양과 처리 효율에 따른 것으로 실제 구현시 조절될 수 있는 사항이다.
지수 및 점수 산출 단계(S40)는 차량관련정보가 블록체인에 의해 관리서버(110)에 전달되면, 관리서버 차량관련정보의 블록체인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지수를 산출하고, 지수에 의해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이 지수 및 점수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관리서버(110)는 차량관련정보가 베이스 블록체인이나 패밀리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것에 무관하게 특정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차량의 베이스 블록체인의 최종 지수와 점수를 확인하고, 추가되는 차량 관련정보를 적용하여 갱신된 지수와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지수 및 점수 블록 생성 및 전달 단계(S50)는 관리서버(110)가 산출된 지수와 점수를 기재한 블록을 생성하고, 앞서 생성된 블록체인에 연결되도록 블록을 생성하여 회원노드들(즉, 업체서버(111), 사용자단말(16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 지수 및 점수 블록 생성 및 전달 단계(S50)에서 관리서버(111)는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에 의해 차량관련정보가 전달되면, 새로 생성되는 블록을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에 연결되도록 베이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블록을 생성한다. 차량관련정보가 패밀리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에도 지수와 점수 정보는 베이스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에 기재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패밀리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에는 차량관련정보의 갱신에 따라 지수와 점수 정보가 변동되었음을 기록하는 블록이 생성되어 패밀리 블록체인에 기재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점수 이용 단계(S60)는 베이스 블록체인에 기재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60) 또는 업체서버(111)가 전달받아, 차량의 평가, 안전도 확인과 같은 다양한 평가 및 이용의 지표로 이용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점수 이용 단계(S60)에서 사용자 단말(160) 또는 업체서버(111)는 블록체인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블록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정보갱신 판단 단계(S70)는 전술한 S20 내지 S60 단계 이후 차량관련정보의 갱신 또는 변경이 필요한 신규한 이슈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정보갱신 판단 단계(S70)는 관리서버(110), 업체서버(111) 및 사용자단말(160)에 의해 모두 판단될 수 있으며, 갱신 또는 추가가 필요한 경우 전술한 S20 내지 S60의 단계를 거쳐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110: 관리서버
111: 업체서버 160: 사용자단말
120: 차량 제조업체 서버 130: 검사업체서버
140: 정비업체 서버 150: 부품회사 서버
170: 경찰서 180: 보험회사 서버
185: TXID 관리서버 190: 교통관리공단 서버

Claims (10)

  1. 차량, 차량 소유자, 차량 운행자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차량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차량관련정보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기입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업체서버;
    상기 블록을 전달받아 상기 블록에 기록된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기준값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별 지수를 생성하며,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 또는 점수를 지수/점수 블록에 기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차량단말 및 상기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는 제3자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단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서버, 상기 업체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블록을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노드에 우선 전달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블록에 우선하여 상기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블록을 우선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지수/점수 블록을 상기 차량에 대한 기본정보가 기록된 블록을 제네시스 블록으로 하는 베이스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체인은
    상기 관리서버와, 차량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제네시스 블록과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차량단말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네시스 블록에 연결되는 2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초기블록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베이스 블록과 별도로 생성되고, 상기 차량의 차량관련정보를 기재하기 위해 생성되는 패밀리 블록체인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패밀리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재되어 전달되는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지수 및 점수를 상기 베이스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과 상기 패밀리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블록 모두에 기재하여 각각의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 상기 업체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지수 또는 상기 점수 산출에 사용된 알고리즘 또는 기준값을 상기 블록에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의 회원정보,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 상기 블록체인의 공개키 및 상기 블록의 트랜잭션 아이디 중 어느 둘 이상을 매칭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80156313A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8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3A KR102086684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PCT/KR2019/016918 WO2020116894A1 (ko) 2018-12-06 2019-12-03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3A KR102086684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84B1 true KR102086684B1 (ko) 2020-04-24

Family

ID=7046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13A KR102086684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684B1 (ko)
WO (1) WO202011689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6-02-11 문 훈 이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639271B1 (ko) 2014-10-07 2016-07-13 이승수 정비소 공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17134B1 (ko) * 2015-12-09 2017-03-16 강성구 온라인 중고자동차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2507A (ko) * 2016-08-24 2018-03-06 김보석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문서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339A (ko) *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835344B1 (ko) * 2017-12-19 2018-04-19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6-02-11 문 훈 이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639271B1 (ko) 2014-10-07 2016-07-13 이승수 정비소 공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17134B1 (ko) * 2015-12-09 2017-03-16 강성구 온라인 중고자동차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2507A (ko) * 2016-08-24 2018-03-06 김보석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문서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VL(Mass Vehicle Ledger) WHITEPAPER (2018.04.), https://mvlchain.io/papers/mvl_white_paper_ko.pdf?t=5acd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94A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196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ransferability of title via blockchain
US114429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vehicle sensor data via a blockchain
AU2007237287C1 (en)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use
US20140039935A1 (en) Insurance verification system (insvsys)
KR1020866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CN101460902A (zh) 报告和处理与铁路资产有关的信息的方法和***
CN112116191A (zh) 多个实体之间的交通工具共享和所有权
WO2020116893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8668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US120348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eature-based rating via blockchain
KR102517282B1 (ko) 자동차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JP2023553245A (ja) 輸送手段の使用の判定
Blanks Traffic signal equipment procurement based on cost of ownership and community cost
Sansom Getting more mileage from your fleet
Pociejkowicz et al. Introducing Autonomous Cars on Public Roads: Examination of a No-Fault Insurance Model as a Viable Option and Response to Changing Motor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