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55B1 -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55B1
KR102086655B1 KR1020180039396A KR20180039396A KR102086655B1 KR 102086655 B1 KR102086655 B1 KR 102086655B1 KR 1020180039396 A KR1020180039396 A KR 1020180039396A KR 20180039396 A KR20180039396 A KR 20180039396A KR 102086655 B1 KR102086655 B1 KR 10208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assembly
presen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007A (ko
Inventor
정창화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창화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6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하고, 무인 비행체의 파괴로 인한 인명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 및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와 연결되고,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가 망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가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SAFETY COVER FOR DRON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체에 결합 가능하며 무인 비행체의 보호가 가능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여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일컫는데, 최근에는 드론(Drone)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일반 비행체와는 달리 조종사를 위한 공간과 안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개발 초기에는 대부분 군사용으로 활용되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을 위한 정찰용, 미니 폭탄을 지닌 공격용, 생화학 감지기를 장착한 화생방용, 적군의 통신을 마비시키는 전자전용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생활에서도 무인 비행체(드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세계적 기업들은 최근 몇 년 새 무인 비행체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아마존은 2013년 12월 ‘프라임에어’라는 새로운 배송 시스템을 공개했다. 아마존은 재고 관리와 유통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데 기술 투자를 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에어는 택배직원이 했던 일을 무인 비행체가 대신하는 유통 서비스다. 아마존은 이를 위해 무인 비행체를 개발하는 연구원을 대거 고용했다. 아마존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며, 법적인 규제가 풀리는대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는 조종사의 운영 기술, 현지 상황 파악을 통한 이성적 판단, 경우에 따라서는 조종사의 감각 등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조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무인 비행체의 수량 증가와, 동호회 및 애호가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무인 비행체의 비행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이와 같은 상황이 급반전될 수 있는데, 무인 비행체의 활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와 특수 목적을 중심으로 그 활용이 바뀌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무인 비행체의 비행은 안전을 담보로 이루어지지만, 아직까지는 안전에 대한 설비가 빈약한 상황이기 때문에 종종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비행 조종의 미숙함에 의한 제어권을 이탈하여 나무, 건물, 심지어 사람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많다. 또 무인 비행체의 파괴는 재산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 상해까지 이어지는 등, 이와 같은 다양한 사고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낳고 있다. 또한 전문가가 조종하더라도 순간 실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6797호(공개일: 2012. 12. 20)이 있다.
KR 10-2012-0136797 A (2012. 12.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인 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하고, 무인 비행체의 파괴로 인한 인명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 및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와 연결되고,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가 망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가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및/또는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연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 또는 상기 조명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조립바 내부에는 발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바는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발열체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상기 조립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외부의 구조나 물체(벽, 나무, 기둥 등)에 의한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명모듈을 탑재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며, 조명모듈의 탑재에 의해 야간이나 어두운 실내에서 무인 비행체의 조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하·좌·우·전·후방에 카메라를 탑재하기 쉬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추가적인 배터리모듈의 탑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를 오랫동안 조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와의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무인 비행체에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와 결합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100); 및 다수의 조립바(100)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100)와 연결되고, 끼움홀(110)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되는 조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조립바(100)는 전체적으로 망 형태(메쉬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다수의 조립바(100)중 일부의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바(100)는 일단 또는 양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00)는 몸체부(210) 및 몸체부(210)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돌출부(220)가 끼움홀(110)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바(100)와 조인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6개의 돌출부(220)가 몸체부(2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돌출부(220)가 끼움홀(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20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돌출부(2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인트(200) 즉, 몸체부(210)와 돌출부(220) 모두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돌출부(220)를 몸체부(210)로부터 휘어지도록 하여(구부려) 다수의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220)만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돌출부(220)의 일부만 구부려 결합이 가능해진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손쉽게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호환성에 매우 높은 장점이 있는데, 조립바(100)와 조인트(200)의 조립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무인 비행체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인트(200)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D)와의 결합 이후에도 외형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무인 비행체(D) 또는 조립바(100)에 새로운 추가 구성을 부가하여 결합할 때 매우 유용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미도시)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 조립바(100)에 힘을 가하여 형태를 변형하여 공간을 확보한 다음 카메라모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완성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소정 조립바(100)에 힘을 가하여 형태를 원래대로 복원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200)는 몸체부(210)에 보조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홀(230)은 조립바(100)와 조인트(200)의 결합을 해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조인트(200)이 경우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몸체부(210)에 보호홀(230)이 형성됨으로써 끝이 뾰족한 도구(예를 들어 송곳)를 보조홀(230)에 끼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훨씬 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 또는 다리에 결합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D)는 몸체, 날개, 그리고 몸체와 날개를 연결하는 다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 또는 다리에 결합될 수 있는데, 안정성을 고려하면 무인 비행체(D)의 다리 특히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인 비행체(D)는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 보통 4개 혹은 그 이상의 날개를 가지는데, 각각의 날개와 몸체를 연결하기 위해 날개의 갯수 만큼 다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D)의 안정적 비행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의 다리 각각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에 결합된다면 무인 비행체(D)가 비행할 때 균형을 맞추어 비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무게 중심이 기울어진다면 사용자의 조종의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고, 균형을 잡기 위해 미세한 동작이 많아져 배터리 소모가 빨리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대해 계속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되려면 사용자에게 조립의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사용자의 결합 난이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연결바(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일자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하나의 연결바(300)가 좌측의 전후에 위치한 다리 하단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바(300)가 우측의 전후에 위치한 다리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연결바(300)에 형성되는 안착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400)는 무인 비행체(D) 다리 하단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안착부(400)가 연결바(300)에 형성됨으로써 무인 비행체(D) 다리와 연결바(300)의 결합이 더욱 용이해지고, 이는 사용자에게는 조립의 난이도가 하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연결바(300)가 없을 때보다 쉽게 조립바(100)를 연결바(300)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300)는 조인트(200)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바(100)와 달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이로 인해 무인 비행체(D)와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명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야간이나 어두운 건물 내부에서는 조명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특히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건물 내부의 조명이 망가져 어두울 수 있고, 기타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조명모듈(500)을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설치하여 활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조명이 모두 망가지고 연기에 의해 시야가 전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명을 구조하거나 수색을 해야 하는 경우 각종 장애물이나 약해진 구조물에 의해 사람이 직접 수색을 하는 것에는 한계기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무인 비행체(D)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수색을 할 수 있는데, 단순히 무인 비행체(D)만을 이용하면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벽이나 예기치 못한 구조물이나 장애물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손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명모듈(500)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무인 비행체(D)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시야 확보는 물론 예기치 못한 구조물이나 장애물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손상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수색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배터리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모듈(600)은 무인 비행체(D) 또는 조명모듈(5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무인 비행체(D)의 조종 시간 또는 조명모듈(500)의 사용 시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를 촬영 또는 영상(이미지)획득을 위해 카메라모듈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없는 경우에 활용하거나,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있더라도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고장난 경우에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하·좌·우·전·후방에 카메라를 탑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거리를 감지하거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에 결합되어 건물과 같은 실내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데,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무인 비행체(D)의 비행시 벽까지의 거리나 예기치 못한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자이로센서를 설치하여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여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뒤집히거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내 사용자가 원격으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 내부에 발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200)의 몸체부(210) 및 돌출부(220)가 금속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체에 전기를 가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바(100)가 외부커버(101); 외부커버(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열체(102); 및 외부커버(101)와 발열체(102)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10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돌출부(210)가 조립바(100)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102)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가해주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배터리모듈(60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립바(100)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무인 비행체(D)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상공에서 무인 비행체(D)를 운행하는 경우 급격한 주변 온도의 하강으로 무인 비행체(D)의 동작이 힘들어지거나 오작동의 위험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결합된 경우라면 조립바(100)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높은 상공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추운 지역 또는 지면으로 인양된 배의 내부를 탐색할 때에는 주변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D)의 동작이 힘들어지거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결합되면 이러한 경우에도 조립바(100)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무인 비행체(D)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립바 101: 외부커버
102: 발열체 103: 발열피복
110: 결합홀 200: 조인트
210: 몸체부 220: 돌출부
230: 보조홀 300: 연결바
400: 안착부 500: 조명모듈
600: 배터리모듈

Claims (7)

  1. 무인 비행체와 결합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발열체가 포함되는 다수의 조립바; 및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와 연결되고,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열전도성 소재의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가 망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가 상기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보조홀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에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립바는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발열체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상기 조립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9396A 2018-04-04 2018-04-04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KR10208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ko) 2018-04-04 2018-04-04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ko) 2018-04-04 2018-04-04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07A KR20190116007A (ko) 2019-10-14
KR102086655B1 true KR102086655B1 (ko) 2020-03-10

Family

ID=6817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ko) 2018-04-04 2018-04-04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256A1 (en) * 2021-01-13 2022-07-21 Hardshell Labs, Inc. External cag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918A (ja) * 2013-12-27 2015-07-0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地上走行可能な飛行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797A (ko) 2011-06-10 2012-12-20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무인 비행체 보호커버
KR101865558B1 (ko) * 2015-06-09 2018-06-11 박희민 멀티콥터의 안정적 운항을 위한 저전력 발열 장치
KR20170034237A (ko) *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이디 로터 보호기능을 갖는 드론
KR20170119802A (ko)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다온코리아 무인비행체의 보호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918A (ja) * 2013-12-27 2015-07-0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地上走行可能な飛行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07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hlstrom et al. Introduction to UAV systems
Clarke Understanding the drone epidemic
ES2908842T3 (es) Método para el control autónomo de un vehículo aéreo y sistema correspondiente
US8386095B2 (en) Performing corrective action o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one axis of three-axis magnetometer
CN205366064U (zh) 分体式多用途无人机
ES2613310B1 (es) Vehículo aéreo no tripulado biomimético y zoosemiótico dirigido por piloto automático para vuelos de precisión y/o persecución
US2016027457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system
EP384101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Al-Madani et al. Design of fully automatic drone parachute system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mechanism for civilian and military applications
KR102086655B1 (ko)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CN105253293A (zh) 一种小型折叠翼超近程无人机***
Stark et al. Concept of operations for personal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systems
Sinn et al. Lessons learned from REXUS12'S Suaineadh Experiment: Spinning deployment of a space web in milli gravity
Albrigtsen The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snow avalanche search and rescue
KR20220074647A (ko) 충돌 저감 외부 장치를 가지는 자이로볼드론
Békési et al. Are Drones a Boon or Bane?
Seharwat Historical introduction and technology used in drones
Coleman et al. Design of an autonomous platform for search and rescue UAV Networks
Pasztor et al. Drone Regulators Struggle to Keep Up With the Rapidly Growing Technology
Aldemir Evolu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and Inconsistencies Between Strategies, Concepts, and Technology
Illeez Why Unmanned Aircraft Systems Failed for a Century
Maroney et al. Rethinking airspace definitions for small UAS
Davey Zephyr hale uas
Rigby Weapons integration
Howard Unmanned & untes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