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263B1 -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63B1
KR102086263B1 KR1020180156390A KR20180156390A KR102086263B1 KR 102086263 B1 KR102086263 B1 KR 102086263B1 KR 1020180156390 A KR1020180156390 A KR 1020180156390A KR 20180156390 A KR20180156390 A KR 20180156390A KR 102086263 B1 KR102086263 B1 KR 10208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put unit
pattern
input
vocabu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458A (en
Inventor
김은아
Original Assignee
김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아 filed Critical 김은아
Publication of KR2019006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한자어를 포함하는 한글 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고, 다른 분야의 학습까지도 확대될 수 있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을 제시한다. 그 장치 및 방법은 준비 창, 패턴 창 및 작문 창을 구비하는 출력 서버를 포함하고, 준비 창은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과 훈을 입력하는 음훈 입력부와, 한글 어휘의 의미를 입력하는 의미 입력부 및 의미 입력부를 거친 한글 어휘를 한자어로 입력하는 한자어 입력부를 포함하고, 패턴 창은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패턴화된 이미지로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device and its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that can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n Hangul vocabulary including Hanja and extend it to other fields. The apparatus and method includes an output server including a preparation window, a pattern window, and a composition window, and the preparation window includes a sound input unit for inputting notes and huns for each character forming a Korean vocabulary, and a meaning input unit for inputting a meaning of a Korean vocabulary. And a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Hangul vocabulary that has undergone a meaning input unit into a Chinese character, and the pattern window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patterned image of a component constituting a Chinese character.

Description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본 발명은 학습장치 및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자로 이루어진 한글 어휘를 규칙 패턴을 연상하여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apparatus and a lear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earning a Hangul vocabulary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s in association with a rule pattern.

어휘는 문장을 구성하며,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특히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는 한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은 교재, 교구, 게임 등을 통하여 매우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재나 퍼즐 등에 의한 반복학습, 사물이미지가 있는 카드를 보여주는 연상기억법, 심지어 글자 모양의 자석이 부착된 종이에 쇠붙이 등을 붙이는 학습방법도 있다. 이러한 학습방법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47927호, 국내공개특허 제2011-0017598호 등과 같이 게임을 활용하는 방안까지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학습방법은 단순히 시각과 청각에 의해 반복하여 암기하는 방식으로 학습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어휘 학습을 위하여, 연상, 직관, 체질 등과 같이 잠재적인 능력을 끌어내려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Vocabulary forms a sentence and is a basic element of various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s occupies most of Hangul.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learn such vocabulary through textbooks, teaching aids, and games. For example, repetitive learning using textbooks or puzzles, mnemonic memories showing cards with object images, and even learning methods for attaching a metal sheet to paper with a magnet shaped like a letter. Such a learn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utilize a game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7927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1-0017598.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the learning effect is remarkably reduced by simply memorizing repeatedly by sight and hearing. For vocabulary learning, attempts have been made to elicit potential abilities, such as association, intuition, and constitution, but the effects are still unknown.

한편, 어휘 학습은 단순히 어휘를 학습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학, 과학, 수학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학습법의 하나의 형태이다. 즉, 어휘 학습에서 높은 학습효과를 얻으면, 어학, 과학, 수학 등의 학습에서도 많은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어휘 학습은 단순하게 어휘 학습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야의 학습법과 동일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On the other hand, vocabulary learning is not just learning vocabulary, it is a form of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and the like. In other words, if a high learning effect in the vocabulary learning, it helps a lot in learning such as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In other words, vocabulary learning should not be limited to vocabulary learning, but should be treated in the same way as other disciplin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자를 포함하는 한글 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고, 다른 분야의 학습까지도 확대될 수 있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n the Hangul vocabulary including Hanja, and to provide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using a rule pattern that can be extended to other fields of learning and its learning method.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는 준비 창, 패턴 창 및 작문 창을 구비하는 출력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 창은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과 훈을 입력하는 음훈 입력부, 상기 한글 어휘의 의미를 입력하는 의미 입력부 및 상기 의미 입력부를 거친 상기 한글 어휘를 한자어로 입력하는 한자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창은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패턴화된 이미지로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부를 포함한다.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using a rule patter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server having a preparation window, a pattern window and a composition window, wherein the preparation window inputs the sound and hun for each letter forming the Hangul vocabulary. A phonon input unit, a meaning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meaning of the Hangul vocabulary, and a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Hangul vocabulary passed through the meaning input unit in Chinese characters, wherein the pattern window inputs the elements forming the Chinese characters into a patterned image. It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작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미 입력부, 상기 한자어 입력부 및 상기 음훈 입력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입력한 내용에 대한 적중률을 표시하는 적중률 확인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입력부는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를 입력하는 제1 패턴창,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에 대응하여 상형화된 이미지를 입력하는 제2 패턴창 및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의 의미가 기입되는 제3 패턴창을 포함한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writing unit for making a sentence using the patterned image. At least one of the meaning input unit,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and the phonological input unit may include a hit ratio checking tab for displaying a hit ratio for the input contents. The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pattern window for inputting a component of the Chinese character, a second pattern window for input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a third pattern in which meanings of the components of the Chinese character are written. Contains a wind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는 상형문자 또는 대체 상형문자이다.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는 상기 상형문자 또는 대체 상형문자를 표현하는 한자이다. 상기 작문 창은 상기 작문부의 문장에 대한 강평을 입력하는 강평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패턴화된 이미지에서 근원이 공통점을 가지는 어휘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device of the invention, the pictographic image is a glyph or an alternative glyph. An ele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s a Chinese character representing the hieroglyphic character or the alternate hieroglyphic character. The composition window may further include a criticism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critique of a sentence of the composition unit. The lexicon may further include a lexical box having a common source in the patterned image of the Chinese constituent elements.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은 준비 창, 패턴 창 및 작문 창을 구비하는 출력 서버에서, 먼저 상기 준비 창의 음훈 입력부에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과 훈을 입력하고, 의미 입력부에 상기 한글 어휘의 의미를 입력하며, 한자어 입력부에 상기 한글 어휘를 한자어로 입력한다. 그 후, 상기 패턴 창의 제1 패턴창에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를 입력하고, 제2 패턴창에 상기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상형화된 이미지를 입력하며, 제3 패턴창에 상기 구성요소의 의미를 기입한다.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put server having a preparation window, a pattern window and a composition window, first the sound and hun for each letter forming the Hangul vocabulary in the sound input unit of the preparation window Input the meaning of the Hangul vocabulary into a meaning input unit, and input the Hangul vocabulary into a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Thereafter, a compon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s input to the first pattern window of the pattern window, a pict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is input to the second pattern window, and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input to the third pattern window. Fill in.

본 발명의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에 의하면, 규칙 패턴을 이용하여 한자를 포함하는 한글 어휘를 학습함으로써, 한글 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고, 다른 분야의 학습까지도 확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rule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earning the Hangul vocabulary including the Hanja using the rule pattern, the learning effect on the Hangul vocabulary can be increased, and learning in other fields can be expanded.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준비 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패턴 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문 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의 확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eparation window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window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riting window of FIG. 1.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calability of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규칙 패턴을 이용하여 한자를 포함하는 한글 어휘를 학습함으로써, 한글 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고, 다른 분야의 학습까지도 확대될 수 있는 한글 어휘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규칙 패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기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한글 어휘 학습장치는 모바일 기기 또는 PC와 같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한글 어휘로써 대한민국(大韓民國), 교실(敎室)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nd a learning method thereof, which can enhance a learning effect on Hangul vocabulary and expand learning in other fields by learning a Hangul vocabulary including Hanja using a rule pattern. . To this end, the rul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using the rul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the rul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hrough an application of a terminal such as a mobile device or a PC or the web. Here, the Korean vocabulary will be described using the example of Korea (大韓民國) and classroom.

엄밀한 의미에서, 한자어 또는 한자는 서로 다른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되도록이면 한자어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다만, 부분적으로 의미에 부합하도록 한자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a strict sense, Chinese characters or Chinese charact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hinese characters may be used to partially match the m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PC와 같은 단말기와 광대역 및 로컬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망에 접속되지 않는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다. 학습장치는 출력서버(400), 입력부(500), 메모리(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력서버(400)는 본 발명의 한글 어휘를 학습하기 위한 준비 창(100), 패턴 창(200) 및 작문 창(300)을 포함하며, 학습과정은 준비 창(100), 패턴 창(200) 및 작문 창(300)의 순서대로 진행된다. 다만, 학습과정은 반드시 순서대로 진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준비 창(100)은 패턴 창(200)의 학습을 위하여 준비하며, 작문 창(300)은 패턴 창(200)에서 도출된 의미를 해석하는 창이다.According to FIG. 1,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erminal such as a learner's mobile device or a PC through a broadband and local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some cases, a terminal that is no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The learning apparatus includes an output server 400, an input unit 500, a memory 600, and a controller 700. The output server 400 includes a preparation window 100, a pattern window 200, and a writing window 300 for learning the Hangul vocabular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earning process is the preparation window 100, the pattern window 200. And the writing window 300. However, the learning process may not necessarily proceed in order. In other words, the preparation window 100 prepares for learning of the pattern window 200, and the writing window 300 is a window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derived from the pattern window 200.

입력부(500)는 출력서버(400)에 직접 구현되거나, 출력서버(4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장된다. 입력부(500)는 키보드 또는 필기로 입력하는 수단이 모두 가능하며, 키보드 또는 필기 입력수단은 공지된 방법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600)는 본 발명의 학습과정에 필요하거나 도출된 자료들을 임시 또는 일정기간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자료들을 목적에 맞게 정리할 수도 있다. 메모리(600)는 색인화된 한글 및 한자 사전도 포함된다. 메모리(600)는 본 발명의 학습장치에 내장되거나 학습자의 단말기에 메인 및 슬레이브 개념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출력서버(400), 입력부(500) 및 메모리(6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학습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input unit 500 may be directly implemented in the output server 400 or extern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erver 400. The input unit 500 may be any means for inputting a keyboard or handwriting, and since the keyboard or handwriting input means may use all known method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The memory 600 may temporarily or temporarily store the data necessary or deriv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arrange th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by applying a statistical method as necessary. The memory 600 also includes indexed Hangul and Hanja dictionaries. The memory 600 may be built in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stalled in a learner's terminal in a main and slave concept.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output server 400, the input unit 500, and the memory 600.

도 2는 도 1의 준비 창(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reparation window 100 of FIG. 1. At this time,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FIG.

도 2에 의하면, 준비 창(100)은 한글 어휘의 음훈을 한글로 입력하는 음훈 입력부(10), 의미 입력부(20), 한자어 입력부(30) 및 강평 입력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음훈 입력부(10), 의미 입력부(20) 및 한자어 입력부(3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훈 입력부(10) 및 한자어 입력부(30)의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음훈 입력부(10)는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音) 및 훈(訓)을 기재하는 곳이다. 구체적으로, 음훈 입력부(10)는 훈을 입력하는 복수개의 훈 입력창(11) 및 음을 입력하고 훈 입력창(11)의 각각에 대응하는 음 입력창(12)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의 경우, 훈 입력창(11)의 큰, 나라, 백성, 나라를 각각 입력하고, 각각의 훈에 대응하여 음 입력창(12)에는 대, 한, 민, 국을 입력한다.According to FIG. 2, the preparation window 100 includes a phonogram input unit 10, a meaning input unit 20, a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and a criticism input unit 40 for inputting phonons of a Hangul vocabulary.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sound input unit 10, the meaning input unit 20, and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may be changed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sound input unit 10 and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may be interchanged. The sound input unit 10 is a place where a sound and a sound are written for each letter forming a Hangul vocabulary. In detail, the sound input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s 11 for inputting hoon and sound input windows 12 for inputting sound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s hoon 11.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input of the large, country, people, country of the hun input window 11, respectively, and in response to each hun input the large, Korean, Min, country.

의미 입력부(20)는 학습자가 자신이 알고 있거나 검색을 통하여 얻어진 한글 어휘의 의미를 입력하는 곳이다. 의미 입력부(20)는 필기/키보드 변환탭(21), 의미 입력창(22), 적중률 확인탭(23) 및 적중률 표시창(24)을 구비한다. 필기/키보드 변환탭(21)은 의미 입력창(22)에 필기로 입력할지 아니면 키보드로 입력할 지를 선택하는 탭이다. 입력방식은 입력부(500)에서 제공하며, 키보드 또는 필기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필기 입력수단은 각인에 의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The meaning input unit 20 is a place where a learner inputs the meaning of a Hangul vocabulary that he or she knows or obtained through a search. The meaning input unit 20 includes a 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21, a meaning input window 22, a hit rate confirmation tab 23, and a hit rate display window 24. The hand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21 is a tab for selecting whether to input by handwriting on the meaning input window 22 or by keyboard. The input method is provided by the input unit 500 and includes a keyboard or handwriting input means. The handwriting input means may be employ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by imprinting.

적중률 확인탭(23)은 학습자기 의미 입력창(22)에 입력한 내용이 정확한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범 답안 또는 사전과의 적중률을 비교한다. 적중률 확인탭(23)에 의한 적중률 확인은 메모리(600)에 위치하며 색인화된 문자 또는 단어인 기준정보를 학습자가 입력한 문자 또는 단어인 입력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중률 확인탭(23)을 누르면 상기 기준정보 및 상기 입력정보의 일치율이 적중률 표시창(24)에 나타난다. 여기서, 일치율이란 상기 기준정보 및 상기 입력정보의 문자 단위 또는 단위 단위로의 일치하는 정도를 말한다. 적중률이 사전에 설정된 수치보다 낮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프로그램적으로 잠금(locking)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자는 의미 입력창(22)으로 되돌아가 다시 입력을 해야 한다. The hit rate check tab 23 compares the hit rate with the best answer or the dictionar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contents entered in the learner's meaning input window 22 is correct. The hit rate check by the hit rate check tab 23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which is an indexed letter or word, with the input information that is a character or word input by the learner. For example, when the hit rate confirmation tab 23 is pressed, a match rate between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hit rate display window 24. Here, the coincidence rate refers to the degree of coincidence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input information in units of characters or units. If the hit rat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locking means can be provided programmatically to prevent the next step. In this case, the learner must return to the meaning input window 22 and input again.

한자어 입력부(30)는 의미 입력부(20)을 거친 한글 어휘를 한자어로 입력한다. 대한민국의 한자어는 大韓民國이다. 한자어 입력부(30)는 필기/키보드 변환탭(31), 한자어 입력창(32), 적중률 확인탭(33) 및 적중률 표시창(34)을 구비한다. 필기/키보드 변환탭(31), 한자어 입력창(32), 적중률 확인탭(33) 및 적중률 표시창(34)은 의미 입력부(20)의 필기/키보드 변환탭(21), 의미 입력창(22), 적중률 확인탭(23) 및 적중률 표시창(24)과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한자어 입력부(30)는 의미 입력부(20)와 마찬가지로 적중률이 수치보다 낮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프로그램적으로 잠금(locking)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The Hanja input unit 30 inputs the Hangul vocabulary passed through the meaning input unit 20 into Hanja. The Chinese language of Korea is 大韓民國.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includes a 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31, a Chinese character input window 32, a hit rate checking tab 33, and a hit rate display window 34. The hand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31, the Chinese character input window 32, the hit rate checking tab 33, and the hit rate display window 34 are the hand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21 of the semantic input unit 20 and the semantic input window 22. , The hit rate confirmation tab 23 and the hit rate display window 24 serve the same function and role. Similar to the meaning input unit 20,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may provide a locking means programmatically to prevent the next step from reaching the next step.

의미 입력부(20) 및 한자어 입력부(30)의 적중률 수치, 반복 회수, 적중되지 않은 문자 또는 단어 등을 메모리(600)에 저장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정리할 수 있다. 상기 통계처리된 정보는 준비 창(100)에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한자어 입력부(30)를 거치면 학습 지도자는 강평 입력부(40)에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강평을 입력할 수 있다. 강평 입력부(40)를 마치면, 인쇄탭(45)을 눌러서 준비 창(100)을 화면 또는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The statistical method may be arranged by storing the numerical values of the hit ratios, the number of repetitions, the letters or words not hit, etc. of the meaning input unit 20 and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30 in the memory 600. The statistically process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preparation window 100. Optionally, when the Chinese language input unit 30 passes, the learning leader may input a critique of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into the critic input unit 40. When the criticism input unit 40 is finished, the preparation window 100 may be printed on the screen or paper by pressing the print tab 45.

도 3은 도 1의 패턴 창(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attern window 200 of FIG. 1. At this time,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FIG.

도 3에 의하면, 패턴 창(200)은 패턴화된 이미지를 입력하는 곳이다. 패턴 창(200)은 이미지 입력부(50), 필기/이미지 변환탭(51), 복수의 패턴 확인탭(55), 적중률 확인탭(56), 적중률 표시창(57) 및 강평 입력부(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미지 입력부(50)는 필기 입력수단 또는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하는 곳으로, 필기 또는 이미지의 입력은 필기/이미지 변환탭(51)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정할 수 있다. 이미지 입력부(50)에 입력되는 이미지는 한자를 이루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부수, 부건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후에 설명하는 상형문자 또는 대체 상형문자를 표현하는 한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敎)의 경우,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1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2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3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4
이다. According to FIG. 3, the pattern window 200 is a place for inputting a patterned image. The pattern window 20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50, a handwriting / image conversion tab 51, a plurality of pattern check tabs 55, a hit rate check tab 56, a hit rate display window 57, and a criticism input unit 58. It is done by The image input unit 50 is a place for inputting handwriting input means or a stored image. The image input unit 50 may determine a method of inputting handwriting or an image using the handwriting / image conversion tab 51. The image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5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Chinese characters, for example, copies, copies, etc.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Chinese character representing a glyph or an alternative glyph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school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1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2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3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4
to be.

이미지 입력부(50)는 복수개의 창(50a, 50b, 50c, 50d)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창(50a, 50b, 50c, 50d)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환된 이미지 또는 의미가 입력된다. 여기서는 4개의 각각의 창(50a, 50b, 50c, 50d)을 예로 들었으나, 필요한 경우 창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각각의 창(50a, 50b, 50c, 50d)은 변환되는 패턴에 따라, 제1 패턴 창(50a)에는 A1, B1, C1, D1, 제2 패턴 창(50b)에는 A2, B2, C2, D2, 제3 패턴 창(50c)에는 A3, B3, C3, D4 및 제4 패턴 창(50d)에는 A4, B4, C4, D4가 입력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사례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Image input unit 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ndows (50a, 50b, 50c, 50d), each of the windows (50a, 50b, 50c, 50d) is converted image or m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 Here, the four windows 50a, 50b, 50c, and 50d are taken as examples, but the number of windows can be adjusted if necessary. Each window 50a, 50b, 50c, 50d is A1, B1, C1, D1, and second pattern window 50b in A1, B2, C2, D2 according to the pattern to be converted. A3, B3, C3, D4 and A4, B4, C4, D4 are input to the third pattern window 50c and the fourth pattern window 50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example of FIG. 5.

한편, 제1 패턴 창(50a)의 A1, B1, C1, D1에는 한자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채워진다. 또한, 제2 패턴 창(50b)의 A2, B2, C2, D2에는 상기 구성요소가 상형화된 이미지가 기입된다. 여기서, 상형화된 이미지란 상기 구성요소의 상형문자가 바람직하고, 상기 상형문자가 없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시하는 상형화된 이미지를 기입할 수 있다. 이때, 갑골문자는 상기 상형문자의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상형화된 이미지는 상기 상형문자와 유사한 대체 상형문자일 수도 있다. 제3 패턴 창(50c)의 A3, B3, C3, D3에는 상기 구성요소의 의미가 기입된다. 제4 패턴 창(50d)의 A4, B4, C4, D4는 필요한 패턴을 구상하여 선택적으로 채울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1, B1, C1, and D1 of the first pattern window 50a are filled with components forming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an imag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formed is written in A2, B2, C2, and D2 of the second pattern window 50b. Here, the hieroglyphic image is preferably a hieroglyph of the component, and when there is no hieroglyph, the hieroglyphic image presen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ritten. At this time, the armor character may be said to be one example of the hieroglyph. The hieroglyphic image may be a substitute hieroglyph similar to the hieroglyph. The meanings of the components are written in A3, B3, C3, and D3 of the third pattern window 50c. A4, B4, C4, and D4 of the fourth pattern window 50d can envision and selectively fill a required pattern.

필요한 경우, 각각의 창(50a, 50b, 50c, 50d)에는 패턴 확인탭(55)에 입력된 이미지 및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원칙이고, 패턴 확인탭(55)에서 이미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필기로 입력할 수도 있다. 패턴 확인탭(55)에는 제1 패턴탭(52), 제2 패턴탭(53) 및 제3 패턴탭(54)과 같이 이미지를 패턴별로 구분하는 탭들이 있다. 여기서는 제1 내지 제3 패턴탭(54)을 예로 들었으나, 실질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패턴탭들이 존재할 수 있다. If necessary, in each of the windows 50a, 50b, 50c, and 50d, it is a principle to input the image and information input to the pattern confirmation tab 55. If the image is not confirmed on the pattern confirmation tab 55, the input is done by handwriting. You may. The pattern confirmation tab 55 has tabs for dividing the image into patterns, such as the first pattern tab 52, the second pattern tab 53, and the third pattern tab 54. Although the first to third pattern taps 54 are exemplified here, at least two or more pattern taps may exist.

적중률 확인탭(56) 및 적중률 표시창(57)은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을 제외하고, 준비 창(100)의 적중률 확인탭(23) 및 적중률 표시창(24)과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적중률 확인탭(56) 및 적중률 표시창(57)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강평 입력부(58)에 학습 지도자의 강평을 입력할 수 있다. 이미지 입력부(50), 적중률 수치, 반복 회수 등을 메모리(600)에 저장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정리할 수 있다. 상기 통계처리된 정보는 패턴 창(200)에 표시될 수 있다. 강평 입력부(58)를 마치면, 인쇄탭(59)을 눌러서 패턴 창(200)을 화면 또는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The hit rate confirmation tab 56 and the hit rate display window 57 have the same functions and roles as the hit rate confirmation tab 23 and the hit rate display window 24 of the preparation window 100 except for comparing images. In some cases, the critique of the learning leader may be directly input into the critique input unit 58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it rate confirmation tab 56 and the hit rate display window 57. The image input unit 50, the hit ratio value,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600 to arrange the statistical method. The statistically process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pattern window 200. After finishing the criticism input unit 58, by pressing the print tab 59, the pattern window 200 can be printed on the screen or paper.

도 4는 도 1의 작문 창(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writing window 300 of FIG. 1. At this time, the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FIG.

도 4에 의하면, 작문 창(300)은 복수개의 작문부(70), 적중률 확인탭(76), 적중률 표시창(77) 및 강평 입력부(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강평이 완료되면, 인쇄탭(79)을 눌러서 작문 창(300)을 화면 또는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작문부(70)는 n개의 문자(도면에서는 네 개의 문자)를 패턴 창(200)에서 설명한 패턴의 의미를 해석하는 제1 문자 작문부(71), 제2 문자 작문부(72), 제3 문자 작문부(73) 및 제4 문자 작문부(74)를 포함한다. 학습자는 제1 내지 제4 문자 작문부(71, 72, 73, 74) 각각에 각 문자의 이미지가 의미하는 바를 입력한다. 이때, 제1 내지 제4 작문부(71, 72, 73, 74)으로의 입력은 필기/키보드 변환탭(75)을 이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FIG. 4, the writing window 300 includes a plurality of writing units 70, a hit rate confirmation tab 76, a hit rate display window 77, and a criticism input unit 78. When the criticism is completed, the writing window 300 may be printed on the screen or paper by pressing the print tab 79. The writing unit 70 includes a first character writing unit 71, a second character writing unit 72, and a third character that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pattern described by the pattern window 200 with n characters (four characters in the drawing). A text writing unit 73 and a fourth text writing unit 74 are included. The learner inputs what the image of each character means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haracter writing units 71, 72, 73, and 74. In this case, the input to the first to fourth writing units 71, 72, 73, and 74 may use the writing / keyboard conversion tab 75.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교실(敎室)이라는 사례를 들었고, 본 발명의 핵심인 이미지 입력부(50) 및 작문부(70)를 중심으로 나타내었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ase of the classroom (敎 室) was given, and the center of the image input unit 50 and the writing unit 70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교실(敎室)의 제1 문자인 敎의 구성요소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5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6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7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8
를 제1 패턴창(50a)의 A1, B1, C1, D1에 채운다. 그 후, 제2 패턴창(50b)에 상기 구성요소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9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0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1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2
에 대응하는 상형화된 이미지인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3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4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5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6
를 A2, B2, C2, D2에 기입한다. 상기 구성요소를 상형화된 이미지로 변환하면, 학습자는 상형화된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연상하여 기억하고 해석할 수 있다. 제3 패턴창(50c)의 A3, B3, C3, D3에 상기 구성요소의 의미에 해당하는 산가지, 회초리, 아이, 손을 기입한다. 교실(敎室)의 제2 문자인 室의 경우도 敎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5 and 6, first of all, the first letter of the classroom 敎 室 element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5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6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7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8
Is filled in A1, B1, C1, and D1 of the first pattern window 50a. After that, the component in the second pattern window 50b.
Figure 112018122529228-pat00009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0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1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2
The imaged image corresponding to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3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4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5
,
Figure 112018122529228-pat00016
Are written in A2, B2, C2, and D2. When the component is transformed into a pictographic image, the learner may associate, memorize and interpret the component through the pictographic image. A branch, a cut, a child, and a hand corresponding to the meanings of the components are written in A3, B3, C3, and D3 of the third pattern window 50c. The second letter of the classroom (2) is also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敎.

작문부(70)에는 교실(敎室)의 두 문자에 해당하는 제1 문자 작문부(71) 및 제2 문자 작문부(72)가 사용된다. 만일, 문자수가 많으면 더 많은 문자 작문부가 활용된다. 학습자는 제1 문자 작문부(71)에는 제1 문자인 敎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작문한다. 예시된 것과 같이, 敎는 "산가지를 들고 있는 아이에게 누군가가 회초리를 손에 들고 숫자를 가르치고 있는 모습"으로 작문된다. 이렇게 하면, 학습자는 敎의 의미를 이미지화하고 스토리를 정리하여 각인 효과 및 응용력을 얻을 수 있다. 교실(敎室)의 제2 문자인 室의 경우는 "집에서 화살을 과녁에 쏘는 연습을 하는 모양"으로 작문된다. In the writing unit 70, a first letter writing unit 71 and a second letter writing unit 72 corresponding to two characters of a classroom are used. If the number of characters is large, more character writing units are utilized. The learner writes in the first letter writing unit 71 by using the element of the first letter. As illustrated, Jean is written as "someone teaching a number to a child holding a mountain branch." In this way, the learner can image the meaning of knowing and organize the story to obtain the stamping effect and application ability. In the case of, the second letter in the classroom, it is written as "practicing to shoot an arrow at ho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학습방법은 단어, 의미 및 유래(근간, 근원)의 3 요소를 통해서 하나의 국어적 표현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중심이 되는 단어가 있고, 순차적으로 그 단어의 의미, 그 단어를 형성하는 한자, 그 한자에 내포된 의미를 갑골문자 등과 같은 상형문자의 이미지로 추리하는 방식으로 학습자에게 단어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해당 단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를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고, 단어의 직역과 사전적 의미를 병렬식으로 나열하여 빠르게 이해할 수 있으며, 한자의 유래(근간)를 추리하는 과정에서 각 한자어의 의미와 구조를 연습할 수 있게 된다.Th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making one national expression completely own through three elements of words, meanings, and origins (foundation, origin). There is a central word, and the word is transmitted to the learner in a way of reasoning the meaning of the word, the kanji forming the word, an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kanji as an image of a hieroglyphic character such as a crater. In this process, the learner repeatedly encounters the kanji making up the word, and can quickly understand it by arranging the literal and dictionary meanings of the words in parallel, and in the process of inferring the origin of the kanji, And you will be able to practice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단어의 직역, 사전적 의미, 한자어를 통한 분석 등 단어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이 공존한다. 이렇게 하나의 단어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접근하게 되면, 해당 단어의 의미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습이 이루어진다. 이는 학습자의 역량에 부담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확고한 어휘 분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향후 학습 과정에서 언어적 사고력과 논리력을 발휘하는데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또한, 여러 한자어들의 유래(근간)를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게끔 유도한다. 다량으로 축적된 어휘의 반복 학습을 진행한다면 하나의 한자어 또는 유래(근간)가 같은 한자어에 대해 많은 연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한자에 대한 숙달로 이어진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roaches that can infer the meaning of a word, such as translation of the word, dictionary meaning, analysis through Chinese characters, and coexist. When a word is approached through multiple analysis, the meaning of the word is practiced in various ways. This enables natural vocabulary analysis without burdening the learner's capabilitie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as a basis for demonstrating verbal thinking and logic in future learning. It also induces the origin of several Chinese words to be associated with images. If you proceed with repetitive learning of a large amount of vocabulary, it is possible to practice a lot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Chinese character or origin (the basis), which leads to mastery of Chinese character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의 확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확장성을 위하여 준비되는 자료를 어휘박스라고 한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calability of the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the data prepared for scalability is called a vocabulary box.

도 7에 의하면, 앞에서 예를 든 "교실"이 포함된 어휘박스의 경우, 각 한자어의 패턴 및 근원(근간, 유래)과 공통점을 가지는 "개방", "귀댁", "경치"로 구성된다. 서로 크게 연관이 없어 보이는 단어들이지만, 어휘박스 내의 한자 패턴 분석을 통해 공통점을 추리하다 보면 높은 학습 효율로 한자어를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4개의 연관된 단어들로 이루어진 사례를 제시한다. 즉, 어휘박스 내의 단어의 개수는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어휘박스는 한 장의 페이지에 각각의 단어들이 병렬식으로 나열되어 있어 하나의 어휘박스가 말 그대로 하나의 "어휘 연습 박스"로 작용한다. 따라서 어휘박스는 학습자의 연령, 학습 수준, 진도에 상관없이 손쉽게 공부량을 조절하고, 계획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7, in the case of a vocabulary box including the "classroom" mentioned above, it is composed of "open", "home", and "view" having a common point with a pattern and a source of the Chinese characters. Although the words do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learn Chinese words with high learning efficiency by inferring commona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 patterns in the vocabulary box.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n example of four related words. That is, the number of words in the vocabulary box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addition, each vocabulary box has its own words arranged in parallel on a page, so a vocabulary box literally acts as a "lexical practice box." Therefore, the vocabulary box can easily adjust and plan the amount of study regardless of the learner's age, learning level, and progr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학습방법은 단순히 시각과 청각에 의해 반복하여 암기하는 종래의 학습방식과는 달리, 어휘 학습을 위하여, 연상, 직관, 체질 등과 같이 잠재적인 능력을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및 스토리 형성을 통한 한자 어휘 학습방법은 다른 언어학, 과학, 수학 등에서 적용할 수 있다.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that is simply memorized repeatedly by visual and auditory, it can derive the potential ability, such as association, intuition, constitution, for vocabulary learning. In addition, the kanji vocabulary learning method through image and story formation can be applied in other linguistics, science, mathematics and the like.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00; 준비 창 200; 패턴 창
300; 작문 창 400; 출력서버
500; 입력부 600; 메모리
700; 제어부
100; Ready window 200; Pattern window
300; Writing window 400; Output server
500; Input unit 600; Memory
700; Control

Claims (14)

준비 창, 패턴 창 및 작문 창을 구비하는 출력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 창은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과 훈이 입력되는 음훈 입력부, 상기 한글 어휘의 의미가 입력되는 의미 입력부 및 상기 의미 입력부를 거친 상기 한글 어휘가 한자어로 입력되는 한자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창은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상형화된 이미지로 입력되는 이미지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미 입력부 또는 상기 한자어 입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입력된 내용에 대한 적중률을 표시하는 적중률 확인탭을 포함하며, 상기 적중률 확인탭은 메모리에 저장된 색인화된 문자 또는 단어인 기준정보를 상기 의미 입력부 또는 상기 한자어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 또는 단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 입력부는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가 상기 복수개의 창의 각각에 입력되는 제1 패턴창,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턴창의 한자어의 구성요소에 대응하여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가 입력되는 제2 패턴창 및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턴창의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의 의미가 입력되는 제3 패턴창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는 갑골문자를 포함하는 상형문자 또는 상기 상형문자를 대체한 대체 상형문자이고,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는 상기 상형문자 또는 대체 상형문자를 표현하는 한자이며,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는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 및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의 의미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
An output server having a preparation window, a pattern window, and a composition window,
The preparation window includes a phonon input unit for inputting sound and hun for each character forming a Korean vocabulary, a meaning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meaning of the Korean vocabulary, and a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Korean vocabulary through the meaning input unit in Chinese characters
The pattern window may include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stituent element of a Chinese character into a hierarchized image.
At least one of the meaning input unit or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includes a hit ratio checking tab for displaying a hit ratio for the input content, wherein the hit ratio checking tab includes reference information which is indexed characters or words stored in a memory. The degree of matching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the characters or words entered in the Chinese character input section.
The image input unit may include a first pattern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windows and components of the Chinese character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indows, and a plurality of windows, and the pictiz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ments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first pattern window. And a third pattern window which is composed of a second pattern window and a plurality of windows in which the input image is input, and a meaning of the elements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first pattern window is input.
The hieroglyphic image is a hieroglyph including a carcass character or a substitute hieroglyph substituted for the hieroglyph, and the component of the kanji is the hieroglyph representing the hieroglyph or the alternative hieroglyph, Hangul vocabulary learning device using a rul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charac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작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Hangul vocabulary learning device using a rul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riting unit for making a sentence using the pictorialized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창은 상기 작문부의 문장에 대한 강평이 입력되는 강평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writing window further comprises a criticism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critique of a sentence of the writing uni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상형화된 이미지에서 근원이 공통점을 가지는 어휘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Hangul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using a rul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cabulary box having a common source in the image of the image forming the Chinese characters. 준비 창, 패턴 창 및 작문 창을 구비하는 출력 서버를 이용하고,
상기 준비 창의 음훈 입력부에는 한글 어휘를 이루는 글자마다 음과 훈, 상기 준비창의 의미 입력부에는 상기 한글 어휘의 의미, 및 상기 준비창의 한자어 입력부에는 상기 한글 어휘의 한자어로 각각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창에서,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진 제1 패턴창에는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가 상기 복수개의 창의 각각에 입력되고,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진 제2 패턴창에는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에 대응하여 상형화된 이미지가 각각 입력되며 및 복수개의 창으로 이루어진 제3 패턴창에는 상기 구성요소의 의미가 각각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미 입력부 또는 상기 한자어 입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입력된 내용에 대한 적중률을 표시하는 적중률 확인탭을 포함하며, 상기 적중률 확인탭은 메모리에 저장된 색인화된 문자 또는 단어인 기준정보를 상기 의미 입력부 또는 상기 한자어 입력부에 입력된 문자 또는 단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는 갑골문자를 포함하는 상형문자 또는 상기 상형문자를 대체한 대체 상형문자이고,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는 상기 상형문자 또는 대체 상형문자를 표현하는 한자이며,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는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 및 상기 한자어의 구성요소의 의미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
Using an output server with a preparation window, a pattern window and a composition window,
A sound and hun for each letter forming a Hangul vocabulary in the preparation window of the preparation window; And
In the pattern window, a component of the Chinese word is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indows in a first pattern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windows, and a pictograph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of the Chinese word in a second pattern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windows. The inputted images are respectively input and the meanings of the components are respectively input to a third pattern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windows.
At least one of the meaning input unit or the Chinese character input unit includes a hit ratio checking tab for displaying a hit ratio for the input content, wherein the hit ratio checking tab includes reference information which is indexed characters or words stored in a memory. The degree of matching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the characters or words entered in the Chinese character input section.
The hieroglyphic image is a hieroglyph including a carcass character or a substitute hieroglyph substituted for the hieroglyph, and the component of the kanji is the hieroglyph representing the hieroglyph or the alternative hieroglyph, Hangul vocabulary learning method using a rul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the components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charact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창의 문자 작문부에는 상기 상형화된 이미지를 이용한 작문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a writing using the hierarchical image into the text writing unit of the writing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창은 상기 작문부의 문장에 대한 강평이 입력되는 강평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riting window further comprises a criticism input unit for inputting a critique of a sentence of the composi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어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상형화된 이미지에서 근원이 공통점을 가지는 어휘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칙 패턴을 이용한 한글 어휘 학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vocabulary box having a common source in the pictographic image of the elements forming the Chinese character.


KR1020180156390A 2017-12-08 2018-12-06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KR1020862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06 2017-12-08
KR20170167906 2017-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58A KR20190068458A (en) 2019-06-18
KR102086263B1 true KR102086263B1 (en) 2020-03-06

Family

ID=6710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90A KR102086263B1 (en) 2017-12-08 2018-12-06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6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800B1 (en) * 2001-08-30 2007-11-16 권용선 A chinese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internet of sever/client and method thereof
KR20030079028A (en) * 2002-04-01 2003-10-10 권장영 Chinese writing studying method
KR100978146B1 (en) * 2008-09-12 2010-08-25 윤석일 Display method for the stroke order of Chinese characters.
KR20130038738A (en) * 2011-10-10 2013-04-18 최상윤 Method for on-line and off-line learning thousand chinese character with the textbook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58A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mir et al. A suggested eclectic checklist for ELT coursebook evaluation
Street The implications of the ‘New Literacy Studies’ for literacy education
US6736641B2 (en)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aid(s) to speak any foreign language
KR102277362B1 (en) System for language study service for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attuca Curricula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KR20190143057A (en) An onl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arallel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KR102086263B1 (en) Apparatus of learning Hangul word using regular pattern and method of learning the word
Settar Abid A stud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vocabulary size of Iraqi EFL learners
F Alshahad Design simple instructional package of Arabic Language learning for non-Arabic speakers
Pettersson Text design
KR101080092B1 (en)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 and installation using thereof
RU2479867C2 (en) Linguistic user interface operating method
US6612844B1 (en) Educational aid and method
KR20180130743A (en) Methode and system for memorizing vocabulary by association
Abadzi How to speed up Arabic literacy for lower-income students?: Some insights from cognitive neuroscience
Kulju et al. Multilayered word structure model for assessing spelling of Finnish children in shallow orthography
US20150064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Alphabet Characters Of An Unfamiliar Language
KR20110077085A (en) Character display method and input method thereof
Kimura et al. Vocabulary learning for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Dudek et al. Polish lower and upper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a scientist
KR102165317B1 (en) Method for providing phonics learning service enhancing comprehension of untaught word based on rule and combination
KR20130083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learning contents based on xml
KR102129726B1 (en) Teaching materials for study of English
Sheridan Primary Chinese language instruc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Vy SOME ISSUES OF ENGLISH EDUCATION FOR PUPIL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IDENT HO CHI MINH's VIEW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FOR THE YOUNG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