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134B1 -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 Google Patents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134B1
KR102086134B1 KR1020190102861A KR20190102861A KR102086134B1 KR 102086134 B1 KR102086134 B1 KR 102086134B1 KR 1020190102861 A KR1020190102861 A KR 1020190102861A KR 20190102861 A KR20190102861 A KR 20190102861A KR 102086134 B1 KR102086134 B1 KR 10208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wall
roof slab
fit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순
Original Assignee
최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순 filed Critical 최해순
Priority to KR102019010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높이 조절부잭이 구비된 제1,2 잭 서포트 및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이 받는 하중을 제1,2 잭 서포트에 전달 할 수 있도록 제1 잭 서포트와 제2 잭 서포트의 상단에 설치된 거푸집 받침보가 포함된 거푸집 지지대과, 상기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2 벽체 거푸집, 및 상기 제1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1 내삽관에 내삽된 제1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1 고정핀 및 상기 제2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2 내삽관에 내삽된 제2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2 고정핀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작업을 통해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이 콘크리트로 양생된 박스 구조물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SIZE-CONTROLLABLE STEEL FORM}
본 발명은 지붕슬래브와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을 일체화하기 위한 전력구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아파트 단지나 공공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건물을 시공하기 전 먼저 케이블이 설치되는 지하관로, 송전, 급수, 배수를 위한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관로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초공사를 하게 된다.
상기 관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공사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만큼 강재 거푸집의 내벽과 외벽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관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관로 구조물을 완성한 후, 거푸집 외벽을 관로 구조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관로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은 다음의 공사구간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 외벽은 다수개의 개별 거푸집이 횡방향으로 결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 외벽을 관로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조립된 거푸집을 하나씩 해체시킨 후, 크레인 등의 별도 장비를 이용하여 관로 구조물 공사구간의 최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부 버팀보 밖으로 이동시킨 후, 공사구간에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형 강재 거푸집이 개발되었다.
도 1,2는 박스 구조물에 설치된 종래의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회전형 강재 거푸집은 내부 연직거푸집(2) 및 상부슬래부 거푸집(4), 거푸집 지지대(6)와, 내부연직 거푸집(2)과 외부연직 거푸집(13)을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다수의 타이볼트(8), 상기 거푸집 지지대(6)의 하단에 배치된 바퀴(10), 내부 연직 거푸집(2)의 탈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제1 힌지(11), 하부연직 거푸집(14)의 탈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제2 힌지(12)를 포함한다. 이때, 지면에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에 바퀴(10)를 레일 위에 올려놓는다.
이러한 관로 구조물의 완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분리를 위해서는, 내형 틀(2,4,14)을 구조물의 내부벽면으로부터 탈형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강재 거푸집은 내형 틀(2,4,14)을 3가지 구조형태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구조형태는 이웃한 내부 연직거푸집(2) 및 상부슬래부 거푸집(4)의 끝 부분을 제1 힌지(11)로 연결함으로써 내부 연직거푸집(2) 및 상부슬래부 거푸집(4)의 움직임을 확보하였다. 또한, 내부 연직거푸집(2) 및 하부연직 거푸집(14)의 끝 부분을 제2 힌지(12)로 연결함으로써 내부 연직거푸집(2) 및 하부연직 거푸집(14)의 움직임도 확보하였다. 이 구조형태는 내형 틀(2,4,14)이 연결된 힌지(11,12)를 매개로 움직이므로, 내형 틀(2,4,14)의 탈착 작업 시 흔들림이 적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형태는 제1 힌지(11)에 의한 내부 연직거푸집(2)의 회전 반경이 넓기 때문에 내부 연직거푸집(2)이 관로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관로 구조물의 측벽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형태는 내부 연직거푸집(2) 및 상부슬래부 거푸집(4)이 분리되지 않아 최소한의 길이는 유지해야 하므로 내형 틀(2,4,14))의 움직임이 매우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4726호(2018.01.3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0406호(2015.08.1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3874호(2001.12.0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0712호(2009.04.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전력구 구조물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의 단위 패널을 추가하거나 감하여 조정할 수 있고, 콘크리트로 양생된 박스 구조물의 손상 없이 벽체 거푸집의 탈착 작업과 이동시 기 타설한 콘크리트 면과의 충분한 유격으로 이동이 보다 용이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말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내삽관이 설치된 제1 경사형틀과, 길이 방향을 따라 우측 말단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내삽관이 설치된 제2 경사형틀, 및 상기 제1 경사형틀과 제2 경사형틀 사이에 결합된 한 개 이상의 평판형틀로 구성된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높이 조절부잭이 구비된 제1,2 잭 서포트, 및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이 받는 하중을 제1,2 잭 서포트에 전달 할 수 있도록 제1 잭 서포트와 제2 잭 서포트의 상단에 설치된 거푸집 받침보가 포함된 거푸집 지지대과, 상기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부에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절곡부의 말단에 상기 제1 내삽관에 내삽되는 제1 끼움돌기가 구비된 제1 벽체 거푸집과, 상기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부에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부의 말단에 상기 제2 내삽관에 내삽되는 제2 끼움돌기가 구비된 제2 벽체 거푸집, 및 상기 제1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1 내삽관에 내삽된 제1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1 고정핀, 및 상기 제2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2 내삽관에 내삽된 제2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2 고정핀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강재 거푸집은 간단한 작업을 통해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이 콘크리트로 양생된 박스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조작하여 박스 구조물의 손상 없이 상기 박스 구조물로부터 탈착시키고 강재 거푸집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통로가 설치되어 강재 거푸집의 내부를 작업자가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으며, 여러 사이즈의 전력구 구조물에 맞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의 단위 형틀을 추가하거나 감하여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연직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 사이에 복수개의 지지바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박스 구조물에 설치된 종래의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 사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박스 구조물로부터 탈착된 본 발명의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벽체 거푸집 사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거푸집 지지대(200)와, 상기 박스 구조물의 좌측 측벽을 형성하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좌측에 연결된 제1 벽체 거푸집(300)과, 상기 박스 구조물의 우측 측벽을 형성하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우측에 연결된 제2 벽체 거푸집(400), 및 상기 박스 구조물에 제1,2 벽체 거푸집을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제1,2 벽체 거푸집의 말단을 거푸집 지지대(200)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을 포함한다.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은 제1 잭 서포트(210) 및 제2 잭 서포트(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박스 구조물의 폭에 따라 단위 형틀을 추가하거나 감하여 다른 폭 사이즈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은 제1 벽체 거푸집(300)의 말단과 제2 벽체 거푸집(400)의 말단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박스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1 잭 서포트(210) 및 제2 잭 서포트(220)의 상하 길이가 줄어듬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박스 구조물로부터 탈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은 제1 경사형틀(110)과, 제2 경사형틀(120), 및 한 개 이상의 평판형틀(130,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경사형틀(1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말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내삽관(112)이 설치된다. 또한, 제1 경사형틀(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함몰 공간이 거푸집 지지대(200) 방향으로 제1 벽체 거푸집(300)이 회전할 반경을 마련하므로, 제1 벽체 거푸집(300)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더라도 박스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아울러, 제1 경사형틀(110)은 평판형틀(130)과 마주보는 방향의 말단에 평판형틀(130)에 접촉되는 제1 수직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직판은 인접한 평판형틀, 예컨대 제1 평판형틀(130)과 체결수단(150)을 통해 결속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삽관(112)은 제1 끼움돌기(320)가 제1 내삽관(112)의 내부에서 제1 고정핀(510)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끼움돌기(32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된 크기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삽관(112)은 상기 제1 벽체 거푸집(300)의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대(200)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 벽체 거푸집(300)의 제1 끼움돌기(320)에 내삽된 제1 고정핀(510)의 이동통로가 제1 내삽관(112)의 표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경사형틀(120)도 길이 방향을 따라 우측 말단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내삽관(122)이 설치된다. 또한, 제2 경사형틀(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함몰 공간이 거푸집 지지대(200) 방향으로 제2 벽체 거푸집(400)이 회전할 반경을 마련하므로, 제2 벽체 거푸집(400)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더라도 박스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아울러, 제2 경사형틀(120)은 평판형틀(140)과 마주보는 방향의 말단에 평판형틀(140)에 접촉되는 제2 수직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직판은 인접한 평판형틀, 예컨대 제2 평판형틀(140)과 체결수단(150)을 통해 결속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삽관(122)은 제2 끼움돌기(420)가 제2 내삽관(122)의 내부에서 제2 고정핀(520)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끼움돌기(42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된 크기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삽관(122)은 상기 제2 벽체 거푸집(400)의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대(200)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벽체 거푸집(400)의 제2 끼움돌기(420)에 내삽된 제2 고정핀(520)의 이동통로(114)가 제2 내삽관(122)의 표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2 내삽관(112,122)은 끼움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벽체 거푸집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한 개 이상의 평판형틀은 제1 경사형틀(110)과 제2 경사형틀(120) 사이에 결합되어 제1 경사형틀(110)과 제2 경사형틀(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박스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개수와 길이가 조절된다. 예컨대, 제작하고자 하는 박스 구조물의 내부 너비가 1700㎝인 경우에 평판형틀은 1개가 설치되고, 박스 구조물의 내부 너비가 2100㎝인 경우에 평판형틀은 2개가 설치되며, 박스 구조물의 내부 너비가 2400㎝인 경우에 평판형틀은 3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평판형틀은 이웃한 경사형틀 및 평판형틀과 체결수단(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상하단면이 '
Figure 112019086229449-pat00001
'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경사형틀(110)에 인접한 제1 평판형틀(130)은 제1 경사형틀(110)의 제1 수직판과 면접촉 되고, 제2 경사형틀(120)에 인접한 제2 평판형틀(140)은 제2 경사형틀(120)의 제2 수직판과 면접촉 되며, 제1 평판형틀(130)과 제2 평판형틀(140)은 서로 면접촉 된다.
이때,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제1 경사형틀(110), 제2 경사형틀(120), 평판형틀(130,140)은 클램프나 결합볼트 등의 체결수단(150)을 통해 결속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거푸집 지지대(200)를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지지대(200)는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 및 거푸집 받침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거푸집 지지대(200)는 거푸집 받침형강(240), 바퀴부(250), 잭서포트 지지대(280), 받침보 지지대(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높이 조절부잭(212)이 구비된 것으로,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이 콘크리트로 양생된 박스 구조물의 타설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는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높이 조절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높이 조절부잭(212)은 잭 서포트의 길이를 늘려주거나 줄여주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부잭(212)으로는 스크류 타입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부와 너트부로 구성된 신축잭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수나사가 구비된 상하 분리봉으로 형성되며, 너트부는 상하 분리 봉이 결합되도록 수나사를 결합시키는 암나사가 구비된다. 이러한 신축잭은 너트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부가 신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전체적으로 잭 서포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는 상단에 길이조절봉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봉은 상하 방향으로 잭 서포트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셀카봉이나 낚시봉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거푸집 받침보(230)는 콘크리트 타설시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이 받는 하중을 제1,2 잭 서포트(210,2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 파이프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거푸집 받침형강(240)은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거푸집 받침보(230)가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거푸집 받침보(2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하 단면이 '
Figure 112019086229449-pat00002
'형 구조나 '
Figure 112019086229449-pat00003
'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대등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은 하면에 다수의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거푸집 받침보(230)를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원활히 탈부착시키기 위해서 거푸집 받침형강(2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바퀴부(250)는 높이 조절부잭(212)에 연동되어 지면접촉과 지면이격이 결정되도록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 지지대(252)와 복수개의 바퀴(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퀴부(250)는 높이 조절부잭(212)이 상승하면 높이 조절부잭(212)과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바퀴부(250)는 지면에 이격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잭(212)이 하강하면, 높이 조절부잭(212)과 함께 하강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252)는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부잭(212)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으로, 일측이 제1 잭 서포트(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잭 서포트(220)에 연결된다.
상기 바퀴(254)는 수평 지지대(2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바퀴(254)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 목적하는 장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바퀴부(250)는 작업자 통로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 통로발판은 작업자가 거푸집 지지대(200)의 내부로 통행할 수 있도록 거푸집 지지대(200)에 설치된 것으로, 제1 잭 서포트(210)와 제2 잭 서포트(22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자 통로발판은 상기 수평 지지대(25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잭서포트 지지대(280)는 잭 서포트와 수평 지지대(25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잭 서포트에 지지력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제1 잭서포트 지지대(280)와 제2 잭서포트 지지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잭서포트 지지대(280)는 일단이 제1 잭 서포트(2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수평 지지대(25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잭서포트 지지대(280)는 일단이 제2 잭 서포트(22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수평 지지대(252)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받침보 지지대(290)는 잭 서포트와 거푸집 받침보(230)의 사이에 설치되어 거푸집 받침보(230)에 지지력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제1 받침보 지지대(290)와 제2 받침보 지지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보 지지대(290)는 일단이 제1 잭 서포트(2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거푸집 받침보(2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잭서포트 지지대(280)는 일단이 제2 잭 서포트(22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거푸집 받침보(230)에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제1 벽체 거푸집(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벽체 거푸집(300)은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박스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단위 형틀을 추가하거나 감하여 다른 높이 사이즈를 갖는 박스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벽체 거푸집(300)은 상부에 절곡된 제1 절곡부(310)가 구비되며, 제1 절곡부(310)의 말단에 전술한 제1 경사형틀(110)의 제1 내삽관(112)에 내삽되는 제1 끼움돌기(320)가 구비된다. 이때, 제1 절곡부(310)는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 절곡부(310)는 그 말단에 제1 대응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대응 경사면은 도 3과 같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제1 경사형틀(110)의 제1 경사면에 맞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대응 경사면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박스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할 때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박스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박스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1 벽체 거푸집(300)은 박스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박스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이탈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절곡부(310)의 말단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선 접촉된다. 이때,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제1 경사형틀(110)과 선 접촉하는 제1 절곡부(310)의 말단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제1 경사형틀(110)과 제1 절곡부(310)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블록은 제1 경사형틀(110)과 제1 절곡부(310) 사이의 빈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모양과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완충블록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며, 사각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제2 벽체 거푸집(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벽체 거푸집(400)은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박스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단위 형틀을 추가하거나 감하여 다른 높이 사이즈를 갖는 박스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벽체 거푸집(400)은 상부에 절곡된 제2 절곡부(410)가 구비되며, 제2 절곡부(410)의 말단에 전술한 제2 경사형틀(120)의 제2 내삽관(122)에 내삽되는 제2 끼움돌기(420)가 구비된다. 이때, 제2 절곡부(410)는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지붕슬래브 거푸집(100)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2 절곡부(410)는 그 말단에 제2 대응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응 경사면은 도 3과 같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제2 경사형틀(120)의 제2 경사면에 맞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대응 경사면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박스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할 때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박스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박스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2 벽체 거푸집(400)은 박스 구조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박스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이탈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절곡부(410)의 말단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과 선 접촉된다. 이때,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제2 경사형틀(120)과 선 접촉하는 제2 절곡부(410)의 말단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제2 경사형틀(120)과 제2 절곡부(410)의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완충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완충블록은 제2 경사형틀(120)과 제2 절곡부(410) 사이의 빈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모양과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제2 완충블록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며, 사각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고정수단(510,8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510,820)은 제1 벽체 거푸집(300) 및 제2 벽체 거푸집(400)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벽체 거푸집(300)과 지붕슬래브 거푸집(100) 사이와 제2 벽체 거푸집(400)과 지붕슬래브 거푸집(1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고정핀(510) 및 제2 고정핀(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핀(510)은 상기 제1 벽체 거푸집(300)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결합되도록 제1 내삽관(112)에 내삽된 제1 끼움돌기(320)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원기둥형이나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삽관(112) 및 제1 끼움돌기(320)는 제1 고정핀(510)이 내삽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핀(510)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핀(520)은 상기 제2 벽체 거푸집(400)이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에 결합되도록 제2 내삽관(122)에 내삽된 제2 끼움돌기(420)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원기둥형이나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내삽관(122) 및 제2 끼움돌기(420)는 제2 고정핀(520)이 내삽될 수 있도록 제2 고정핀(520)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도 5는 박스 구조물로부터 탈착된 본 발명의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강재 거푸집은 제1,2 하부 거푸집(710,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거푸집(710)은 제일 먼저 탈형되어 제1 잭 서포트(210)의 하강, 제1 벽체 거푸집(300)의 탈형 시 간격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며,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의 이동 시 제1 벽체 거푸집(300)이 지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 벽체 거푸집(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잭 서포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벽체 거푸집(300)의 하부에 제1 힌지(72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 하부 거푸집(710)은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 목적하는 장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제1 벽체 거푸집(300)과 동일한 선상을 유지하도록 펼쳐진다.
상기 제2 하부 거푸집(730)은 제일 먼저 탈형되어 제2 잭 서포트(220)의 하강, 제2 벽체 거푸집(400)의 탈형 시 간격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며,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의 이동 시 제2 벽체 거푸집(400)이 지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2 벽체 거푸집(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잭 서포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벽체 거푸집(400)의 하부에 제2 힌지(74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 하부 거푸집(730)은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해 목적하는 장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제2 벽체 거푸집(400)과 동일한 선상을 유지하도록 펼쳐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은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은 제1,2 벽체 거푸집(300,400)의 탈형을 원활히 하고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1,2 벽체 거푸집(300,400)의 하단을 일괄적으로 박스 구조물의 안쪽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 중앙관(610)과 제1 연결봉(620)과 제2 연결봉(630) 및 손잡이(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관(610)은 일단이 상기 제1 잭 서포트(2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제2 잭 서포트(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선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중앙관(610)은 전체적으로 원형관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내부로 원형 봉이 내삽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에 원기둥형 내삽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봉(620)은 상기 중앙관(610)의 좌측에 내삽되고 말단이 제1 벽체 거푸집(300)에 연결된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중앙관(610)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봉(630)은 중앙관(610)의 우측에 내삽되고 말단이 제2 벽체 거푸집(400)에 연결된 것으로, 외주면에 중앙관(610)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640)는 중앙관(610)이 회전됨에 따라 제1,2 연결봉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관(6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관(610)에 외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은 손잡이(640)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중앙관(610)이 정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제1 연결봉(620)과 제2 연결봉(630)이 중앙관(610)의 내부로 점차 깊숙이 내삽되도록 중앙관(610)의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관(610)이 역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제1 연결봉(620)과 제2 연결봉(630)이 중앙관(610)의 외부로 점차 돌출되므로, 이에 따라 제1 벽체 거푸집(300)과 제2 벽체 거푸집(400)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은 손잡이(640)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중앙관(610)이 정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제1 연결봉(620)과 제2 연결봉(630)이 중앙관(610)의 외부로 점차 돌출되도록 중앙관(610)의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관(610)이 정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제1 연결봉(620)과 제2 연결봉이 중앙관(610)의 내부로 점차 깊숙이 내삽되므로, 이에 따라 제1 벽체 거푸집(300)의 말단과 제2 벽체 거푸집(400)의 말단은 거푸집 지지대(2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다음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도 5를 근거로 하여 탈형 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600)의 중앙관(610)의 손잡이(640)를 통해 회전시켜 제1,2 하부 거푸집의 말단을 거푸집 지지대(2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 박스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탈리시킨다.
이어서 제1 잭 서포트(210)의 높이 조절부잭(212)과 제2 잭 서포트(220)의 높이 조절부잭(212)을 조작하여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을 하강시켜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로부터 탈리시킨다. 이때, 지붕슬래브 거푸집(100)의 하강은 높이 조절부잭(212)에 설치된 바퀴부(250)의 바퀴(254)가 레일부(270)에 안착될 때까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에 외력을 가하여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을 레일부(27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지붕슬래브 거푸집 110 : 제1 경사형틀
112 : 제1 내삽관 120 : 제2 경사형틀
122 : 제2 내삽관 130 : 제1 평판형틀
140 : 제2 평판형틀 150 : 체결수단
200 : 거푸집 지지대 210 : 제1 잭 서포트
212 : 높이 조절부잭 220 : 제2 잭 서포트
230 : 거푸집 받침보 240 : 거푸집 받침형강
250 : 바퀴부 252 : 수평 지지대
254 : 바퀴 270 : 레일부
280 : 잭서포트 지지대 290 : 받침보 지지대
300 : 제1 벽체 거푸집 310 : 제1 절곡부
320 : 제1 끼움돌기 400 : 제2 벽체 거푸집
410 : 제2 절곡부 420 : 제2 끼움돌기
510 : 제1 고정핀 520 : 제2 고정핀
600 :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 610 : 중앙관
620 : 제1 연결봉 630 : 제2 연결봉
640 : 손잡이 710 : 제1 하부 거푸집
720 : 제1 힌지 730 : 제2 하부 거푸집
740 : 제2 힌지

Claims (6)

  1. 박스 구조물의 슬래브를 형성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 말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내삽관이 설치된 제1 경사형틀과, 길이 방향을 따라 우측 말단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 내삽관이 설치된 제2 경사형틀, 및 상기 제1 경사형틀과 제2 경사형틀 사이에 결합된 한 개 이상의 평판형틀로 구성된 지붕슬래브 거푸집;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높이 조절부잭이 구비된 제1,2 잭 서포트, 및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이 받는 하중을 제1,2 잭 서포트에 전달 할 수 있도록 제1 잭 서포트와 제2 잭 서포트의 상단에 설치된 거푸집 받침보가 포함된 거푸집 지지대;
    상기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부에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경사면에 맞대어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선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절곡부의 말단에 제1 대응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곡부의 말단에 상기 제1 내삽관에 내삽되는 제1 끼움돌기가 구비된 제1 벽체 거푸집;
    상기 박스 구조물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부에 100° 내지 160°의 내각을 갖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경사면에 맞대어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선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절곡부의 말단에 제1 대응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부의 말단에 상기 제2 내삽관에 내삽되는 제2 끼움돌기가 구비된 제2 벽체 거푸집; 및
    상기 제1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1 내삽관에 내삽된 제1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1 고정핀, 및 상기 제2 벽체 거푸집이 지붕슬래브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제2 내삽관에 내삽된 제2 끼움돌기에 수직으로 끼움 결합된 제2 고정핀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삽관의 표면에 상기 제1 벽체 거푸집의 하단이 상기 거푸집 지지대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끼움돌기에 내삽된 제1 고정핀의 이동통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삽관은 제1 끼움돌기가 제1 내삽관의 내부에서 제1 고정핀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끼움돌기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삽관은 제2 끼움돌기가 제2 내삽관의 내부에서 제2 고정핀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끼움돌기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거푸집은
    상기 지붕슬래브 거푸집과 선 접촉하는 제1 절곡부의 말단에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완충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5.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잭 서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상기 제2 잭 서포트에 연결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구비되는 중앙관과, 상기 중앙관의 좌측에 내삽되고 외주면에 중앙관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구비되며 말단이 제1 벽체 거푸집에 연결된 제1 연결봉과, 상기 중앙관의 우측에 내삽되고 외주면에 중앙관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구비되며 말단이 제2 벽체 거푸집에 연결된 제2 연결봉, 및 상기 중앙관이 회전됨에 따라 제1,2 연결봉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관에 설치되어 중앙관에 외력을 전달하는 손잡이가 포함된 벽체 거푸집 당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틀은
    그 상하단면이 '
    Figure 112019086229449-pat00004
    '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KR1020190102861A 2019-08-22 2019-08-22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KR10208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61A KR102086134B1 (ko) 2019-08-22 2019-08-22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61A KR102086134B1 (ko) 2019-08-22 2019-08-22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134B1 true KR102086134B1 (ko) 2020-03-09

Family

ID=6980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61A KR102086134B1 (ko) 2019-08-22 2019-08-22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607A (zh) * 2021-03-25 2021-06-29 江西志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及行走模架***及其操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4Y1 (ko) 2001-06-19 2001-12-01 김주만 도로 횡단 지하통로용 강재 거푸집
KR20090040712A (ko) 2007-10-22 2009-04-27 보림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 박스 구조물 형성용 강재 거푸집
KR20100119688A (ko) * 2009-05-01 2010-11-10 김시영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KR101184299B1 (ko) * 2009-11-20 2012-09-18 (주)유경기술단 멀티 슬립폼 장치를 이용한 통로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0406B1 (ko) 2014-08-13 2015-08-1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KR101814726B1 (ko) 2017-08-03 2018-01-30 최해순 전력구 구조물용 사이즈 변화타입 이동형 강재 거푸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874Y1 (ko) 2001-06-19 2001-12-01 김주만 도로 횡단 지하통로용 강재 거푸집
KR20090040712A (ko) 2007-10-22 2009-04-27 보림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 박스 구조물 형성용 강재 거푸집
KR20100119688A (ko) * 2009-05-01 2010-11-10 김시영 슬래브패널 어셈블리
KR101184299B1 (ko) * 2009-11-20 2012-09-18 (주)유경기술단 멀티 슬립폼 장치를 이용한 통로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0406B1 (ko) 2014-08-13 2015-08-1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KR101814726B1 (ko) 2017-08-03 2018-01-30 최해순 전력구 구조물용 사이즈 변화타입 이동형 강재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607A (zh) * 2021-03-25 2021-06-29 江西志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及行走模架***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23B1 (ko) 자주식 대차 장치를 가지는 연속 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814726B1 (ko) 전력구 구조물용 사이즈 변화타입 이동형 강재 거푸집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US399372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modular building structures
KR101540406B1 (ko)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KR101437842B1 (ko) 가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저심도 터널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86134B1 (ko)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102094279B1 (ko) 이동형 강재 거푸집
KR100402436B1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CN104149177A (zh) 新型组装式钢筋混凝土电缆沟槽生产模具
KR20080001074U (ko) 관체용 시멘트 타설의 거푸집 탈형장치
KR101150829B1 (ko) 옹벽 시공용 자주식 거푸집
KR101675230B1 (ko) 낙차형 콘크리트 수로관 성형장치
KR20180075178A (ko) 시스템 동바리 및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 이동장치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CN116290112A (zh) 一种混凝土检查井模板装置及施工方法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114481873A (zh) 一种雨水方涵工程模板分段拼装整体滑移施工方法
KR101542045B1 (ko)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162491B1 (ko) 맨홀 성형 장치
KR102459140B1 (ko)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KR20150089381A (ko) 가변가능한 거푸집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암거시공방법
KR20150122385A (ko) 상부 폐쇄형 유거더 성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유거더 성형방법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