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362B1 - 폐각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폐각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362B1
KR102085362B1 KR1020190072511A KR20190072511A KR102085362B1 KR 102085362 B1 KR102085362 B1 KR 102085362B1 KR 1020190072511 A KR1020190072511 A KR 1020190072511A KR 20190072511 A KR20190072511 A KR 20190072511A KR 102085362 B1 KR102085362 B1 KR 102085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ushing
rotation
transfer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석
Original Assignee
박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석 filed Critical 박의석
Priority to KR102019007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8Feed mean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02C2013/280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the beater elements are attached to disks mounted on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각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가 일단에 구비되며, 투입부로 투입된 폐각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각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폐각 분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쇄부는 기어를 이용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쇄부는 해머밀 방식을 이용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각 분쇄 장치{THE PULVERIZER OF OYSTERSHELLS}
본 발명은 폐각을 분쇄하여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각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부와 분쇄부로 구성되어, 파쇄와 분쇄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폐각 원료를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으며, 파쇄부와 분쇄부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하게 분쇄되는 폐각 분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각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폴리플로플렌 또는 볼리비닐알콜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수하줄에 패각을 매달아서 사용하게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패각이 매달려 있는 수하줄을 건져내어 이를 깨끗이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폐각은 수하줄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다속에 오래 방치되므로 수하줄과 폐각이 견고하게 접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아 폐각처리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수하줄이 결합된 상태에서 바다에 버려지거나 매립시키는 등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5212호 및 제20-0262984호 등은 다양한 형식으로 폐각을 분쇄할수 있는 폐각 분쇄장치를 제안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각 분쇄장치는 수하줄이 폐각의 분쇄과정에서 손상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분쇄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폐각처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5212호(2002.11.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984호(2002.01.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쇄부와 분쇄부로 구성되어, 파쇄와 분쇄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폐각 원료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으며, 파쇄부와 분쇄부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하게 분쇄되는 폐각 분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각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는 폐각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부가 일단에 구비되며, 투입부로 투입된 폐각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 파쇄부에서 파쇄된 폐각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분쇄부; 및 분쇄부에서 분쇄된 폐각 분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파쇄부는 기어를 이용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쇄부는 해머밀 방식을 이용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쇄부와 분쇄부로 구성되어, 파쇄와 분쇄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폐각을 미세하게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부와 분쇄부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1차 파쇄가 이루어진 폐각은 이송호퍼를 통해 하측에 위치한 분쇄부로 이송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하게 분쇄되는 폐각 분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각 원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송스크류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는 폐각 원료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이송부의 하단에 형성된 수분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이송부를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이송스크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파쇄부 및 분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파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분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분쇄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동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폐각 원료"는 파쇄나 분쇄가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를, "폐각 분쇄물"은 파쇄 및 분쇄가 이루어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로 기재하였으며, "폐각", "폐각 원료" 및 "폐각 분쇄물" 모두 동일한 폐각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는 파쇄부(300)와 분쇄부(400)로 구성되어, 파쇄와 분쇄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폐각 원료를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으며, 파쇄부(300)와 분쇄부(400)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하게 분쇄되는 폐각 분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각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는 폐각 원료를 미세하게 파쇄 및 분쇄시켜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입부(100), 이송부(200), 파쇄부(300), 분쇄부(400) 및 배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입부(100)는 폐각 원료가 투입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이송부(200)의 일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투입부(100)는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호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이송부를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이송스크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부(200)는 투입부(100)로 폐각 원료가 투입되면, 이를 이송시켜 후술되는 파쇄부(300)에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송관(210) 및 이송스크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관(2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이송관(210) 내부에 후술되는 이송스크류(220)가 설치되면,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 이송관(21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이송관(210)의 내측벽과 이송스크류(22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함으로써, 투입된 폐각 원료가 상기 틈에 끼이게 되어 이송스크류(220)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또는 이송스크류(220)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이송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찌꺼기로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이송관(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분배출관(2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배출관(211)은 이송관(210) 내부에서 이송되는 폐각 원료가 이송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수분배출관(211)을 개폐시키는 밸브(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수분배출관(211)을 개폐시켜 이송관(210) 내부의 수분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220)는 이송관(210) 내측에 구비되어 투입부(100)로 투입된 폐각 원료를 이송관(210)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송관(210)의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스크류(220)는 회전축의 주변에 나선형태를 이루는 스크류 형태의 날(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됨으로써, 이송스크류(220)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날을 따라 폐각 원료가 이송관(210)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220)의 스크류 형태의 날에는 관통된 형태의 배출홈(221)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홈(221)은 이송관(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배출홈(221)을 통해 이송관(210)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송관(210) 내부의 수분이 이송스크류(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도 스크류 형태의 날에 형성된 배출홈(221)을 통해 이송관(210) 일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된 수분은 수분배출관(211)을 통해 이송관(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송관(210) 내부에 수분이 고이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부(200)는 투입부(100)가 구비되는 일측과 타측이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00)가 형성되는 이송부(200)의 일측보다 폐각이 배출되는 타측이 높게 형성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이송부(200)의 일측은 낮게 형성되어 폐각 원료를 투입시키기 용이한 반면, 타측은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되는 파쇄부(300)와 분쇄부(400)가 상,하로 적층될 수 있는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형태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은 이송관(210)의 일측으로 이동되고, 이송관(210)의 일측에 형성된 수분배출관(211)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이송부(200)가 기울어진 정도는 지면과 약 20° 내지 40°의 경사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파쇄부(300), 분쇄부(400) 및 배출부(500)의 규격에 따라 경사각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파쇄부 및 분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파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파쇄부(300)는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쇄부 하우징(310), 투입호퍼(320), 기어(330) 및 이송호퍼(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쇄부 하우징(310)은 이송된 폐각 원료를 1차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단에 후술되는 투입호퍼(320)가 구비되며, 내부에 후술되는 기어(330)가 구비된다.
투입호퍼(320)는 이송부(200)의 타단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된 폐각이 투입되도록 하며,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호퍼로 이루어진다.
기어(330)는 파쇄부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며, 투입호퍼(320)로 투입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어(3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축(331)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이에, 한 쌍의 축(33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축(331) 각각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어, 기어부재(332) 사이사이를 통과하는 폐각이 1차적으로 파쇄가 이루어진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축(331)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 사이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메워주는 이탈방지부재(3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333)는 한 쌍의 축(331) 각각에 구비된 기어부재(332)가 서로 맞물리기 위해 하나의 축(331)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 사이사이 공간이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공간을 메워줌으로써, 폐각이 파쇄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파쇄부(30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1차적으로 파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재(333)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부 하우징(310)의 양측벽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송호퍼(340)는 파쇄부 하우징(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1차적으로 파쇄된 폐각이 후술되는 분쇄부(40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송호퍼(340)는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호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분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분쇄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분쇄부(400)는 파쇄부(300)에서 파쇄된 폐각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쇄부 하우징(410), 회전축(420), 디스크(430) 및 해머(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쇄부 하우징(410)은 파쇄부(300)로부터 이송된 1차적으로 파쇄가 이루어진 폐각을 2차적으로 분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파쇄부(300)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이송호퍼(340)가 구비된다.
이때, 분쇄부 하우징(4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디스크(430)의 해머(44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분쇄부 하우징(410)의 내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분쇄부 하우징(410)으로 유입된 폐각의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쇄부 하우징(410)은 수분배출부(411), 거름망(412) 및 배출호퍼(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분배출부(411)는 일측에 구비되어 폐각으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분배출부(411)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름망(412)은 분쇄부 하우징(410)의 하단에 구비되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2차적으로 분쇄가 이루어진 폐각이 상기 통공을 통해 후술되는 배출호퍼(413)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거름망(412)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 또는 직경(입도)은 2차적으로 분쇄가 이루어진 폐각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또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은 폐각은 후술되는 디스크(430) 및 해머(440)의 회전에 의해 분쇄부 하우징(410) 내부에서 분쇄가 이루어 질 때까지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호퍼(413)는 분쇄부 하우징(4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412)을 통과한 2차적으로 분쇄된 폐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배출부(50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출호퍼(413)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 형태의 호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420)은 분쇄부 하우징(4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디스크(430)가 회전되도록 한다.
디스크(430)는 회전축(420)에 다수 개 결합되며, 회전축(4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디스크(4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머(440)는 디스크(4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디스크(4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디스크(430)에 다수 개의 해머(440)가 구비되되, 일 예로, 하나의 디스크(430)에 4개의 해머(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회전축(420)의 회전 방향이 좌,우로 변경되면서 회전되면, 디스크(430)에 결합된 다수 개의 해머(440)는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좌,우로 회동되면서 서로 부딪치게 됨으로써, 충격과 마찰이 일어나 그 사이의 폐각이 분쇄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440)는 외측면에 상기 해머(440)를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날개(441)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441)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분쇄부 하우징(4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회전축(420)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 분쇄부 하우징(410)의 내벽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쇄부 하우징(410)의 일측에 구비된 수분배출부(4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배출호퍼(413)를 통해 배출되는 2차적으로 분쇄가 완료된 폐각 분쇄물은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동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에서 밀착부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축(420)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밀착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460)는 거름망(4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되, 거름망(412)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폐각 분쇄물의 잔여물들이 해머(440)에 의해 다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잘게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름망(4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동브라켓(461), 회동바(462), 밀착부재(463), 제1연결부재(464), 제2연결부재(465), 제3연결부재(466), 감속기(467) 및 동력전달축(4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브라켓(461)은 회전축(420)의 양 끝단 각각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자유회전은 회전축(420)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전축(420)에 고정되지 않아,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과 관계없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회전축(420)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42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회동브라켓(461)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420)과 접촉되는 내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되거나 또는 테프론과 같은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바(462)는 회동브라켓(461)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브라켓(461) 각각에 한 쌍의 회동바(462)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밀착부재(463)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461) 각각에 구비된 회동바(462)를 연결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바(462) 타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거름망(412)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밀착부재(463)는 거름망(412)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의 폭은 넓고 반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412)과 밀착되는 외주면은 상기 거름망(412)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밀착부재(463)는 회전축(420)을 축으로 회동브라켓(461)과 회동바(462)가 좌,우로 변경되면서 회동되는데, 이때, 거름망(412)에 밀착된 채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밀착부재(463)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에 의해 이동되는 진행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진행과정에서 분쇄부 하우징(410) 내부에 남은 잔여물들을 용이하게 쓸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밀착부재(463)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테프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재(464)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축(420)의 일측에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464)는 분쇄부 하우징(410)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력부(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해 회전축(420)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된다.
제2연결부재(465)는 회전축(420)의 타측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회동브라켓(461)과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된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연결부재(465)는 회전축(420)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461) 중 타측에 구비된 회동브라켓(461)과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제2연결부재(465)가 회전축(420)을 축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420)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브라켓(461)은 상기 제2연결부재(465)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제3연결부재(466)는 제1연결부재(464)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 하우징(41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연결부재(464)가 회전되면, 회전력을 인가받은 제3연결부재(466)는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464)와 제3연결부재(46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기어로 구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타이밍기어로 구성되어 벨트나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속기(467)는 제2연결부재(465)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분쇄부 하우징(41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속기(467)는 제3연결부재(466)에 후술되는 동력전달축(468)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466)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제3연결부재(466)의 회전력을 제2연결부재(465)로 인가하는 과정에서 감속 기능을 수행한다.
동력전달축(468)은 제3연결부재(466)와 감속기(467)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밀착부(460)는 분쇄부(460)의 회전축(420)을 회전시키는 동력부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력부 동작에 의해 좌,우로 변경되어 회전되는 디스크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거름망(412)에 밀착되는 밀착부재(463)가 상기 회전축(420)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동작부의 동작만으로 디스크(430)를 강하게 회전시켜 해머(440)가 부딪히는 힘을 강하게 하여 폐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력이 감속된 밀착부(460)의 밀착부재(463)가 회전축(420)을 축으로 천천히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거름망(412) 내주면에 밀착이 유지된 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름망(412) 상측에 적재된 잔여물들이 밀착부재(463)를 따라 이동되어 효과적으로 솎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밀착부(460)의 동작과정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축(420)이 정지된 상태에서 도 12에서와 같이, 회전축(420)이 회전되면, 한 쌍의 밀착부(460)는 좌,우로 변경되면서 함께 회동되되, 회동바(462)는 상기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일단이 회동되고, 타단에 결합된 밀착부재(463)는 거름망(412)에 밀착된 상태에서 거름망(4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밀착부재(463)는 거름망(412)에 밀착된 상태에서 거름망(4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분쇄부 하우징(410) 내에 위치한 폐각 분쇄물이 거름망(412)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잔여물들을 상기 분쇄부 하우징(410) 내에서 이동시켜 해머(440)에 의해 다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밀착부재(463)가 거름망(412)의 내주면을 따라 좌,우로 변경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잔여물들을 상측으로 솎아주기 때문에 헤머(440)에 의해 다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축(420)의 회전이 좌,우로 변경되면서 회전됨에 따라, 잔여물들을 솎아주는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거름망(412) 내주면에 잔재하고 있는 잔여물을 보다 원활하게 솎아줄 수 있다.
이에, 거름망(412)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는 잔여물들을 좌,우 방향으로 변경되면서 밀어내는 밀착부(460)에 의해 해머(440)에 의한 분쇄가 여러차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잘게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거름망(4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디스크(4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420)과 밀착부(460)가 하나의 동력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420)을 축으로 하여 좌,우측 변경되면서 회전 및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회전축(420)을 동일한 축으로 하여 디스크(430)의 회전과 밀착부(460)의 회동이 서로 다른 동력부(모터)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송부(200)의 이송스크류(220) 회전, 파쇄부(300)의 기어(330) 회전 및 분쇄부(400)의 회전축(420) 회전에 대한 원리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이송부(200), 파쇄부(300) 및 분쇄부(400)에 이송부 감속기(230), 파쇄부 감속기(350) 및 분쇄부 감속기(450)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부(50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출호퍼(413)를 통해 배출되는 폐각 분쇄물이 외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호퍼(413)의 하단에 톤백(510)이 구비되어 배출되는 폐각 분쇄물이 상기 톤백(510)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폐각 분쇄 장치는 파쇄부(300)와 분쇄부(400)로 구성되어, 파쇄와 분쇄가 2차례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폐각을 미세하게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부(300)와 분쇄부(400)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1차 파쇄가 이루어진 폐각은 이송호퍼(340)를 통해 하측에 위치한 분쇄부(400)로 이송되고, 상기 분쇄부(400)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세하게 분쇄되는 폐각 분쇄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각 원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부(200)가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송스크류(220)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는 폐각 원료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이송부(200)의 하단에 형성된 수분배출관(211)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투입부 200 : 이송부
210 : 이송관 211 : 수분배출관
220 : 이송스크류 221 : 배출홈
230 : 이송부 감속기 300 : 파쇄부
310 : 파쇄부 하우징 320 : 투입호퍼
330 : 기어 331 : 축
332 : 기어부재 333 : 이탈방지부재
340 : 이송호퍼 350 : 파쇄부 감속기
400 : 분쇄부 410 : 분쇄부 하우징
411 : 수분배출부 412 : 거름망
413 : 배출호퍼 420 : 회전축
430 : 디스크 440 : 해머
441 : 날개 450 : 분쇄부 감속기
460 : 밀착부 461 : 회동브라켓
462 : 회동바 463 : 밀착부재
464 : 제1연결부재 465 : 제2연결부재
466 : 제3연결부재 467 : 감속기
468 : 동력전달축 500 : 배출부
510 : 톤백

Claims (10)

  1. 폐각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100)가 일단에 구비되며, 투입부(100)로 투입된 폐각을 기울어진 형태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이송관(210)과 상기 이송관(210)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부(100)로 투입된 폐각을 이송스크류(220)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0);
    상기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파쇄부(300);
    상기 파쇄부(300)에서 파쇄된 폐각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쇄부 하우징(410)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축(420)에 다수 개 결합되는 디스크(430)과 다수 개의 디스크(430)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개 이상의 해머(440) 및 상기 해머(440) 외측면에 상기 해머(440)를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날개(441)가 구비되는 분쇄부(400); 및
    상기 분쇄부(400)에서 분쇄된 폐각 분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쇄부(300)는 기어를 이용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쇄부(400)는 해머밀 방식을 이용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10)은
    일측 하부에 외부와 연통된 수분배출관(211)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220)는
    스크류 형태의 날에 관통된 형태의 배출홈(221)이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300)는
    파쇄부 하우징(310);
    상기 파쇄부 하우징(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된 폐각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호퍼(320);
    상기 파쇄부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며, 투입호퍼(320)로 투입된 폐각을 1차적으로 파쇄하는 한 쌍의 기어(330); 및
    상기 파쇄부 하우징(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1차적으로 파쇄된 폐각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호퍼(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어(330)는
    한 쌍의 축(331)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되,
    하나의 축(331)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어부재(332) 사이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메워주는 이탈방지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 하우징(410)은
    일측에 구비되어 폐각으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부(411);
    하단에 형성되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망(412); 및
    상기 분쇄부 하우징(4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거름망(412)을 통과한 2차적으로 분쇄된 폐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호퍼(4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400)는
    상기 회전축(420)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밀착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착부(460)는
    상기 거름망(4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460)는
    상기 회전축(420)의 양 끝단 각각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동브라켓(461);
    상기 회동브라켓(461)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바(462);
    한 쌍의 회동브라켓(461) 각각에 구비된 회동바(462)를 연결하는 밀착부재(463);
    상기 회전축(420)의 일측에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464);
    상기 회전축(420)의 타측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동브라켓(461)의 타단에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65);
    상기 제1연결부재(464)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제3연결부재(466);
    상기 제2연결부재(465)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감속기(467); 및
    상기 제3연결부재(466)와 감속기(467)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축(4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각 분쇄 장치.
KR1020190072511A 2019-06-18 2019-06-18 폐각 분쇄 장치 KR102085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11A KR102085362B1 (ko) 2019-06-18 2019-06-18 폐각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11A KR102085362B1 (ko) 2019-06-18 2019-06-18 폐각 분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362B1 true KR102085362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11A KR102085362B1 (ko) 2019-06-18 2019-06-18 폐각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31B1 (ko) 2022-12-07 2023-10-19 이영상 패각 분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07A (ja) * 1996-07-24 1998-02-10 Takuma Co Ltd 破砕装置
KR200262984Y1 (ko) 2000-08-03 2002-02-02 김금규 코팅연사(수하줄) 분리식 패각분쇄기
KR200295212Y1 (ko) 2002-07-24 2002-11-18 김금규 폐각분쇄장치
KR100928558B1 (ko) * 2008-12-09 2009-11-24 동 석 강 모래탈수장치
KR101025493B1 (ko) * 2010-08-24 2011-04-04 경남자원(주) 슈레이더 방식의 유압파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07A (ja) * 1996-07-24 1998-02-10 Takuma Co Ltd 破砕装置
KR200262984Y1 (ko) 2000-08-03 2002-02-02 김금규 코팅연사(수하줄) 분리식 패각분쇄기
KR200295212Y1 (ko) 2002-07-24 2002-11-18 김금규 폐각분쇄장치
KR100928558B1 (ko) * 2008-12-09 2009-11-24 동 석 강 모래탈수장치
KR101025493B1 (ko) * 2010-08-24 2011-04-04 경남자원(주) 슈레이더 방식의 유압파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31B1 (ko) 2022-12-07 2023-10-19 이영상 패각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99B1 (ko) 건고추 분쇄 장치
KR100817205B1 (ko) 패각분쇄기
KR102085362B1 (ko) 폐각 분쇄 장치
KR102593349B1 (ko) 탈수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180111232A (ko) 칡 뿌리 전용 분쇄기
CN105903531A (zh) 一种切割粉碎机构
KR100718486B1 (ko) 고추 분쇄기
CN107537643A (zh) 一种自动进料的摆动切碎机
KR200470384Y1 (ko) 패각 분쇄기
CN209061294U (zh) 一种塑料粉碎产线
KR102052860B1 (ko) 고추가루용 쇳가루 분리수거장치
KR101047808B1 (ko) 경사형 패각분쇄기
CN205903956U (zh) 双级脆性物料粉碎机
KR100401212B1 (ko) 패각류 분쇄기
CN201308850Y (zh) 用于微波干燥灭菌设备的物料粉碎装置
KR200380605Y1 (ko) 분쇄이송부
KR200426417Y1 (ko) 패각분쇄기
CN219216841U (zh) 一种地坑用螺旋式给料机
KR101023269B1 (ko) 다용도 미분쇄 장치
KR101097824B1 (ko) 폐청과류 분쇄기
KR200158704Y1 (ko) 고추분쇄기
KR200216304Y1 (ko) 굴 껍질 분쇄기
KR200316339Y1 (ko) 패각 이송부와 분쇄물 이송부가 구비된 패각 분쇄처리장치
KR20060097090A (ko) 에어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CN206366430U (zh) 平菇废料去皮粉碎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